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기보고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기보고서는 개인의 생각이나 경험을 스스로 보고하는 자료 수집 방법으로, 설문 조사나 면접 등의 형식을 포함한다. 자기보고 방식은 응답자의 주관적인 경험을 직접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응답자의 기억 오류,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 질문의 모호성 등으로 인해 신뢰도와 타당도가 낮아질 수 있다. 신뢰도는 측정의 일관성을, 타당도는 측정하려는 대상을 정확히 측정하는지를 의미하며, 이를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한국 사회에서는 여론 조사 등에서 활용되지만, 체면을 중시하는 문화적 특성상 솔직한 답변을 얻기 어려울 수 있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사 - 리얼미터
    리얼미터는 2005년 이택수가 설립한 대한민국의 여론조사 기관으로, ARS 여론조사 방식을 활용하여 매일 조사를 진행하며, 대통령 선거 여론조사 방식 논란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제재 이력이 있다.
  • 조사 - 비디오 리서치
    비디오 리서치는 일본의 시청률 조사 회사로, 주요 지역에서 가구 및 개인 시청률, 타임시프트 시청률을 조사하며, 온라인 미터 방식으로 발전했고, 공정성을 위해 엄격한 관리를 시행하지만, 과거 조작 사건 이후 조사 방법 개선과 함께 시청률 외 지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자기보고서
자기 보고 연구
유형설문 조사, 질문지 또는 여론 조사
설명참가자들에게 그들의 감정, 태도, 신념에 대해 묻는 것

2. 자기보고의 유형

자기보고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방식은 장단점을 지닌다.[1] 자기보고식 자료는 스스로 내면의 생각이나 경험을 외부로 드러낸다는 점에서 연구뿐만 아니라 개인에게도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자기 보고 방식은 응답자가 자신의 경험을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 주요 강점이다.[1] 설문 조사와 면접은 비교적 쉽고 빠르게 많은 사람들의 표본을 연구할 수 있게 해주며, 실제 상황에서 경험한 행동과 감정을 드러내도록 요청할 수 있다.[1]

그러나 응답자는 기억 문제나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 때문에 진실되게 응답하지 않을 수 있다.[1] 질문이 명확하지 않아 응답자가 질문을 정말로 이해했는지 알 수 없는 경우 유효한 데이터 수집이 어렵다.[1] 질문은 응답자가 특정 답변을 하도록 의도치 않게 강요하는 유도 질문일 수 있다.[1]

자기보고의 유형은 크게 설문 조사와 면접으로 나눌 수 있다.

2. 1. 설문 조사

설문 조사는 서면 질문을 통해 응답자의 의견이나 태도를 파악하는 방식이다. 설문지는 자기 보고 방식의 한 유형으로, 일반적으로 구조화된 서면 형태의 질문들로 구성된다.[1] 구조화된 설문지는 대규모 자료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지만, 응답의 깊이가 부족할 수 있다.

설문지는 개방형 질문과 폐쇄형 질문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면접은 면접관이 응답을 기록하는 구두 설문지 유형이다.[1] 면접은 미리 정해진 질문이 있는 구조화된 면접과 질문이 미리 결정되지 않은 비구조화된 면접으로 나뉜다. 비구조화된 면접은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고, 구조화된 면접은 응답을 제한할 수 있다. 그래서 심리학자들은 종종 미리 정해진 몇 가지 질문과 추가 질문으로 구성된 반구조화된 면접을 수행한다.

자기 보고 방식은 응답자가 자신의 경험을 직접 설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 설문지와 면접은 비교적 쉽고 빠르게 많은 사람들을 연구할 수 있게 한다.[1]

그러나 응답자는 기억 문제나 사회적으로 바람직하게 보이고 싶은 욕구 때문에 진실되게 응답하지 않을 수 있다.[1]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은 자기 보고 측정에서 큰 문제가 될 수 있다.[1] 질문이 명확하지 않아 응답자가 질문을 이해했는지 알 수 없는 경우 유효한 데이터 수집이 어렵다.[1] 이메일 등으로 설문지를 발송하면 응답률이 낮을 수 있고,[1] 질문이 특정 답변을 유도할 수도 있다.[1]

2. 1. 1. 개방형 질문과 폐쇄형 질문

설문지는 개방형 질문과 폐쇄형 질문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응답자는 자신의 답변을 기록한다.[1] 면접은 면접관이 응답을 기록하는 구두 설문지 유형이다.[1] 설문지와 면접은 개방형 또는 폐쇄형 질문, 또는 둘 다 사용할 수 있다.[1]

'''폐쇄형 질문'''은 응답자에게 제한된 선택지를 제공하는 질문이다(예: 응답자의 나이 또는 가장 좋아하는 축구팀 유형). 특히 답변이 미리 정해진 목록에서 선택되어야 하는 경우에 해당한다.[1] 이러한 질문은 분석하기 쉬운 양적 데이터를 제공한다.[1] 그러나 이러한 질문은 응답자가 심층적인 통찰력을 제공할 수 없게 한다.[1]

'''개방형 질문'''은 응답자가 자신의 언어로 답변을 제공하도록 유도하는 질문이며, 질적 데이터를 제공한다.[1] 이러한 유형의 질문은 분석하기 더 어렵지만, 더 심층적인 답변을 얻을 수 있으며, 응답자가 범주에 제한되지 않고 실제로 무엇을 생각하는지 연구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1]

2. 1. 2. 평가 척도

평가 척도는 특정 대상에 대한 응답자의 태도나 의견의 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리커트 척도는 가장 흔한 평가 척도 중 하나로, 진술문이 제시되고 참여자는 해당 진술문에 얼마나 동의하거나 동의하지 않는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참여자는 모차렐라 치즈가 훌륭한지에 대해 "매우 동의", "동의", "미정", "동의하지 않음", "매우 동의하지 않음"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리커트 척도는 참여자가 어떤 것에 대해 얼마나 강하게 느끼는지 알 수 있게 해주어 단순한 예/아니오 응답보다 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데이터가 정량적이며 통계적으로 분석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리커트 척도는 사람들이 척도의 중간으로 응답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덜 극단적으로 보이려는 의도일 수 있다. 모든 설문지와 마찬가지로 참여자는 자신이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답변을 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가 정량적이므로 심층적인 답변을 제공하지 못한다.

2. 1. 3. 고정 선택형 질문

고정 선택형 질문은 응답자에게 '예' 또는 '아니오'와 같이 제한된 선택지를 제공하여 응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유형의 설문지는 측정하고 정량화하기 쉽다. 또한 응답자가 목록에 없는 옵션을 선택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응답자는 원하는 응답이 없다고 느낄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알코올 음료를 싫어하는 사람은 맥주, 와인, 술이 포함되어 있지만 해당 없음 옵션이 없는 목록에서 가장 좋아하는 알코올 음료를 선택하는 것이 정확하지 않다고 느낄 수 있다. 고정 선택형 질문에 대한 답변은 심층적이지 않다.[1]

2. 2. 면접

면접은 면접관이 응답을 기록하는 구두 설문지 유형이다. 면접은 미리 정해진 일련의 질문이 있는 구조화된 면접과 사전에 질문이 결정되지 않은 비구조화된 면접으로 나눌 수 있다.[1] 비구조화된 면접은 수행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어려울 수 있으며, 구조화된 면접은 응답자의 답변을 제한할 수 있다.[1] 따라서 심리학자들은 종종 미리 결정된 몇 가지 질문으로 구성되고 응답자가 답변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추가 질문이 이어지는 반구조화된 면접을 수행한다.[1]

3. 자기보고의 신뢰도와 타당도

자기보고의 질은 신뢰도와 타당도에 따라 평가된다. 자기보고식 자료는 스스로 내면의 생각이나 경험을 외부로 드러낸다는 점에서, 연구 측면뿐만 아니라 개인에게도 자신이 처리하는 정보가 얼마나 타당하고 객관적인지를 선언하는 의미에서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신뢰도는 측정 도구가 얼마나 일관성이 있는지를 나타내며, 타당도는 측정 도구가 실제로 측정하고자 하는 바를 정확하게 측정하는지를 의미한다.

3. 1. 신뢰도

신뢰도는 측정 도구가 얼마나 일관성이 있는지를 나타낸다. 측정이 유사한 상황에서 다시 사용했을 때 유사한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면 해당 측정은 신뢰할 수 있거나 일관성이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속도계가 동일한 속도에서 동일한 값을 나타낸다면 신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매우 쓸모없고 신뢰할 수 없을 것이다.

심리 측정 검사 및 설문지와 같은 자기 보고 측정의 신뢰도는 반분법을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이는 테스트를 둘로 나누어 동일한 참가자가 테스트의 두 부분을 모두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3. 2. 타당도

타당도는 측정 도구가 실제로 측정하고자 하는 바를 정확하게 측정하는지를 의미한다. 자기보고 측정의 타당도를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는 자기보고의 결과를 동일한 주제에 대한 다른 자기보고와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동시 타당도라고 한다.) 예를 들어, 면접을 통해 6학년 학생들의 흡연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는 경우, 그 점수를 이전에 6학년이었던 학생들의 흡연에 대한 태도 설문지와 비교할 수 있다.[3]

자기보고 연구 결과는 직접 관찰 전략을 사용하는 더 적은 수의 참가자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확인되기도 한다.[3]

자기보고서와 관련하여 "연구자가 사람들이 자신에 대해 말하는 것을 왜 신뢰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이 제기될 수 있다.[4] 그러나 수집된 데이터의 타당성에 대한 이의가 제기될 경우, 응답자 편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연구 도구가 있다. 여기에는 응답자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한 몇 가지 목록 작성, 참가자의 태도 평가, 개인적인 편향 측정, 자기 보고 시간의 저항, 혼란 및 불충분 정도를 식별하기 위한 척도 사용 등이 포함된다.[5] 또한, 유도 질문을 피하고, 응답자가 답변을 확장할 수 있도록 개방형 질문을 추가하며, 응답자가 더 정직한 답변을 할 수 있도록 기밀성을 강화할 수도 있다.

설문지는 응답자가 거짓말을 하거나,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답변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타당도가 부족하다고 여겨질 수 있다.

4. 자기보고의 장점과 단점

자기 보고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피험자의 행동 방식으로 인해 특정한 단점도 가지고 있다.[6] 자기 보고 답변은 과장될 수 있으며,[7] 응답자는 사적인 내용을 드러내는 것을 부끄러워할 수 있다. 또한 응답자가 연구 가설을 추측하고 편향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연구자의 추측을 확인하거나, 응답자를 긍정적으로 보이게 하거나, 약속된 서비스를 받기 위해 더 괴로운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5]

자발적 참여에 의존하는 모든 연구와 마찬가지로, 응답자와 응답하지 않는 사람들 사이에 체계적인 차이가 있는 경우, 응답 부족으로 인해 결과가 편향될 수 있다. 면접관의 요구 특성으로 인한 편향을 피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4. 1. 장점

자기보고식 자료는 스스로 내면의 생각이나 경험을 외부로 드러낸다는 점에서, 연구 측면뿐만 아니라 개인에게도 자신이 처리하는 정보가 얼마나 타당하고 객관적인지를 선언하는 의미에서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4. 2. 단점

응답자는 기억 왜곡,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 등으로 인해 솔직하지 않은 답변을 할 수 있다.[7]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은 응답자가 자신을 좋게 보이도록 답변하게 만들기 때문에 자기보고서 측정에서 큰 문제가 될 수 있다.[6] 또한 응답자가 연구자의 의도를 추측하고 편향된 답변을 할 수도 있다.[5]

유도 질문이나 면접관의 요구 특성으로 인해 편향이 발생할 수 있다.[5] 응답자가 질문을 제대로 이해했는지 확인하기 어렵고, 질문이 명확하지 않으면 데이터의 유효성이 떨어진다. 설문지를 이메일 등으로 발송하는 경우 응답률이 매우 낮을 수 있다.

피험자는 관련된 세부 사항을 잊어버릴 수 있으며, 자기보고서를 작성하는 시점의 감정에 따라 답변이 달라질 수 있다.[5]

5. 한국 사회에서의 자기보고 활용과 한계

자기보고는 한국 사회에서 여론 조사, 심리 검사, 만족도 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체면을 중시하는 한국 사회의 특성상, 응답자들이 솔직하게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드러내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정치적 성향이나 민감한 사회 문제에 대한 질문에는 더욱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1]

참조

[1] 백과사전 Self-Report Study http://methods.sagep[...] 2006
[2] 웹사이트 Information bias in health research: definition, pitfalls, and adjustment methods https://www.tandfonl[...] 2016
[3] 서적 Oncology of Infancy and Childhood E-Book Elsevier Health Sciences
[4] 서적 Handbook of Research Methods in Personality Psychology https://archive.org/[...] The Guilford Press
[5] 서적 Research Design in Counseling Cengage Learning
[6] 간행물 The Science of Self-Report https://www.psycholo[...] 1997-01
[7] 간행물 The Problem of the Self-Report In Survey Research http://www.math.york[...]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1996-Fall
[8] 백과사전 Self-Report Study http://methods.sagep[...]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