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한국철도공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한국철도공사는 2005년 1월 1일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운영 기관이다. 여객, 물류, 자산 개발, 시설 유지·보수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KTX, ITX, 무궁화호 등 다양한 열차를 운행한다. 본사는 7본부 10실 7단 62처로 구성되어 있으며, 8개의 지역본부와 다수의 소속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국제 철도 협력을 위해 북한과의 철도 연결, 일본과의 협력 등을 추진하고 있다. 2007년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으로 일시적인 흑자를 기록한 것을 제외하고는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2021년에는 1조 원이 넘는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한국철도노동조합과의 잦은 갈등으로 파업이 발생하기도 하며, 통계 조작 논란이 일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철도공사 - 대한민국 철도청
    대한민국 철도청은 1963년 설립되어 철도 운영, 현대화, 철도망 확장에 기여했으나, 2005년 한국철도공사로 이관되며 폐지되었고, 적자와 경영 효율성 문제가 폐지의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 한국철도공사 - 코레일네트웍스
    코레일네트웍스는 2004년 설립되어 전국 철도역 역무 및 창구 서비스, 주차장 운영, 레일플러스 교통카드 운영 및 관리, 철도고객센터 운영 등 철도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국 회사이다.
  • 국영 철도 기업 - 인도 철도
    인도 철도는 인도 정부 철도부에서 운영하는 국영 기업으로, 1853년 첫 운행을 시작한 이후 인도 전역의 도시를 연결하며 여객 및 화물 운송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현대화, 친환경 정책 추진, 안전 시스템 강화에 힘쓰며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 국영 철도 기업 - 튀르키예 국유철도
    튀르키예 국유철도(TCDD)는 1856년 이즈미르-아이딘 선으로 시작하여 1927년 터키 공화국에 의해 설립된 국영 철도 회사로, 여객 및 화물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속철도망을 확장하고 있다.
한국철도공사 - [회사]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회사 이름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사 로고
한국철도공사 본사 건물
종류정부 소유 기업
설립일1963년 9월 1일 (한국철도청)
2005년 1월 1일 (한국철도공사로 개칭)
전신철도청
본사 위치대전광역시 동구 소제동
산업철도 운송
제품(없음)
자회사SR 주식회사
수익₩ 4.4조 (2020년)
₩ 5.6조 (2019년)
영업 이익₩ 103,400,000,000 (2015년)
순이익₩ 380,759,519 (2010년)
직원 수29,281명 (2019년)
28,329명 (2018년)
웹사이트info.korail.com
letskorail.com
철도망 정보
이름한국철도
기반 시설한국철도시설공단
승객 수969,145,101 명
여객 수송량31,415,965,207 km
화물 수송량10,553,675,728 톤 km
기준 연도2020년
총 길이4128.6 km
복선 길이2706.5 km
전철화 길이3043.0 km
고속철도 길이1264.7 km
궤간표준궤
고속철도 궤간표준궤
전철화 방식 1AC 25,000 V 60 Hz
전철화 길이 13023.8 km
전철화 방식 2DC 1,500 V
전철화 길이 219.2 km
역 수691개
최고 고도855 m
최고 고도 좌표37°12′0″N 128°56′59.83″E
한국어 이름 정보
한국어 이름한국철도공사
한자 이름韓國鐵道公社
로마자 표기Hanguk cheoldo gongsa
매큔-라이샤워 표기Han'guk ch'ŏlto kongsa
다른 이름한국철도
다른 한자 이름韓國鐵道
다른 로마자 표기Hanguk cheoldo
다른 매큔-라이샤워 표기Han'guk ch'ŏlto
기타 정보
약칭KORAIL
한국철도
슬로건사람·세상·미래를 잇는 대한민국 철도
새로 여는 미래교통 함께 하는 한국철도
마음을 잇다, 당신의 코레일
재무 정보 (2023년 별도회계기준)
자본금10조 9,242억 8,469만원
매출액5조 8,159억 3,464만원
영업이익4,743억 1,536만원
당기순이익5,424억 7,793만원
자산 총액28조 7,523억 5,599만원
부채 총액20조 3,585억 4,547만원
주주 정보
주주대한민국 정부 (국토교통부): 100%
고용 정보
직원 수32,380명 (2024년 3분기 기준)

2. 연혁

대한민국의 철도망은 1963년 이전까지 교통부의 철도국에서 관리했다. 1963년 9월 1일, 철도국은 한국철도청(Korean National Railroad, KNR)으로 개편되었다. 2000년대 초, 정부는 KNR의 분할 및 공기업화를 결정했으며, 2003년 KNR은 공기업화를 준비하며 현재의 파란색 KORAIL 로고를 채택했다. 2005년 1월 1일, KNR은 철도 운영을 담당하는 한국철도공사(KORAIL)와 철도 건설 및 선로 유지를 담당하는 한국철도시설공단(KR)으로 분할되었다.[31][46]

연도날짜내용
2003년7월 29일철도산업발전기본법 제정
12월 31일한국철도공사법 제정[31]
2005년1월 1일한국철도공사 설립[46] (철도청 공사화)
8월 1일KTX특송서비스 본격 시행
2006년7월 1일한국철도공사 조직개편 (기능통합형 17개 지사체제, 3개 철도차량관리단)
11월 1일일반 여객 노선 대규모 열차 운행 시간표 개정 실시
12월 22일철도교통관제센터 개통 (5개 지역관제실 통합)
2007년1월6000호대 전동차 운행 개시
6월 1일열차 운행 시간표 개정
2009년3월 26일간선형 전기동차(EMU, 150km/h) 최초 도입
9월 18일본사 이전
2010년3월 2일KTX-산천 개통
2012년2월 28일경춘선 ITX-청춘 개통
2014년1월 10일수서고속철도 운영 자회사 (주)SR 설립 (한국철도공사 지분 약 40% 보유)
5월 12일ITX-새마을 개통
10월 25일레일플러스 출시
2015년3월 24일KTX, 대한민국 브랜드스타 4년 연속 1위 달성
9월 24일KTX 이용객 5억명 돌파
2017년1월 11일광명역~사당역 간 KTX 셔틀버스(8507번) 운행 개시
2018년1월 17일광명역 도심공항터미널 영업 개시
2019년1월 15일도심공항터미널 개장 1년 만에 이용객 8만 명 돌파
2020년8월 18일코레일톡 승무원 호출서비스 제공 개시
2021년1월 15일KTX-이음 개통
2023년9월 1일ITX-마음 개통
2024년5월 1일KTX-청룡 개통


3. 조직

한국철도공사(KORAIL)는 철도청으로부터 철도 사업 운영을 승계했으며, 철도 시설의 소유 및 관리는 국가철도공단이 담당한다.

2024년 3분기 기준 한국철도공사의 조직 규모는 다음과 같다.


  • 본사: 7본부 10실 7단 62처
  • 소속기관(현업): 8개 지역본부, 4개 지역관리단, 20개 부속기관
  • 정원: 32,380명


공사는 비교적 저렴한 운임 정책 등으로 인해 지속적인 운영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2013년 용산 개발 사업(용산드림허브)이 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지고 결국 파산하면서 재정적 어려움이 가중되었다.[32] 2023년부터 2025년까지 3년간 1.2조을 넘는 당기순손실이 예상되며, 향후 5년간 발생할 이자 비용만 1.8조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재정적 어려움 속에서 정부는 공사 운영 효율화를 위한 개혁을 추진하고 있으나, 전국철도노동조합(철도노조)는 이에 반발하며 2023년 9월, 4년 만에 총파업에 돌입하는 등 노사 간의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33]

3. 1. 본사 조직


  • '''비서실'''
  • '''감사실'''
  • * 감사기획처
  • * 종합감사처
  • * 경영감사처
  • * 청렴조사처
  • '''안전기술총괄본부'''
  • * 안전본부
  • ** 안전계획처
  • ** 산업안전처
  • ** 시민안전처
  • ** 안전분석처
  • ** 환경경영처
  • ** 비상계획처
  • ** 관제실
  • ** 철도교통관제센터
  • * 차량본부
  • ** 차량계획처
  • ** 고속차량처
  • ** 일반차량처
  • ** 전동차량처
  • ** 철도차량정비단
  • ** 차량기술센터
  • * 시설본부
  • ** 시설계획처
  • ** 선로관리처
  • ** 건설시설처
  • ** 철도시설안전합동혁신단
  • ** 고속시설사업단
  • * 전기본부
  • ** 전기계획처
  • ** 전철전력처
  • ** 통신처
  • ** 신호제어처
  • ** 고속전기사업단
  • ** 서울정보통신사무소
  • '''부사장'''
  • * 법무실
  • '''기획조정본부'''
  • * ESG경영처
  • * 전략기획처
  • * 기획예산처
  • * 경영평가처
  • * 재무경영실
  • ** 재무회계실
  • ** 자금물자처
  • ** 상생계약처
  • * 회계통합센터
  • '''인재경영본부'''
  • * 총무처
  • * 인사기획처
  • * 인사운영처
  • * 노사상생처
  • * 복지후생처
  • * 인재개발원
  • '''디지털융합본부'''
  • * 디지털기획처
  • * 디지털경영처(정보보안센터)
  • * IT운영센터
  • * 철도연구원
  • '''여객사업본부'''
  • * 여객계획처
  • * 역운영처
  • * 여객서비스처
  • * 고객마케팅단
  • * 열차운영단
  • * 특별동차운영단
  • '''물류사업본부'''
  • * 물류계획처
  • * 물류마케팅처
  • * 물류수송처
  • '''광역철도본부'''
  • * 광역계획처
  • * 광역마케팅처
  • * 광역운영처
  • '''신성장사업본부'''
  • * 신성장기획처
  • * 자산운영처
  • * 신성장개발처
  • * 해외남북철도사업단
  • ** 국제협력처
  • ** 해외사업1처
  • ** 해외사업2처

  • 본사 조직 규모: 6본부 8실 4단 64처[35]
  • 소속기관(현업): 12지역본부, 20부속기관
  • 종업원 수: 27,981명 (역무 21.6%, 운전 24.9%, 차량 16.9%, 시설 14.3%, 전기 10.1%, 지원 12.2%)[36]

3. 2. 지역본부 및 소속기관

한국철도공사의 지역본부 및 소속기관 현황은 아래와 같다.

'''지역본부'''

지역본부소재지
서울본부서울특별시 청파로 432
수도권동부본부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한천로 472[47]
수도권서부본부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도영로 115[48]
강원본부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길 69 (송정동)
충북본부충청북도 제천시 의림대로 1[49]
대전충남본부대전광역시 215 한국철도공사 대전충남본부
전북본부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익산대로 153[50]
광주본부광주광역시 무등로 235[51]
전남본부전라남도 순천시 팔마로 119
경북본부경상북도 영주시 시청로2번길 30
대구본부대구광역시 동대구로 550[52]
부산경남본부부산광역시 중앙대로 206[53]



'''소속기관'''

소속기관소재지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로 108-1
대전철도차량정비단대전광역시 대덕구 포곡길 150
부산철도차량정비단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신천대로 215
호남철도차량정비단광주광역시 광산구 고봉로 164번길
연구원대전광역시 240
인재개발원경기도 의왕시 철도박물관로 157
정보기술단서울특별시 청파로 432 철도빌딩
회계통합센터대전광역시 240 한국철도공사 9층
철도교통관제센터서울특별시 구로구 구일로8길 150
시설설비사무소대전광역시 대덕구 평촌2길 59
서울정보통신사무소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21나길 7 철도회관 8층
경주고속철도시설·전기사무소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신경주역로 80[54]
오송고속철도시설·전기사무소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정중연제로 384
프랑스주재사무소파리 마드무아젤 거리 14번지


3. 3. 계열사

4. 사업 분야

대한민국고속철도 및 시외 철도 서비스는 SR을 제외하고 대부분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담당하고 있다. 코레일은 다양한 등급의 여객 열차와 광역철도를 운영하며, 물류, 자산 개발, 시설 유지·보수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한다.

'''여객 사업'''

코레일 무궁화호


KORAIL 311000호대 전동차


'''광역철도 사업'''

수도권, 부산·울산권, 대구권 등 대도시권에서 통근 및 통학 목적의 광역전철을 운행한다. 도시 철도(지하철)와 요금 시스템이 통합되어 있어 환승이 가능하다.

'''물류 사업'''

컨테이너, 시멘트, 석탄, 철강 등 다양한 종류의 화물을 철도를 통해 운송한다.

'''자산 개발 사업'''

철도역을 중심으로 한 역세권 개발 사업이나 사용하지 않는 철도 부지를 활용하는 사업 등을 추진한다.

'''시설 유지·보수 사업'''

철도 운행에 필요한 선로, 전력, 신호, 통신 등 각종 시설물을 안전하게 유지하고 보수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기타 사업'''

5. 시설

'''역 현황''' (2023년 1월 1일 기준)[55]
구분개수
보통역337개
배치간이역2개
무배치간이역308개
조차장2개
신호장32개
신호소7개
총계688개



'''열차 운행 현황''' (2022년 12월 31일 기준, 주중 편도)
구분운행 횟수
고속열차 (KTX)306회
간선여객열차 (ITX-청춘 36회 포함)399회
광역철도2,510회
화물열차181회
총계3,396회



'''영업 거리''' (100개 노선, 2022년 12월 31일 기준)
구분거리비율
고속선595.9km
준고속선326.1km[56]
일반선3209.2km
총 영업 거리4131.2km100%
복선 거리2885.4km69.8%
전철 거리3231km78.2%



'''철도수송분담율'''

5. 1. 보유 차량

(동차)ITX-새마을23편성 138량ITX-마음27편성 108량ITX-청춘8편성 64량누리로6편성 24량 (사고 폐차 1편성 제외)통근형 전동차304편성 2486량기관차디젤 기관차214량 (4400호대 59량, 7300~7500호대 130량, 7600호대 25량)전기 기관차174량 (8000호대 4량, 8100~8200호대 83량, 8500호대 87량)합계388량객차여객객차626량발전차89량화차9124량



'''고속열차'''


KORAIL KTX-산천 110000호


'''일반 여객 영업 동차'''

KORAIL ITX-새마을 210000호


'''기관차'''

'''통근형 전동차'''

대부분 VVVF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기타'''

6. 철도 문화재

(단체)지정일제작시기1호증기기관차 터우 5형철도인재개발원서울공작창2012년 1월 31일1935년2호디젤전기기관차 4102호대전철도차량정비단GMC2012년 1월 31일1966년3호디젤전기기관차 4201호대전철도차량정비단GMC2012년 1월 31일1967년4호디젤전기기관차 5025호대전철도차량정비단GMC2012년 1월 31일1957년5호디젤전기기관차 6230호대전철도차량정비단GMC2012년 1월 31일1967년6호디젤전기기관차 7001호부산철도차량정비단현대정공 철차사업부2012년 1월 31일1986년7호

8000호대 전기 기관차
전기기관차 8001호대전철도차량정비단알스톰2012년 1월 31일1972년8호새마을동차(PMC)126호(객차335호 포함),
새마을디젤동차(PMC)130호청도역, 대전철도차량정비단현대정공 철차사업부2012년 1월 31일1989년9호침대객차(무궁화)2012년 1월 31일10호전호등철도청2012년 1월 31일1960년대11호일면 후부 표지등철도청2012년 1월 31일1960년대12호입실역사 기록물조선총독부 철도국2012년 1월 31일1937년13호심천역사 기록물조선총독부 철도국2012년 1월 31일1935년~1957년14호기관사 제복철도청2012년 1월 31일1974년15호故 김재현 기관사 순직비대전광역시 동구 판암동교통부2012년 1월 31일1962년16호
영암선 개통기념비
영암선 개통기념비승부역교통부2012년 1월 31일1955년17호산업선전철준공기념비동해역철도청2012년 1월 31일1975년18호
경경선 전통기념비
경경선 전통기념비단성역조선총독부 철도국2012년 1월 31일1942년19호
경전선 전통기념비
경전선 전통기념비구. 하동역철도청2012년 1월 31일1968년20호모터카 MB8901대동상공2012년 1월 31일1986년21호궤도안정기(DTS9201: Dynamic Track Stabilizer)PLASSER & THEURER2012년 1월 31일1992년22호수동핸드카승부역교통부2012년 1월 31일1960년23호완목식신호기등교통부2012년 1월 31일1950년24호통표폐색기(통표, 휴대기, 수수기 포함)교통부2012년 1월 31일1956년25호자석식 전화교환기통감부 철도관리국2012년 1월 31일1907년26호공전식 전화교환기철도박물관조선총독부 철도국2012년 1월 31일1925년27호완목식신호기(신호레바 포함)주평역교통부2012년 1월 31일1956년28호철도역사용지도교통부2012년 1월 31일1953년29호안성천안간 선로준공 종단면도조선총독부 철도국2012년 1월 31일1922년30호선로조사도조선총독부 철도국2012년 1월 31일1944년31호주주증권(조선철도)조선철도2012년 1월 31일1924년32호주주증권(조선경남철도주식회사)조선경남철도2012년 1월 31일1920년33호주주증권(경춘철도주식회사)경춘철도2012년 1월 31일1936년34호
DEC형 특별동차
DEC형 특별동차 1호(대통령 전용)철도박물관니혼샤료2013년 9월 5일1969년35호DEC형 특별동차 2호(경호용)철도박물관대우중공업 철차사업부2013년 9월 5일1985년36호
경복호
경복호(PMC형 특별동차 1호, 대통령 전용)한국철도차량2013년 9월 5일37호경복호(PMC형 특별동차 2호, 경호용)한국철도차량2013년 9월 5일38호업무용 동차철도박물관대우중공업 철차사업부2013년 9월 5일1990년39호
7300호대 디젤 기관차
디젤전기기관차 7301호부산철도차량정비단현대정공 철차사업부2013년 9월 5일1989년40호전기기관차 8091호대우중공업 철차사업부2013년 9월 5일1986년41호
경주역사
경주역사경주역조선총독부 철도국2013년 9월 5일1936년42호
불국사역사
불국사역사불국사역조선총독부 철도국2013년 9월 5일1936년43호철도안전수송비철도청2013년 9월 5일1974년~1975년44호통표폐색기철도청2013년 9월 5일1960년대45호통표철도청2013년 9월 5일46호표지부 선로전환기(신호등 포함)철도청2013년 9월 5일47호완목식신호기 일체삼화역철도청2013년 9월 5일1968년48호완목식신호기 일체장생포역철도청2013년 9월 5일1950년대49호표지부 선로전환기 신호등철도청2013년 9월 5일50호정규도 및 표준도조선총독부 철도국2013년 9월 5일



=== 준철도기념물 ===

향후 역사적, 기술적, 교육적으로 보존할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것 중에서 한국철도공사 사장이 지정한 것이다.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margin-left: 5px; font-size: 90%;"

|- style="color:white;background-color:#408080;"

! align="center" | 번호

! align="center" | 사진

! align="center" | 명칭

! align="center" | 소재지

! align="center" | 제작자
(단체)

! align="center" | 지정일

! align="center" | 제작시기

|-

! 1호

|

| 객차(비둘기호)

| 대전철도차량정비단

| 인천공작창

| 2012년 1월 31일

| 1963년

|-

! 2호

|

| 객차(통일호)

| 국립대전현충원

| 현대정공 철차사업부

| 2012년 1월 31일

| 1981년

|-

! 3호

|

| 수화물용저울

|

| 철도청

| 2012년 1월 31일

| 1960년대

|-

! 4호

|

| 승차권 날짜기계(일부인)

|

| 신성기전

| 2012년 1월 31일

|

|-

! 5호

|

| 승차권 개표가위

|

| 철도청

| 2012년 1월 31일

|

|-

! 6호

|

| 집표도장

|

| 철도청

| 2012년 1월 31일

|

|-

! 7호

|

| 승차권 체송함

|

| 철도청

| 2012년 1월 31일

|

|-

! 8호

|

김유정역사


| 김유정역사(구 신남역)

| 김유정역

| 조선총독부 철도국

| 2012년 1월 31일

| 1939년

|-

! 9호

|
영월역사


| 영월역사

| 영월역

| 교통부

| 2012년 1월 31일

| 1956년

|-

! 10호

|

| 풍기역 급수탑

| 풍기역

| 조선총독부 철도국

| 2012년 1월 31일

| 1942년

|-

! 11호

| --

| 화본역 급수탑

| 화본역

| 조선총독부 철도국

| 2012년 1월 31일

| 1937년

|-

! 12호

|
수원역 급수탑


| 수원역 급수탑

| 수원역

| 조선총독부 철도국

| 2012년 1월 31일

| 1931년

|-

! 13호

|
수원역 급수탑


| 수원역 급수탑

| 수원역

| 조선총독부 철도국

| 2012년 1월 31일

| 1931년

|-

! 14호

|

| 보성역 급수탑

| 보성역

| 만철 경성관리국

| 2012년 1월 31일

| 1922년

|-

! 15호

|

| 순천역 급수탑

| 순천역

| 만철 경성관리국

| 2012년 1월 31일

| 1922년

|-

! 16호

|

| 경주역 급수탑

| 경주역

| 조선총독부 철도국

| 2012년 1월 31일

| 1944년

|-

! 17호

|

| 철도시발기념지비

| 노량진역

| 철도청

| 2012년 1월 31일

| 1975년

|-

! 18호

|

| 영등포역 위령비

| 철도인재개발원

| 교통부

| 2012년 1월 31일

| 1948년

|-

! 19호

|

| 테르밋트 용접기

|

| 철도청

| 2012년 1월 31일

|

|-

! 20호

|

| 톱(침목절단용)

|

| 철도청

| 2012년 1월 31일

|

|-

! 21호

|

| 단고마와 켄트게이지

| 제천역

| 철도청

| 2012년 1월 31일

|

|-

! 22호

|

| 선로게이지

|

| 철도청

| 2012년 1월 31일

|

|-

! 23호

|

| 수동 레일천공기

|

| 철도청

| 2012년 1월 31일

|

|-

! 24호

|

| 트렉젝크

|

| 철도청

| 2012년 1월 31일

| 1999년

|-

! 25호

|

| 모터카 TMM9401 '''2021년 고철매각'''

7. 열차 내 안내방송

철도청 시절인 1990년대까지 열차 안내방송은 종착역을 제외하면 별도의 배경 음악 없이 육성 녹음된 자동 안내방송을 카세트테이프로 송출하는 방식이었다. 2002년 이윤정 성우와 브랜든 성우가 투입되면서 1호선에 처음으로 정차역 및 환승역 안내방송 음악이 적용되었다. 이듬해인 2003년에는 나머지 수도권 전철 1호선(당시 국철), 3호선, 4호선, 분당선 전 구간에 성우를 이윤정, 브랜든으로 변경하고 출발역, 정차역, 환승역 안내방송 음악을 도입했다. 철도청은 2002년 이후 카세트테이프 방식의 자동 안내방송을 중단하고, 2003년부터 전 구간 안내방송을 CD로 재녹음하여 사용했으며, 2010년 이후로는 자동 안내방송 시스템을 통해 방송하고 있다.

안내방송 성우는 시대에 따라 변경되었다. 1993년부터 2003년까지는 김수희 성우와 정미나 성우가 각각 광역전철과 통일호의 한국어 및 영어 안내방송을 담당했다. 2002년 1호선에 한해 이윤정 성우와 브랜든 성우로 시험 변경 후, 2003년 철도청 관할 광역전철 전 노선(당시 국철, 분당선, 3호선, 4호선 등)의 성우가 이윤정, 브랜든으로 교체되었다. KTX가 개통한 2004년에는 외국인 관광객 편의 증진을 위해 영어 방송 성우를 원어민으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무궁화호, 새마을호의 안내방송 성우까지 이윤정, 브랜든으로 변경했다. 통일호 운행 종료 후 남은 통근열차에는 2009년까지 김수희, 조미나 성우의 안내방송이 사용되었다.

현재 열차 종류 및 상황별 시그널 음악은 다음과 같다.

구분열차 종류시그널 음악
출발역광역철도, ITX-청춘한국철도공사 ID송
무궁화호, 누리로, 새마을호, ITX-새마을, ITX-마음봄소나기
KTX몽금포타령[63](대기음악), Jesus bleibet meine Freude|예수, 인류 소망의 기쁨de[64](출발 후 방송음악)
정차역KTXCalifornia Vibes|캘리포니아 바이브스영어[65]
광역철도, ITX-청춘미적용
무궁화호, 새마을호, ITX-새마을, ITX-마음, 누리로[66]어린달
환승역광역철도얼씨구야
KTX, 무궁화호, 누리로, 새마을호, ITX-새마을, ITX-청춘, ITX-마음미적용
종착역KTX방송 전: Same road same reason|세임 로드 세임 리즌영어[67] / 방송 후: 한국철도공사 로고송[68][69] + Happiness|해피니스영어[70][71]
광역철도, ITX-청춘한국철도공사 로고송
무궁화호, 새마을호, ITX-새마을, 누리로, ITX-마음날자꾸나



현재 안내방송 성우는 다음과 같다.

열차 종류한국어영어
광역철도TTSTTS
ITX-청춘조영미, 강희선 (승차권 공지사항)리사 켈리, 제니퍼 클라이드 (승차권 공지사항)
무궁화호, ITX-새마을조예신리사 켈리
KTX고구인리사 켈리
누리로조예신 (2016년 12월부터)리사 켈리 (2016년 12월부터)



열차 접근 시에는 방향에 따라 다른 차임벨이 울린다.



과거에 사용되었던 시그널 음악은 다음과 같다.

구분열차 종류과거 시그널 음악 (사용 기간)
출발역광역철도4음 징글 (~2002년), Last Mattinata|라스트 마티나타영어 (2003년~2010년)
KTXPeaceful Rain|피스풀 레인영어 (2004년), 가야금 산조 (2005년), 꽃의 동화 (2006년~2008년), Let it be|렛 잇 비영어 (2008년~2010년)
무궁화호What will I do|왓 윌 아이 두영어 (2002년~2004년), Dreamers|드리머스영어 (2008년~2012년), 국민의 철도 코레일 (2012년~2014년)
새마을호Looking for you|루킹 포 유영어 (2001년~2004년), Outlook|아웃룩영어 (2004년~2008년), Dreamers|드리머스영어 (2008년~2011년)
통일호, 통근열차육성 방송, 4음 징글
정차역광역철도미적용
KTX4음 징글 (2004년), 가야금 산조 (2005년~2007년), 캐논 변주곡 (2008년~2010년)
무궁화호육성방송 (~2007년), 회전목마 (2008년~2010년),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4번 1악장 (2012년~2014년)
새마을호브란덴부르크 협주곡 4번 1악장 (2012년~2014년)
통일호, 통근열차육성 방송, 자동 안내방송
환승역광역철도육성방송, 뻐꾸기 효과음 (1993년~2003년)[72], 모차르트 미뉴에트 (2002년~2010년)[73]
KTX, 무궁화호, 새마을호, 통일호, 통근열차미적용
종착역광역철도터키 행진곡 (1993년~2003년)[74], 모차르트 교향곡 17번 (2002년~2010년), 사랑을 전하세요 코레일 (2008년~2010년)[75]
KTXPeaceful Rain|피스풀 레인영어 (2004년), 가야금 산조 (2005년~2007년), 캐논 변주곡 / Dreamers|드리머스영어 (2008년~2010년)
무궁화호What will I do|왓 윌 아이 두영어 (2002년~2004년), Let it be|렛 잇 비영어 (2008년~2012년), 국민의 철도 코레일 (2012년~2014년)
새마을호Looking for you|루킹 포 유영어 (2001년~2007년), Let it be|렛 잇 비영어 (2008년~2012년), 국민의 철도 코레일 (2012년~2014년)
통일호, 통근열차육성 방송, 자동 안내방송



과거 안내방송 성우는 다음과 같다.

열차 종류한국어 성우 (담당 기간)영어 성우 (담당 기간)
광역철도김수희 (1993년~2003년)[76], 이윤정 (2002년~2010년)[77], 한수림 (2008년~2010년)[78]조미나 (1993년~2003년)[80], 브랜든 (2002년~2010년)[81]
무궁화호이선 (2000년~2004년), 이윤정 (2004년~2012년)브랜든 (2000년~2014년)
새마을호이선 (2000년~2004년), 이윤정 (2004년~2007년)브랜든 (2000년~2014년)
누리로이윤정 (2009년~2016년 11월)브랜든 (2009년~2016년 11월)
통일호 / 통근열차김수희 (1990년대~2009년)[79]조미나 (1990년대~2009년)



일본의 ATOS 자동 안내 방송과 유사하게, 코보스(KOBOS)와 KSBS 같은 자동 안내 방송 시스템이 각 지역에 도입되어 이용객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8. 국제 철도 협력


한국 전쟁 이전에는 경의선경원선이 현재의 북한 지역까지 운행되었다. 경의선은 서울에서 개성, 평양을 거쳐 중국 국경의 신의주까지 이어졌고, 경원선은 동해안의 원산까지 연결되었다. 또한 금강산전기철도철원에서 금강산까지 운행되었다.

분단 이후 끊어졌던 경의선동해북부선의 연결 사업이 추진되었다. 2007년 5월 17일에는 남북 철도 연결 구간에서 시험 열차가 운행되었다. 서쪽의 경의선에서는 문산에서 개성까지, 동쪽의 동해북부선에서는 제진에서 고성까지 열차가 오갔다.[10]

2007년 12월부터는 경의선을 통해 개성공업지구로 가는 정기 화물열차가 운행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용 실적이 매우 저조했다. 2008년 10월까지 총 163회 왕복 운행 중 150회는 빈 열차로 운행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운송된 화물 총량은 340ton에 불과했다. 이는 개성공단 입주 기업들이 철도보다 도로 운송을 선호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11] 결국 2008년 11월, 북한 측의 조치로 경의선 운행은 중단되었다.[17]

이후 남북 관계 변화에 따라 2018년 11월 30일, 철도 공동 조사를 위한 남측 열차가 북한으로 넘어가면서 교류 재개의 움직임이 있었다.[12][13] 경의선동해선 철도 연결 및 현대화를 위한 남북 공동 조사가 2018년 말에 진행되었다.[15][16][18] 개성과 신의주 사이의 400km 구간 경의선 조사[17]금강산에서 두만강까지의 800km 구간 동해선 조사[19][22] 를 통해 북한 철도 시설의 노후화가 확인되기도 했다.[22]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018년 12월 26일, 개성 판문역에서 남북 철도·도로 연결 및 현대화 착공식이 열렸다.[20][21][26] 약 100명의 남측 관계자가 도라산역에서 특별 열차를 타고 행사에 참석했다.[26][12] 하지만 이후 남북 관계 경색 등으로 실질적인 사업 진척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경원선 복원을 통해 러시아 철도와 연결되는 한반도 종단철도 구상도 존재한다.[14]
JR큐슈는 부산후쿠오카를 약 3시간 만에 연결하는 제트포일 페리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과거 코레일은 JR 서일본과 함께 KTX와 신칸센부산-시모노세키/후쿠오카 연락선 할인을 포함한 '한일공동승차권'을 판매했으나, 이용률 저조로 폐지되었다.

현재 한국과 일본을 직접 연결하는 철도는 없다. 쓰시마를 거쳐 부산과 후쿠오카를 잇는 한일 해저터널 구상은 1917년부터 제기되었지만, 아직 구체적인 계획 수립 단계에는 이르지 못했다. 양국 간 교역량 증가로 경제적 타당성은 높아졌으나, 실제 추진은 정치적 문제 등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고 있다.[27]

9. 경영 현황

한국철도공사는 출범 이후 만성적인 적자 구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2007년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 참여로 일시적인 순이익을 기록했으나, 2013년 해당 사업이 무산되면서 다시 큰 손실을 입었다.[32] 이후 2015년 호남고속철도 개통 효과로 잠시 흑자를 기록하기도 했지만, 2016년 경쟁사인 SR의 수서고속철도 개통과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다시 적자로 전환되었고, 특히 2020년에는 사상 최대 규모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이러한 재정 악화 속에서 한국철도공사는 2011년 12월 이후 동결된 철도 요금의 인상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86] 국토교통부는 요금 인상 필요성에 공감하는 입장이지만, 물가 안정을 우선시하는 기획재정부는 난색을 표하고 있어 요금 조정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경영난이 심화되면서 2021년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는 최하위인 E등급을 받기도 했다.[6]

한편, 경영진과 노동조합 간의 갈등도 계속되고 있다. 대부분의 직원이 소속된 한국철도노동조합은 임금 및 단체협상, 구조조정 문제 등으로 사측과 대립하며 파업을 벌이기도 했다. 대표적인 사례로 2006년 한국 철도 파업이 있으며, 2013년 12월에는 정부의 철도 민영화 추진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열리기도 했다.[9] 최근에는 정부의 공공기관 개혁 추진에 반발하여 2023년 9월, 4년 만에 총파업에 돌입하기도 했다.[33]

9. 1. 재무 및 손익

철도청으로부터 철도 사업을 승계하여 운영하고 있으며(시설 소유는 국가철도공단), 요금은 거리에 따라 책정된다. 비교적 저렴한 운임 정책 등으로 인해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13년에는 용산 개발 사업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진 후 긴급 경영 체제를 발족시키기도 했다.[32]

주요 재무 상태 및 손익 현황은 다음과 같다. (단위: 억원)

구분2005년2010년2015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자산140,554198,122178,690246,441245,937284,525287,523
부채57,99496,579132,078174,407181,452195,782203,585
자본82,560101,54346,61172,03364,48588,74383,938
매출액34,02936,82552,20744,00451,42754,55758,159
영업이익-5,380-5,2871,143-11,684-8,660-4,363-4,743
당기순이익-6,0693,8075,776-12,380-11,081-3,104-5,424



2015년을 제외하고 지난 10여 년간 지속적인 영업 적자를 기록했다. 특히 2021년 한 해에만 1.1081조의 당기순손실이 발생했으며, 2021년 말 기준 누적 적자는 18.66조에 달했다. 2011년 4.9% 인상 이후 철도 요금은 동결 상태이다. 이러한 경영난 속에서 2021년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는 최저 등급인 E등급(아주 미흡)을 받았다.[6]

한국철도공사는 2023년부터 2025년까지 3년간 1.2조를 상회하는 당기순손실을 낼 것으로 예상된다. 2023년부터 향후 5년간의 이자 비용만 1.8조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한국철도공사에 대한 개혁을 추진하고 있으나, 전국철도노동조합(철도노조)의 반발에 부딪혀 2023년 9월에는 4년 만에 총파업이 벌어지기도 했다.[33]

연결 재무제표는 다음과 같다. (단위: 원)[34]

회계연도매출액영업이익당기순이익
2018년5554504330000KRW-98721940000KRW-139315540000KRW
2019년5602686700000KRW-144604460000KRW-85328460000KRW
2020년4400467990000KRW-1168481590000KRW-1238058940000KRW
2021년5142778600000KRW-866063080000KRW-1108124110000KRW
2022년5455764200000KRW-436359580000KRW-310411070000KRW


10. 논란 및 사건 사고

한국철도공사는 노동자의 대부분이 가입된 한국철도노동조합과의 갈등이 잦은 편이다. 이로 인해 파업이 종종 발생했으며, 2006년 한국 철도 파업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2013년 12월에는 정부의 민영화 추진에 반대하여 약 2만 3천 명에서 10만 명에 달하는 노조원과 지지자들이 서울에서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9]

한국철도청의 철도 사업을 승계한 이후, 저렴한 운임 등으로 인해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2013년에는 용산 개발 사업(용산국제업무지구)이 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지면서(이후 사업 파산 및 청산) 긴급 경영 체제에 돌입하기도 했다.[32] 한국철도공사는 2023년부터 2025년까지 3년간 1.2조을 넘는 당기순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5년간의 이자 비용만 1.8조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재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한국철도공사에 대한 개혁을 추진하고 있으나, 이에 반대하는 전국철도노동조합(철도노조)은 2023년 9월, 4년 만에 총파업에 돌입했다.[33]

2012년 6월에는 한국철도공사가 자사의 철도 안전성과 정시 운행률이 세계 1위라는 통계를 발표했으나, 국토교통부(당시 국토해양부)의 조사 결과 이는 사실과 다른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고속철도(KTX) 등에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010년 발생한 탈선 사고 4건을 0건으로, 건널목 사고 17건을 8건으로 축소 보고하는 등 통계를 자사에 유리하게 과장하고 왜곡한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44]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정부의 철도 민영화를 위한 여론 조작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45]

참조

[1] 웹사이트 한국철도공사 https://www.jobkorea[...] JOBKOREA Corp. 2021-08-27
[2] 웹사이트 2010 Statements of Income https://archive.toda[...] Korail 2013-05-28
[3] 보고서 2019 철도통계연보 (I) https://www.kric.go.[...]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21-08-27
[4] 웹사이트 KOSIS 국가통계포털 http://www.kosis.kr
[5] 웹사이트 코레일 새 약칭 '한국철도'로 바꾼다…한글사랑 실천 https://www.yna.co.k[...] 2019-10-08
[6] 뉴스 Korail in deficit of 18.7 trillion, organize low-profit routes! https://shindonga.do[...] dongA.com 2022-08-24
[7] 웹사이트 Planned G-Train offers tourists ultimate comfort http://koreajoongang[...] JoongAng Ilbo 2015-01-24
[8] 웹사이트 Railroad Passes https://web.archive.[...] 2013-09-18
[9] 웹사이트 [現場] 寒波の中 10万の人波 「国民を敵に回すな」 http://japan.hani.co[...]
[10] 뉴스 Korean trains in historic link-up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5-17
[11] 뉴스 Korean detente railway becomes ghost train https://www.telegrap[...] 2008-10-23
[12] 웹사이트 S. Korean Inspector Train Runs in N. Korea for Re-Connection Survey l KBS WORLD Radio http://world.kbs.co.[...]
[13] 웹사이트 A South Korean train heads North, but sanctions mean it has to carry its own fuel https://www.cnn.com/[...] CNN 2018-11-30
[14] 웹사이트 Trans-Korean Main Line - Investment in the Future - Russian Transport Daily Report https://archive.toda[...] 2010-10-29
[15] 웹사이트 Koreas Survey Railway Tracks Cut Since the Korean War https://www.voanews.[...] 2018-11-30
[16] 웹사이트 Koreas survey North's railways in hopes of joining networks | the News Tribune https://web.archive.[...]
[17] 뉴스 First train in a decade departs South Korea for North Korea https://www.telegrap[...] 2018-11-30
[18] 웹사이트 [Newsmaker] Koreas in consultations for joint road inspection http://www.koreahera[...] 2018-12-05
[19] 웹사이트 Joint Inspection of N. Korea's Eastern Rail Line Begins l KBS WORLD Radio http://world.kbs.co.[...]
[20] 웹사이트 (3rd LD) Koreas agree to hold groundbreaking ceremony for rail, road reconnection on Dec. 26 https://en.yna.co.kr[...] Yonhap News Agency 2018-12-13
[21] 웹사이트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방송! The World On Arirang! http://www.arirang.c[...]
[22] 웹사이트 N. Korea railway not in good condition: inspection team http://www.koreahera[...] 2018-12-17
[23] 웹사이트 US approves inter-Korean railway groundbreaking ceremony http://english.hani.[...] The Hankyoreh 2018-12-29
[24] 웹사이트 Two Koreas Begin Joint Road Survey http://world.kbs.co.[...]
[25] 웹사이트 S. Korean Officials Visit N. Korea for Joint Road Survey https://www.independ[...] 2018-12-24
[26] 뉴스 Koreas Hold Groundbreaking Ceremony for Stalled Rail Project https://web.archive.[...]
[27] 뉴스 Japan and South Korea Increasingly Closer: The Two Nations Are Now Planning The Future Together: An Underwater Tunnel, A Common History Book... http://www.asianews.[...] AsiaNews.it 2009-12-04
[28] 웹사이트 KORAILパスについて http://www.letskorai[...] 韓国鉄道公社(日本語サイト) 2020-07-17
[29] 웹사이트 코레일 새 약칭 '한국철도'로 바꾼다…한글사랑 실천 https://www.yna.co.k[...] 2020-01-27
[30] 웹사이트 보도자료 (글번호 : 14866976) 한국철도공사의 새로운 약칭 ‘한국철도(코레일)’ 어떠세요? http://info.korail.c[...] 한국철도공사 2020-07-17
[31] 법률
[32] 뉴스 한국철도공사、竜山開発事業で最大の危機に https://japanese.joi[...] 2013-03-15
[33] 뉴스 1兆ウォン超の赤字抱える韓国鉄道公社、4年ぶりのゼネスト突入 https://www.chosunon[...] 2023-09-15
[34] 웹사이트 한국철도공사·재무상황 https://www.saramin.[...]
[35] 웹사이트 KORAIL組織図 http://info.korail.c[...] 2015-08-15
[36] 웹사이트 http://info.korail.c[...] 2015-08-14
[37] 웹사이트 京春線の準高速鉄道 「ITX-青春」 http://japanese.visi[...]
[38] 웹사이트 ソウルから地方への行き方~鉄道編~ http://www.konest.co[...]
[39] 웹사이트 西海岸を疾走する金色の列車 「西海金光列車」が開通 http://japanese.kore[...] 2015-02-02
[40] 간행물 철도ピクトリアル 電気車研究会
[41] 웹사이트 鉄道 http://japanese.dgs.[...]
[42] 웹사이트 역 운영 현황 http://info.korail.c[...]
[43] 웹사이트 영업거리 http://info.korail.c[...]
[44] 뉴스 한국의 철도、「세계일 안전」은 거짓말이었다 http://www.chosunonl[...] 2012-12-26
[45] 웹사이트 민중의 소리> 광주시민사회 강탈면허발행, 철도노조탄압을 규탄 http://www.vop.co.kr[...]
[46] 뉴스 4조 5천억 부채 안고 한국철도공사 출범 https://n.news.naver[...] 2005-01-05
[47] 기타 이문차량사업소 구내 위치
[48] 기타 영등포역 구내 위치, 강원본부, 대전충남본부 위치 정보
[49] 기타 제천역 구내 위치
[50] 기타 익산역 구내 위치
[51] wiki 광주역 구내 위치
[52] wiki 동대구역 구내 위치
[53] wiki 부산역 구내 위치
[54] wiki 경주역 구내 위치
[55] 웹인용 역 운영 현황, 한국철도공사 홈페이지 https://info.korail.[...] 2024-01-04
[56] wiki 중부내륙선, 경강선, 중앙선 청량리~도담 구간
[57] text
[58] 웹인용 온비드 공매물건 매각 l 고철및금속폐기물 l 헌 전철보수장비 1대 https://www.onbid.co[...] 2021-11-19
[59] 웹사이트 온비드 https://www.onbid.co[...] 2021-11-15
[60] text
[61] 설명
[62] 설명
[63] 설명
[64] 설명
[65] 음악 2000-11-18
[66] 설명 2016-12
[67] 음악
[68] 설명
[69] 설명
[70] 음악 2006-12-27
[71] 일반
[72] 일반
[73] 일반
[74] 일반
[75] 일반
[76] 일반
[77] 일반
[78] 일반
[79] 일반
[80] 일반
[81] text
[82] text
[83] text
[84] text
[85] text
[86] 뉴스 [단독] 13년째 멈춘 철도요금…코레일 노선 24개 중 19개 적자 https://www.sedaily.[...] 2024-07-1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