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이 나오치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이 나오치카는 1536년 이이 나오미쓰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1563년 가케가와 성에서 아사히나 야스토모에게 습격당해 사망한 것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아버지의 죽음 이후 피신 생활을 거쳐 가문을 이었으나, 도쿠가와 이에야스와의 내통 혐의를 받아 살해당했다. 이로 인해 이이 가문은 일시적으로 쇠퇴하고, 그의 아들 이이 나오마사가 성장하여 가문을 다시 일으켰다. 하지만, 나오치카의 실존 여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63년 사망 - 에티엔 드 라 보에시
에티엔 드 라 보에시는 프랑스의 시인이자 작가, 외교관으로 미셸 드 몽테뉴와 교류했으며, 폭군의 권력 유지가 피지배자들의 자발적 복종에 기인한다는 내용을 담은 대표작 『자발적 예속론』을 통해 전제군주제와 폭정을 비판하고 시민 불복종과 비폭력 저항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무정부주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 1563년 사망 - 호소카와 하루모토
호소카와 하루모토는 무로마치 시대 후기의 무장으로, 호소카와 씨 교초가의 당주이자 간레이를 지냈으며, 아버지 호소카와 스미모토의 뒤를 이어 호소카와 다카쿠니와의 대립에서 승리하여 권력을 잡았으나, 미요시 나가요시와의 권력 다툼에서 밀려 쇠퇴한 인물이다. - 도토미국 사람 - 유키 히데야스
유키 히데야스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차남으로 태어나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양자로 보내졌으며, 유키 가문의 가독을 잇고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에치젠의 영주가 되었다. - 도토미국 사람 - 이치키 기토쿠로
이치키 기토쿠로는 일본의 법학자, 관료, 정치인으로, 도쿄제국대학 졸업 후 내무대신, 문부대신 등을 역임하고 추밀원 의장과 궁내대신을 지냈으며, 일본 행정법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1535년 출생 - 성혼
성혼은 조광조의 제자이자 이이와 도의를 맺고 이황을 사사한 조선 중기 문신으로, 사림파 서인에 속하여 정여립의 난과 임진왜란 시기에 활동했으며, 이황의 이기이원론을 지지하고 후학 양성에 힘썼다. - 1535년 출생 - 니와 나가히데
니와 나가히데는 센고쿠 시대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무장으로 오다 노부나가와 토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기며 군사적 능력과 정치적 감각을 발휘, 아즈치 성 건설 총괄, 시즈가타케 전투 기여, 에치젠 국과 가가 국 통치 등으로 활약했다.
이이 나오치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개인 정보 | |
이름 | 이이 나오치카 (井伊 直親) |
출생 | 1535년 |
사망 | 1563년 1월 8일 |
다른 이름 | 가메노조 (亀之丞, 어린 시절 이름) |
계명 | 다이토지덴 겐포 소케이 다이코지 (大藤寺殿剣峯宗惠大居士) |
묘소 | 료탄지(龍潭寺) (하마마쓰 시하마나 구이사 정이이다니) 도코인 (東光院) (하마마쓰 시 하마나 구 이사 정 시부카와) 시부카와 이이가 묘소 (渋川井伊家墓所) (하마마쓰 시 하마나 구 이사 정 시부카와) 하이즈카 (灰塚) (하마마쓰 시 하마나 구 호소에 정 나카가와) |
관위 | 히고노카미 (肥後守) |
씨족 | 이이씨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이이 나오미쓰 |
어머니 | 스즈키 시게카쓰의 딸 (스즈키 시게토키의 여동생) |
양아버지 | 이이 나오모리 |
형제자매 | 의붓 여동생: 지로호시 (次郎法師, 이이 나오토라?) |
배우자 | 정실: 오쿠야마 히요 (奥山ひよ) (오쿠야마 도모토시의 딸) 측실: 시오자와 씨의 딸? |
자녀 | 다카세히메 (가와테 요시노리의 부인) 요시나오? 나오마사 |
정치/군사 정보 | |
시대 | 센고쿠 시대 |
주군 | 이마가와 요시모토 → 우지자네 |
2. 생애
덴분 5년(1536년) 이이 나오미쓰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나오미쓰가 오노 마사나오의 참언으로 이마가와 요시모토에게 주살당하자, 나오치카 역시 위험에 처해 시나노 국 쇼겐지로 피신했다.
고지 원년(1555년)에 이이다니로 돌아와 오쿠야마 토시토시의 딸 히요와 혼인했다. 에이로쿠 3년(1560년) 오케하자마 전투에서 양아버지 이이 나오모리가 전사하자 이이 가문의 가독을 이었으나, 당시 도토미 국은 '엔슈 삿란'이라 불리는 혼란기였다.
이후 가신 오노 미치요시의 참언으로 주군 이마가와 우지자네에게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내통했다는 의심을 받았다. 이는 당시 이이 가문 내 친(親)이마가와파와 반(反)이마가와파 간의 정치적 대립이 배경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6][12]. 결백을 주장하기 위해 슨푸로 향하던 중, 에이로쿠 5년(1563년) 가케가와 근처에서 이마가와 가문의 중신 아사히나 야스토모의 습격을 받아 향년 27세(또는 28세)로 살해되었다.[5][11]
나오치카 사후 이이 가문은 일시적으로 쇠퇴했으나, 양아버지 나오모리의 딸이자 약혼자였던 이이 나오토라가 가독을 이었고[7][13], 이후 아들 이이 나오마사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가문을 재흥시켰다. 도토미가 이에야스 지배하에 들어간 뒤 나오치카의 무죄가 증명되었고, 참언했던 오노 미치요시는 처형되었다.
피리를 잘 불었다는 전승 등이 남아있으나, 현대에는 동시대 사료 부족 등을 이유로 그의 실존이나 당주로서의 역할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8][9]
2. 1. 출생과 가문 내 갈등
덴분 5년(1536년), 이이 나오미쓰의 아들로 태어났다.[8]덴분 13년(1544년), 가신이었던 오노 마사나오의 참언으로 인해 아버지 나오미쓰가 주군 이마가와 요시모토에게 살해당하는 비극을 겪었다. 어린 나오치카 역시 목숨이 위태로워지자, 가신의 도움을 받아 이이다니(井伊谷)를 탈출해야 했다. 조부 나오히라가 류탄지 주지로 초빙했던 분슈 스이쿠 선사와의 인연에 의지하여, 당시 다케다 가문의 영지였던 시나노 국 이나 군의 쇼겐지로 몸을 피했다.
고지 원년(1555년), 마침내 이이다니로 돌아오는 것이 허락되었다. 그는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기타 구 호소에 정에 해당하는 호우다(祝田) 또는 이와타(岩田) 지역을 거점으로 삼고, 오쿠야마 토시토시의 딸 히요를 아내로 맞이했다.
에이로쿠 3년(1560년), 사촌 형이자 양아버지였던 나오모리가 오케하자마 전투에서 전사하자, 나오치카가 이이 가문의 가독을 이어받았다. 그러나 당시 도토미 국은 "엔슈 삿란(遠州錯乱)"이라 불릴 정도로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 이러한 가운데 나오치카는 아버지의 비극을 초래했던 오노 마사나오의 아들 오노 미치요시(마사쓰구)의 또 다른 참언에 휘말리게 된다. 미치요시는 나오치카가 주군 이마가와 우지자네를 배신하고 마쓰다이라 모토야스(훗날의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내통하고 있다고 모함했다.
이이 가문 내에는 지리적으로 미카와 국과 가까워 이마가와 가문에 대한 입장이 나뉘는 정치적 대립이 존재했다. 나오치카는 반(反) 이마가와 입장에서 이에야스에게 접근하려 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반대로 오노 미치요시는 친(親) 이마가와파였을 것으로 추정된다.[6] 이러한 갈등 속에서 나오치카는 위기에 처했다.
친척인 신노 치카노리가 중재에 나서 나오치카는 결백을 증명하기 위해 슨푸로 향했다. 하지만 그 길목인 가케가와에서 에이로쿠 5년 12월 14일(1563년 1월 8일) 또는 같은 해 3월 2일[4]에 이마가와 가문의 중신 아사히나 야스토모의 습격을 받아 살해당했다.[5] 향년 27세 또는 28세였다. 이 사건으로 이이 가문은 다시 한번 큰 위기를 맞으며 일시적으로 쇠퇴하게 된다.
2. 2. 이이 가문 복귀와 죽음
덴분 13년(1544년), 아버지 이이 나오미쓰가 오노 마사나오의 참언으로 인해 주군 이마가와 요시모토에게 살해당하자, 나오치카 역시 위험에 처하게 되었다. 어린 나오치카는 가신들의 도움으로 이이다니를 탈출하여, 조부 이이 나오히라가 류탄지 주지로 초빙했던 분슈 스이쿠 선사(文叔瑞郁禅師)와의 인연에 의지해 다케다 가문의 영지였던 시나노국 이나군의 쇼겐지로 피신했다. 일설에 따르면 시나노에서 시오자와 씨의 딸과의 사이에서 다카세히메와 요시나오 1남 1녀를 두었다고도 전해진다.고지 원년(1555년), 성인이 된 나오치카는 이이다니로 돌아오는 것이 허락되었고, 호우다(또는 이와타, 현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기타 구 호소에 정)를 거점으로 삼았다. 이후 오쿠야마 토시토시의 딸 히요를 아내로 맞이했다.
에이로쿠 3년(1560년), 사촌 형이자 양아버지였던 이이 나오모리가 오케하자마 전투에서 전사하자, 나오치카가 이이 가문의 가독을 계승했다. 그러나 당시 도토미국은 '엔슈 착란(遠州錯乱)'이라 불릴 정도로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나오치카는 오노 마사나오의 아들인 오노 미치요시(마사쓰구)의 참언으로 인해 주군 이마가와 우지자네로부터 마쓰다이라 모토야스(훗날의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내통하고 있다는 의심을 받게 되었다.
나오치카 살해의 배경에는 당시 미카와와 인접한 이이 가문 내부에 존재했던 친(親) 이마가와 파와 반(反) 이마가와 파 사이의 정치적 대립이 있었던 것으로 지적된다. 나오치카는 반 이마가와 파로 분류되었으며, 이에야스에게 접근하려 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고, 반대로 참언을 한 오노 미치요시는 친 이마가와 파였을 것으로 추정된다[6][12].
결백을 증명하기 위해 인척이었던 신노 치카노리의 중재로 슨푸로 향하던 중, 에이로쿠 5년 12월 14일(1563년 1월 8일) 또는 같은 해 3월 2일[10][4], 가케가와 근처에서 이마가와 가문의 중신 아사히나 야스토모의 습격을 받아 살해되었다[11][5]. 향년 28세(또는 27세).
나오치카의 죽음으로 이이 가문은 일시적으로 쇠퇴하였다. 가독은 양아버지 나오모리의 딸이자 나오치카의 옛 약혼녀였던 이이 나오토라가 이었다[13][7]. 나오치카의 적장자인 도라마쓰(이이 나오마사)는 미카와의 호라이지 등지로 피신하여 숨어 지내다가, 15세가 되던 해에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게 되면서 나오토라를 대신하여 가문의 당주가 되었다. 그는 훗날 도쿠가와 사천왕 중 한 명으로 이름을 떨치게 된다. 도토미 국이 이에야스의 지배하에 들어간 후 나오치카의 무죄가 증명되었고, 그를 참언했던 오노 미치요시는 효수형에 처해졌다.
구체적인 사료는 부족하지만, 나오치카에 관한 몇 가지 전승이 남아있다. 도토미에서 도망칠 때 자신을 죽이려 했던 우콘 지로라는 인물을 복귀 후에 계략을 써서 처단했다는 이야기나, 피리를 매우 잘 불었으며 피신 시절 도움을 받았던 승려에게 아끼던 피리인 '아오바노 후에'(青葉の笛)를 선물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한편, 현대의 연구에서는 나오치카의 실존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스즈키 마사노리는 동시대 사료에서는 나오치카의 존재 흔적을 찾을 수 없으며 후대에 작성된 가계도에서 처음 등장한다는 점을 들어 그의 실존을 의심한다[8]. 구로다 모토키는 나오치카가 실존 인물이기는 했으나 이이 가문의 당주는 아니었으며(나오모리 사후 이이 가문은 당주 없이 이마가와의 지배 하에 놓였다가, 이마가와 가문 일족인 세키구치 가문에서 사위 양자를 들여 재흥을 허락받았고 나오치카는 그 보좌역이었다고 주장), 살해 사건 역시 사실이 아닐 가능성을 제기한다[9].
2. 3. 사후
나오치카가 살해되면서 이이 씨는 일시적으로 쇠퇴하였다[6]. 가문의 당주 자리는 양아버지 나오모리의 딸이자 과거 약혼자로 알려진 이이 나오토라가 이었다[7]. 나오치카의 적남인 토라마츠(이이 나오마사)는 미카와의 호라이지 등지로 피신하여 숨어 지내다가, 15세가 되던 해에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게 되었다. 이와 동시에 나오토라를 대신하여 이이 가문의 당주가 되었으며, 훗날 도쿠가와 사천왕 중 한 명으로 이름을 떨치게 된다.이후 도토미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지배하에 들어가자 나오치카의 무죄가 증명되었다. 나오치카를 이마가와 우지자네에게 참언했던 오노 미치요시는 처형되어 목이 옥문에 걸렸다.
한편, 나오치카에 관한 구체적인 사료는 부족하지만 몇 가지 전승이 남아있다. 도토미에서 도망칠 때 자신을 죽이려 했던 자(우콘 지로)를 복귀 후에 계략을 써서 처단했다는 이야기나, 피리를 잘 불어 도망칠 때 도움을 받았던 승려에게 자신이 아끼던 '아오바노 피리'(青葉の笛)를 선물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러나 스즈키 마사노리와 같은 연구자는 동시대 사료에서 나오치카의 실존 흔적을 찾기 어렵고 후세에 작성된 가계도에서 처음 등장한다는 점을 들어 그 존재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8]. 또한 구로다 모토키는 나오치카가 실존 인물이기는 하지만 이이 가문의 정식 당주는 아니었으며(나오모리 사후 이이 가문은 당주 없이 이마가와 가문의 지배하에 놓였다가, 이마가와 가문 일족인 세키구치 씨에게 사위 양자를 들여 재흥을 허락받았고 나오치카는 그 보좌역이었다고 주장), 나오치카가 아사히나 야스토모에게 살해당했다는 사건 자체도 사실이 아닐 가능성을 제기한다[9].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양아버지 | 이 나오모리 | |
아버지 | 이 나오미쓰 | |
어머니 | 스즈키 시게토키의 여동생 | |
정실 | 오쿠야마 히요 | 오쿠야마 토시토시의 딸. 1585년 사망. |
첩 | 시오자와 씨의 딸 | 시나노 피신 시절 만난 것으로 추정. |
자녀 | ||
아들 | 이 요시나오 | 어머니는 시오자와 씨의 딸이라는 설이 있음. |
아들 | 이 나오마사 | 어머니는 오쿠야마 히요. 적남. 후의 도쿠가와 사천왕. |
딸 | 타카세히메 | 어머니는 시오자와 씨의 딸. 가와테 요시노리에게 시집감. |
4. 평가 및 논란
구체적인 사적은 부족하지만, 도토미에서 도망칠 때 나오치카를 사살하려 했던 우콘 지로를 복귀 후에 기략을 사용하여 처단했다는 전승과, 피리를 잘 불어 도망할 때 원조를 받은 승려에게 애용하던 피리(아오바노 피리)를 기증했다는 전승 등이 있다.
한편, 나오치카의 실존 여부나 역할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에 이견이 존재한다. 스즈키 마사노리는 동시대 사료에서는 나오치카의 실존 흔적을 찾을 수 없고, 후대에 작성된 계도에서 처음 그 존재가 나타난다며 실존 자체를 의문시했다[8]。 구로다 모토키는 나오치카가 실존 인물이기는 하지만 이이 씨의 당주는 아니었으며(이이 나오모리 전사 후에는 당주 자리가 비어 이마가와 씨의 직접 지배 하에 놓였고, 이후 이마가와 씨 일문인 세키구치 씨에게 사위 양자를 들여 가문의 재흥을 허락받았으며, 나오치카는 그 보좌역이었다고 주장한다), 에이로쿠 5년(1562년) 가케가와 성 부근에서 아사히나 야스토모에게 살해당했다는 사건 역시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한다[9]。
5. 대중문화
- 여자 성주 나오토라 (2017년, NHK 대하드라마) - 배우: 미우라 하루마 (소년기: 후지모토 카이타)
참조
[1]
서적
Onna jōshu Ii Naotora
PHP library
2016
[2]
서적
井伊年譜
[3]
서적
井伊氏サバイバル五〇〇年
星海社新書
2016
[4]
문서
井伊家伝記
[5]
간행물
相次ぐ一族・家臣の死と、直虎登場の背景とは?
歴史と文化の研究所編『井伊一族のすべて』洋泉社
2017
[6]
간행물
相次ぐ一族・家臣の死と、直虎登場の背景とは?
歴史と文化の研究所編『井伊一族のすべて』洋泉社
2017
[7]
문서
井伊家伝記
[8]
서적
国衆の戦国史-遠江の百年戦争と「地域領主」の興亡-
洋泉社
2017
[9]
서적
今川氏真
戎光祥出版
2023-09
[10]
문서
이이가 전기
[11]
간행물
잇따르는 일족・가신의 죽음과, 나오토라 등장의 배경은?
역사와 문화 연구소편 『이이 일족의 모든것』 양천사
2017
[12]
간행물
잇따르는 일족・가신의 죽음과, 나오토라 등장의 배경은?
역사와 문화 연구소편 『이이 일족의 모든것』 양천사
2017
[13]
문서
이이가 전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