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대변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대변항은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위치한 어항으로, 기장 멸치의 본고장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 후기 대동고변포에서 유래되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용암 마을과 무양 마을을 합쳐 대변리가 되었다. 멸치젓갈 생산과 미역 양식으로 유명하며, 특히 매년 4월에 열리는 대변 멸치축제는 많은 관광객을 유치한다. 방파제, 물양장 등의 어항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영화 친구의 촬영지이기도 하다. 주변 관광 명소로는 해동용궁사, 송정해수욕장, 일광해수욕장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장군 - 이동항
    이동항은 이천리 솔끝 돌출부와 붉은돌을 연결한 선내 수역이며, 어항 구역은 해당 수역을 포함한다.
  • 기장군 - 학리항
    학리항은 대한민국에 위치한 총 면적 50,000m²의 어항으로, 어항개발계획에 따라 방파제, 물양장, 접안시설 등이 건설되었고, 어구 제작·수리장, 위판장, 공동구판장, 판매시설, 복지회관, 먹거리 쇼핑시설, 해양문화 체험시설 등이 조성되었다.
  • 부산광역시의 어항 - 우동항
    우동항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있는 어항으로, 방파제와 물양장이 설치되어 도다리, 삼치 등이 잡히며, 해양관광복합형 어항으로 정비될 예정이다.
  • 부산광역시의 어항 - 민락항
    민락항은 광안대교 아래를 통과해야 하는 항구로, 방파제와 물양장이 있으며 민락등대가 설치되어 있고, 도다리, 삼치 등을 어획하며 관광객들에게 수산물 판매와 유통이 이루어진다.
  • 대한민국의 국가어항 - 남당항 (홍성군)
    남당항은 충청남도 홍성군 서부면에 위치한 어항으로, 가을에는 대하 축제, 봄에는 새조개 축제가 열려 미식가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 대한민국의 국가어항 - 천성항
    천성항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에 위치한 지방어항이며, 1992년 지정되었고, 인근 해역은 해양 레저 활동 허가 구역이다.
대변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이름대변항
유형국가어항
주소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
지정일1971년 12월 21일
관리청해양수산부 동해어업관리단
시설관리자기장군수
그림
대변항

2. 연혁

대변항이 위치한 기장읍 '''대변리'''의 이름은 조선 후기에 지금의 대변항을 '''대변포'''(大邊浦)라고 불렀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이는 '대동고(대동미 창고) 부근의 포구'라는 뜻인 대동고변포(大同庫邊浦)의 줄임말이다.[1]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대변포 동쪽의 용암(龍岩) 마을[2]과 서쪽의 무양(武陽) 마을을 합쳐 대변포에서 '포'를 뗀 '대변'을 (里)의 이름으로 붙였다.[3]

1993년 시설정비계획을 수립하고 1995년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면서 동방파제 공사를 착수했으며, 2001년 남방파제 공사를 착수했다.

2. 1. 명칭 유래

대변항이 위치한 기장읍 '''대변리'''의 이름은 조선 후기에 지금의 대변항을 '''대변포'''(大邊浦)라고 불렀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이는 '대동고(대동미 창고) 부근의 포구'라는 뜻인 대동고변포(大同庫邊浦)의 줄임말이다.[1]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대변포 동쪽의 용암(龍岩) 마을[2]과 서쪽의 무양(武陽) 마을을 합쳐 대변포에서 '포'를 뗀 '대변'을 (里)의 이름으로 붙였다.[3]

2. 2. 개발 과정

대변항이 위치한 기장읍 대변리의 이름은 조선 후기에 지금의 대변항을 대동고(대동미 창고) 부근의 포구라는 뜻의 대동고변포(大同庫邊浦)를 줄여 '''대변포'''(大邊浦)라고 불렀던 것에서 유래하였다.[1]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대변포 동쪽의 용암(龍岩) 마을[2]과 서쪽의 무양(武陽) 마을을 합쳐 대변포에서 '포'를 뗀 '대변'을 (里)의 이름으로 붙였다.[3]

1993년 시설정비계획을 수립하고 1995년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면서 동방파제 공사를 착수했으며, 2001년 남방파제 공사를 착수했다. 2009년 9월 14일 본 항에 대한 어항기본계획 및 어항정비계획이 변경 고시되었다.[6] 변경된 기본계획은 동방파제 550m, 남방파제 260m, 물양장 1,426m, 호안 637m, 준설 1식이며, 정비계획 물량은 선양장 40m, 멸치털이장 120m, 보도교량 65m, 친수공간 1식, 부대시설 1식이다.

동해어업관리단은 관광 기능이 겸비된 새로운 '다기능 어항'으로 개발 중인 부산 기장군 대변항을 당초 2012년까지 준공하려던 계획을 앞당겨 2011년말까지 완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7]

3. 어항 시설

방파제 810m, 물양장 919m, 호안 809m가 있다.

3. 1. 어항 구역

동방파제 기부측 호안 시점에서 정남으로 해상 890m 지점과 이점에서 N85°W방향으로 490m점과 이점에서 정북으로 80m점과 이점에서 정동으로 105m점과 이점에서 N11°W방향으로 570m점과 이점에서 정서로 죽도측 해안선과 연결하고 죽도측 북서측 해안선 돌출부에서 S60°W방향으로 육지와 연결하는 선을 따라 형성된 공유수면이다.[4] 육역은 기장읍 연화리 119-10 외 4필지, 기장읍 대변리 203-22 외 14필지이다.[5]

4. 특산품

멸치


대변항은 부산과 경주 감포 사이에서는 가장 큰 어항으로 기장 멸치의 본고장이다. 이곳의 멸치는 영양과 맛에서 모두 손꼽혀서 젓갈과 횟감으로 인기가 높으며 기장의 유일한 섬인 죽도 주변에서 채취하는 미역은 전국적으로 유명하다.[10] 대변항에서 생산되는 멸치는 국내 멸치 생산량의 60% 이상을 차지한다.[11]

대변항에서 생산되는 멸치젓갈은 2009년 기준 연간 3천 900톤(약 40억원) 상당으로 우리나라 전체 멸치 젓갈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매년 4월에 열리는 '대변 멸치축제' 기간에는 하루 평균 10만명의 관광객이 몰리는 등 국내 대표적인 지역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7]

대변항 주변 바다에는 플랑크톤이 풍부해서 전국 최고의 미역 양식장으로 각광받고 있다.

4. 1. 멸치

대변항은 부산과 경주 감포 사이에서 가장 큰 어항으로 기장 멸치의 본고장이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멸치는 영양과 맛이 뛰어나 젓갈과 횟감으로 인기가 높으며, 기장의 유일한 섬인 죽도 주변에서 채취하는 미역은 전국적으로 유명하다.[10] 대변항의 멸치는 국내 멸치 생산량의 60% 이상을 차지한다.[11]

2009년 기준 대변항에서 생산되는 멸치젓갈은 연간 3,900톤(약 40억원) 상당으로, 우리나라 전체 멸치 젓갈의 약 15%를 차지한다. 특히 매년 4월에 열리는 '대변 멸치축제' 기간에는 하루 평균 10만 명의 관광객이 몰리는 등 국내 대표적인 지역 축제로 자리 잡고 있다.[7]

대변항 주변 바다는 플랑크톤이 풍부하여 전국 최고의 미역 양식장으로 각광받고 있다.

4. 2. 미역

대변항은 부산과 경주 감포 사이에서는 가장 큰 어항으로 기장군 멸치의 본고장이다. 기장의 유일한 섬인 죽도 주변에서 채취하는 미역은 전국적으로 유명하다. 대변항 주변 바다는 플랑크톤이 풍부해서 전국 최고의 미역 양식장으로 각광받고 있다.

5. 문화 및 관광

5. 1. 문화

대변항은 옛 어항의 풍경을 잘 보존하고 있어 영화 《친구》의 촬영지로 알려져 있다.[8] 2003년 2월에는 대변 마을이 '아름다운 어촌 100선'에 선정되었으며,[8] 2005년 4월에는 해양수산부로부터 '4월의 어촌'으로 선정되기도 하였다.[9]

5. 2. 월드컵기념등대공원

2002년 FIFA 월드컵 4강 진출을 기념하여 2002년에 당시 공인구인 피버노바를 형상화한 등대가 세워졌다. 등대 주변에서는 FIFA 월드컵공식 경기구 역사를 살펴볼 수 있다.

5. 3. 주변 관광 명소

해동용궁사

  • '''해동용궁사''' : 바닷가 갯바위 위에 세워진 특이하면서도 볼거리 많은 사찰이다.
  • '''송정해수욕장'''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에 있으며, 한국의 동해[12]에서 가장 남쪽의 해수욕장이다. 부산 남해의 해수욕장(해운대해수욕장, 광안리해수욕장 등)에 비해 조용하고 아늑하며 수질이 깨끗하다.
  • '''일광해수욕장'''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읍에 위치한 해수욕장이다. 수심이 얕고 파도가 약해서 어린이를 동반한 피서객에 적당하다. 기장군 주민들의 대표적 피서지이다.

참조

[1] 뉴스 대변항 이름은...'대변항'은 '대동고 주변 포구'에서 유래 https://news.naver.c[...] 부산일보 2008-04-17
[2] 일반
[3] 웹사이트 대변리 https://terms.naver.[...] 2017-06-22
[4] 간행물 국가어항구역지형도면 농림수산식품부 2008-11-06
[5] 간행물 국가어항구역 지형도면 변경 고시 농림수산식품부 2009-09-25
[6] 간행물 국가어항개발계획 농림수산식품부 2009-09-25
[7] 뉴스 ‘’, 기장군 대변항 새 명소로 '우뚝’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1-03-16
[8] 서적 두바퀴로 네바퀴로 농림수산식품부 2010-01
[9] 뉴스 4월의 어촌에 부산 기장 '대변마을' 선정 국정브리핑 2005-04-01
[10] 웹사이트 동해어업관리단 홈페이지 http://eastship.mifa[...]
[11] 뉴스 부산 기장 대변항 봄멸치 미식 여행 http://sports.chosun[...] 스포츠조선 2010-05-10
[12] 일반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