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볼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근은 위턱뼈와 아래턱뼈에서 시작하여 입꼬리로 이어지는 얼굴 근육이다. 이 근육은 뺨을 납작하게 하고, 음식을 씹는 동안 뺨이 이빨에 붙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 휘파람을 불거나 미소 짓는 것, 모유 수유에도 관여한다. 얼굴신경의 볼가지와 삼차신경의 아래턱신경 볼가지로부터 신경 지배를 받는다. 볼근의 이름은 라틴어 'buccinator'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트럼펫 연주자를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경부 근육 - 빗모뿔근
    빗모뿔근은 목소리를 내는 데 중요한 후두 내재근으로, 윤상연골에 부착되어 서로 교차하며, 혈액과 신경 공급을 받아 후두 입구를 보호하는 괄약근 역할을 한다.
  • 두경부 근육 - 얼굴근육
    얼굴근육은 표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뇌졸중, 벨 마비 등으로 손상되어 얼굴마비를 유발할 수 있다.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목동맥고랑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의학 용어집
    의학 용어집은 의학 분야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를 모아놓은 목록으로, 인체 해부학적 용어인 '복부'와 희귀 유전 질환인 '아르스코그-스콧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볼근
개요
볼근 강조 표시
볼근 (빨간색으로 표시)
라틴어 이름musculus buccinator
영어 이름buccinator muscle
설명볼근은 뺨을 이빨에 대고 압축하며, 불기와 같은 행위에 사용됨. 씹기의 보조 근육이며, 신생아의 경우 젖을 빠는 데 사용됨.
세부 정보
이는 곳위턱뼈아래턱뼈의 이틀돌기, 볼근능선, 턱관절
닿는 곳입둘레근의 섬유
혈액 공급볼동맥
신경 지배얼굴신경의 볼가지 (VII 뇌신경)
기타 정보
기능구각을 외측으로 당기고, 볼을 치열에 압박하는 작용을 함

2. 구조

볼근은 위턱뼈와 아래턱뼈의 이틀돌기 바깥쪽 표면에서 시작되며, 이 부분은 세 쌍의 뒷어금니에 대응한다. 이는곳은 사랑니 뒤쪽에 위치한 볼근능선[25]부터 뒤쪽으로는 볼근을 위인두수축근과 나누는 날개아래턱솔기의 앞쪽 경계까지 이른다.

근섬유는 입꼬리를 향해 가며 합쳐지고 중심의 섬유는 서로 교차한다. 중간 부분의 섬유 중 아래쪽의 것은 입둘레근의 위쪽 부분과 연속되고, 위쪽의 것은 입둘레근 아래쪽 부분과 연속된다. 볼근의 위쪽과 아래쪽 섬유는 교차하지 않고 대응되는 입술 쪽으로 연속된다.

귀밑샘관과 어금니샘이 볼근을 관통한다. 사람의 경우, 볼근은 위턱뼈 큰 어금니 부분의 이틀돌기 바깥쪽 면과 아래턱뼈 큰 어금니 부분의 볼근능선에서 시작된다. 볼근이 닿는 곳은 입의 피부이며, 입꼬리에서는 모디오루스를 형성한다.[16] 볼근은 치열에 딱 맞게 자리 잡은 깊은 층의 근육이며, 이는 CT 영상으로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2. 1. 신경 분포

볼근의 운동신경 분포는 얼굴신경(제7뇌신경)의 볼가지에 의해 이루어진다. 감각신경의 경우 삼차신경(제5뇌신경)에서 나온 아래턱신경의 볼가지(근육가지 중 하나)가 분포한다.[26][6]

3. 기능

볼근은 입꼬리를 뒤로 당기고 뺨을 납작하게 하여 음식을 씹는 동안 뺨이 이빨에 붙어 있도록 만든다. 따라서 볼근은 음식이 계속해서 뒤쪽 이빨의 교합면(맞물림면) 쪽으로 당겨지도록 만든다. 이런 식으로 볼근은 씹는 동안 음식이 제대로 된 위치에 있게 하여 저작근을 보조한다.[24]

휘파람, 미소 짓기, 신생아의 수유를 돕는 역할도 한다.[4]

4. 날개아래턱솔기

익상돌기 갈고리와 하악골 사이에 걸쳐 있는 인대이다.[17][18][19]

결합 조직으로 이루어진 인대로, 하악골의 구치후 삼각의 바로 안쪽과 나비뼈 익상돌기 갈고리 사이를 직선으로 연결한다.[17][20] 이 봉선에서 볼근과 상인두수축근이 시작된다.[17][18][19]

구강 내에서 촉진할 수 있으며, 임상적으로는 전달 마취법의 일종인 하악공 전달 마취에서 주사 위치의 지표로 사용된다.

5. 어원

볼근(buccinator muscle)은 과거에 'bucinator'라고 쓰이기도 했다.[27] 고대 라틴어에서 'bucinator'는 트럼펫 연주자[28] 또는 더 정확히는 Buccina|부치나la를 연주하는 사람을 의미했다.[28] 'Bucina'라는 이름은 고대 로마에서는 구부러진 호른이나 트럼펫,[28] 양치기의 호른,[28] 전쟁의 트럼펫 등을 뜻했다.[28] 뺨을 의미하는 고대 라틴어 'bucca'와 형태는 비슷하지만,[28] 'bucinator', 'bucina', 'bucinere' ('부치나를 불다'라는 뜻[28]) 등의 단어들은 'bucca'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따라서 일부에서는 'buccinator'라는 철자에 반대하기도 했다.[29] 결국 'buccinator'라는 이름은 'bucca'에서 유래한 것은 아니지만, 볼근은 라틴어에서도 'musculus buccae',[30] 'musculus buccalis'[27] 등으로 불렸다.

가장 최근의 공식적인 라틴어 해부학 명명법인 해부학 용어집[31]과 그 이전 판인 해부학 명칭[32][33][34][35]에서는 c를 두 번 쓴 'musculus buccinator'라는 철자를 사용했다. 예외는 1935년 쓰인 Jena Nomina Anatomica에서 c를 한 번만 쓴 철자인 'musculus bucinatorius'를 사용한 것이다.[29]

6. 추가 이미지

왼쪽 위턱뼈의 바깥쪽 표면


아래턱뼈 바깥쪽 표면


입둘레근의 섬유 배열


오른쪽 속목동맥과 척추동맥


위턱신경, 아래턱신경, 턱밑신경절의 분포


아래턱의 신경 분포


구강의 모습


볼근

참조

[1] 간행물 Terminologia Anatomica
[2] 사전 OED 1989
[3] 웹사이트 Entry "buccinator" http://www.merriam-w[...]
[4] 서적 Illustrated Anatomy of the Head and Neck Elsevier 2012
[5] 서적 Woelfel's Dental Anatomy: Its Relevance to dentistry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6] 서적 Grant's Dissector
[7] 서적 An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Being a dictionary of the technical terms used by writers on medicine and the collateral sciences, in the Latin, English, French, and German languages D. Appleton and Company 1891–1893
[8] 서적 A Latin dictionary founded on Andrews' edition of Freund's Latin dictionary. Oxford: Clarendon Press 1879
[9] 서적 Nomina Anatomica. Zusammengestellt von der im Jahre 1923 gewählten Nomenklatur-Kommission, unter Berücksichtigung der Vorschläge der Mitglieder der Anatomischen Gesellschaft, der Anatomical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sowie der American Association of Anatomists, überprüft und durch Beschluß der Anatomischen Gesellschaft auf der Tagung in Jena 1935 endgúltig angenommen. Jena: Verlag Gustav Fischer 1949
[10] 서적 Synonymia anatomica. Synonymik der anatomischen Nomenclatur. Fürth: im Bureau für Literatur 1805
[11] 서적 Terminologia Anatomica Stuttgart: Thieme 1998
[12] 서적 Nomina Anatomica Amsterdam: Excerpta Medica Foundation 1966
[13] 서적 Nomina Anatomica, together with Nomina Histologica and Nomina Embryologica Amsterdam-Oxford: Excerpta Med 1977
[14] 서적 Nomina Anatomica, together with Nomina Histologica and Nomina Embryologica Baltimore/London: Williams & Wilkins 1983
[15] 서적 Nomina Anatomica, together with Nomina Histologica and Nomina Embryologica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 1989
[16] 논문 補綴治療のための機能解剖と筋組織に生じる変化 https://ir.tdc.ac.jp[...] 2009
[17] 서적 翼突下顎縫線 pterygomandibular raphe 는,翼突鈎と下顎の間に張った直線上の結合組織からなる靭帯である。下顎では,第三大臼歯のすぐ後方にある三角形の粗面に付着する。この靭帯は,上咽頭収縮筋と頬筋の起始部になっている。 2011
[18] 서적 翼突下顎縫線 pterygomandibular raphe ... は,上方の翼突鈎と下方の下顎の間に張る腱様の筋膜で,頬筋と上咽頭収縮筋がここから起こる。 2011
[19] 서적 翼突鈎 ... 翼突下顎縫線は,下顎との間に張る靭帯で,ここから上咽頭収縮筋と頬筋が起こる。 2011
[20] 서적 臼後三角 ... 翼突下顎縫線が,このすぐ内側に付着する。 2011
[21] 웹인용 A04.1.03.036 Entity Page https://ifaa.unifr.c[...] 2022-07-09
[22] 사전 옥스퍼드 영어 사전 OED 1989
[23] 웹사이트 Entry "buccinator" http://www.merriam-w[...]
[24] 서적 Illustrated Anatomy of the Head and Neck Elsevier 2012
[25] 서적 Woelfel's Dental Anatomy: Its Relevance to dentistry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6] 서적 Grant's Dissector
[27] 서적 An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Being a dictionary of the technical terms used by writers on medicine and the collateral sciences, in the Latin, English, French, and German languages D. Appleton and Company 1891–1893
[28] 서적 A Latin dictionary founded on Andrews' edition of Freund's Latin dictionary. Oxford: Clarendon Press 1879
[29] 서적 Nomina Anatomica. Zusammengestellt von der im Jahre 1923 gewählten Nomenklatur-Kommission, unter Berücksichtigung der Vorschläge der Mitglieder der Anatomischen Gesellschaft, der Anatomical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sowie der American Association of Anatomists, überprüft und durch Beschluß der Anatomischen Gesellschaft auf der Tagung in Jena 1935 endgúltig angenommen. Jena: Verlag Gustav Fischer 1949
[30] 서적 Synonymia anatomica. Synonymik der anatomischen Nomenclatur. Fürth: im Bureau für Literatur 1805
[31] 서적 Terminologia Anatomica Stuttgart: Thieme 1998
[32] 서적 Nomina Anatomica Amsterdam: Excerpta Medica Foundation 1966
[33] 서적 Nomina Anatomica, together with Nomina Histologica and Nomina Embryologica Amsterdam-Oxford: Excerpta Med 1977
[34] 서적 Nomina Anatomica, together with Nomina Histologica and Nomina Embryologica Baltimore/London: Williams & Wilkins 1983
[35] 서적 Nomina Anatomica, together with Nomina Histologica and Nomina Embryologica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 198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