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고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고항은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에 위치한 항구이다. 2008년 12월 19일 국가어항으로 지정되었으며, 당진시는 장고항을 해상교통, 관광, 수산물 유통의 중심지로 개발할 계획이다. 포구의 경관이 장구와 같이 아름답다고 하여 장고항으로 불리며, 특히 3~4월에는 특산물인 실치회와 실치무침을 맛보기 위해 많은 관광객이 방문한다. 매년 실치 축제가 개최되며, 국화도로 가기 위해서는 장고항을 거쳐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당진시의 어항 - 난지도항
난지도항은 어항 구역으로 지정된 해역을 의미하며, 선착장 남측 지점을 기점으로 특정 거리와 방향으로 설정된 지점들을 연결하여 육지와 닿는 공유수면으로 지정되어 있다. - 대한민국의 국가어항 - 남당항 (홍성군)
남당항은 충청남도 홍성군 서부면에 위치한 어항으로, 가을에는 대하 축제, 봄에는 새조개 축제가 열려 미식가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 대한민국의 국가어항 - 대변항
대변항은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위치한 어항으로, 기장 멸치의 본고장이며 멸치젓갈 생산과 미역 양식이 유명하고, 영화 친구의 촬영지이기도 하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장고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장고항 정보 | |
이름 | 장고항 |
유형 | 국가어항 |
주소 | 충청남도 당진시 석문면 장고항리 |
지정일 | 2008년 12월 19일 |
관리청 | 해양수산부 서해어업관리단 |
시설관리자 | 당진시장 |
2. 연혁
장고항은 충청남도지사가 지방어항으로 지정 관리하여 왔으나, 2008년 12월 19일 농림수산식품부장관이 국가어항으로 지정 고시[2] 함에 따라 동 일자로 충청남도지사가 지방어항 지정을 해제[3] 하였다.
2. 1. 지방어항 지정 및 해제
장고항은 충청남도지사가 지방어항으로 지정 관리하여 왔으나, 2008년 12월 19일 농림수산식품부장관이 국가어항으로 지정 고시[2] 함에 따라 동 일자로 충청남도지사가 지방어항 지정을 해제[3] 하였다.2. 2. 국가어항 지정
장고항은 충청남도지사가 지방어항으로 지정 관리하여 왔으나, 2008년 12월 19일 농림수산식품부장관이 국가어항으로 지정 고시함에 따라[2] 같은 날짜로 충청남도지사가 지방어항 지정을 해제하였다.[3]3. 어항 구역
- 수역: 노적봉 돌단기점으로부터 정북에서 동쪽으로 30°방향으로 400m, 이 점에서 동남쪽 직각방향으로 600m 나아가 육지쪽 기점을 연결한 선내의 공유수면이 장고항의 어항구역이다.[2]
- 육역: 당진시 석문면 장고항리 615-11 외 4필지가 장고항의 육역에 해당된다.[4]
3. 1. 수역
노적봉 돌단기점으로부터 정북에서 동쪽으로 30°방향으로 400m, 이 점에서 동남쪽 직각방향으로 600m 나아가 육지쪽 기점을 연결한 선내의 공유수면이 장고항의 어항구역이다.[2]3. 2. 육역
당진시 석문면 장고항리 615-11 외 4필지가 장고항의 육역에 해당된다.[4]4. 개발 계획
당진시는 470억원을 투입해 국가어항으로 지정받은 장고항을 해상교통과 관광·수산물유통의 중심지로 개발한다.[5]
5. 특징
포구 경관이 마치 장구와 같이 아름답다고 하여 장고항이라 부른다. 비교적 규모가 큰 포구로 3~4월에는 이곳 특산물인 실치회와 실치무침을 먹기 위해 많은 미식가들이 찾아온다. 마을앞 갯벌에는 조개, 게 , 굴, 낙지 등을 손쉽게 잡을 수 있으며 봄부터 가을까지 바다 낚시인들이 즐겨 찾고 있다.[6]
6. 관광
장고항은 실치회로 유명하다. 매년 3월 중순부터 6월 초까지가 실치를 맛볼 수 있는 계절이다. 실치회는 잘 씻어낸 실치를 깻잎, 양파, 오이, 상추, 당근 등을 채 썰어 섞은 다음 초고추장으로 비벼 먹는 별미이다.[7] 횟감으로 쓰이지 못하는 실치는 김처럼 발에 잘 말려서 뱅어포로 만들어진다.[7]
2010년 4월 17일부터 이틀간 봄철 별미인 실치를 저렴하게 맛볼 수 있는 장고항 실치축제가 충남 당진시 석문면 장고항 일대에서 개최되었다.[8] 2011년 4월 30일부터는 2일간 제8회 장고항 실치축제가 열렸다.[9] 국화도를 가려면 반드시 장고항을 거쳐야 한다.[7]
6. 1. 실치와 뱅어포
장고항은 실치회로 유명하다. 매년 3월 중순부터 6월 초까지가 실치를 맛볼 수 있는 계절이다. 실치회는 잘 씻어낸 실치를 깻잎, 양파, 오이, 상추, 당근 등을 채 썰어 섞은 다음 초고추장으로 비벼 먹는 별미이다.[7] 횟감으로 쓰이지 못하는 실치는 김처럼 발에 잘 말려서 뱅어포로 만들어진다.[7]2010년 4월 17일부터 이틀간 봄철 별미인 실치를 저렴하게 맛볼 수 있는 장고항 실치축제가 충남 당진시 석문면 장고항 일대에서 개최되었다.[8] 2011년 4월 30일부터는 2일간 제8회 장고항 실치축제가 열렸다.[9]
6. 2. 장고항 실치 축제
장고항은 실치회로 유명하다. 매년 3월 중순부터 6월 초까지가 실치의 계절이다.[7] 실치회는 잘 씻어낸 실치를 깻잎, 양파, 오이, 상추, 당근 등을 채로 썬 것과 섞은 다음 초고추장으로 비벼서 먹는 별미이다.[7] 횟감으로 쓰이지 못하는 실치는 김처럼 발에 잘 말려서 뱅어포로 만들어지기도 한다.[7]2010년 4월 17일부터 이틀간 봄철 별미인 실치를 저렴하게 맛볼 수 있는 장고항 실치축제가 충남 당진시 석문면 장고항 일대에서 개최되었으며,[8] 2011년 4월 30일부터 2일간 제8회 장고항 실치축제가 개최되었다.[9]
6. 3. 국화도
장고항은 실치회로 유명하며, 매년 3월 중순부터 6월 초까지가 실치가 잡히는 계절이다. 실치회는 잘 씻어낸 실치를 깻잎, 양파, 오이, 상추, 당근 등을 채 썬 것과 섞은 다음 초고추장으로 비벼 먹는다.[7] 횟감으로 쓰이지 못하는 실치는 김처럼 발에 잘 말려서 뱅어포로 만들어진다.[7] 2010년 4월 17일부터 이틀간, 그리고 2011년 4월 30일부터 이틀간 장고항 실치축제가 개최되었다.[8][9] 국화도를 가려면 반드시 장고항을 거쳐야 한다.[7]7. 어업
7. 1. 어종
7. 2. 어획 방법
8. 기타
8. 1. 교통
8. 2. 숙박 시설
참조
[1]
웹사이트
서해어업지도사무소 장고항 자료
http://westship.mifa[...]
[2]
간행물
2008년 12월 19일, 농림수산식품부 고시 제2008-118호, 국가어항 지정
[3]
간행물
2009년 1월 12일, 충청남도 고시 제2009-9호, 지방어항(장고항항) 지정해제 고시
[4]
간행물
2010년 4월 19일, 농림수산식품부 고시 제2010-44호, 국가어항 육역 지정 고시
[5]
뉴스
국가어항지정받은 장고항, 본격 개발 착수
http://www.edjnews.c[...]
e-당진뉴스
2010-01-27
[6]
서적
두바퀴로 네바퀴로
농림수산식품부
2010-01-01
[7]
서적
당일치기 낭만여행
넥서스 Books
2010-08-30
[8]
뉴스
당진 장고항 실치축제 17일 개최
http://app.yonhapnew[...]
연합뉴스
2010-04-14
[9]
뉴스
당진 별미행사 '실치 축제'
http://www.asiae.co.[...]
아시아 경제
2011-04-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