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용강은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로, 1985년 프로 데뷔하여 WBC와 WBA 플라이급 세계 챔피언을 지냈다. 1987년 한국 라이트플라이급 타이틀을 획득하고, 1987년 동양태평양복싱연맹(OPBF) 라이트플라이급 챔피언에 올랐다. 1988년 WBC 플라이급 챔피언 솟 칫라다를 꺾고 세계 챔피언이 되었으나, 1989년 재대결에서 패하여 타이틀을 잃었다. 이후 WBA 슈퍼플라이급 챔피언 카오사이 갤럭시에게 KO패를 당했으나, 1991년 WBA 플라이급 챔피언 엘비스 알바레스를 꺾고 2년 만에 세계 챔피언에 복귀했다. 1992년 아킬레스 구스만에게 패하며 타이틀을 잃었고, 1994년 사엔 소르 플로엔칫과의 WBA 플라이급 타이틀전에서 패한 후 1995년 은퇴했다. 통산 전적은 31전 26승(11KO) 5패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플라이급 권투 세계 챔피언 - 박찬희 (권투 선수)
1976년 올림픽 국가대표이자 WBC 플라이급 세계 챔피언이었던 박찬희는 5차 방어에 성공한 후 1982년 은퇴한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이다. - 플라이급 권투 세계 챔피언 - 이열우
이열우는 1985년 프로 복싱 선수로 데뷔하여 WBC, WBA 챔피언을 석권하고 통산 22전 19승을 기록했으며, 2009년 췌장암으로 사망했다. - 화순군 출신 - 이한열
이한열은 1987년 6월 항쟁을 격화시킨 연세대생 민주화 운동가로, 시위 중 최루탄에 맞아 사망하여 민주국민장으로 장례가 치러졌고 연세대학교 명예 학사 학위가 추서되었으며 기념관이 건립되었다. - 화순군 출신 - 김선빈 (야구 선수)
김선빈은 KIA 타이거즈의 프로 야구 선수로, 뛰어난 수비력과 타격 능력을 바탕으로 팀의 주전 유격수이자 '작은 거인'으로 불리며 2017년 타격왕, 2024년 한국시리즈 MVP를 수상하는 등 꾸준한 활약을 이어가고 있다. - 플라이급 권투 선수 - 박찬희 (권투 선수)
1976년 올림픽 국가대표이자 WBC 플라이급 세계 챔피언이었던 박찬희는 5차 방어에 성공한 후 1982년 은퇴한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이다. - 플라이급 권투 선수 - 카를로스 팔람
필리핀 복싱 선수 카를로스 팔람은 가난을 극복하고 국가대표로 활동하며 아시안 게임, 동남아시아 게임 등에서 메달을 획득하고, 2020년 도쿄 올림픽 플라이급에서 은메달, 2024년 파리 올림픽에 출전하는 등 필리핀에 기여한 인물이다.
김용강 | |
---|---|
선수 정보 | |
이름 | 김용강 |
원어 이름 | 김용강 (金容江) |
영어 이름 | Yong-Kang Kim |
별칭 | 해당 정보 없음 |
체급 | 라이트플라이급 플라이급 슈퍼플라이급 |
신장 | 5 ft 7 in (약 170 cm) |
리치 | 해당 정보 없음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일 | 1965년 1월 3일 |
출생지 | 경기도화성시 |
스타일 | 오소독스 스탠스 |
전체 전적 | 31전 |
승리 | 26승 |
KO승 | 11KO |
패배 | 5패 |
무승부 | 0무 |
무효 경기 | 0무효 |
2. 선수 경력
1985년 4월 6일, 프로 데뷔전에서 4회 KO승을 거두며 성공적인 시작을 알렸다. 이후 꾸준히 승리하며 성장하여, 1987년 1월 17일에는 11전 만에 한국 라이트플라이급 타이틀을 획득했다.
1987년 12월 11일, 15전 만에 동양태평양복싱연맹(OPBF) 라이트플라이급 타이틀을 획득하였고,[1] 1988년 2월 20일, OPBF 타이틀 첫 방어에 성공했다.[1]
1988년 7월 24일, OPBF 타이틀을 유지한 채 WBC 세계 플라이급 챔피언 솟 칫라다(태국)에게 도전하여 12회 판정승을 거두며 세계 챔피언에 등극했다.[1] 이후 동양태평양 타이틀은 반납하였다. 1988년 11월 12일 첫 방어전에서 에밀 마츠시마를 상대로, 1989년 3월 5일 2차 방어전에서 레퍼드 타마쿠마를 상대로 각각 12회 판정승을 거두었다.[1]
1989년 6월 3일, 3차 방어전에서 칫라다와 재대결하여 12회 판정패. 세계 왕좌에서 물러남과 동시에 프로 첫 패배를 기록.[1]
1989년 11월 25일, 재기전에서 전 WBC 세계 라이트플라이급 챔피언 이열우와의 동국인 대결에서 10회 판정패. 그 후, 2전 연속 KO승.
1990년 9월 29일, 2체급 제패를 목표로, WBA 세계 슈퍼플라이급 챔피언 카오사이 갤럭시(태국)에 도전했으나, 6회 KO패. 이것이 김용강의 생애 전적 중 유일한 KO패가 되었다.
1991년 6월 1일, 플라이급으로 돌아가 세계 재도전. WBA 세계 플라이급 챔피언 엘비스 알바레스(콜롬비아)에 도전하여 12회 판정승. 2년 만에 세계 왕좌를 탈환.[2] 그 후, 2차 방어에 성공.[2]
1992년 9월 26일, 3차 방어전에서 아킬레스 구스만(베네수엘라)에게 12회 판정패를 당해 왕좌를 상실.[2] 그 후, 2년간 경기에 출전하지 않음.
1994년 9월 25일, 2년 만의 재기전에서 곧바로 세계에 도전. WBA 세계 플라이급 챔피언 센 소 프로엔칫(태국)에 도전했으나, 12회 판정패로 2번째 왕좌 탈환 실패.[3]
1995년 3월 25일의 재기전 (논타이틀 10회전)에서 판정승을 거둔 것을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2. 1. 프로 데뷔와 국내 타이틀 획득 (1985-1987)
김용강은 1985년 4월 6일 프로 데뷔전에서 4회 KO승을 거두며 성공적인 시작을 알렸다. 이후 꾸준히 승리하며 성장하여, 1987년 1월 17일에는 11전 만에 한국 라이트플라이급 타이틀을 획득했다.2. 2. OPBF 타이틀 획득과 세계 챔피언 도전 (1987-1988)
1987년 12월 11일, 15전 만에 동양태평양복싱연맹(OPBF) 라이트플라이급 타이틀을 획득하였고,[1] 1988년 2월 20일, OPBF 타이틀 첫 방어에 성공했다.[1]1988년 7월 24일, OPBF 타이틀을 유지한 채 WBC 세계 플라이급 챔피언 솟 칫라다(태국)에게 도전하여 12회 판정승을 거두며 세계 챔피언에 등극했다.[1] 이후 동양태평양 타이틀은 반납하였다. 1988년 11월 12일 첫 방어전에서 에밀 마츠시마를 상대로, 1989년 3월 5일 2차 방어전에서 레퍼드 타마쿠마를 상대로 각각 12회 판정승을 거두었다.[1]
2. 3. WBC 세계 챔피언 방어와 첫 패배 (1988-1989)
김용강은 1988년 7월 24일 WBC 플라이급 챔피언 솟 칫라다 (태국)에게 판정승을 거두며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1] 1988년 11월 12일에는 에밀 마츠시마(필리핀)를 상대로 판정승을 거두며 1차 방어에 성공했고, 1989년 3월 5일 레퍼드 타마쿠마 (일본)에게 판정승을 거두며 2차 방어에 성공했다.하지만 1989년 6월 3일, 솟 칫라다와의 재대결에서 12회 판정패하며 WBC 타이틀을 잃고 프로 첫 패배를 기록했다.[1]
2. 4. 재기와 WBA 세계 챔피언 등극 (1990-1992)
1989년 11월 25일, 김용강은 재기전에서 전 WBC 세계 라이트플라이급 챔피언 이열우와의 대결에서 10회 판정패했다. 하지만 이후 2전 연속 KO승을 거두며 재기에 성공했다.1990년 9월 29일, 김용강은 2체급 제패를 목표로 WBA 세계 슈퍼플라이급 챔피언 카오사이 갤럭시(태국)에게 도전했지만, 6회 KO패를 당했다. 이는 김용강의 생애 유일한 KO패였다.
1991년 6월 1일, 플라이급으로 돌아와 WBA 세계 플라이급 챔피언 엘비스 알바레스(콜롬비아)에게 도전하여 12회 판정승을 거두며 2년 만에 세계 왕좌를 탈환했다.[2] 이후 두 차례 타이틀 방어에 성공했다.[2]
2. 5. WBA 타이틀 상실과 은퇴 (1992-1995)
1992년 9월 26일, 3차 방어전에서 아킬레스 구스만(베네수엘라)에게 12회 판정패를 당해 WBA 플라이급 타이틀을 상실했다.[2] 그 후 2년간 경기에 출전하지 않았다.1994년 9월 25일, 2년 만에 복귀하여 WBA 세계 플라이급 챔피언 사엔 소르 플로엔칫(태국)에게 도전했으나, 12회 판정패로 타이틀 획득에 실패했다.[3] 이 경기는 태국 칸차나부리의 콰이강의 다리에서 800m 떨어진 곳에서 열렸으며, 5만 명 이상의 팬들이 운집했다.[3] 플로엔칫은 1라운드에 다운되었지만, 김용강을 제압했다.[3]
1995년 3월 25일, 재기전 (논타이틀 10회전)에서 판정승을 거두고 현역에서 은퇴했다.
3. 통산 전적
김용강은 프로 통산 전적이 31전 26승(11KO) 5패이다.
결과 | 전적 | 상대 | 타입 | 라운드 | 날짜 | 장소 | 비고 | |
---|---|---|---|---|---|---|---|---|
31 | 승 | 26–5 | 레오 라미레즈 | 판정승 | 10 | 1995년 3월 25일 | align=left| | |
30 | 패 | 25–5 | 센 소르 플로엔칫 | 판정패 | 12 | 1994년 9월 25일 | ||
29 | 패 | 25–4 | 아킬레스 구즈만 | 판정패 | 12 | 1992년 9월 26일 | ||
28 | 승 | 25–3 | 존 페날로사 | KO승 | 6 (12) | 1992년 3월 24일 | ||
27 | 승 | 24–3 | 레오 가메스 | 판정승 | 12 | 1991년 10월 5일 | ||
26 | 승 | 23–3 | 엘비스 알바레스 | 판정승 | 12 | 1991년 6월 1일 | ||
25 | 승 | 22–3 | 레이 코고논 | KO승 | 5 (10) | 1991년 1월 26일 | align=left| | |
24 | 패 | 21–3 | 카오사이 갤럭시 | KO패 | 6 (12) | 1990년 9월 29일 | ||
23 | 승 | 21–2 | 마리오 파르콘 | KO승 | 6 (10) | 1990년 7월 7일 | align=left| | |
22 | 승 | 20–2 | 참프 키앗페치 | KO승 | 2 (10) | 1990년 3월 18일 | align=left| | |
21 | 패 | 19–2 | 이율우 | 판정패 | 10 | 1989년 11월 25일 | align=left| | |
20 | 패 | 19–1 | 솟 칫라다 | 판정패 | 12 | 1989년 6월 3일 | ||
19 | 승 | 19–0 | 레오파드 타마쿠마 | 판정승 | 12 | 1989년 3월 5일 | ||
18 | 승 | 18–0 | 에밀 로마노 | 판정승 | 12 | 1988년 11월 12일 | ||
17 | 승 | 17–0 | 솟 칫라다 | 판정승 | 12 | 1988년 7월 24일 | ||
16 | 승 | 16–0 | 소니 비달 | 판정승 | 12 | 1988년 2월 20일 | ||
15 | 승 | 15–0 | 푸트 오유타나콘 | KO승 | 10 (12) | 1987년 12월 11일 | ||
14 | 승 | 14–0 | 호르헤 카노 | 판정승 | 10 | 1987년 7월 12일 | align=left| | |
13 | 승 | 13–0 | 윌리엄 벨란 | KO승 | 1 (10) | 1987년 5월 30일 | align=left| | |
12 | 승 | 12–0 | 김성규 | 판정승 | 8 | 1987년 3월 8일 | align=left| | |
11 | 승 | 11–0 | 임하식 | 판정승 | 10 | 1987년 1월 17일 | ||
10 | 승 | 10–0 | 강한봉 | KO승 | 7 (8) | 1986년 10월 17일 | align=left| | |
9 | 승 | 9–0 | 정을철 | 판정승 | 8 | 1986년 7월 26일 | align=left| | |
8 | 승 | 8–0 | 이수영 | KO승 | 2 (6) | 1986년 6월 28일 | align=left| | |
7 | 승 | 7–0 | 김성규 | 판정승 | 8 | 1986년 4월 12일 | align=left| | |
6 | 승 | 6–0 | 정계윤 | 판정승 | 6 | 1985년 11월 23일 | align=left| | |
5 | 승 | 5–0 | 황노현 | KO승 | 2 (4) | 1985년 10월 19일 | align=left| | |
4 | 승 | 4–0 | 이형만 | 판정승 | 4 | 1985년 8월 17일 | align=left| | |
3 | 승 | 3–0 | 안영석 | KO승 | 4 (4) | 1985년 6월 29일 | align=left| | |
2 | 승 | 2–0 | 강준원 | 판정승 | 4 | 1985년 6월 1일 | align=left| | |
1 | 승 | 1–0 | 배병식 | KO승 | 4 (4) | 1985년 4월 6일 | align=left| |
4. 주요 타이틀
전라남도 화순군 출신으로, 1985년 4월 6일 프로 데뷔하였다.[1] 1988년 7월 24일 소트 치타라다를 상대로 판정승을 거두며 WBC 세계 플라이급 챔피언이 되었고, 2차 방어에 성공하였다.[1] 치타라다와의 재대결에서 세 번째 방어전에서 타이틀을 잃었다.[1] 1991년 엘비스 알바레스를 상대로 판정승을 거두며 WBA 플라이급 타이틀을 획득, 1992년 아킬레스 구즈만에게 패하기 전까지 두 차례 방어전을 치렀다.[2] 1994년 사엔 소르 플로엔칫과의 WBA 플라이급 타이틀전을 위해 복귀, 태국 칸차나부리의 콰이강의 다리에서 800m 떨어진 곳에서 5만 명 이상의 팬들이 운집한 가운데 경기를 치렀으나 1라운드에 다운되며 패했다.[3] 1995년 3월 25일 타이틀 재도전 실패 후 은퇴하였다. 통산 전적은 31전 26승(11KO) 5패이다.
5. 기타
5. 0. 1. 1994년 WBA 플라이급 타이틀전
1994년, 김용강은 태국 칸차나부리의 콰이강의 다리에서 800m 떨어진 곳에서 사엔 소르 플로엔칫과의 WBA 플라이급 타이틀전을 치렀다. 5만 명 이상의 팬들이 이 경기를 보기 위해 운집했다.참조
[1]
웹사이트
Names in the News
https://www.latimes.[...]
1989-06-04
[2]
웹사이트
Guzman wrests WBA flyweight crown from Kim
https://www.upi.com/[...]
United Press International
2023-08-10
[3]
웹사이트
McCall wants shot at Tyson
https://www.tampabay[...]
Tampa Bay Times
2023-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