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익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익관은 조선 후기의 인물로, 남인 중진 문신 이서우의 첩의 아들이다. 1725년 이인좌의 난에 연루되어 투옥되었고, 국문 과정에서 이유익, 박필현, 이천해, 이일좌 등이 난에 연루되었다고 진술했다. 1728년 이순관의 괘서 사건을 알았지만 형제 사이라 고발하지 못했다고 진술했으나, 같은 해 참형당하고 가산이 몰수되었다. 그의 아들 이금강 또한 처형되었다.
이익관은 남인 중진 문신 이서우의 서자로, 증조부는 이길남, 할아버지는 이경항이다. 친형제로는 이순관이 있었고, 누이는 민관효에게 출가하였다.
[1]
역사기록
영조실록 3권, 영조 1년 1월 17일 병진 5번째기사 1725년 청 옹정(雍正) 3년 군사 이천해가 복주되고, 국문 죄인 방만규를 죽이고 이천해의 공초로 논쟁하다
2. 생애
1728년 3월 28일 이인좌의 난 관련 공초에서 이익관은 자신은 난에 가담하지 않고, 형제 이순관이 괘서한 것만 알고 있었다고 주장했으나, 결국 참형당하고 가산은 몰수되었다.[4]
2. 1. 초기 생애
이익관은 남인 중진 문신 이서우(1633년 - 1709년)의 서자로 태어났다. 이서우는 현종, 숙종 대의 인물이다. 이익관의 친형제로는 이순관이 있었고, 누이는 민관효에게 출가하였다.
2. 2. 이인좌의 난 연루
1725년(영조 1) 1월, 이익관은 이인좌의 난에 연루되어 투옥되어 국문을 받았다. 그는 이유익이 흉언을 처음 하였는데, 이유익은 박필현(朴弼顯)에게 들었다고 진술했다. 또한 이천해가 생민동(生民洞)에 살다가 수각교(水閣橋)로 이사하였는데, 자신이 서울을 왕래하면서 이천해를 주인으로 삼았고, 속두(粟斗) 주기를 요구하면 이천해가 왔기 때문에 자신의 형제가 밤에 이천해와 함께 이런 말을 하였다고 했다. 이천해는 평소 당돌하였기 때문에 자신이 지시하여 시켰으며, 언근(言根)은 이일좌(李日佐)에게서 나왔는데, 이일좌는 이홍택(李弘澤)의 아들이며 이인좌(李麟佐)의 일가로 과천(果川)에 살면서 적당(賊黨)에 들어갔다고 진술했다.[1] 영조에 의하면 이유익(李有翼)·박필현(朴弼顯)이 심유현을 꾀어 흉언을 만들어 내게 하고, 또 이익관(李翼觀) 형제, 민관효(閔觀孝)·한세홍·이일좌 등과 함께 원근에 전파했으며, 이익관이 이천해에게 변을 일으키도록 사주했다고 한다.[1]
1728년 3월 17일, 이익관은 이복 형 이홍관에게 동생 이순관이 이인좌의 난에 가담한 사실을 알리며, 장차 집안을 모두 멸망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이홍관은 관가(官家)에 고발하려고 여러 번 생각했으나, 검극(劍戟)이 길에 가득 차 두려워서 즉시 고발하지 못했다. 신광원(愼光遠)이 복법(伏法)된 뒤에 이순관이 그 어미와 함께 가고자 한 것도 이익관이 울면서 이홍관에게 고한 것이라고 한다.[2]
1728년 3월 27일 공초에서 이익관은 이유익(李有翼)을 모르고 자신의 아우가 이유익을 안다고 했다. 자신의 아우가 말하기를, ‘내가 스스로 짓고, 스스로 쓰고, 스스로 서소문(西小門) 밖에다 걸고는 민관효에게 보였더니, 민관효가 이유익에게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고 진술했다. 그는 이순관을 붙잡아 바치려 했으나 형제 사이여서 차마 하지 못하고 책망하였더니, 이순관이 ‘영웅(英雄)들이 창기(倡起)하여 축록(逐鹿, 사슴을 쫓는다) 하려는 마음이 이러하니, 공(功)이 있을 것이다.’라고 답했다고 한다. 이순관은 신광원(愼光遠)의 매부(妹夫)이기 때문에 이처럼 흉악한 일을 한 것이며, 자신은 비록 형제 사이지만 실상 알지 못한다고 진술했다.[3]
3월 28일 공초에서 그는 괘서(掛書)할 때 민관효(閔關孝)의 집에 모여 자신이 짓고 자신의 아우가 썼는데, 이유익(李有翼)이 그 자리에 있었다고 했다. 이유익이 처음으로 이런 흉언(凶言)을 하였는데, 그도 박필현(朴弼顯)에게 들었다고 하였다. 이천해(李天海)는 군사(軍士)인데 자신이 알고 있으며, 이천해가 처음에 생민동(生民洞)에 살다가 수각교(水閣橋)로 이사하여 자신이 서울로 왕래할 때 이천해를 주인으로 삼았는데, 좁쌀 말을 얻기 위해 마침 자신의 집으로 나왔기 때문에 자신의 형제가 밤에 이천해와 함께 이런 말을 하였다고 했다. 이천해는 평소 당돌하였으므로 자신이 이일좌(李日佐)에게서 언근(言根)이 나왔다고 말하라고 하였으니, 이일좌는 이홍택(李弘澤)의 아들로 과천(果川)에 살며, 이인좌의 일족(一族)으로 적당에 들었다고 하니 모역한 것이 사실이라고 진술했다.[4]
같은 날 다른 공초에서 이일좌(李日佐)는 자신이 나라를 원망하는 말을 이익관에게 했다고 진술했다.[5] 이익관은 자신은 이인좌의 난에 가담하지 않고, 형제 이순관이 괘서한 것만 알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날 이익관은 참형당하고 그의 가산은 노적(孥籍)되었다.[4]
2. 3. 사후
그의 아들 이금강(李今剛)은 만 17세였다는 이유로 1728년 3월 29일 처형당했다.[6]
1728년 6월 1일 이유익(李有翼)의 공초(供招)에서 이익관이 괘서의 글을 지었다는 내용이 언급되었다. 이유익은 공초에서 '경중(京中)에서 괘서(掛書)한 적(賊)은 곧 이서우(李瑞雨)의 첩자(妾子)이고 민관효(閔觀孝)의 처남인데 이는 바로 이순관(李順觀)·이익관(李翼觀)이다.'라고 하였다. 이어 '역적 이익관의 공초에 '당초 흉악한 말을 한 자는 이유익·박필현(朴弼顯)이며, 민관효가 이익관에게 괘서하는 일을 시키며 말하기를, 「그대들이 이 일을 하면 좋은 벼슬을 얻을 것이다.」 하였으며, 이익관이 글을 짓고 이순관이 썼으며, 2월 22일 날이 밝기 전에 성안에 들어가 서소문(西小門)에 그 글을 걸었으며, 이순관이 그 글을 민관효에게 보이고 민관효가 이유익에게 말하였는데, 이순관은 곧 역적 신광원(愼光遠)의 매부입니다.'라고 하였다.[6]
3. 가계
관계 이름 아버지 이서우(1633년 ~ 1709년) 어머니 이름 미상, 이서우의 첩 동생 이순관 형제 이관상 형제 이현관 매부 민관효 매부 황팽로 부인 (미상) 아들 이금강(1712년 ~ 1728년 3월 29일) 아들 이철강(? ~ 1745년 11월 28일, 이순관의 양자가 됨) 아들 이계강
참조
[2]
역사기록
영조실록 17권, 영조 4년 4월 3일 계미 7번째기사 1728년 청 옹정(雍正) 6년 이홍관 공초
[3]
역사기록
영조실록 16권, 1728년(영조 4년, 청 옹정 6년) 3월 27일 정축 13번째기사, 이익관 공초
[4]
역사기록
영조실록 16권, 영조 4년 3월 28일 무인 10번째기사 1728년 청 옹정(雍正) 6년 이익관의 공초
[5]
역사기록
영조실록 16권, 영조 4년 3월 28일 무인 12번째기사 1728년 청 옹정(雍正) 6년 이일좌의 공초
[6]
역사기록
영조실록 18권, 영조 4년 6월 1일 경진 1번째기사 1728년 청 옹정(雍正) 6년 의정부에서 역난의 본말을 중외에 통고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