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역 (양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흥역은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에 위치한 수도권 교외선의 역이다. 1965년 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2004년 여객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2025년 재개될 예정이다.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가 있으며, 인근에 장흥유원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외선 - 원릉역
원릉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으로, 1961년 영업을 시작했으나 2004년 여객 영업이 중지되었고 2025년 재개될 예정이며, 주변에 아파트 단지, 학교 등이 위치하고 영화에도 등장했다. - 교외선 - 일영역
일영역은 1961년 개시된 경의선 역으로 여객 취급 중단 후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나 방탄소년단 뮤직비디오 촬영지로 알려지며 유명해졌고, 현재 폐쇄된 역사는 2024년 11월 복원될 예정이다. - 양주시의 건축물 - 일영역
일영역은 1961년 개시된 경의선 역으로 여객 취급 중단 후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나 방탄소년단 뮤직비디오 촬영지로 알려지며 유명해졌고, 현재 폐쇄된 역사는 2024년 11월 복원될 예정이다. - 양주시의 건축물 - 송추역
1961년 개업한 송추역은 경원선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여객열차 운행 중단과 여러 격하를 거쳤으나 2025년 여객열차 운행 재개를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1965년 개업한 철도역 - 사곡역
사곡역은 경상북도 구미시 사곡동에 위치한 경부선 철도역으로, 주민들의 노력으로 설립된 간이역에서 시작하여 2024년 대경선 개통과 함께 전철 전용 신역사로 탈바꿈했으며, 현재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구미국가산업단지 인근에 자리 잡고 있다. - 1965년 개업한 철도역 - 니시우메다역
니시우메다역은 오사카 메트로 요쓰바시선의 역으로, 우메다 지역 교통 허브와 연결되어 다수의 철도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섬식 승강장과 각종 편의시설을 갖추고 주변에 상업시설과 호텔이 밀집해 있고, 장래에는 요쓰바시선 연장 계획에 따라 주소역까지 연결될 예정이다.
장흥역 (양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명 | 장흥역 |
모국어 표기 | 장흥 |
읽기 | チャンフン (찬훈) |
로마자 표기 | Jangheung |
부역명 | 해당 없음 |
노선 | 교외선 |
역 종류 | 무배치간이역 |
역 등급 | 해당 없음 |
소속 사업자 | 한국철도공사 |
소재지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권율로 17-16 |
좌표 | 해당 없음 |
위치 정보 |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능곡 기점 19.1km |
대곡 기점 거리 | 대곡 기점 13.4 km |
이전 역 | 일영 |
다음 역 | 온릉, 송추 |
역간 거리 | 일영 2.4km, 온릉 0.8km, 송추 4km |
역사 | |
개업일 | 1965년 7월 21일 |
폐지일 | 해당 없음 |
시설 정보 |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1면 1선 |
기타 정보 | |
역 번호 | 해당 없음 |
승차 인원 | 해당 없음 |
통계 연도 | 해당 없음 |
비고 | 해당 없음 |
한국어 정보 | |
한글 표기 | 장흥역 |
한자 표기 | 長興驛 |
로마자 표기 | Jangheung Station |
이미지 정보 | |
![]() | |
![]() |
2. 연혁
- 1965년 7월 21일: 무배치간이역(을종위탁발매소)으로 영업 개시[3][1]
- 1967년 9월 1일: 을종승차권대매소로 지정[4]
- 2004년 4월 1일: 여객 취급 중지 및 통일호 승차권 발매 중단.
- 2025년 1월 11일: 여객열차 운행 재개
3. 역 정보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대상 역 중 하나이다. 장흥역은 역무원이 없는 무배치간이역이므로 역 내에 스탬프가 비치되어 있지 않다. 대신 관리역인 대곡역에서 장흥역의 스탬프를 받을 수 있다.
'''한국철도공사 교외선'''
4. 역 주변
역 근처에 장흥유원지가 있다.
5. 인접역
참조
[1]
고시
철도청 고시 제157호
1965-07-02
[2]
문서
무배치간이역, 을종위탁발매소
[3]
고시
철도청 고시 제157호
1965-07-02
[4]
관보
철도청고시 제351호
대한민국관보
1967-08-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