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리야 침발라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리야 침발라리는 우크라이나 출신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미드필더로 활약했다. FC 초르노모레츠 오데사,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등에서 뛰었으며,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소속으로 1995년 러시아 올해의 축구 선수상을 수상했다. 1994년부터 1999년까지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로 28경기에 출전하여 4골을 기록했다. 은퇴 후에는 지도자 생활을 했으며, 2013년 심장 질환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FC 초르노모레츠 오데사의 축구 선수 - 레오니드 부랴크
    레오니드 부랴크는 소련의 오데사 출신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디나모 키예프의 핵심 미드필더로서 1976년 하계 올림픽 동메달 획득에 기여했으며 소련 올해의 축구 선수 3위, 발롱도르 23위에 오르는 등 공헌을 인정받아 훈장을 수훈했다.
  • FC 초르노모레츠 오데사의 축구 선수 - 발레리 로바노우스키
    발레리 로바노우스키는 키이우 출신 우크라이나 축구 감독이자 선수로, 디나모 키예프 선수와 감독으로서 소련 리그 우승, 소련 컵 우승, 유럽 정상 등극을 이끌었으며, 소련 및 우크라이나 국가대표팀 감독을 겸임하며 과학적인 훈련 시스템과 혁신적인 전술을 도입하여 "토탈 풋볼"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로 이민간 사람 - 블라디미르 이바시코
    블라디미르 이바시코는 우크라이나 공산당 제1서기와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 의장을 역임했으며, 소련 말기 개혁파와 보수파 사이에서 중도적 입장을 취하며 소련 공산당 부서기장과 서기장 대행을 거쳐 1994년 사망했다.
  •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로 이민간 사람 - 유리 블라소프
    유리 블라소프는 1935년 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나 1960년 로마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고 34개의 세계 기록을 세운 소련의 역도 선수이자 작가, 정치인이다.
  • 러시아의 축구 감독 - 발레리 네폼냐시
    발레리 네폼냐시는 소련 출신의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1990년 FIFA 월드컵 8강 진출을 이끌었으며, 대한민국, 터키, 일본, 중국 등에서 클럽팀 감독을 역임하고 우즈베키스탄 국가대표팀 감독, 해설가로 활동했다.
  • 러시아의 축구 감독 - 발렌틴 이바노프 (1934년생 축구인)
    발렌틴 이바노프는 1934년생으로, FC 토르페도 모스크바에서 선수로 활약하며 소비에트 연방 국가대표로 활동했고, 1956년 하계 올림픽 금메달, 1960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우승을 차지했으며, 1960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골든 부츠와 1962년 FIFA 월드컵 득점왕에 오른 축구 선수이다.
일리야 침발라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일리야 침발라리
일리야 침발라리
전체 이름일리야 블라디미로비치 침발라리
원어 이름Илья́ Влади́мирович Цымбала́рь (러시아어)
출생일1969년 6월 17일
출생지오데사,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소련
사망일2013년 12월 28일
사망지오데사, 우크라이나
신장1.74m
포지션미드필더
클럽 경력
유소년 클럽초르노모레츠 오데사 (1977–1986)
클럽초르노모레츠 오데사 (1986)
디나모 오데사 (1987)
SKA 오데사 (1987–1989)
초르노모레츠 오데사 (1989–1993)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1993–1999)
스파르타크-d 모스크바 (1993–1994)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2000)
로코모티프-2 모스크바 (2000)
안지 마하치칼라 (2001–2002)
클럽별 출전 및 득점초르노모레츠 오데사: 0경기 (0골) (1986)
디나모 오데사: 정보 없음 (1987)
SKA 오데사: 83경기 (13골) (1987–1989)
초르노모레츠 오데사: 101경기 (14골) (1989–1993)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146경기 (42골) (1993–1999)
스파르타크-d 모스크바: 5경기 (1골) (1993–1994)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10경기 (0골) (2000)
로코모티프-2 모스크바: 5경기 (0골) (2000)
안지 마하치칼라: 16경기 (1골) (2001–2002)
국가대표 경력
국가대표팀우크라이나 (1992)
러시아 (1994–1999)
국가대표팀 출전 및 득점우크라이나: 3경기 (0골) (1992)
러시아: 28경기 (4골) (1994–1999)
지도자 경력
지도자스파르타크 모스크바 (U19) (2003–2004)
힘키 (수석 코치) (2004–2006)
힘키 (감독 대행) (2004)
스파르타크-MZhK 랴잔 (2006)
니즈니노브고로드 (2008–2009)
신니크 야로슬라블 (수석 코치) (2010)
힘키 (수석 코치) (2011)

2. 선수 경력

1969년, 우크라이나 오데사에서 태어났다. 1986년, 지역 클럽 FC 초르노모레츠 오데사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1993년,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의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로 이적하여 1995년 러시아 올해의 축구 선수상을 수상했다. 2002년 시즌 종료 후 FC 안지 마하치칼라에서 현역에서 은퇴했다.

일리야 침발라리는 1986년 초르노모레츠 오데사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지만, 리그 경기에 출전하지는 못했다. 이후 SKA 오데사로 이적하여 1987년부터 1989년까지 소련 세컨드 리그에서 83경기 13골을 기록했다.

1989년 다시 초르노모레츠 오데사로 복귀하여 1989 시즌부터 1992-93 시즌까지 소련 톱 리그와 우크라이나 프리미어 리그에서 활약하며 총 101경기 14골을 기록했다. 특히, 1990-91 시즌에는 UEFA 컵 4경기, 1992-93 시즌에는 UEFA 컵 위너스 컵 4경기에 출전했다.

1993년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로 이적하여 1993 시즌부터 1999 시즌까지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146경기 42골을 기록하며 팀의 주축 선수로 활약했다. 이 기간 동안 UEFA 챔피언스 리그와 UEFA 컵 등 유럽 대항전에도 꾸준히 출전했다. 1998년에는 UEFA 챔피언스 리그 8경기에서 5골을 기록하는 뛰어난 활약을 펼치기도 했다.

2000년 로코모티프 모스크바로 이적하여 2000 시즌 리그 10경기에 출전했고, UEFA 컵 1경기에 출전했다. 이후 안지 마하치칼라로 이적하여 2001 시즌과 2002 시즌에 16경기 1골을 기록하고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일리야 침발라리는 원래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3경기에 출전했으나, 1994년에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변경했다. 러시아 대표팀 선수로서는 1994년 4월 20일에 터키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경기에서 데뷔했으며, 같은 해 5월 29일 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친선 경기에서 첫 골을 기록했다. 1994년부터 1999년까지 러시아 대표팀에 소집되어 28경기에 출전하여 4골을 기록했다.

일리야 침발라르의 국제 경기 득점 목록
No.날짜경기장상대점수결과대회
11994년 5월 29일루즈니키 스타디움, 모스크바, 러시아슬로바키아/Slovakia영어2–12–1친선 경기
21995년 9월 6일스반가스카르드, 토프티르, 페로 제도페로 제도/Faroe Islands영어4–25–2UEFA 유로 1996 예선
31996년 6월 11일안필드, 리버풀, 잉글랜드이탈리아/Italy영어1–11–2UEFA 유로 1996
41999년 3월 31일로코모티프 스타디움, 모스크바, 러시아안도라/Andorra영어4–06–1UEFA 유로 2000 예선


2. 1. 클럽 경력

일리야 침발라리는 1986년 초르노모레츠 오데사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지만, 리그 경기에 출전하지는 못했다. 이후 SKA 오데사로 이적하여 1987년부터 1989년까지 소련 세컨드 리그에서 83경기 13골을 기록했다.

1989년 다시 초르노모레츠 오데사로 복귀하여 1989 시즌부터 1992-93 시즌까지 소련 톱 리그와 우크라이나 프리미어 리그에서 활약하며 총 101경기 14골을 기록했다. 특히, 1990-91 시즌에는 UEFA 컵 4경기, 1992-93 시즌에는 UEFA 컵 위너스 컵 4경기에 출전했다.

1993년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로 이적하여 1993 시즌부터 1999 시즌까지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146경기 42골을 기록하며 팀의 주축 선수로 활약했다. 이 기간 동안 UEFA 챔피언스 리그와 UEFA 컵 등 유럽 대항전에도 꾸준히 출전했다. 1998년에는 UEFA 챔피언스 리그 8경기에서 5골을 기록하는 뛰어난 활약을 펼치기도 했다.

2000년 로코모티프 모스크바로 이적하여 2000 시즌 리그 10경기에 출전했고, UEFA 컵 1경기에 출전했다. 이후 안지 마하치칼라로 이적하여 2001 시즌과 2002 시즌에 16경기 1골을 기록하고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2. 2. 국가대표 경력

일리야 침발라리는 원래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3경기에 출전했으나, 1994년에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변경했다. 러시아 대표팀 선수로서는 1994년 4월 20일에 터키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경기에서 데뷔했으며, 같은 해 5월 29일 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친선 경기에서 첫 골을 기록했다. 1994년부터 1999년까지 러시아 대표팀에 소집되어 28경기에 출전하여 4골을 기록했다.

일리야 침발라르의 국제 경기 득점 목록
No.날짜경기장상대점수결과대회
11994년 5월 29일루즈니키 스타디움, 모스크바, 러시아슬로바키아/Slovakia영어2–12–1친선 경기
21995년 9월 6일스반가스카르드, 토프티르, 페로 제도페로 제도/Faroe Islands영어4–25–2UEFA 유로 1996 예선
31996년 6월 11일안필드, 리버풀, 잉글랜드이탈리아/Italy영어1–11–2UEFA 유로 1996
41999년 3월 31일로코모티프 스타디움, 모스크바, 러시아안도라/Andorra영어4–06–1UEFA 유로 2000 예선


3. 은퇴 후 경력

침발라리는 은퇴 후 안지 마하치칼라의 부회장이 되었고, 이후 스파르타크의 2군 팀을 맡아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여 힘키의 코칭 스태프로 이동했다. 2006년에는 스파르타크-MZhK 랴잔의 수석 코치가 되어 팀을 러시아 1부 리그로 승격시켰다. 2008년 2월에는 니즈니 노브고로드의 수석 코치로 임명되었다. 2009년 1월, 그는 팀에서 사임했다.

4. 사망

일리야 침발라리는 2013년 12월 28일 심장 질환으로 사망했다.[3] 그의 아들 올레그 침발라르(Oleg Tsimbalar)는 프로 축구 선수였다.

5. 수상 내역

;개인


;FC 초르노모레츠 오데사

  • 우크라이나 컵: 1992

5. 1. 클럽

일리야 침발라리는 선수 시절 여러 클럽에서 뛰며 다양한 우승 경력을 쌓았다. FC 초르노모레츠 오데사 소속으로 1992년 우크라이나 컵에서 우승하였다.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에서는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6회 우승(1993, 1994, 1996, 1997, 1998, 1999)과 러시아 컵 2회 우승(1994, 1998)을 달성했다.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로 이적한 후에는 러시아 컵에서 2회(2000, 2001)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개인적으로는 1995년 CIS 컵 득점왕을 차지했다.

5. 2. 개인

일리야 침발라리는 1995년 CIS 컵 득점왕을 차지했으며, 같은 해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올해의 선수상을 받았다. Sport-Express와 Futbol에서 모두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다. FC 초르노모레츠 오데사 소속으로 1992년 우크라이나 컵에서 우승했다.

참조

[1] 웹사이트 Экс-футболист Илья Цымбаларь скончался на 45-м году жизни http://ria.ru/sport/[...] RIA Novosti 2013-12-29
[2] 웹사이트 Михаил Афонин официально стал главным тренером ФК Нижний Новгород http://www.regnum.ru[...] regnum.ru 2009-04-17
[3] 웹사이트 Soccer-Former Russia midfielder Tsymbalar dies, aged 44 https://sports.yahoo[...] Yahoo Sports 2013-12-29
[4] 뉴스 Ilya Vladimirovich Tsymbalar - International Appearances http://www.rsssf.com[...] The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5] 웹사이트 Ледяхов официально покинул пост главного тренера "Шинника" http://www.championa[...] 2011-10-17
[6] 뉴스 元ロシア代表イリヤ・ツィンバラル氏死去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3-1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