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철도공사는 2005년 1월 1일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운영 기관이다. 여객, 물류, 자산 개발, 시설 유지·보수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KTX, ITX, 무궁화호 등 다양한 열차를 운행한다. 본사는 7본부 10실 7단 62처로 구성되어 있으며, 8개의 지역본부와 다수의 소속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국제 철도 협력을 위해 북한과의 철도 연결, 일본과의 협력 등을 추진하고 있다. 2007년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으로 일시적인 흑자를 기록한 것을 제외하고는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2021년에는 1조 원이 넘는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한국철도노동조합과의 잦은 갈등으로 파업이 발생하기도 하며, 통계 조작 논란이 일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철도공사 - 대한민국 철도청
대한민국 철도청은 1963년 설립되어 철도 운영, 현대화, 철도망 확장에 기여했으나, 2005년 한국철도공사로 이관되며 폐지되었고, 적자와 경영 효율성 문제가 폐지의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 한국철도공사 - 코레일네트웍스
코레일네트웍스는 2004년 설립되어 전국 철도역 역무 및 창구 서비스, 주차장 운영, 레일플러스 교통카드 운영 및 관리, 철도고객센터 운영 등 철도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국 회사이다. - 국영 철도 기업 - 인도 철도
인도 철도는 인도 정부 철도부에서 운영하는 국영 기업으로, 1853년 첫 운행을 시작한 이후 인도 전역의 도시를 연결하며 여객 및 화물 운송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현대화, 친환경 정책 추진, 안전 시스템 강화에 힘쓰며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 국영 철도 기업 - 튀르키예 국유철도
튀르키예 국유철도(TCDD)는 1856년 이즈미르-아이딘 선으로 시작하여 1927년 터키 공화국에 의해 설립된 국영 철도 회사로, 여객 및 화물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속철도망을 확장하고 있다.
한국철도공사 - [회사]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회사 이름 | 한국철도공사 |
![]() | |
![]() | |
종류 | 정부 소유 기업 |
설립일 | 1963년 9월 1일 (한국철도청) 2005년 1월 1일 (한국철도공사로 개칭) |
전신 | 철도청 |
본사 위치 | 대전광역시 동구 소제동 |
산업 | 철도 운송 |
제품 | (없음) |
자회사 | SR 주식회사 |
수익 | ₩ 4.4조 (2020년) ₩ 5.6조 (2019년) |
영업 이익 | ₩ 103,400,000,000 (2015년) |
순이익 | ₩ 380,759,519 (2010년) |
직원 수 | 29,281명 (2019년) 28,329명 (2018년) |
웹사이트 | info.korail.com letskorail.com |
철도망 정보 | |
이름 | 한국철도 |
기반 시설 | 한국철도시설공단 |
승객 수 | 969,145,101 명 |
여객 수송량 | 31,415,965,207 km |
화물 수송량 | 10,553,675,728 톤 km |
기준 연도 | 2020년 |
총 길이 | 4128.6 km |
복선 길이 | 2706.5 km |
전철화 길이 | 3043.0 km |
고속철도 길이 | 1264.7 km |
궤간 | 표준궤 |
고속철도 궤간 | 표준궤 |
전철화 방식 1 | AC 25,000 V 60 Hz |
전철화 길이 1 | 3023.8 km |
전철화 방식 2 | DC 1,500 V |
전철화 길이 2 | 19.2 km |
역 수 | 691개 |
최고 고도 | 855 m |
최고 고도 좌표 | 37°12′0″N 128°56′59.83″E |
한국어 이름 정보 | |
한국어 이름 | 한국철도공사 |
한자 이름 | 韓國鐵道公社 |
로마자 표기 | Hanguk cheoldo gongsa |
매큔-라이샤워 표기 | Han'guk ch'ŏlto kongsa |
다른 이름 | 한국철도 |
다른 한자 이름 | 韓國鐵道 |
다른 로마자 표기 | Hanguk cheoldo |
다른 매큔-라이샤워 표기 | Han'guk ch'ŏlto |
기타 정보 | |
약칭 | KORAIL 한국철도 |
슬로건 | 사람·세상·미래를 잇는 대한민국 철도 새로 여는 미래교통 함께 하는 한국철도 마음을 잇다, 당신의 코레일 |
재무 정보 (2023년 별도회계기준) | |
자본금 | 10조 9,242억 8,469만원 |
매출액 | 5조 8,159억 3,464만원 |
영업이익 | 4,743억 1,536만원 |
당기순이익 | 5,424억 7,793만원 |
자산 총액 | 28조 7,523억 5,599만원 |
부채 총액 | 20조 3,585억 4,547만원 |
주주 정보 | |
주주 | 대한민국 정부 (국토교통부): 100% |
고용 정보 | |
직원 수 | 32,380명 (2024년 3분기 기준) |
2. 연혁
대한민국의 철도망은 1963년 이전까지 교통부의 철도국에서 관리했다. 1963년 9월 1일, 철도국은 한국철도청(Korean National Railroad, KNR)으로 개편되었다. 2000년대 초, 정부는 KNR의 분할 및 공기업화를 결정했으며, 2003년 KNR은 공기업화를 준비하며 현재의 파란색 KORAIL 로고를 채택했다. 2005년 1월 1일, KNR은 철도 운영을 담당하는 한국철도공사(KORAIL)와 철도 건설 및 선로 유지를 담당하는 한국철도시설공단(KR)으로 분할되었다.[31][46]
연도 | 날짜 | 내용 |
---|---|---|
2003년 | 7월 29일 | 철도산업발전기본법 제정 |
12월 31일 | 한국철도공사법 제정[31] | |
2005년 | 1월 1일 | 한국철도공사 설립[46] (철도청 공사화) |
8월 1일 | KTX특송서비스 본격 시행 | |
2006년 | 7월 1일 | 한국철도공사 조직개편 (기능통합형 17개 지사체제, 3개 철도차량관리단) |
11월 1일 | 일반 여객 노선 대규모 열차 운행 시간표 개정 실시 | |
12월 22일 | 철도교통관제센터 개통 (5개 지역관제실 통합) | |
2007년 | 1월 | 6000호대 전동차 운행 개시 |
6월 1일 | 열차 운행 시간표 개정 | |
2009년 | 3월 26일 | 간선형 전기동차(EMU, 150km/h) 최초 도입 |
9월 18일 | 본사 이전 | |
2010년 | 3월 2일 | KTX-산천 개통 |
2012년 | 2월 28일 | 경춘선 ITX-청춘 개통 |
2014년 | 1월 10일 | 수서고속철도 운영 자회사 (주)SR 설립 (한국철도공사 지분 약 40% 보유) |
5월 12일 | ITX-새마을 개통 | |
10월 25일 | 레일플러스 출시 | |
2015년 | 3월 24일 | KTX, 대한민국 브랜드스타 4년 연속 1위 달성 |
9월 24일 | KTX 이용객 5억명 돌파 | |
2017년 | 1월 11일 | 광명역~사당역 간 KTX 셔틀버스(8507번) 운행 개시 |
2018년 | 1월 17일 | 광명역 도심공항터미널 영업 개시 |
2019년 | 1월 15일 | 도심공항터미널 개장 1년 만에 이용객 8만 명 돌파 |
2020년 | 8월 18일 | 코레일톡 승무원 호출서비스 제공 개시 |
2021년 | 1월 15일 | KTX-이음 개통 |
2023년 | 9월 1일 | ITX-마음 개통 |
2024년 | 5월 1일 | KTX-청룡 개통 |
한국철도공사(KORAIL)는 철도청으로부터 철도 사업 운영을 승계했으며, 철도 시설의 소유 및 관리는 국가철도공단이 담당한다.
3. 조직
2024년 3분기 기준 한국철도공사의 조직 규모는 다음과 같다.
공사는 비교적 저렴한 운임 정책 등으로 인해 지속적인 운영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2013년 용산 개발 사업(용산드림허브)이 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지고 결국 파산하면서 재정적 어려움이 가중되었다.[32] 2023년부터 2025년까지 3년간 1.2조원을 넘는 당기순손실이 예상되며, 향후 5년간 발생할 이자 비용만 1.8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재정적 어려움 속에서 정부는 공사 운영 효율화를 위한 개혁을 추진하고 있으나, 전국철도노동조합(철도노조)는 이에 반발하며 2023년 9월, 4년 만에 총파업에 돌입하는 등 노사 간의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33]
3. 1. 본사 조직
3. 2. 지역본부 및 소속기관
한국철도공사의 지역본부 및 소속기관 현황은 아래와 같다.
'''지역본부'''
지역본부 | 소재지 |
---|---|
서울본부 | 서울특별시 청파로 432 |
수도권동부본부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한천로 472[47] |
수도권서부본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도영로 115[48] |
강원본부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길 69 (송정동) |
충북본부 | 충청북도 제천시 의림대로 1[49] |
대전충남본부 | 대전광역시 215 한국철도공사 대전충남본부 |
전북본부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익산대로 153[50] |
광주본부 | 광주광역시 무등로 235[51] |
전남본부 | 전라남도 순천시 팔마로 119 |
경북본부 | 경상북도 영주시 시청로2번길 30 |
대구본부 | 대구광역시 동대구로 550[52] |
부산경남본부 | 부산광역시 중앙대로 206[53] |
'''소속기관'''
소속기관 | 소재지 |
---|---|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로 108-1 |
대전철도차량정비단 | 대전광역시 대덕구 포곡길 150 |
부산철도차량정비단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신천대로 215 |
호남철도차량정비단 | 광주광역시 광산구 고봉로 164번길 |
연구원 | 대전광역시 240 |
인재개발원 | 경기도 의왕시 철도박물관로 157 |
정보기술단 | 서울특별시 청파로 432 철도빌딩 |
회계통합센터 | 대전광역시 240 한국철도공사 9층 |
철도교통관제센터 |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일로8길 150 |
시설설비사무소 | 대전광역시 대덕구 평촌2길 59 |
서울정보통신사무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21나길 7 철도회관 8층 |
경주고속철도시설·전기사무소 |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신경주역로 80[54] |
오송고속철도시설·전기사무소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정중연제로 384 |
프랑스주재사무소 | 파리 마드무아젤 거리 14번지 |
3. 3. 계열사
4. 사업 분야
대한민국의 고속철도 및 시외 철도 서비스는 SR을 제외하고 대부분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담당하고 있다. 코레일은 다양한 등급의 여객 열차와 광역철도를 운영하며, 물류, 자산 개발, 시설 유지·보수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한다.
'''여객 사업'''
- '''고속열차''': KTX, KTX-산천, KTX-이음을 운행한다.
- '''일반열차''': ITX-마음, ITX-새마을, ITX-청춘, 새마을호, 무궁화호, 누리로를 운행한다.
- * 무궁화호는 대한민국의 국화인 무궁화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처음에는 특급 열차로 운행되었으나 KTX 도입 이후 지역 열차 서비스로 전환되었다. 누리로는 무궁화호의 후속 열차로 계획되었으며, 현재는 20000호대 전동차로 운행 중이고 향후 EMU-150 투입이 예정되어 있다.
- '''관광열차''': 지역 관광 활성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관광열차를 운행한다.
- * 정선아리랑열차 (A-트레인): 정선선 구간을 운행한다.
- * 백두대간협곡열차 (V-트레인): 백두대간 협곡 구간(분천-철암)을 운행한다.
- * 남도해양열차 (S-트레인): 전라남도와 경상남도의 남해안 지역을 운행한다.
- * 동해산타열차: 영동선 강릉-분천 구간을 운행한다.
- * 서해금빛열차 (G-트레인): 장항선 구간을 운행하며, 온돌 마루실과 족욕 시설을 갖추고 있다.[39]
- * 레일크루즈 해랑: 침대 객실을 갖춘 호텔식 관광열차로, 전국을 여행하는 코스로 운행된다.
'''광역철도 사업'''
수도권, 부산·울산권, 대구권 등 대도시권에서 통근 및 통학 목적의 광역전철을 운행한다. 도시 철도(지하철)와 요금 시스템이 통합되어 있어 환승이 가능하다.
- '''수도권 전철'''
- * 1호선: 경부선(남영-천안), 경인선(구로-인천), 경원선(연천-회기), 장항선(천안-신창) 구간을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직결 운행한다.
- * 3호선: 일산선(지축-대화) 구간을 서울 지하철 3호선과 직결 운행한다.
- * 4호선: 진접선(진접-별내별가람), 안산선(금정-오이도), 과천선(선바위-금정) 구간을 서울 지하철 4호선과 직결 운행한다.
- * 수인·분당선: 분당선(청량리-수원)과 수인선(수원-인천)을 직결 운행한다.
- * 경의·중앙선: 경의선(서울/용산-문산), 경원선(회기-용산), 중앙선(청량리-지평), 용산선(용산-가좌) 구간을 직결 운행한다.
- * 경춘선: 경춘선(청량리/상봉-춘천), 중앙선(청량리-망우), 망우선(상봉-망우) 구간을 운행한다.
- * 경강선: 경강선(판교-여주) 구간을 운행한다.
- * 서해선: 서해선(일산-원시) 구간을 운행한다.
- '''동해선 광역전철'''
- * 동해선(부전-태화강) 구간을 운행한다.
- '''대경선'''
- * 경부선(구미-경산) 구간을 운행한다.
'''물류 사업'''
컨테이너, 시멘트, 석탄, 철강 등 다양한 종류의 화물을 철도를 통해 운송한다.
'''자산 개발 사업'''
철도역을 중심으로 한 역세권 개발 사업이나 사용하지 않는 철도 부지를 활용하는 사업 등을 추진한다.
'''시설 유지·보수 사업'''
철도 운행에 필요한 선로, 전력, 신호, 통신 등 각종 시설물을 안전하게 유지하고 보수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기타 사업'''
5. 시설
구분 | 운행 횟수 |
---|---|
고속열차 (KTX) | 306회 |
간선여객열차 (ITX-청춘 36회 포함) | 399회 |
광역철도 | 2,510회 |
화물열차 | 181회 |
총계 | 3,396회 |
구분 | 거리 | 비율 |
---|---|---|
고속선 | 595.9km | |
준고속선 | 326.1km[56] | |
일반선 | 3209.2km | |
총 영업 거리 | 4131.2km | 100% |
복선 거리 | 2885.4km | 69.8% |
전철 거리 | 3231km | 78.2% |
'''철도수송분담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