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진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진학은 태양의 진동을 연구하여 태양 내부 구조와 역학을 파악하는 학문이다. 1960년대 초 태양의 준주기적인 강도 및 시선 속도 변화 관측을 통해 시작되었으며, 압력 모드, 중력 모드, 표면 중력 모드 등 다양한 유형의 태양 진동을 분석한다. 일진학적 분석은 태양 내부의 물리량 추정에 활용되며, 푸리에 변환, 역변환, 회전 분석 등의 기법이 사용된다. 지구 지진학 및 별진동학과 유사한 면이 있으며, VIRGO, SOI/MDI, SDO/HMI, BiSON, GONG 등의 관측 장비를 활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양 - 하지
    하지는 북반구에서 낮이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은 날로, 천문학적으로 중요한 절기이며 여름의 절정을 의미하고, 기온 상승과 장마 시작, 백야 현상과 함께 다양한 풍습과 음식 문화가 전해져 내려온다.
  • 태양 - 선글라스
    선글라스는 눈부심 감소와 자외선 차단을 주 목적으로 하는 안경으로, 과거 눈부심 방지 및 표정 은폐 용도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패션 아이템으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으로 발전해 왔지만, 저가 제품의 성능 미흡이나 과도한 자외선 차단에 대한 논란도 있다.
  • 지구물리학 - 측지학
    측지학은 지구의 형상, 크기, 중력장 및 시간적 변화를 측정하고 연구하는 지구과학의 한 분야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현대에는 GP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지구 역학적 현상 연구에 기여한다.
  • 지구물리학 - 무역풍
    무역풍은 지구의 위도권을 따라 동쪽에서 서쪽으로 부는 바람으로, 해들리 순환의 일부이며, 코리올리 효과로 북반구에서는 북동풍, 남반구에서는 남동풍으로 불며, 기상 및 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
  • 천체물리학 - 천문학
    천문학은 우주 공간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으로, 별, 행성, 은하 등을 연구하며 고대부터 발전해 왔고 현대에는 첨단 기술을 이용해 우주를 관측하고 이론적으로 탐구하는 학문이다.
  • 천체물리학 - 우주
    우주는 모든 공간과 시간, 에너지, 물질, 천체 등을 포함하며 물리 법칙의 지배를 받는 "존재의 총체"로, 천문학, 항공우주공학, 철학,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의되며 빅뱅 이론으로 설명되는 기원과 진화,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로 구성된 요소, 그리고 외계 생명체 가능성이 연구되는 공간이다.
일진학

2. 역사

1975년과 1976년에 여러 천문학자들이 태양 표면에서 160분 주기로 진동하는 현상을 발견했다.[69] 이는 지구 대기의 영향으로 인한 오차였지만, 일진학 발전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1980년대 후반, 태양 진동 관측을 통해 태양 내부 구조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태양 뉴트리노 문제가 태양 내부 구조 모델의 오류 때문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1960년대 초부터 과학자들은 태양 진동을 관찰했고, 1970년대 중반에는 고차 모드 관측에서 태양의 전역 모드일 수 있다는 예측을 확인했다.[52][53] 외르겐 크리스텐센-달스가르드와 더글러스 고프는 개별 모드 주파수를 사용하여 태양 내부 구조를 추론할 가능성을 제시했다.[55]

1980년대에 개발된 새로운 역산 방법은 태양 대부분에서 음속과 밀도의 프로파일을 추론할 수 있게 하여, 태양 구조 추론의 잔차 오류가 중성미자 문제의 원인이 아니라는 결론을 뒷받침했다. 1990년대 이후, 전 지구적 관측 네트워크( 버밍엄 태양 진동 네트워크(BiSON)[60][61], 전역 진동 네트워크 그룹[62])와 인공위성(태양 및 태양권 관측소(SoHO), 태양 역학 관측소(SDO))을 이용한 관측이 이루어지면서 태양 내부 구조, 회전, 자기장 활동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3. 태양 진동의 유형

태양 진동 모드는 대략 구형 대칭의 자기 중력 유체가 정수압 평형을 이루며 공명 진동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각 모드는 반경 r의 함수와 구면 조화 함수 Y^m_l(\theta,\phi)의 곱으로 근사하여 표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다음 세 가지 양자수로 특징지을 수 있다.


  • 반경 방향으로 마디 껍질의 개수, 즉 ''방사형 차수'' n
  • 각 구형 껍질에 있는 마디 원의 총 개수, 즉 ''각도'' \ell
  • 경도 방향의 마디 원의 개수, 즉 ''방위각 차수'' m


태양의 진동은 내부 진동과 특수한 범주의 표면 진동, 이렇게 두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압력 모드(p 모드), 중력 모드(g 모드), 표면 중력 모드(f 모드)가 있다.

3. 1. 압력 모드 (p 모드)

압력 모드는 본질적으로 정상 음파이다. 지배적인 복원력은 부력이 아닌 압력이므로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15] 내부 구조를 추론하는 데 사용되는 모든 태양 진동은 p 모드이며, 주파수는 약 1mHz~5mHz이고 각도는 0(순수 방사 운동)에서 10^3까지이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밀도는 반경에 반비례하여 음속에 따라 변동하므로 공명 주파수는 주로 태양의 외부 영역에 의해 결정된다. 결과적으로 태양핵의 구조를 추론하기는 어렵다.[15]



표준 태양 모델에 대한 전파 다이어그램으로, 진동이 g 모드 특성을 갖는 위치(파란색) 또는 쌍극자 모드가 p 모드 특성을 갖는 위치(주황색)를 보여준다. 점선은 보다 정확한 모델링을 통해 계산된 음향 차단 주파수를 나타내며, 이 주파수 이상에서는 모드가 별에 갇히지 않아 대략적으로 공명하지 않는다.

3. 2. 중력 모드 (g 모드)

중력 모드는 대류적으로 안정적인 영역, 즉 복사 내부 또는 대기에 국한된다. 복원력은 주로 부력, 즉 간접적으로 중력에서 비롯되며, 여기서 그 이름을 따왔다. 이들은 대류 영역에서 소멸성이며, 따라서 내부 모드는 표면에서 매우 작은 진폭을 가지며 감지하고 식별하기가 극히 어렵다.[17] 몇 개의 g 모드만 측정해도 태양 내부 깊숙한 곳에 대한 지식을 크게 늘릴 수 있다는 사실은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다.[18] 그러나 개별 g 모드는 아직 명확하게 측정되지 않았지만, 간접적인 감지가 주장[19][20] 및 반박[21][22]되었다. 또한, 대류적으로 안정적인 대기에 국한된 유사한 중력 모드가 있을 수 있다.

3. 3. 표면 중력 모드 (f 모드)

표면 중력파는 깊은 물에서의 파동과 유사하며, 라그랑지 압력 섭동이 본질적으로 0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이들은 고차 \ell를 가지며, 태양 반경 R에 대해 R/\ell의 특징적인 거리를 관통한다. 훌륭한 근사로, 이들은 소위 심해파 분산 법칙 \omega^2=gk_{\rm h}을 따르는데, 여기서 \omega는 각주파수, g는 표면 중력, k_{\rm h} = \ell/R는 수평 파수이며, 태양의 성층화와 관계없이 적용된다.[23] 그리고 k_{\rm h} \rightarrow \infty일 때 점근적으로 그 관계에 접근한다.

4. 지진학적 분석

일진학은 태양 진동을 분석하여 태양 내부의 물리량(밀도, 온도, 압력, 화학 조성 등)을 추정하는 학문이다. 1975년과 1976년에 여러 천문학자들이 태양 표면에서 160분 주기의 진동을 발견하면서 일진학 발달의 시초가 되었다.[69]

지진학에 활용되는 진동은 본질적으로 단열 과정이다. 따라서 그 역학은 압력(p)과 관성 밀도(\rho)를 가진 물질의 작용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단열 변화에서 압력과 물질 간의 관계에 따라 달라진다. 이 관계는 일반적으로 제1 단열 지수(\gamma_1)를 통해 정량화된다. 변수 p\rho의 평형값은 정수압 지지의 제약 조건에 의해 관련되며, 이는 태양의 총 질량(M)과 반지름(R)에 따라 달라진다. 진동수(\omega)는 지진 변수 \rho(p,\Omega,\rm B), \gamma_1, \Omega\rm B (또는 이들의 독립적인 함수 집합)에만 의존한다. 여기서 \Omega는 각속도, \rm B는 자기장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변수들에 대한 정보만 직접 얻을 수 있다. 단열 음속의 제곱(c^2 = \gamma_1 p/\rho)은 음향 전파가 주로 의존하는 양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함수이다.[24] 헬륨 풍부도(Y)[25]나 주계열성 나이(t_\odot)[26]와 같은 비지진 변수의 속성은 추가적인 가정을 통해서만 추론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의 불확실성을 높인다.

4. 1. 데이터 분석

태양의 에너지 스펙트럼. 태양 및 태양권 관측소에 탑재된 기기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중 로그 축으로 나타냈다. VIRGO/SPM 기기의 세 가지 통과 대역은 거의 동일한 에너지 스펙트럼을 보인다. GOLF의 시선 속도 관측은 과립에 의해 생성된 적색 잡음에 덜 민감하다. 모든 데이터 세트는 3mHz 부근에서 진동 모드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태양 및 태양권 관측소에 탑재된 GOLF 및 VIRGO/SPM 기기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모드가 최대 에너지를 갖는 주변의 태양 에너지 스펙트럼. 낮은 차수 모드(l<4)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명확한 빗살 무늬를 보여준다.




일진학의 데이터 분석은 주로 푸리에 변환을 이용한다. 근사적으로 각 진동 모드는 감쇠된 조화 진동자처럼 행동하며, 주파수에 따른 에너지는 로렌츠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공간적으로 분해된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구면 조화 함수에 투영되어 시간 계열을 얻고, 이를 푸리에 변환한다. 일진학자들은 이렇게 얻은 1차원 에너지 스펙트럼을 2차원 스펙트럼으로 결합하여 분석한다.

낮은 주파수 범위에서는 과립에 의한 변동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진동 모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과립에 의한 변동을 먼저 필터링해야 한다. 태양 표면의 과립 흐름은 주로 상승하는 과립 중심부에서 좁은 하강 기류로 향하는 수평적인 흐름이다. 과립은 진동에 비해 시선 속도에서 더 강한 신호를 생성하기 때문에, 일진 관측에서는 시선 속도 관측이 선호된다.

지역 일진학(Local helioseismology)은 1993년 찰스 린지, 더그 브라운, 스튜어트 제프리스가 처음 사용한 용어이다.

4. 1. 1. 지역 일진학의 분석 방법


  • '''푸리에-행켈 스펙트럼 방법'''은 원래 흑점에 의한 파동 흡수를 찾는 데 사용되었다.[1]
  • '''링 다이어그램 분석'''은 프랭크 힐이 처음 소개했으며, 태양 표면(일반적으로 15° × 15°)에서 계산된 태양 진동의 파워 스펙트럼에서 주변 음향파의 도플러 이동을 관찰하여 태양 표면 아래 수평 흐름의 속도와 방향을 추론하는 데 사용된다.[1] 링 다이어그램 분석은 태양의 국소 영역에 적용되는 전역 헬리오시스몰로지의 일반화이다.[1] 예를 들어 음속과 단열 지수는 자기적으로 활동적인 영역과 비활성(조용한 태양) 영역 내에서 비교할 수 있다.[1]
  • '''시간-거리 헬리오시스몰로지'''는 태양 표면의 임의의 두 위치 사이에서 태양파의 이동 시간을 측정하고 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 두 위치를 연결하는 광선 경로 근처의 불균일성은 두 지점 사이의 이동 시간을 교란한다.[1] 이후 태양 내부의 국소 구조와 역학을 추론하기 위해 역문제를 풀어야 한다.[1]
  • '''헬리오시스몰로지 홀로그래피'''는 찰스 린지와 더그 브라운이 먼 쪽(자기) 이미징을 목적으로 상세히 소개했으며, 위상 감도 홀로그래피의 특별한 경우이다.[1] 가시 디스크의 파동장을 사용하여 태양의 먼 쪽에 있는 활동 영역에 대해 알아내는 것이 그 목적이다.[1] 헬리오시스몰로지 홀로그래피의 기본 아이디어는 태양 표면에서 관찰된 시선 도플러 속도와 같은 파동장을 사용하여 태양 내부 임의의 위치에서 임의의 시점의 파동장을 추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1] 이런 의미에서 이 방법은 1940년대부터 사용되어 온 지구물리학 기술인 지진 마이그레이션과 매우 유사하다.[1] 또한 이 기술은 태양 플레어의 지진 이미지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었다.[1]
  • '''직접 모델링'''의 목적은 푸리에 영역의 파동장에서 관찰된 주파수-파수 상관 관계를 직접 반전시켜 지하 흐름을 추정하는 것이다.[1] 우다드는 이 기술이 f 모드에서 표면 근처 흐름을 복구하는 능력을 입증했다.[1]

4. 2. 역변환 (Inversion)

태양의 진동 모드는 태양의 연속적인 구조에 민감하게 관측되는 값들의 집합을 나타낸다. 과학자들은 이를 통해 태양 내부 구조와 역학에 대한 역문제를 공식화할 수 있다. 태양의 기준 모델이 주어졌을 때, 관측된 모드 주파수와 기준 모델의 모드 주파수 간의 차이가 작다면, 이는 태양의 실제 구조와 기준 모델 구조 간의 차이에 대한 가중 평균으로 볼 수 있다. 이 주파수 차이를 이용하여 구조적 차이를 추론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되는 가중 함수를 '커널'이라고 부른다.

태양 구조에 대한 첫 번째 역변환은 뒤발의 법칙[37]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이후에는 기준 태양 모델에 대해 선형화된 뒤발의 법칙이 사용되었다.[38] 이러한 결과는 이론적인 기준 모델에 대해 별의 진동을 설명하는 방정식을 선형화하는 분석으로 보완되었으며,[1][39][40] 이는 현재 주파수 데이터를 역변환하는 표준적인 방법이 되었다.[41][42] 역변환을 통해, 무거운 원소가 태양 중심으로 점진적으로 가라앉고 가벼운 원소는 표면으로 이동하는 '중력 침강' 현상을 반영하면 태양 모델의 차이가 크게 감소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43][44]

4. 3. 회전

태양은 완벽한 구형이 아니기 때문에, 서로 다른 방위각 차수 ''m''을 가진 모드들은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다. 회전은 이러한 축퇴를 깨뜨려, 모드 주파수는 태양 전체의 각속도의 가중 평균인 '회전 분리'에 의해 달라진다. 서로 다른 모드는 태양의 서로 다른 부분에 민감하며, 충분한 데이터를 제공하면 이러한 차이를 사용하여 태양 전체의 회전 속도를 추론할 수 있다.[45] 예를 들어, 태양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회전한다면, 모든 p 모드는 거의 같은 양으로 분리될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적도가 극보다 더 빠르게 회전하는 표면에서 볼 수 있듯이, 각속도는 균일하지 않다.[46] 태양은 회전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구형의 비회전 모델이 회전 커널을 유도하기에 현실에 충분히 가깝다.

헬리오지진학은 태양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회전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47]

  • 강체 회전하는 복사층 (비대류층). 내부 핵의 회전 속도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 강체 회전 내부와 차등 회전 대류 외피를 분리하는 얇은 전단층인 '타코클라인'.
  • 회전 속도가 깊이와 위도에 따라 모두 변하는 대류 외피.
  • 표면 바로 아래의 최종 전단층 (회전 속도가 표면을 향해 느려짐).


태양 자기 및 헬리오지진 이미저(Helioseismic and Magnetic Imager)가 탑재된 태양 역학 관측소(Solar Dynamics Observatory)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추론한 태양 내부 회전 프로파일. 측정의 신뢰도가 1% 미만인 내부 반경은 잘려나갔으며, 이는 핵의 3/4 지점에서 발생한다. 점선은 태양 대류층의 바닥을 나타내며, 이는 회전 프로파일이 바뀌는 경계와 일치하며, 이를 타코클라인이라고 한다.

5. 다른 분야와의 관계

일진학은 지구 지진학과 유사하지만, 태양은 고체 표면이 없어 전단파(S파)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전역 일진학은 고유 모드만 연구하는 반면, 지역 일진학은 전체 파동장을 연구한다는 점에서 지구 지진학과 유사하다.

별진동학과 관련하여, 1975년과 1976년에 브룩스(Brookes), 스베르니(Sverny) 등 여러 천문학자들이 태양 표면에서 160분 주기의 진동을 발견했는데, 이는 일진학 발달의 시초가 되었다.[69] 1980년대 후반에는 태양 진동 관측을 통해 태양 내부 구조를 파악하여 태양 뉴트리노 문제가 태양 내부 구조 모델의 문제일 가능성을 배제했다.

5. 1. 지구 지진학 (Geoseismology)

일진학은 지구 지진학과 유사한 점이 많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태양은 고체 표면이 없어 전단파(S파)가 존재하지 않는다. 전역 일진학은 고유 모드만 연구하는 반면, 지역 일진학은 전체 파동장을 연구한다는 점에서 지구 지진학과 유사하다.

5. 2. 별진동학 (Asteroseismology)

1975년과 1976년에 브룩스(Brookes), 스베르니(Sverny) 등 여러 천문학자들이 태양 표면에서 160분 주기의 진동이 일어나는 것을 독립적으로 발견했다. 이는 태양 자체의 파동이 아니라 지구에서 관측했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었지만, 결과적으로 일진학 발달의 시초가 되었다.[69]

1980년대 후반에는 태양 진동 관측을 통해 태양 내부 구조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로써 1960년대부터 제기되었던 태양 뉴트리노 문제가 태양 내부 구조에 대한 잘못된 모델 때문이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었다.

6. 한국의 일진학 연구

태양은 별이기 때문에, 태양진동학은 별진동학으로 알려진 다른 별들의 진동 연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태양진동학은 또한 외부 대류층에 의해 진동이 유발되고 감쇠되는 별들, 즉 태양형 진동자의 연구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기본 이론은 다른 종류의 변광성에도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주요 차이점은 멀리 떨어진 별의 진동은 분해될 수 없다는 것이다. 구면 고조파의 밝고 어두운 부분이 상쇄되기 때문에, 이것은 별진동학을 거의 전적으로 저차 모드(각도 차수 ${\displaystyle \ell \leq 3}$) 연구로 제한한다. 이것은 역산을 훨씬 더 어렵게 만들지만, 더 제한적인 가정을 함으로써 상한을 여전히 얻을 수 있다.

7. 관측 장비

일진학 연구에는 인공위성 관측 장비와 지상 관측 장비가 사용된다.

7. 1. 인공위성 관측 장비

1980년대 후반에는 태양의 진동을 관측함으로써 태양의 내부 구조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로써 1960년대부터 제기되었던 태양 뉴트리노 문제가 태양 내부 구조에 대한 잘못된 모델에 기인하였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었다.[69]

태양의 진동을 관측하는 주요 장비는 다음과 같다.

7. 2. 지상 관측 장비

1975년과 1976년 Brookes, Sverny 등 많은 천문학자들이 태양 표면에서 160분 주기 진동이 일어나는 것을 독립적으로 발견했다. 이는 태양 자체의 파동이 아니라 지구상에서 관측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었지만, 결과적으로는 일진학의 발달을 위한 시초가 되었다.[69]

1980년대 후반에는 태양의 진동을 관측함으로써 태양의 내부 구조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로써 1960년대부터 제기되었던 태양 뉴트리노 문제가 태양 내부 구조에 대한 잘못된 모델에 기인하였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었다.

태양의 진동을 관측하기 위한 지상 관측 장비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논문 The seismic structure of the Sun
[2] 논문 Local Helioseismology
[3] 논문 Evidence for oscillation of atmospheric neutrinos
[4] 논문 Global analysis of solar neutrino oscillations including SNO CC measurement
[5] 논문 High-energy physics: Neutrinos reveal split personalities
[6] 뉴스 Neutrino 'flip' wins physics Nobel Prize https://www.bbc.com/[...] 2015-10-06
[7] 논문 The internal rotation of the Sun
[8] 논문 Helioseismic determination of the solar gravitational quadrupole moment
[9] 논문 Temporal variations in the Sun's rotational kinetic energy
[10] 논문 The solar tachocline
[11] 논문 Magnetic Fields in the Solar Convection Zone
[12] 논문 Inevitability of a magnetic field in the Sun's interior
[13] 논문 Solar oscillations: full disk observations from the geographic South Pole
[14] 논문 Observations of solar oscillations of low and intermediate degree
[15] 논문 The Current State of Solar Modeling
[16] 논문 The Current State of Solar Modeling
[17] 논문 The quest for the solar g modes
[18] 논문 Solar inverse theory
[19] 논문 Tracking Solar Gravity Modes: The Dynamics of the Solar Core
[20] 논문 Asymptotic g modes: Evidence for a rapid rotation of the solar core
[21] 논문 Fragile Detection of Solar g-Modes by Fossat et al.
[22] 논문 A critical evaluation of recent claims concerning solar rotation
[23] 논문 A review of the theory of solar oscillations and its implications concer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un
[24] 논문 What have we learned from helioseismology, what have we really learned, and what do we aspire to learn?
[25] 논문 Sources of uncertainty in direct seismological measurements of the solar helium abundance http://cds.cern.ch/r[...]
[26] 논문 On the seismic age and heavy-element abundance of the Sun
[27] 논문 Measurements of Frequencies of Solar Oscillations from the MDI Medium-l Program
[28] 서적 "Local Helioseismology of Subsurface Structure" in "GONG 1992. Seismic Investigation of the Sun and Stars" 1993-01-01
[29] 간행물 Acoustic absorption by sunspots 1987-08-01
[30] 간행물 Rings and trumpets - Three-dimensional power spectra of solar oscillations 1988-10-01
[31] 간행물 Ring-Diagram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Solar Active Regions 2004-08-01
[32] 간행물 Time-distance helioseismology 1993-04-01
[33] 논문 Time-distance: what does it tell us?
[34] 논문 Seismic Imaging of the Far Hemisphere of the Sun
[35] 간행물 Seismic Images of a Solar Flare 1999-03-01
[36] 논문 Solar Subsurface Flow Inferred Directly from Frequency-Wavenumber Correlations in the Seismic Velocity Field 2002-01
[37] 논문 Speed of sound in the solar interior
[38] 논문 Differential asymptotic sound-speed inversions
[39] 논문 Solar model from helioseismology and the neutrino flux problem
[40] 논문 Nonasymptotic helioseismic inversion for solar structure.
[41] 서적 Solar interior and atmosphere University of Arizona Press
[42] 논문 Global seismology of the Sun
[43] 논문 Oscillations of solar models with internal element diffusion https://digital.libr[...]
[44] 논문 Effects of diffusion on solar models and their oscillation frequencies https://cds.cern.ch/[...]
[45] 논문 The Internal Rotation of the Sun
[46] 논문 A comparison of differential rotation measurements - (Invited Review)
[47] 논문 Solar Interior Rotation and its Variation
[48] 논문 Velocity Fields in the Solar Atmosphere. I. Preliminary Report.
[49] 논문 Observational Study of Macroscopic Inhomogeneities in the Solar Atmosphere. III. Vertical Oscillatory Motions in the Solar Photosphere.
[50] 논문 A New Description of the Solar Five-Minute Oscillation
[51] 논문 The Five-Minute Oscillations on the Solar Surface
[52] 논문 Observations of low wavenumber nonradial eigenmodes of the sun
[53] 논문 Observations of nonradial p-mode oscillations on the sun
[54] 논문 Solar structure from global studies of the 5-minute oscillation
[55] 논문 Towards a heliological inverse problem
[56] 논문 Comparison of the observed solar whole-disk oscillation frequencies with the predictions of a sequence of solar models
[57] 논문 Random remarks on solar hydrodynamics
[58] 논문 The sensitivity of nonradial p mode eigenfrequencies to solar envelope structure
[59] 논문 Solar-cycle effects on solar oscillation frequencies
[60] 논문 The current status of the Birmingham solar seismology network
[61] 논문 BiSON Performance
[62] 논문 The Global Oscillation Network Group (GONG)
[63] 간행물 Special Issue: GONG Helioseismology https://www.science.[...]
[64] 논문 Solar p-Mode Frequencies over Three Solar Cycles
[65] 논문 Solar Models: Current Epoch and Time Dependences Neutrinos and Helioseismological Properties
[66] 논문 The Solar Chemical Composition
[67] 논문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Sun
[68] 논문 Helioseismological Implications of Recent Solar Abundance Determinations
[69] 논문 Helioseismology https://arxiv.org/p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