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관악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악기는 공기를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악기를 통칭하며, 크게 목관 악기와 금관 악기로 분류된다. 목관 악기는 리드를 진동시키거나 공기를 불어넣어 소리를 내고, 금관 악기는 연주자의 입술을 진동시켜 소리를 낸다. 소리 생성 원리는 관 내부의 공기 기둥에 정상파를 발생시키는 것이며, 관의 길이, 구멍, 밸브 등을 조절하여 음높이를 변화시킨다. 관악기는 소리 생성 방식에 따라 분류되며, 연주자의 신체와 벨(bell)의 형태도 음색에 영향을 미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관악기 - 아울로스
    아울로스는 고대 그리스의 관악기로, 갈대 재료 설과 프리지아 유래 설이 있으며 기원전 3000년경부터 지중해 지역에서 사용되었고 군악, 애가, 제례, 극 등 다양한 사회적 환경에서 사용되었으며 마르시아스가 아폴론과의 음악 경연에 사용한 악기로도 알려져 있다.
  • 관악기 - 단소
    단소는 맑고 청아한 음색을 지닌 한국 전통 악기로, 대나무로 만들어지며 조선 후기에 퉁소를 개량하여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독주나 병주, 줄풍류, 세악 등 다양한 음악에 활용되며 현대에는 교육용, 북한에서는 배합관현악에 이용된다.
  • 공기울림악기 - 파이프 오르간
    파이프 오르간은 파이프의 진동으로 소리를 내는 건반 악기로, 수많은 파이프와 풍압 시스템, 건반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음색을 내며, 교회 음악과 콘서트 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고 건축물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 공기울림악기 - 튜바
    튜바는 고대 로마 시대 관악기 명칭을 딴 저음 금관악기로, 19세기 초 빌헬름 비프레히트와 요한 고트프리트 모리츠가 개발하여 리하르트 바그너 작품을 통해 오케스트라에 채용되었으며, 피스톤이나 회전 밸브를 사용하고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여러 장르에서 활용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관악기
개요
다양한 관악기
다양한 관악기
분류기명악기
분류 설명(기명악기 중에서도 에어로폰에 속함)
소리 발생 원리공기 진동
주요 재료나무, 금속, 플라스틱 등
연주 방법입으로 불거나 기계적 장치를 통해 공기를 불어넣어 소리 냄
주요 종류목관악기
금관악기
건반악기(오르간, 아코디언)
리드 악기
구조 및 원리
공명체관 내부 공기
진동체입술 (금관악기)
리드 (목관악기, 리드 악기)
공기 자체 (플루트류)
음높이 조절관 길이 변화
밸브, 키 사용
구멍 막고 열기
입술이나 호흡 조절
역사
기원고대 문명부터 사용
발전중세, 르네상스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와 기능으로 발전
사용고대 종교 의식
군사 행진
오케스트라
밴드
독주 악기
분류 (세부)
목관악기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바순
색소폰
금관악기트럼펫
트롬본
호른
튜바
리드 악기생황
피리
하모니카
건반악기오르간
아코디언
기타백파이프
오카리나
피콜로
리코더
음향학적 특징
음색악기 구조, 재료, 연주 방법에 따라 다양함
음역악기 종류에 따라 다양함
음량악기 종류 및 연주 방법에 따라 다양함
연주 기법
호흡정확한 호흡 조절 필수
앙부슈어입술 모양과 압력 조절
텅잉혀를 사용하여 음을 끊어 연주
비브라토음에 떨림을 주는 기법
슬러음을 끊지 않고 부드럽게 연결하는 기법

2. 분류

관악기는 일반적으로 목관 악기와 금관 악기 두 가지로 분류된다.[1]

목관 악기는 원래 나무로, 금관 악기는 금관으로 만들어졌지만, 오늘날에는 악기 재료가 아닌 소리 생성 방식에 따라 분류된다. 혼보스텔-삭스 분류 체계에서는 관악기를 에어폰으로 분류한다.

일반적으로 “호흡 등 공기의 흐름에 의해 발음하는 악기 중 적어도 한쪽 끝이 막히지 않은 속 공기의 진동을 이용해 소리를 내는 악기의 총칭”으로 설명되지만, 이는 명백한 오류이다. “관”이라는 글자는 단순히 악기의 공진계 형태를 나타낼 뿐, 관 모양이 아닌 관악기나 공진계를 갖지 않은 관악기도 존재한다. 따라서 정확하게는 “적어도 1개의 개구부를 가진 공동(空洞)을 향해 불어넣어진 기체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이용하여 소리를 내는 악기의 총칭”으로 정의해야 한다.

“관악기”에 대응하는 인도유럽어는 예를 들어 영어로는 “Wind instrument영어(바람 악기, 숨 악기)”, 독일어로는 “Blasinstrumentde(부는 악기)”, 프랑스어로는 “Instrument à vent프랑스어(바람 악기)”이므로, “관” 모양일 필요는 전혀 없다. 이는 완전한 오역[15]이며, “오카리나는 관악기가 아니다”라는 오해를 낳는 근원이 되고 있다. 문헌에 따라서는 “관악기”라고 부르는 것을 피하고, 독일어에 준하여 “취주악기”라고 표기하기도 하는데,[16] 이쪽이 명백히 적절한 번역이다. 오르간은 관악기에 분류되지만, 연주자의 숨이 아닌 기계로 취주된다.

2. 1. 목관 악기

관악기는 크게 목관 악기와 금관 악기로 분류한다. 역사적으로 유럽에서 목관 악기는 나무로, 금관 악기는 금속으로 만들어 왔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지만, 오늘날엔 목관 악기인 플루트색소폰은 금속으로, 금관 악기인 코르넷은 나무로 만드는 등 재료에 따른 구분은 없어졌다.

금관 악기는 입술을 진동시켜 소리를 내고 목관 악기는 리드를 진동시키거나 숨을 불어넣어 소리를 낸다. 금관 악기에서는 같은 관 길이로 여러 종류의 배음을 만들 수 있어서 3개의 밸브만을 쓰지만, 목관 악기는 보통 바로 윗 배음(개방관의 경우 제2배음, 폐쇄관의 경우 제3배음)까지 오버블로할 수 있을 뿐이며 나머지 음정은 관에 뚫린 구멍과 건을 써서 조절한다.[1]

목관 악기는 원래 나무로 만들어졌지만, 악기는 사용되는 재료가 아니라 소리가 생성되는 방식에 따라 분류된다. 예를 들어, 색소폰은 일반적으로 금관으로 만들어지지만, 진동하는 리드로 소리를 생성하기 때문에 목관 악기에 속한다. 반면, 나무로 만들어진 디제리두, 코넷(현대의 코르넷과 혼동하지 말 것)과 서펜트 그리고 올리펀트(상아로 만들어짐)는 모두 나무(또는 플라스틱)로 만들어졌지만, 진동이 연주자의 입술에 의해 시작되기 때문에 금관 악기에 속한다.

목관 악기에서 연주자는 다음 중 하나를 수행한다.

2. 2. 금관 악기

금관 악기는 입술을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관악기이다. 목관 악기와는 달리, 금관 악기는 같은 관 길이로 여러 종류의 배음을 만들 수 있어서 3개의 밸브만을 쓴다.[1]

프랑스호른, 트럼펫, 트롬본, 유포니엄, 튜바 등이 금관 악기에 속한다. 역사적으로 유럽에서 금관 악기는 금속으로 만들어졌지만, 오늘날엔 나무로 만든 코르넷도 있다. 디제리두, 코넷(현대의 코르넷과 혼동하지 말 것), 서펜트, 올리펀트(상아로 만들어짐)는 모두 나무(또는 플라스틱)로 만들어졌지만, 진동이 연주자의 입술에 의해 시작되기 때문에 금관악기에 속한다.

금관 악기에서는 연주자의 입술 자체가 진동하여 악기 내부의 공기가 진동한다.

3. 소리 생성 원리

관악기는 길다란 파이프 속 공기 기둥(기주)에 정상파를 일으켜 소리를 낸다. 관악기는 파이프 양쪽 끝이 외부 공기와 통해 있는 양단개구(兩端開口) 형태이며, 열린 끝 부분에서 공기 분자가 진동하기 쉬워 정상파의 배(腹) 부분을 맡는다. 정확히는 안지름(내경, 內徑) d인 파이프에서 배의 위치는 관 끝에서 약 0.3d 떨어진 곳에 있다.[17]

관악기 소리 생성은 공명실(공명기)에 연결된 유량 제어 밸브로 공기가 유입되며 시작된다. 공명기는 보통 한쪽 끝이 열린 긴 원통형이나 원뿔형 관이다. 밸브에서 나온 고압 펄스는 음속으로 관을 따라 이동하고, 열린 끝에서 저압 반사 펄스로 반사된다. 적절한 조건에서 밸브는 에너지가 증가된 펄스를 다시 반사하여 관 내부에 정상파가 형성될 때까지 반복한다.

일반적으로 관악기는 "호흡 등 공기의 흐름에 의해 발음하는 악기 중 적어도 한쪽 끝이 막히지 않은 속 공기의 진동을 이용해 소리를 내는 악기의 총칭"으로 설명되지만, 이는 명백한 오류이다.

"관"이라는 글자는 단순히 악기 공진계의 형태를 나타낼 뿐, 관 모양이 아닌 관악기나 공진계를 갖지 않은 관악기도 존재한다. 정확하게는 "적어도 1개의 개구부를 가진 공동(空洞)을 향해 불어넣어진 기체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이용하여 소리를 내는 악기의 총칭"으로 정의해야 한다.

"관악기"에 대응하는 인도유럽어는 영어로는 "Wind instrument(바람 악기, 숨 악기)", 독일어로는 "Blasinstrument(부는 악기)", 프랑스어로는 "Instrument à vent(바람 악기)"이므로, "관" 모양일 필요는 전혀 없다. 이는 완전한 오역[15]이며, "오카리나는 관악기가 아니다"라는 오해를 낳는 근원이 되고 있다. 일부 문헌에서는 "관악기"라는 표현을 피하고 독일어에 준하여 "취주악기"라고 표기하기도 하는데,[16] 이쪽이 명백히 적절한 번역이다. 오르간은 관악기로 분류되지만, 연주자 숨이 아닌 기계로 취주된다.

관악기는 목관악기금관악기로 나뉜다. 과거에는 악기 재질로 구분했지만, 현재는 발음 원리에 따라 입술 진동으로 소리를 내는 것을 금관악기, 그 외 관악기를 목관악기로 분류한다. 따라서 오늘날 플루트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음에도 목관악기로 분류되는 등, 이름과 실제 악기 분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불어넣은 공기로 인해 악기, 인체 일부, 또는 공기 자체가 진동하여 진동원이 된다. 발생한 진동에 대해 악기 공동 내부 공기가 공명하여 소리가 발생한다. 공동은 관 모양일 필요는 없으며, 하모니카처럼 공명계를 갖지 않는 악기도 있다. 오카리나는 관 모양이 아니고, 불규칙한 형태 내부 공간 공기가 공명하여 소리가 발생한다.

3. 1. 진동 방식

관악기의 소리는 길다란 파이프 속 공기 기둥(氣柱)에 정상파를 일으켜 만들어진다. 이 악기들은 파이프 양쪽 끝이 외부 공기와 통해 있는 양단개구(兩端開口) 형태이다. 열린 끝 부분에서 공기 분자는 진동하기 쉬워 정상파의 배(腹) 부분을 맡는다. 정확히는 안지름(내경, 內徑) d인 파이프에서 배의 위치는 관 끝에서 약 0.3d 떨어진 곳에 있다.[17]

진동수는 입술을 여닫는 정도로 입술 진동수를 조절하고, 이것이 기주에 공명되어 제5배음 높이까지 소리를 낼 수 있게 한다. 원음이 포함되어 있지만, 6개의 음계만으로는 신호나팔 정도의 역할밖에 할 수 없다. 그래서 트롬본은 파이프 중간에 U자형 슬라이드를 설치하여 관 길이를 조절하고, 코넷이나 프렌치 호른은 밸브를 눌러 분지관(分枝管) 길이만큼 길이를 늘려 6음 사이 음정을 메우고 음계를 완성한다. 플루트와 클라리넷은 흔히 목관악기로 불리는 유공관(有孔管)악기이다.[17]

플루트는 한국의 횡적(橫笛)·퉁소(洞簫)와 같이, 피리 주둥이(마우스피스, mouth piece)에 세찬 바람을 불어 넣어 발생하는 공기 소용돌이 진동으로 기주에 정상파를 일으킨다. 손가락으로 막았던 소리 구멍을 열면 그 자리가 한쪽 개구단이 되고, 주둥이는 다른 한쪽 개구단이 된다. 따라서 손가락을 여닫아 음계를 만든다. 같은 손가락 위치에서도 원진동과 제1배진동은 1옥타브 음정 차이가 난다.[17]

하지만 실제 퉁소와 같은 관악기는 소리 구멍에 대한 배 위치를 엄밀하게 지정하기 어렵다. 클라리넷이나 색소폰 등은 주둥이에 혀(reed)를 끼워 떨리게 하여 기주에 정상파를 발생시킨다. 하모니카나 리드 오르간은 이러한 진동을 적극적으로 이용한다. 리드에는 보통 등(藤)이나 대나무가 쓰인다.[17]

다른 음높이를 연주하기 위해 여러 길이의 관을 사용하는 방법(파나플루트 등)이 있으며, 이러한 악기들은 여러 음을 동시에 연주할 수 있다.

관 길이를 바꾸어 진동하는 공기 기둥 길이를 바꾸는 방법도 있다.

  • 밸브(회전 밸브, 피스톤 밸브)를 사용해 추가 관을 통해 공기를 보내 전체 관 길이를 늘리고 기본 음높이를 낮춘다. 이 방법은 거의 모든 금관악기에 사용된다.
  • 슬라이드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관을 길게하거나 짧게 한다. 이 방법은 트롬본과 슬라이드 휘슬에 사용된다.
  • 관 측면 구멍을 열거나 닫아 진동수를 바꾼다. 손가락으로 구멍을 막거나 키를 눌러 닫는 방식으로, 거의 모든 목관악기에 사용된다.
  • 공기 기둥 길이를 바꾸지 않고 다른 배음으로 공기 기둥을 진동시키는 방법(자연호른 및 배음렬 참조)도 있다.


거의 모든 관악기는 음역을 넓히기 위해 마지막 방법을 사용하며, 다른 방법 중 하나와 결합하기도 한다.

모든 관악기 소리는 공명실(공명기)에 연결된 유량 제어 밸브로 공기가 유입되며 생성된다. 공명기는 보통 한쪽 끝이 열린 긴 원통형/원뿔형 관이다. 밸브에서 나온 고압 펄스는 음속으로 관을 따라 이동하고, 열린 끝에서 저압 반사 펄스로 반사된다. 적절한 조건에서 밸브는 에너지가 증가된 펄스를 다시 반사하여 관 내부에 정상파가 형성될 때까지 반복한다.

  • '''리드''' 악기(클라리넷, 오보에 등): 마우스피스에 유연한 리드가 있어 압력 제어 밸브를 형성한다. 챔버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리드에 걸리는 압력 차이가 감소, 리드가 더 열려 공기 흐름이 증가한다.[2][3] 공기 흐름 증가는 내부 압력을 더 높여, 마우스피스에 도달하는 고압 펄스는 더 높은 압력 펄스로 관 아래로 반사된다. 관 내부 정상파는 4분의 1파장 홀수 배수,[4] 마우스피스에는 압력 배마디, 열린 끝에는 압력 마디가 있다. 리드는 공명기에 의해 결정되는 속도로 진동한다.

  • '''입술 리드'''(금관악기): 연주자는 입술 긴장을 조절하여 공기 흐름 영향으로 진동하게 한다.[5][6] 마우스피스에 저압 펄스가 도착했을 때 입술이 가장 닫히고 공기 흐름이 가장 낮아지도록 진동을 조절, 관 아래로 저압 펄스를 반사한다. 관 내부 정상파는 4분의 1파장 홀수 배수, 마우스피스에는 압력 배마디, 열린 끝에는 압력 마디가 있다.

  • '''에어 리드'''(플루트, 피플 플루트): 관 구멍(입) 위로 흐르는 얇은 공기 시트(평면 제트)가 날카로운 가장자리(라비움)와 상호 작용하여 소리를 생성한다.[7] 제트는 연주자가 얇은 슬릿(플루)을 통해 불 때 생성된다. 리코더와 플루트 오르간 파이프는 슬릿이 악기 제작자가 제작, 고정 형태를 갖는다. 트랜스버스 플루트나 팬 플루트는 슬릿이 연주자 입술 사이에 형성된다.


관 음향 진동으로 관 내부 공기는 번갈아 압축, 팽창된다.[8] 이로 인해 관 입구를 통해 관 안팎으로 공기가 번갈아 흐른다. 횡 방향 음향 흐름과 평면 공기 제트 상호 작용은 플루 출구(제트 기원)에서 제트 속도 프로파일 국소적 변동을 유도한다. 이 변동은 유체가 라비움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트 고유 불안정성에 의해 크게 증폭, 라비움에서 제트 전반적인 횡 방향 운동을 일으킨다.

제트 고유 불안정성에 의한 제트 변동 증폭은 담배 연기 기둥을 볼 때 관찰 가능하다. 담배를 잡은 손의 작은 진폭 운동은 위쪽으로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기둥 진동을 유발, 결국 혼돈 운동(난류)을 일으킨다. 같은 제트 진동은 다른 손으로 흔들면 확인 가능한 방의 부드러운 공기 흐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라비움 주변 제트 진동은 라비움에 공기 흐름 변동력을 유발한다. 뉴턴의 제3법칙에 따라 라비움은 흐름에 반대되는 반작용력을 가한다. 이 반작용력이 관 음향 진동을 유발하는 소리 근원이다.

이러한 소리 발생 본질에 대한 정량적 설명은 Alan Powell[9]이 관 없는 날카로운 가장자리와 상호 작용하는 평면 제트(소위 에지톤) 연구에서 제공했다. 에지톤에서 방출되는 소리는 제트 흐름이 날카로운 가장자리(라비움)에 유발하는 불안정한 힘 측정으로 예측 가능하다. 물체 주변 흐름 불안정한 힘에 대한 벽 반응으로 소리가 생성되는 것은 공기 흐름에 수직 배치된 실린더 에올리언 소리(싱잉 와이어 현상)를 생성하기도 한다. 이 모든 경우(플루트, 에지톤, 에올리언 톤…)에서 소리 생성에는 벽 진동이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플루트 재료는 소리 생성 원리와 관련 없다. 금 플루트와 은 플루트 사이 본질적 차이는 없다.[10]

플루트 소리 생성은 관이 음향 진동(질량-스프링 시스템, 공명기)으로 작용, 관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고유 주파수에서 진동하는 것을 선호하는 집중 요소 모델로 설명 가능하다. 제트 불안정성은 플루 출구에서 정상 제트 흐름으로부터 라비움 주변 진동 흐름으로 에너지 전달하는 증폭기 역할을 한다. 관은 제트와 함께 피드백 루프를 형성한다. 이 두 요소는 플루 출구와 라비움에서 결합된다. 플루 출구에서 관 횡 방향 음향 흐름은 제트를 방해한다. 라비움에서 제트 진동은 관 진동을 유지하는 음향파를 생성한다.

관 음향 흐름은 정상 진동의 경우 정상파로 설명 가능하다. 이러한 파는 입구에 압력 마디가 있고 반대쪽 열린 관 말단에 또 다른 압력 마디가 있다. 이러한 열린-열린 관 내부 정상파는 반파장 배수가 된다.[4]

대략적 근사치로, 약 40cm 관은 다음 지점 근처에서 공진을 보인다.

  • 리드/입술 리드 악기: 220Hz(A3), 660Hz(E5), 1100Hz(C#6).
  • 에어 리드 악기: 440Hz(A4), 880Hz(A5), 1320Hz(E6).


그러나 실제 관악기에서 음악적으로 유용한 음역을 얻는 것은 악기 설계 및 연주 기법에 크게 의존한다.

진동 모드 주파수는 공기 중 음속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공기 밀도에 따라 달라진다. 온도 변화와, 훨씬 작은 정도지만 습도 변화도 공기 밀도와 음속에 영향, 관악기 조율에 영향을 미친다. 금관악기조차 관악기 열팽창 효과는 공기에 대한 열 효과에 비해 무시할 수 있다.

불어넣은 공기로 인해 악기/인체 일부, 또는 공기 자체가 진동하여 진동원이 된다.

  • 싱글리드(단簧): 얇은 판 하나(리드)에 공기를 불어넣으면, 악기 일부에 부딪혀 되돌아오면서 진동한다. 클라리넷 계열, 색소폰 계열.
  • 더블리드(복簧): 두 장 리드를 맞대고 그 사이로 공기를 불어넣으면, 리드가 서로 부딪혀 되돌아오면서 진동한다. 오보에 계열, 파고트 계열,
  • 프리리드(자유簧): 자유롭게 진동하는 얇은 판에 공기를 불어넣어 진동시킨다. 하모니카, 리드오르간,
  • 에어리드(무簧): 불어넣은 공기 자체가 리드가 되어 진동한다. 즉, 눈에 보이는 리드는 없다. 공기 묶음(에어빔)을 악기 모서리(에지)에 대면 공기 흐름에 흐트러짐이 생기고, 이것이 진동원이 된다. 플루트 계열, 리코더, 尺八, 샤쿠하치.
  • 립리드(입술簧): 입술을 살짝 맞대고 그 사이로 숨을 내쉬면 입술이 진동한다. 여기에 악기 취구를 댄다. 트럼펫, 호른,


이 중 립리드 관악기를 금관악기, 그 이외를 목관악기라고 부른다. 악기 재질과는 관계없다.

3. 2. 개관과 폐관

관악기의 소리를 내는 원리는 길다란 파이프 속의 기주(氣柱)에 정상파를 일으키는 데에 있다. 관악기는 파이프의 양단이 외기에 통하고 있는 양단개구(兩端開口)의 형태이다. 개구단(開口端)에서 공기 분자는 진동하기가 쉽기 때문에 정상파 중에서 배(腹)의 부분을 맡는다. 정확히 말하면 내경(內徑) d의 파이프에 대해 배의 위치는 관단(管端)에서 약 0.3d 떨어진 곳에 있다.[17]

폐관(閉管)은 한쪽 끝이 막힌 관이고, 개관(開管)은 양쪽 끝이 모두 열린 관이다. 폐관 구조의 관(공명체)은 공명 구조가 관 길이의 배가 되어, 같은 길이의 개관보다 약 1옥타브 낮은 음이 난다. 이때 공명체는 홀수 배음만 울린다. 적당한 파이프의 한쪽 끝을 입술에 대고 불 때 나는 소리와, 한쪽 끝을 손바닥으로 막고 칠 때 나는 소리를 비교해 보면 알 수 있다.

단, 관이 원뿔 모양이고 넓은 쪽 입구가 막히지 않은 관은 원통형 개관과 마찬가지로 짝수 배음도 울리므로 개관 악기로 분류된다. 현대 서양 음악의 관악기 중에서는 클라리넷 계열만이 폐관 악기이다(클라리넷의 관은 끝부분만 넓어지고 다른 부분은 거의 두께가 일정하여 거의 원통형이다). 오르간에도 폐관 구조를 가진 음전(스톱(스톱))이 있으며, 이것은 독특한 음색을 얻기 위한 것뿐만 아니라 관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설치 공간 절약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플루트의 특수 연주법인 텅램(tongue ram, tongue stop)은 본래 개관 구조인 악기의 한쪽을 입술이나 혀로 막아 폐관으로 울리게 함으로써, 단음이나 트레몰로이기는 하지만 보통보다 장7도 낮은 음을 얻을 수 있다(정확히 1옥타브 낮지 않은 것은 악기 공명체의 형태에 기인하는 차이이다).

; 음파의 파장과 주파수

발음체의 진동에 따라 관 속의 공기가 공진하여 음파가 발생한다. 이때 발생하는 음파는 다음과 같다.

  • 개관의 경우: 관 길이의 4배의 짝수 분의 1 (관 길이의 2배의 정수 분의 1)
  • 폐관의 경우: 관 길이의 4배의 홀수 분의 1


위의 파장과 같아지는 조건에서 공명하려고 한다. 음파의 주파수와 파장은 반비례 관계에 있다. 또한 음파의 주파수와 파장을 곱한 것은 음파의 전파 속도(음속)와 같다.[17]

\lambda\! = 파장(m)

\mathbf{f} = 주파수(Hz)

\mathbf{v} = 음파의 전파 속도(m/s)

\mathbf{l} = 관 길이(m)

라고 하면,

  • 개관의 경우:  \lambda\! = {2l \over n} , \mathbf{f} = {nv \over 2l}   (n = 1 이상의 정수)

  • 폐관의 경우:  \lambda\! = {4l \over o} , \mathbf{f} = {ov \over 4l}   (o = 1 이상의 홀수)


가 된다.

일반적으로 고음 악기는 관이 짧고, 저음 악기는 관이 길다고 할 수 있다. 또, 관의 길이가 같다면 폐관은 개관의 1/2의 주파수의 음, 즉 1옥타브 낮은 음을 얻을 수 있다.

3. 3. 음높이 조절

관악기는 길다란 파이프 속의 기주(氣柱)에 정상파를 일으켜 소리를 낸다. 파이프의 양 끝은 외기에 통해 있는 양단개구(兩端開口) 형태이다. 개구단(開口端)에서 공기 분자는 진동하기 쉬워 정상파의 배(腹) 부분을 맡는다. 정확히는 내경(內徑) d인 파이프에서 배의 위치는 관 끝에서 약 0.3d 떨어진 곳에 있다.[17]

진동수는 입술을 여닫는 정도로 조절하여 기주에 공명시켜 제5배음 높이까지 소리를 낼 수 있다. 하지만 6개의 음계만으로는 신호나팔 정도의 역할밖에 못한다. 그래서 트롬본은 파이프 중간에 U자형 슬라이드를 장치해 관의 길이를 바꾸고, 코넷이나 프렌치 호른은 밸브를 눌러 분지관(分枝管)의 길이만큼 관을 길게 하여 음계를 완성한다. 플루트와 클라리넷은 유공관(有孔管)악기다.[17]

플루트는 한국의 횡적(橫笛)·퉁소와 같이 마우스피스(mouth piece)에 세찬 바람을 불어 넣어 공기 소용돌이의 진동으로 기주에 정상파를 일으킨다. 손가락으로 막았던 소리 구멍을 열면 그 자리가 한쪽 개구단이 되고 주둥이는 다른 한쪽 개구단이 된다. 손가락을 여닫아 음계를 만들고, 같은 손가락 위치에서도 원진동과 제1배진동은 1옥타브 음정 차이가 난다.[17]

하지만 퉁소와 같은 관악기는 소리구멍에 대해 배의 위치를 엄밀히 지정하기 어렵다. 클라리넷이나 색소폰 등은 주둥이에 혀(reed)를 끼워 떨리게 하여 기주에 정상파를 발생시킨다. 하모니카나 리드 오르간도 이러한 진동을 적극적으로 이용한다. 리드에는 보통 등(藤)이나 대나무가 쓰인다.[17]

금관 악기는 입술을 진동시켜 소리를 내고, 목관 악기는 리드를 진동시키거나 숨을 불어넣어 소리를 낸다. 금관 악기는 같은 관 길이로 여러 배음을 낼 수 있어 3개의 밸브만 사용하지만, 목관 악기는 보통 바로 윗 배음(개방관은 제2배음, 폐쇄관은 제3배음)까지 오버블로할 수 있을 뿐이며, 나머지 음정은 관에 뚫린 구멍과 건을 써서 조절한다.[17]

음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여러 길이의 관을 사용하여 다른 음높이를 연주 (예: 파나플루트). 여러 음을 동시에 연주할 수 있다.
  • 밸브(회전 밸브, 피스톤 밸브)를 사용하여 추가 관을 통해 공기를 보내 전체 관의 길이를 늘리고 기본 음높이를 낮춘다. 거의 모든 금관 악기에 사용된다.
  • 슬라이드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관을 길게하거나 짧게 하여 진동하는 공기 기둥의 길이를 바꾼다. 트롬본과 슬라이드 휘슬에 사용된다.
  • 관 측면의 구멍을 열거나 닫아 진동수를 바꾼다. 손가락으로 구멍을 막거나 키를 눌러 닫는다. 거의 모든 목관 악기에 사용된다.
  • 공기 기둥의 길이를 바꾸지 않고 다른 배음으로 공기 기둥을 진동시킨다 (자연 호른 및 배음렬 참조).


거의 모든 관악기는 음역을 넓히기 위해 마지막 방법을 사용하며, 종종 다른 방법 중 하나와 결합한다.

3. 4. 벨 (Bell)

B♭ 클라리넷의 벨


관악기의 '''벨'''은 마우스피스 반대쪽에 있는 둥글고 벌어진 구멍이다. 클라리넷, 색소폰, 오보에, 호른, 트럼펫 등 여러 종류의 악기에 존재한다. 금관악기의 경우 모든 음에서 관(bore)에서 외부 공기로의 음향 결합이 벨에서 일어나며, 벨의 모양은 이 결합을 최적화한다. 또한 악기의 공진을 변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1] 목관악기의 경우, 대부분의 음은 가장 위쪽의 열린 음공에서 배출되지만, 각 레지스터의 가장 낮은 음만 벨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배출되며, 이 경우 벨의 기능은 이러한 음과 다른 음 사이의 음색 일관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4. 특징

관악기 소리는 ‘관’ 자체의 소리가 아니라 관 내부의 공기 기둥 진동에 의한 소리가 주요 부분을 차지하므로, 관의 재질이나 두께는 음높이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음색에도 기본적으로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금관악기는 한쪽 끝이 점차 넓어지는 형태(나팔꽃 모양, 벨)를 하고 있는데, 이것은 관 내부의 공기 기둥 진동이 주변 공간으로 효율적으로 방사되도록 음향 임피던스의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것이다. 목관악기는 이러한 구조가 전혀 없거나, 있다 하더라도 벨의 넓어지는 정도가 작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금관악기목관악기보다 큰 소리가 난다.

연주자의 신체도 음색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구강이나 인두 내부 공간을 넓히는 방법, 울림을 조절하는 방법의 차이가 음색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점에서 인체도 악기의 일부를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관은 구부릴 수 있다. 구부려도 음색에 큰 영향은 없다. 관을 구부릴 때는 금속 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먼저 곧은 상태의 관에 을 채우고, 그것을 얼린 상태로 구부린다. 원래는 녹인 을 사용했지만, 냉동 기술이 확립된 이후로는 물이 사용되게 되었다.

5. 건강 문제

일부 관악기, 특히 높은 압력으로 숨을 불어넣어야 하는 악기를 연주하면 안압이 상승하는데, 이는 녹내장의 잠재적 위험과 관련이 있다. 2011년 한 연구에서는 금관악기와 목관악기 연주 시 "일시적이고 때로는 극적인 안압 상승과 변동"을 관찰했다.[12] 또 다른 연구에서는 안압 상승 정도가 악기와 관련된 구강 내 저항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고저항 관악기를 연주하여 안압이 간헐적으로 상승하는 것이 시야 손실 발생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밝혔다.[13] 인디언 플루트와 같은 다양한 민족 관악기에서 사용되는 구강 내 압력 범위는 일반적으로 서양 클래식 관악기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14]

참조

[1] 서적 Musical Instruments Through the Ages Pelican
[2] 서적 Fundamentals of Musical Acoustics Dover
[3] 웹사이트 Clarinet Acoustics: an Introduction http://www.phys.unsw[...]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2010-12-12
[4] 웹사이트 Open vs. Closed Pipes http://www.phys.unsw[...]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2010-12-12
[5] 서적 Fundamentals of Musical Acoustics
[6] 웹사이트 Brass Instrument (Lip Reed) Acoustics: an Introduction http://www.phys.unsw[...]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2010-12-12
[7] 논문 Aeroacoustics of Musical Instruments https://ris.utwente.[...] 2012
[8] 웹사이트 Flute Acoustics: an Introduction http://www.phys.unsw[...]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2010-12-12
[9] 논문 On the Edgetone 1961
[10] 논문 Effect of material on flute tone quality 1971
[11] 웹사이트 Producing a harmonic sequence of notes with a trumpet http://hyperphysics.[...]
[12] 논문 Intraocular Pressure Fluctuations in Professional Brass and Woodwind Musicians During Common Playing Conditions
[13] 논문 Increased Intraocular Pressure and Visual Field Defects in High Resistance Wind Instrument Players 2000-01-00
[14] 백과사전 Intraoral Pressure in Ethnic Wind Instruments http://www.Flutopedi[...] 2013-08-00
[15] 문서 "Wind instrument"의 잘못된 번역에 대한 설명
[16] 서적 音楽工学 誠文堂新光社
[17] 웹사이트 관악기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