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임베디드 오픈타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베디드 오픈타입(Embedded OpenType, EOT)은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동적 웹 글꼴 유틸리티인 웹 임베디드 폰트 툴(WEFT)을 통해 사용되는 기술이다. WEFT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사용자들이 웹 페이지에서 동적 글꼴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며, HTML 파일, TrueType 폰트 파일 등을 스캔하여 웹 사이트에 포함될 EOT 파일을 생성한다. EOT 파일은 일반적으로 '.eot' 파일 확장자를 사용하며, 웹마스터가 인터넷 익스플로러 사용자를 위해 웹 페이지에 글꼴을 포함하는 데 사용되었다. 과거 비영어권 웹사이트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나, 인터넷 익스플로러 외의 브라우저에서는 글꼴을 볼 수 없는 호환성 문제가 있었다. 2015년 1월 기준으로 WEFT 3.2가 최신 버전이며, 2019년부터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더 이상 이 도구를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보안 문제와 대안 기술의 등장으로 인해 사용이 감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글꼴 포맷 - 오픈타입
    오픈타입은 마이크로소프트와 어도비가 개발한 글꼴 형식으로, 유니코드를 기반으로 다양한 스크립트 지원, 크로스 플랫폼 호환성, 확장된 타이포그래피 기능, 스마트 폰트 옵션 등을 제공하며 표현력을 확장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국제 표준으로도 지정되었다.
  • 글꼴 포맷 - Segoe
    Segoe는 스티브 매티슨이 디자인하고 마이크로소프트가 브랜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용으로 사용 허가한 글꼴로, 가독성이 높고 다양한 굵기 및 이탤릭체를 지원하며 ClearType 렌더링에 최적화된 Segoe UI를 포함한 여러 변형이 있다.
임베디드 오픈타입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파일 포맷 정보
이름임베디드 오픈타입 (Embedded OpenType)
확장자.eot
MIME 형식application/vnd.ms-fontobject
종류윤곽 글꼴
개발마이크로소프트
압축 방식MTX 압축

2. 역사

임베디드 오픈타입(EOT)은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기술로, 웹 페이지에 글꼴을 포함시켜 사용자가 해당 글꼴을 설치하지 않아도 웹 페이지 제작자가 의도한 글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EOT 글꼴 파일은 웹 임베딩 폰트 도구(WEFT) 등을 사용하여 기존 트루타입 글꼴 파일에서 만들 수 있으며, 필요한 문자만 포함하는 부분 집합화 및 데이터 압축을 통해 파일 크기를 줄인다.

웹 페이지에 글꼴을 포함하는 것은 저작권 문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EOT에는 부분 집합화, 암호화 등의 복사 방지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EOT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독점적으로 지원하는 독점 표준이었으나, 2007년과 2008년에 W3C에 표준으로 제출되었으나 거부되었다. W3C는 최종적으로 WOFF를 표준으로 채택하였다.[2]

2. 1. 개발 배경

웹 임베디드 폰트 툴(Web Embedded Fonts Tool, WEFT)은 마이크로소프트의 동적 웹 글꼴 유틸리티로, 인터넷 익스플로러 사용자들이 웹 페이지에 연결된 동적 글꼴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대부분의 글꼴을 WEFT를 사용해 첨부할 수 있지만, 일부 글꼴은 디자이너에 의해 첨부가 불가능하도록 디자인되기도 한다. 또한 문제가 있는 글꼴은 사용할 수 없다. 비영어권 웹 사이트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술이며, 한국에서도 많이 볼 수 있다. 하지만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외의 브라우저에서는 글꼴을 볼 수 없다.[1]

EOT 글꼴 파일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웹 임베딩 폰트 도구(WEFT)와 기타 전용 및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기존 트루타입 글꼴 파일에서 만들 수 있다. 글꼴 파일은 부분 집합화(필요한 문자만 포함) 및 데이터 압축(Agfa의 MicroType Express의 일부)을 사용하여 크기를 작게 만든다. OTF 글꼴과 마찬가지로 EOT는 글리프에 대한 Postscript 및 TrueType 윤곽선을 모두 지원한다.

웹 페이지에 글꼴을 단순히 포함시키는 것은 저작권이 있는 글꼴 파일의 무제한 복사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임베디드 오픈타입에는 복사를 방지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부분 집합화는 부분 집합화된 글꼴이 일반적으로 문자의 절반 이상을 생략하므로 복사의 가치를 감소시킨다. 사용되는 기타 복사 방지 조치는 암호화와 소스 측의 "신뢰할 수 있는 루트" 목록, 수신 측의 독점 해독 라이브러리이다.

임베디드 글꼴을 웹 페이지에서 사용할 수 없는 경우(글꼴 파일 누락, 파일의 잘못된 키, 웹 브라우저에서 지원하지 않음 등)에는 두 번째 선택 글꼴 사양이 사용되어 의도한 글꼴 없이도 페이지를 읽을 수 있도록 한다.

임베디드 오픈타입은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독점적으로 지원하는 독점 표준이지만, 2007년에 W3C에 CSS3의 일부로 제출되었다가 거부되었고, 2008년 3월 18일에 독립 제출로 다시 제출되었다. W3C는 EOT를 W3C 권고안으로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는 작업 그룹에 대한 제안을 W3C 회원에게 제출할 계획이었으나, 궁극적으로 다른 웹 글꼴 형식(WOFF)을 W3C 권고안으로 선택했다.[2] 이 형식에 대한 지원은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후속 제품인 Microsoft Edge에는 내장되지 않았다.

2. 2. 기술 발전과 한계

웹 임베디드 폰트 툴(WEFT)을 사용하면 대부분의 글꼴을 첨부할 수 있지만, 일부 글꼴은 디자이너에 의해 첨부가 불가능하도록 설계되기도 한다. 또한 문제가 있는 글꼴은 사용할 수 없다. 비영어권 웹 사이트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술이며, 한국에서도 많이 볼 수 있다. 하지만 인터넷 익스플로러 외의 브라우저에서는 글꼴을 볼 수 없다.[1]

EOT 글꼴 파일은 필요한 문자만 포함하는 부분 집합화 및 데이터 압축(LZ 압축)을 통해 크기를 줄인다. OTF 글꼴과 마찬가지로 EOT는 글리프에 대한 Postscript 및 TrueType 윤곽선을 모두 지원한다.[1]

웹 페이지에 글꼴을 포함하는 것은 저작권이 있는 글꼴 파일의 무제한 복사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임베디드 오픈타입에는 복사 방지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부분 집합화는 부분 집합화된 글꼴이 일반적으로 문자 절반 이상을 생략하므로 복사 가치를 감소시킨다. 사용되는 다른 복사 방지 조치로는 암호화 등이 있다.

임베디드 글꼴을 웹 페이지에서 사용할 수 없는 경우(글꼴 파일 누락, 파일의 잘못된 키, 웹 브라우저 미지원 등)에는 두 번째 선택 글꼴 사양이 사용되어 의도한 글꼴 없이도 페이지를 읽을 수 있다.

임베디드 오픈타입은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독점적으로 지원하는 독점 표준이지만, 2007년에 W3C에 CSS3의 일부로 제출되었다가 거부되었고, 2008년 3월 18일에 독립 제출로 다시 제출되었다. W3C는 EOT를 W3C 권고안으로 개발하기 위한 작업 그룹 제안을 W3C 회원에게 제출할 계획이었으나, 궁극적으로 다른 웹 글꼴 형식(WOFF)을 W3C 권고안으로 선택했다.[2] 이 형식에 대한 지원은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후속 제품인 Microsoft Edge에는 내장되지 않았다.

3. 작동 원리

임베디드 오픈타입(EOT)은 웹 페이지에서 글꼴이 어떻게 표시되고 작동하는지에 대한 기술적인 방식을 정의한다. EOT 파일은 데이터 압축을 사용하여 크기를 작게 만들고, 복사 방지 기능을 포함한다.[1]

3. 1. EOT 파일 생성 과정

EOT 글꼴 파일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웹 임베딩 폰트 도구(WEFT)와 기타 전용 및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기존 트루타입 글꼴 파일에서 만들 수 있다.[1]

글꼴 파일은 부분 집합화(필요한 문자만 포함) 및 데이터 압축(LZ 압축)을 사용하여 크기를 작게 만든다. OTF 글꼴과 마찬가지로 EOT는 글리프에 대한 Postscript 및 TrueType 윤곽선을 모두 지원한다.[1]

웹 페이지에 글꼴을 단순히 포함시키는 것은 저작권이 있는 글꼴 파일의 무제한 복사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임베디드 오픈타입에는 복사를 방지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부분 집합화는 부분 집합화된 글꼴이 일반적으로 문자의 절반 이상을 생략하므로 복사의 가치를 감소시킨다. 사용되는 다른 복사 방지 조치로는 암호화와 소스 측의 "신뢰할 수 있는 루트" 목록, 수신 측의 독점 해독 라이브러리가 있다.[1]

3. 2. 저작권 보호 기술

웹 페이지에 글꼴을 단순히 포함하면 저작권이 있는 글꼴 파일이 무제한으로 복사될 수 있다. 임베디드 오픈타입에는 이러한 복사를 방지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부분 집합화는 부분 집합화된 글꼴이 일반적으로 문자의 절반 이상을 생략하므로 복사 가치를 감소시킨다. 사용되는 다른 복사 방지 조치로는 암호화와 소스 측의 "신뢰할 수 있는 루트" 목록, 수신 측의 독점 해독 라이브러리가 있다.[1]

4. 문제점 및 한계

마이크로소프트의 웹 임베딩 폰트 도구(WEFT)를 사용하면 대부분의 글꼴을 첨부할 수 있지만, 일부 글꼴은 디자이너에 의해 첨부할 수 없도록 디자인되기도 한다. 또한 문제가 있는 글꼴은 사용할 수 없다. 임베디드 오픈타입은 주로 비영어권 웹 사이트에서 사용되는 기술이며, 한국에서도 많이 볼 수 있다. 하지만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외의 브라우저에서는 글꼴을 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4. 1. 보안 문제

윈도우 비스타에 대한 중요 보안 업데이트인 KB969947은 사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임베디드 오픈타입(EOT) 글꼴로 렌더링된 콘텐츠를 볼 경우 원격 코드 실행을 허용할 수 있는 여러 보안 문제를 해결한다. 이러한 글꼴은 사용자 제공 콘텐츠를 호스팅하는 웹사이트를 포함하여 웹사이트에 임베딩될 수 있다.[3]

4. 2. 호환성 문제

EOT 글꼴 파일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웹 임베딩 폰트 도구(WEFT)와 기타 전용 및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기존 트루타입 글꼴 파일에서 만들 수 있다. 웹 페이지에 글꼴을 단순히 포함하면 저작권이 있는 글꼴 파일이 무제한으로 복사될 수 있기 때문에, 임베디드 오픈타입에는 복사를 방지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부분 집합화는 부분 집합화된 글꼴이 일반적으로 문자의 절반 이상을 생략하므로 복사의 가치를 감소시킨다. 사용되는 기타 복사 방지 조치는 암호화와 소스 측의 "신뢰할 수 있는 루트" 목록, 수신 측의 독점 해독 라이브러리이다.[1]

임베디드 글꼴을 웹 페이지에서 사용할 수 없는 경우(글꼴 파일 누락, 파일의 잘못된 키, 웹 브라우저에서 지원하지 않음 등)에는 다른 글꼴이 사용되어 페이지를 읽을 수 있다.

임베디드 오픈타입은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독점적으로 지원하는 독점 표준이지만, WOFF가 W3C 권고안으로 선택되면서 Microsoft Edge에는 이 형식에 대한 지원이 내장되지 않았다.[2]

4. 3. 대안 기술의 등장

EOT 글꼴 파일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웹 임베딩 폰트 도구(WEFT)와 기타 전용 및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기존 트루타입 글꼴 파일에서 만들 수 있다.[1] 글꼴 파일은 부분 집합화(필요한 문자만 포함) 및 데이터 압축을 사용하여 크기를 작게 만든다. OTF 글꼴과 마찬가지로 EOT는 글리프에 대한 Postscript 및 TrueType 윤곽선을 모두 지원한다.

웹 페이지에 글꼴을 포함하면 저작권이 있는 글꼴 파일의 무제한 복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임베디드 오픈타입에는 복사 방지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부분 집합화는 부분 집합화된 글꼴이 일반적으로 문자의 절반 이상을 생략하므로 복사의 가치를 감소시킨다. 사용되는 기타 복사 방지 조치는 암호화와 소스 측의 "신뢰할 수 있는 루트" 목록, 수신 측의 독점 해독 라이브러리이다.

임베디드 글꼴을 웹 페이지에서 사용할 수 없는 경우(글꼴 파일 누락, 파일의 잘못된 키, 웹 브라우저에서 지원하지 않음 등)에는 두 번째 선택 글꼴 사양이 사용되어 의도한 글꼴 없이도 페이지를 읽을 수 있도록 한다.

임베디드 오픈타입은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독점적으로 지원하는 독점 표준이지만, 2007년에 CSS3의 일부로 W3C에 제출되었다가 거부되었고, 2008년 3월 18일에 독립 제출로 다시 제출되었다. 그러나 W3C는 궁극적으로 다른 웹 글꼴 형식(WOFF)을 W3C 권고안으로 선택했다.[2] 이 형식에 대한 지원은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후속 제품인 Microsoft Edge에는 내장되지 않았다.

5. 현재 상황

마이크로소프트의 동적 웹 글꼴 유틸리티인 '''웹 임베디드 폰트 툴'''(Web Embedded Fonts Tool, WEFT)을 이용하면 인터넷 익스플로러 사용자들이 웹 페이지와 연결된 동적 글꼴을 사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글꼴은 WEFT를 사용하여 첨부할 수 있지만, 일부 글꼴은 디자이너에 의해 첨부가 불가능하도록 설계되기도 한다. 또한 문제가 있는 글꼴은 사용할 수 없다. 비영어권 웹 사이트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술이며, 한국에서도 많이 볼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외의 브라우저에서는 글꼴을 볼 수 없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Typekit Blog | Type rendering: Font outlines and file formats http://blog.typekit.[...]
[2] 웹사이트 Web Fonts - W3C http://www.w3.org/st[...]
[3] 웹사이트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09-065 – Critical Vulnerabilities in Windows Kernel-Mode Drivers Could Allow Remote Code Execution (969947) http://www.microsoft[...] 2009-1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