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둘레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입둘레근은 입 주변을 둘러싸는 여러 층의 근섬유로 구성된 근육으로, 눈둘레근과 같은 단순한 조임근이 아니다. 이 근육은 입술에 닿는 다른 얼굴 근육에서 유래하거나 자체적인 섬유를 가지며, 볼근, 입꼬리올림근, 입꼬리내림근, 윗입술올림근, 광대근, 아랫입술내림근 등 다양한 근육과 연결되어 있다. 입둘레근은 안면 신경의 뺨 근육 가지와 하악 연 가지의 지배를 받으며, 관악기 연주시 높은 근육 활동을 보인다. 아기가 입둘레근 없이 태어나는 경우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경부 근육 - 빗모뿔근
빗모뿔근은 목소리를 내는 데 중요한 후두 내재근으로, 윤상연골에 부착되어 서로 교차하며, 혈액과 신경 공급을 받아 후두 입구를 보호하는 괄약근 역할을 한다. - 두경부 근육 - 얼굴근육
얼굴근육은 표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뇌졸중, 벨 마비 등으로 손상되어 얼굴마비를 유발할 수 있다.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목동맥고랑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의학 용어집
의학 용어집은 의학 분야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를 모아놓은 목록으로, 인체 해부학적 용어인 '복부'와 희귀 유전 질환인 '아르스코그-스콧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입둘레근 | |
---|---|
개요 | |
![]() | |
라틴어 | musculus orbicularis oris |
어원 | '입술의 원형 근육' |
별칭 | 키스 근육 |
세부 정보 | |
이는곳 | 위턱뼈, 아래턱뼈 |
닿는곳 | 입술 주변의 피부 |
혈액 공급 | 아랫입술동맥 및 윗입술동맥 |
신경 지배 | 얼굴신경 볼가지 및 아래턱모서리가지 |
작용 | 입술을 오므리는 작용을 한다. |
식별 | |
그레이 해부학 | '108' |
그레이 페이지 | '384' |
도르란드 사전 (접두사) | m_22 |
도르란드 사전 (접미사) | '12550006' |
2. 구조
입둘레근은 눈둘레근과 같이 단순한 조임근이 아니라, 여러 방향의 근섬유 층이 입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형태이다. 입둘레근을 구성하는 섬유는 크게 입술에 닿는 다른 얼굴 근육들에서 유래하는 섬유와 입둘레근 자체적인 섬유로 나눌 수 있다.[1]
볼근에서 유래한 섬유는 입둘레근 깊은층을 형성한다. 입꼬리올림근과 입꼬리내림근에서 온 섬유는 얕은층을 형성하는데, 이들은 입꼬리에서 서로 교차하여 입꼬리올림근 섬유는 아랫입술로, 입꼬리내림근 섬유는 윗입술로 주행한다. 윗입술올림근, 광대근, 아랫입술내림근에서 온 섬유들도 얕은층 섬유와 섞인다. 입술 고유 섬유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피부 아래쪽 표면에서 점막으로 향한다.[1]
위턱뼈와 코사이막(비중격), 아래턱뼈와 연결되는 섬유도 존재한다. 윗입술에는 가쪽과 안쪽에 두 개의 띠가 있는데, 가쪽 띠는 위턱뼈 치조연에서 시작하여 입꼬리의 다른 근육으로 연결되고, 안쪽 띠는 윗입술과 코사이막 뒤쪽을 연결한다. 양쪽 안쪽 띠 사이의 오목한 공간은 인중이라고 불린다. 아랫입술에는 턱끝근 가쪽 아래턱뼈에서 시작하여 입꼬리 근육들과 섞이는 근육 슬립이 있다.[1]
2. 1. 깊은층
입둘레근 깊은층은 대부분 볼근에서 유래한 섬유들로 구성된다. 볼근 중간 부분의 섬유들은 입꼬리에서 서로 교차하는데, 위턱뼈에서 시작된 섬유는 아랫입술로, 아래턱뼈에서 시작된 섬유는 윗입술로 향한다. 볼근의 가장 위쪽과 아래쪽 섬유는 교차하지 않고 입술을 가로질러 이어진다.[1]2. 2. 얕은층
입둘레근은 단순한 조임근이 아니라, 여러 방향의 근섬유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섬유들은 입술에 닿는 다른 얼굴 근육에서 유래하거나, 입둘레근 자체적인 섬유로 구성된다. 볼근에서 유래한 섬유는 입둘레근 깊은층을 형성하며, 이 중 일부는 입꼬리에서 교차하여 위턱뼈에서 시작한 섬유는 아랫입술로, 아래턱뼈에서 시작한 섬유는 윗입술로 향한다. 볼근의 가장 위쪽과 아래쪽 섬유는 교차하지 않고 입술을 가로지른다.얕은층에는 입꼬리올림근과 입꼬리내림근에서 온 섬유로 구성된 둘째 층이 있다. 이 섬유들은 입꼬리에서 교차하여 입꼬리올림근 섬유는 아랫입술로, 입꼬리내림근 섬유는 윗입술로 가서 정중선 근처 피부에 닿는다. 윗입술올림근, 광대근, 아랫입술내림근에서 온 섬유들도 이들과 섞인다. 입술 고유 섬유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피부 아래쪽 표면에서 점막으로 향한다.
위턱뼈와 코사이막(비중격), 아래턱뼈와 연결되는 섬유도 있다. 윗입술에는 가쪽과 안쪽에 두 개의 띠가 있는데, 가쪽 띠(incisivus labii superioris muscle)는 위턱뼈 치조연에서 시작하여 입꼬리의 다른 근육으로 연결된다. 안쪽 띠(nasolabialis muscle)는 윗입술과 코사이막 뒤쪽을 연결한다. 양쪽 안쪽 띠 사이 오목한 공간은 인중이라 불리며, 코사이막 아래부터 윗입술까지 이어진다. 아랫입술에는 턱끝근 가쪽 아래턱뼈에서 시작하여 입꼬리 근육들과 섞이는 근육 슬립(incisivus labii inferioris muscle)이 있다.[1]
2. 3. 고유 섬유
입둘레근의 고유 섬유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입술이 두껍기 때문에 피부 아래쪽 표면에서 점막으로 향한다.위턱뼈와 코사이막(비중격), 아래로는 아래턱뼈와 연결되는 섬유도 존재한다. 윗입술에서는 가쪽과 안쪽에 두 개의 띠가 생긴다. 가쪽 띠(incisivus labii superioris muscle)는 가쪽 앞니 반대편에 위치한 위턱뼈의 치조연(alveolar border)에서 시작되어 가쪽으로 휘어 입꼬리의 다른 근육들과 연결된다. 안쪽 띠(nasolabialis muscle)는 윗입술과 코사이막 뒤쪽을 연결한다.
양쪽의 안쪽 띠 사이 오목하게 들어간 공간을 인중이라고 하며, 코사이막 아래부터 윗입술까지 존재한다. 아랫입술에 나타나는 추가적인 섬유는 정중선 양쪽에 근육 슬립(incisivus labii inferioris muscle)을 만든다. 이 근육은 턱끝근 가쪽의 아래턱뼈에서 시작하여 입꼬리의 다른 근육들과 섞이게 된다.[1]
2. 4. 추가 섬유
입둘레근은 눈둘레근과 같이 단순한 조임근이 아니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여러 층의 근섬유가 입 주변을 둘러싸 형성된다. 입둘레근의 섬유는 부분적으로는 입술에 닿는 다른 얼굴의 근육들에서 유래하며, 그 외에는 입둘레근 자체적인 섬유도 존재한다. 전자의 경우 상당한 수가 볼근에서 유래하며 입둘레근 깊은층을 형성한다. 볼근 중간 쪽의 일부 섬유는 입꼬리에서 서로 교차하여, 위턱뼈에서 일어난 섬유가 아랫입술로 향하고 아래턱뼈에서 일어난 섬유가 윗입술로 향한다. 볼근의 가장 위쪽과 아래쪽 섬유는 교차하지 않고 입술을 가로질러 연속된다.깊은층보다 얕은 쪽에는 둘째 층이 존재한다. 둘째 층은 입꼬리에서 서로 교차해서 온 입꼬리올림근과 입꼬리내림근의 섬유에 의해 형성된다. 입꼬리올림근에서 온 섬유는 아랫입술로, 입꼬리내림근에서 온 섬유는 윗입술로 가서 정중선 근처의 피부에 닿는다. 이에 더해 윗입술올림근, 광대근, 아랫입술내림근에서 온 섬유들이 입꼬리올림근과 입꼬리내림근의 가로 방향 섬유와 섞인다. 입술의 고유한 섬유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입술이 두껍기 때문에 피부의 아래쪽 표면에서 점막으로 향한다.
마지막으로 위로는 위턱뼈와 코사이막(비중격), 아래로는 아래턱뼈와 연결되는 섬유가 발생한다. 윗입술에서는 이로 인해 가쪽과 안쪽에 두 개의 띠가 생긴다. 가쪽의 띠(incisivus labii superioris muscle)는 가쪽 앞니 반대편에 위치한 위턱뼈의 치조연(alveolar border)에서 시작되고 가쪽으로 휘어 입꼬리의 다른 근육들로 연속된다. 안쪽 띠(nasolabialis muscle)는 윗입술과 코사이막 뒤쪽을 연결한다.
양쪽의 안쪽 띠 사이 오목하게 들어간 공간을 인중이라고 하며, 코사이막 아래부터 윗입술까지 존재한다. 아랫입술에 나타나는 추가적인 섬유는 정중선 양쪽에 근육 슬립(incisivus labii inferioris muscle)을 만든다. 이 근육은 턱끝근 가쪽의 아래턱뼈에서 시작하여 입꼬리의 다른 근육들과 섞이게 된다.
3. 지배 신경
4. 임상적 중요성
아기는 입둘레근 한쪽 또는 양쪽이 없는 채 태어날 수 있는데, 이 경우 영향받은 쪽의 얼굴이 약간 아래로 처지게 된다.[1]
5. 관악기 연주와의 관련성
관악기 연주에서 입둘레근은 높은 근육 활동을 보인다.[5] 트럼펫 연주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숙련된 연주자가 초보 연주자에 비해 아랫입술보다 윗입술 입둘레근의 활동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보 연주자는 윗입술과 아랫입술 입둘레근 활동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6]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금관악기 연주 실력 향상을 위한 새로운 연습 지표 검토에 활용되고 있다.[7]
참조
[1]
웹사이트
Muscles - Facial
http://www.bbc.co.uk[...]
BBC : Science & Nature : Human Body & Mind
2010-10-03
[2]
웹사이트
orbicularis oris muscle
http://medical-dicti[...]
TheFreeDictionary : Mosby's Dental Dictionary, 2nd edition
2010-10-03
[3]
서적
Anatomy & Physiology: The Unity of Form and Function
McGraw Hill
[4]
논문
顔面表情筋(眼輪筋および口輪筋)の支配神経に関する研究
https://doi.org/10.1[...]
昭和大学昭和医学会
2012-12
[5]
논문
管楽器演奏時の顎機能解析
"[[日本顎口腔機能学会]]"
2007-02-28
[6]
논문
Electromyography of lip muscles and their role in trumpet playing.
American Physiological Society
1973-12-01
[7]
논문
금관악기 연주 동작의 향상을 위한 연습 지표의 제안 —앙부슈어의 형태를 일정한 상태로 유지한다는 것—
https://doi.org/10.7[...]
"[[전기학회]]"
2011-10-01
[8]
웹인용
orbicularis oris muscle
http://medical-dicti[...]
TheFreeDictionary : Mosby's Dental Dictionary, 2nd edition
2010-10-03
[9]
웹인용
Muscles - Facial
http://www.bbc.co.uk[...]
BBC : Science & Nature : Human Body & Mind
2010-10-03
[10]
서적
Anatomy & Physiology: The Unity of Form and Function
McGraw Hi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