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쪽손목굽힘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쪽손목굽힘근은 손목 관절에서 굽힘과 모음을 수행하는 근육이다. 위팔뼈 안쪽위관절융기와 자뼈의 팔꿈치머리에서 기시하여 콩알뼈에 닿으며, 자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팔꿉굴 증후군이나 팔꿈치관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으며, 힘줄이식이나 힘줄 이전술에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지 근육 - 광배근
광배근은 등 부위에 위치하여 팔의 움직임과 척추의 운동에 기여하며, 흉배신경의 지배를 받고 다양한 변이를 보이며, 만성 어깨 통증 등 임상적으로 중요하고, 운동을 통해 강화할 수 있다. - 상지 근육 - 승모근
승모근은 목, 어깨, 흉추에 걸쳐 위치하며 견갑골 안정화와 움직임, 척추 움직임에 기여하는 사다리꼴 모양의 근육으로, 위쪽, 중간, 아래쪽 섬유로 구성되어 어깨 들어올리기, 견갑골 내전, 하강 운동에 관여하며 척추부신경 손상, 얼굴어깨팔 근위축증과 같은 질환에 영향을 받기도 한다.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목동맥고랑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의학 용어집
의학 용어집은 의학 분야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를 모아놓은 목록으로, 인체 해부학적 용어인 '복부'와 희귀 유전 질환인 '아르스코그-스콧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자쪽손목굽힘근 | |
---|---|
개요 | |
![]() | |
근육 정보 | |
이름 | 척측수근굴근 |
라틴어 이름 | musculus flexor carpi ulnaris |
기시 | 상완골두: 상완골 내측상과 (공통 굴근 힘줄) 척골두: 척골의 주두 내측 모서리 |
정지 | 콩알뼈, 갈고리뼈갈고리, 다섯째손허리뼈 바닥 (손바닥쪽 면) |
혈액 공급 | 척골 동맥 |
신경 지배 | 척골 신경 근육가지 (C8, T1) |
작용 | 손목의 굽힘 및 모음 |
대항근 | 짧은 노쪽 손목폄근, 긴 노쪽 손목폄근 |
2. 구조
자쪽손목굽힘근은 위팔갈래와 자갈래, 두 갈래로 일어난다. 위팔갈래는 온굽힘근힘줄을 통해 위팔뼈의 안쪽위관절융기에서 기시한다. 자갈래는 자뼈의 팔꿈치머리 안쪽 모서리에서 온굽힘근힘줄을 형성하고, 자뼈 뒷면의 위쪽 에서 널힘줄로 기시한다. 위팔갈래와 자갈래 사이로 자신경과 자동맥이 지나간다. 닿는곳은 콩알뼈이며, 여기서 인대가 연장되어 (콩알갈고리인대를 통해) 갈고리뼈갈고리, (콩알손허리인대를 통해) 다섯째손허리뼈 바닥의 앞면에 닿는다.
2. 1. 위팔갈래
자쪽손목굽힘근은 위팔갈래와 자갈래, 두 갈래로 일어난다. 위팔갈래는 온굽힘근힘줄을 통해 위팔뼈의 안쪽위관절융기에서 기시한다. 위팔갈래와 자갈래 사이로는 자신경과 자동맥이 지나간다.2. 2. 자갈래
자쪽손목굽힘근은 위팔갈래와 자갈래, 두 갈래로 일어난다. 위팔갈래는 온굽힘근힘줄을 통해 위팔뼈의 안쪽위관절융기에서 기시한다. 자갈래는 자뼈의 팔꿈치머리 안쪽 모서리에서 온굽힘근힘줄을 형성하면서, 그리고 자뼈 뒷면의 위쪽 에서 널힘줄로 기시한다. 위팔갈래와 자갈래 사이로 자신경과 자동맥이 지나간다.2. 3. 주행 경로 및 닿는곳
자쪽손목굽힘근은 위팔갈래와 자갈래, 두 갈래로 일어난다. 위팔갈래는 온굽힘근힘줄을 통해 위팔뼈의 안쪽위관절융기에서 기시한다. 자갈래는 자뼈의 팔꿈치머리 안쪽 모서리에서 온굽힘근힘줄을 형성하면서, 자뼈 뒷면의 위쪽 에서 널힘줄로 기시한다. 위팔갈래와 자갈래 사이로 자신경과 자동맥이 지나간다.[1]닿는곳은 콩알뼈이며, 콩알뼈에서 인대가 연장되어 (콩알갈고리인대를 통해) 갈고리뼈갈고리, (콩알손허리인대를 통해) 다섯째손허리뼈 바닥의 앞면에 닿는다.[1]
2. 4. 신경 분포
자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대응하는 척수신경은 C8, T1이다.2. 5. 힘줄
자쪽손목굽힘근의 힘줄은 아래팔 먼쪽 앞면에서 관찰할 수 있다. 아래팔 먼쪽의 손목 바로 위에서 두 개 내지는 세 개의 힘줄이 육안으로 관찰된다. 그중 자쪽손목굽힘근의 힘줄은 가장 안쪽, 즉 새끼손가락에 가장 가까운 힘줄이다. 가장 가쪽의 힘줄은 노쪽손목굽힘근의 힘줄이며, 중간의 것은 (항상 존재하지는 않지만) 긴손바닥근 힘줄이다.[1]2. 6. 변이
자쪽손목굽힘근은 두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때 다른 변이를 동반하기도 한다.[4] 이 근육은 부가적인 자쪽손목굽힘근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종종 동반 변이를 수반한다.[3]3. 기능
자쪽손목굽힘근은 손목 관절에서 굽힘과 모음을 수행한다.[2] 모든 전완굴근과 마찬가지로, 이 근육은 굴곡에 저항하는 운동을 통해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다. 손목 롤러를 사용하거나, 덤벨을 이용한 손목 컬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은 팔꿈치관절 척측 측부 인대의 부상을 예방하는 데 사용된다.
4. 임상적 중요성
팔꿉굴 증후군은 자쪽손목굽힘근 위팔갈래와 자갈래의 널힘줄에 자신경이 포착되면서 발생할 수 있다.[4]
자쪽손목굽힘근의 힘줄은 힘줄이식이나 힘줄 이전술에 사용되기도 한다.[3]
5. 추가 이미지
참조
[1]
논문
Guyon canal: the evolution of clinical anatomy
2015-03
[2]
간행물
Anatomy, Shoulder and Upper Limb, Forearm Compartments
https://pubmed.ncbi.[...]
StatPearls Publishing
2024
[3]
논문
Accessory flexor carpi ulnaris muscle with associated anterior interosseous artery variation: case report with the definition of a new type and review of concomitant variants
2019-05-29
[4]
저널
Accessory flexor carpi ulnaris muscle with associated anterior interosseous artery variation: case report with the definition of a new type and review of concomitant variants
2019-05-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