이연숙 (사회언어학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연숙은 대한민국의 사회언어학자이다.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유학하여 히토쓰바시 대학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다이토 분카 대학 강사, 조교수를 거쳐 히토쓰바시 대학에서 조교수, 교수를 역임했으며, 2020년 특임 교수 및 명예 교수가 되었다. 저서 《국어라는 사상》으로 산토리 학예상을 수상했으며, VAWW-NET 재팬이 추진하는 전쟁과 여성 인권 박물관 건설의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토리 학예상 수상자 - 우에다 가즈오
우에다 가즈오는 1951년 시즈오카현에서 태어나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일본은행 정책위원회 심의위원을 역임했으며 2023년 4월에 일본은행 총재로 취임하여 2024년 3월에 제로 금리 정책과 수익률 곡선 통제를 종료했다. - 산토리 학예상 수상자 - 안극창
안극창은 일본 오사카 출신의 재일 한국인 3세 정신과 의사로, 고베 대학 의학부를 졸업 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및 해리성 정체 장애 연구에 매진하며 한신·아와지 대지진 당시 '마음의 케어' 개념을 알리고 『마음의 상처를 치유한다는 것』으로 산토리 학예상을 수상했으나, 39세의 나이에 간세포암으로 사망했다. - 다이토 문화대학 교수 - 기타 레이키치
기타 레이키치는 1885년 니가타현에서 태어나 와세다 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민본주의를 옹호하며 평론가, 교육자, 정치인으로 활동했으며 제국미술학교 초대 교장을 지냈다. - 다이토 문화대학 교수 - 박종현 (지리학자)
박종현은 1969년생으로 도쿄 대학에서 지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지리학자이자 문화 평론가이며, 도시지리학, 경제지리학 분야를 연구하고 한일 문화 교류에 기여하며 일본 관련 서적을 저술했다. - 사회언어학자 - 윌리엄 라보프
윌리엄 라보프는 미국의 저명한 언어학자이자 사회방언학의 선구자로서, 뉴욕시 영어 연구를 통해 사회언어학에 혁신적인 방법론을 도입하고 아프리카계 미국인 영어와 미국 영어의 음운 변화, 구술 서사 분석 등의 연구로 사회언어학과 서사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북미 영어 아틀라스` 공동 저술 및 벤자민 프랭클린 메달 수상 등 학문적 업적을 남겼으나 방법론과 이론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사회언어학자 - 바실 번스타인
바실 번스타인은 사회 계급과 언어 사용 간의 관계를 연구하여 교육사회학에 큰 영향을 미친 영국의 사회학자이자 언어학자로, 사회 계급에 따른 언어적 불평등을 설명하는 '언어 코드 이론'을 제시했다.
| 이연숙 (사회언어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인물 정보 | |
| 제목 | 이연숙 |
| 로마자 표기 | I Yeonsuk |
| 한글 | 이연숙 |
| 한자 | 李研淑 |
| 가타카나 | 이요은수쿠 |
| 학자 정보 | |
| 이름 | 이연숙 |
|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남도 순천시 |
| 국적 | 대한민국 |
| 분야 | 언어학 |
| 하위 분야 | 사회언어학 |
| 주요 제자 | 오카다 다이헤이, 기무라 하루미 |
| 로마자 표기 | Lee Yeon-suk |
| 한국 이름 | |
| 제목 | 이연숙 |
| 한글 표기 | 이연숙 |
| 한자 표기 | 李姸淑 |
| 개정 로마자 표기 | I Yeonsuk |
| 매큔-라이샤워 표기 | I Yŏnsuk |
| 예일 표기 | I Yenswuk |
| 공식 로마자 표기 | Lee Yeon-suk |
2. 생애 및 학력
대한민국 전라남도 순천시에서 태어나 광주에서 성장했다.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 히토쓰바시 대학 대학원에서 《국어라는 사상》으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7년 이 논문으로 산토리 학예상을 받았다.[2][3]
-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졸업
- 1985년 히토쓰바시 대학 대학원 사회학연구과 석사 과정 수료
- 1991년 히토쓰바시 대학 대학원 사회학연구과 박사 과정 단위 취득 만기 퇴학
- 1996년 히토쓰바시 대학 사회학 박사
3. 주요 경력
| 연도 | 경력 |
|---|---|
| 1989년 | 다이토 분카 대학 국제관계학부 전임 강사 |
| 1991년 | 다이토 문화대학 조교수[2][3] |
| 1992년 | 인하대학교 특임강사 |
| 1993년 | 중앙대학교 특임교수 |
| 1997년 | 히토쓰바시 대학 대학원 언어사회연구과 조교수[2][3] |
| 2001년 | 히토쓰바시 대학 대학원 언어사회연구과 교수[2][3] |
| 2020년 | 히토쓰바시 대학 특임 교수, 명예 교수[2][3] |
VAWW-NET 재팬이 추진하는 전쟁과 여성 인권 박물관 건설 발기인을 맡고 있다.[4] 지도 학생으로 오카다 타이헤이[5], 키무라 하루미 등이 있다.[6]
4. 연구 활동 및 사회 참여
1989년 다이토 분카 대학 국제관계학부 전임 강사를 거쳐 1991년 같은 대학 조교수를 역임했다. 1997년 히토츠바시 대학 대학원 언어사회연구과 조교수가 되었고, 2001년에는 교수로 임명되었다. 2020년에는 히토츠바시 대학 특임 교수 및 명예 교수가 되었다.[2][3] 저서 『국어라는 사상』으로 산토리 학예상을 수상하였다.
VAWW-NET 재팬이 추진하는 전쟁과 여성 인권 박물관 건설 발기인을 맡고 있다.[4] 오카다 타이헤이[5], 키무라 하루미[6] 등이 그의 지도를 받은 학생들이다.
5. 저서
5. 1. 단독 저서
5. 2. 공동 저서
- 川村湊|가와무라 미나토일본어, 上野千鶴子|우에노 지즈코일본어, 奥泉光|오쿠이즈미 히카루일본어, 成田龍一|나리타 류이치일본어, 井上ひさし|이노우에 히사시일본어, 高橋源一郎|다카하시 겐이치로일본어 공저, 《전쟁은 어떻게 이야기되어 왔는가》 (아사히 신문사, 1999년) "전쟁 문학을 읽다" 아사히 문고
- 庵功雄|안 이사오일본어, 森篤嗣|모리 아쓰시일본어 공편, 《"쉬운 일본어"는 무엇을 목표로 하는가 - 다문화 공생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코코 출판, 2013년
- 김현주, 박무영, 허남린 공편, 《조선의 여성 <1392-1945> 신체, 언어, 심성》 쿠온, 2016년
5. 3. 번역
- 베네딕트 앤더슨 저, 가스야 게이스케, 고치 가오루, 스즈키 토시히로, 마스다 쿠미코, 다나카 도시호, 아라이 유키야스, 나카무라 준, 키무라 모로 크리스토프 공역, 『비교의 유령: 내셔널리즘, 동남아시아, 세계』, 작품사, 2005
참조
[1]
문서
"国語」という思想、岩波書店の表紙での表記"
[2]
기타
"イ ヨンスク LEE YeounsukORCIDORCID連携する *注記"
https://nrid.nii.ac.[...]
[3]
기타
令和元年度 第 12 回 教育研究評議会議事要録
https://www.hit-u.ac[...]
一橋大学
[4]
웹사이트
WHR日本建設委呼びかけ人
http://www.whrmuseum[...]
"「戦争と女性の人権博物館」日本建設委員会"
[5]
기타
http://www2.gensha.h[...]
[6]
트위터
https://twitter.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