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외선은 일제강점기 말 경의선, 중앙선, 경원선을 연결하는 우회선으로 계획되었으나, 노반 공사만 완료되고 개통되지 못했다. 1959년 재착공하여 1961년 능곡-가릉 구간이 개통되었고, 1963년 전 구간이 개통되어 서울역을 기점으로 순환 운행을 시작했다. 이후 관광열차 운행, 통일호 폐지, 야간 순환열차 운행 등 변화를 겪었으며, 현재는 정기 여객 열차 운행이 중단된 상태이다. 2025년 운행 재개를 목표로 개량 계획이 진행 중이며, 대곡-의정부 구간에 디젤 기관차 견인 무궁화호가 투입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도사쿠로시오 철도 나카무라선
    고치현의 구보카와역과 나카무라역을 연결하는 43.0km 길이의 도사쿠로시오 철도 나카무라선은 단선 비전철화 노선으로, 특급 열차와 완행 열차가 운행되며 해안을 따라 아름다운 경치를 감상할 수 있는 루프선 구간이 존재한다.
  • 196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사쿠라지마선
    사쿠라지마선은 니시쿠조역과 사쿠라지마역을 잇는 JR 서일본 노선으로, 오사카 순환선 직통 운행과 USJ 이용객 수송을 담당하며, 일부 구간은 JR 화물이 화물 열차를 운행하고, USJ 개업 이후 관광 노선으로서 중요성이 커져 엑스포를 대비한 증편 및 연장 계획이 추진 중이다.
  • 196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마드리드 지하철 10호선
    마드리드 지하철 10호선은 옛 8호선 일부와 교외선을 통합하여 개통된 마드리드 지하철의 주요 노선으로, A, B 두 개의 지선으로 운행되며 여러 노선 및 철도와 환승이 가능하다.
  • 교외선 - 원릉역
    원릉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으로, 1961년 영업을 시작했으나 2004년 여객 영업이 중지되었고 2025년 재개될 예정이며, 주변에 아파트 단지, 학교 등이 위치하고 영화에도 등장했다.
  • 교외선 - 일영역
    일영역은 1961년 개시된 경의선 역으로 여객 취급 중단 후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나 방탄소년단 뮤직비디오 촬영지로 알려지며 유명해졌고, 현재 폐쇄된 역사는 2024년 11월 복원될 예정이다.
교외선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노선 이름교외선
로마자 표기Gyooeseon
한자 표기郊外線
노선 종류화물 철도
노선 상태운영 중
위치경기도
기점능곡역
종점의정부역
운영 기관한국철도공사
소유 기관국가철도공단
개통 시기1961년 ~ 1963년 (단계별 개통)
전체 노선 길이31.8km
선로 수단선
궤간1,435mm (표준궤)
전철화 여부비전철화
역사 정보
전체 개통일1963년 8월 20일
역 목록
역 수7
노선 번호
노선 번호30303
이미지
교외선 노선도

2. 역사

교외선은 일제 강점기 말기, 경의선의 여객 및 화물을 서울 시내를 경유하지 않고 중앙선으로 접속시켜 부산항으로 이어지게 하고, 경원선의 열차를 시내 경유 없이 수색역으로 바로 통하게 하는 우회선으로 계획되었다.[12] 1944년 2월 전 구간이 착공되었으나,[12] 노반 공사 완료 후 준공 직전 개통이 무산되었다.[13]

일제강점기에는 경의선의 여객·화물을 중앙선을 경유하여 부산까지 운행하고, 경원선 열차를 경성부에 진입시키지 않고 차량기지가 있는 수색역으로 회송하는 역할을 기대했다.[5]

2. 1. 일제강점기

교외선은 일제 강점기 말기, 경의선의 여객 및 화물을 서울 시내를 경유하지 않고 중앙선으로 접속시켜 부산항으로 이어지게 하고, 경원선의 열차를 시내 경유 없이 수색역으로 바로 통하게 하는 우회선으로 계획되었다.[12] 1944년 2월 전 구간이 착공되었으나,[12] 노반 공사 완료 후 준공 직전 개통이 무산되었다.[13]

일제강점기에는 경의선의 여객·화물을 중앙선을 경유하여 부산까지 운행하고, 경원선 열차를 경성부에 진입시키지 않고 차량기지가 있는 수색역으로 회송하는 역할을 기대했다.[5]

2. 2. 해방 이후 ~ 1990년대

교외선은 일제 강점기 말기, 경의선의 여객 및 화물을 서울 시내를 경유하지 않고 중앙선으로 접속시켜 부산항으로 연결하고, 경원선 열차를 시내 경유 없이 수색역으로 바로 통하게 하는 우회선으로 계획되었다.[12] 1944년 2월 착공하여[12] 노반 공사까지 완료되었으나, 준공 직전 개통이 무산되었다.[13]

1959년 ICA 원조금과 내자금으로 재착공하여, 1961년 7월 10일 능곡 - 가릉 구간이 개통되었다.[1] 1963년 8월 20일 가릉 - 의정부 구간이 개통되며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15] 이 공사에는 내자 35,180,000원과 외자 114,000달러, 레일 2,263톤, 시멘트 62,086포, 침목 57,194개, 강재 489톤이 소요되었다.[15] 개통 직후에는 서울역을 기점으로 능곡 - 의정부 - 청량리 - 용산 - 서울 순으로 순환 운행하였다. 1965년 7월 21일에는 장흥역이, 1967년 1월 9일에는 대정역삼릉역이 영업을 개시하였다. 이후 1986년 성북(현 광운대역)-의정부 구간이 복선 전철화되자, 의정부까지만 운행하였다.

1994년 8월 21일, 중국에서 도입한 901호 증기 기관차를 이용한 관광열차가 영업을 시작하였으나,[18] 2000년 5월 16일부로 운행을 중단하였다. 1996년 1월 30일에는 대곡역이 영업을 개시하였다. 2004년 4월 1일부터 모든 교외선 통일호가 폐지되었다.[19] 같은 해 10월 4일 서울야간 순환열차가 관광열차 운행을 시작하였으나, 이 또한 현재는 중단되었다.

벽제역 근처 국군벽제병원으로 인해 군인 환자 수송용 열차가, 원릉역, 벽제역 등에는 군 화물 임시열차가 운행되기도 한다. 2013년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가 2015년 말 재개되었으며,[16] 2016년 5월 16일부터 7월 6일까지 서울역 북부 선로개량 공사로 교외선에 화물열차가 운행되었다. 2014년 1월 27일에는 일영역보통역에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20]

2021년 8월 23일 고양·양주·의정부시, 국가철도공단, 한국철도공사와 '교외선 운행재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으며,[22] 9월 13일 교외선의 운행 재개가 2025년 1월로 확정됐다. 디젤동차의 내구 연한 만료로 디젤기관차 견인형 무궁화호 투입으로 가닥을 잡았다.[17] 2023년 5월 개량공사에 착공하였다.

2. 3. 2000년대 이후 ~ 현재

1944년 2월 일제강점기 말기, 북쪽에서 내려오는 경의선의 여객 및 화물을 서울 시내를 경유하지 않고 중앙선으로 접속시켜 부산항으로 이어지게 하고, 경원선의 열차를 시내 경유 없이 수색역으로 바로 통하게 하는 우회선으로서 교외선 건설이 착공되었다.[12] 그러나 노반 공사까지 완료되었으나 준공 직전 1945년 8월 15일 광복으로 개통이 무산되었다.[13]

1959년 ICA 원조금과 내자금으로 착공하여,[15] 1961년 7월 10일 능곡 - 가릉 구간이 개통되었다.[1][5] 1963년 8월 20일 가릉 - 의정부 구간이 개통되며 완전히 개통되었고, 가릉역은 폐지되었다.[1][5] 이 공사에는 내자 35,180,000원과 외자 114,000달러, 레일 2,263톤, 시멘트 62,086포, 침목 57,194개, 강재 489톤이 소요되었다.[15] 개통 직후에는 서울역을 기점으로, 능곡 - 의정부 - 청량리 - 용산 - 서울 순으로 순환 운행하였다. 1965년 7월 21일 장흥역, 1967년 1월 9일 대정역, 삼릉역이 영업을 개시하였다. 이후 1986년 성북(현 광운대역)-의정부 구간이 복선 전철화되자, 의정부역까지만 운행하였다.

1994년 8월 21일 온릉역 영업 개시와 함께 중국에서 도입한 901호 증기 기관차를 이용한 관광열차가 영업을 시작하였으나,[18] 2000년 5월 16일부로 운행을 중단하였다.[5] 1996년 1월 30일 대곡역 영업이 개시되었다. 2004년 4월 1일 모든 교외선 통일호가 폐지되었다.[5] 2004년 10월 4일 서울야간 순환열차가 관광열차 운행을 시작하였으나,[19] 현재는 이 또한 중단되었다.

벽제역 근처에 국군벽제병원이 있어 가끔 군인 환자 수송용 열차가 오가기도 하며, 원릉역, 벽제역 등에 군 화물 임시열차(간혹 혼합열차 운행)가 발착하고 있다. 2013년에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가, 2015년 말 재개되었다.[16] 2014년 1월 27일 일영역보통역에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20] 이로써 교외선의 보통역(영업중인 역)은 한곳도 남아있지 않게 되었다. 2016년 5월 16일부터 7월 6일까지 서울역 북부 선로개량 공사로 교외선에 화물열차가 운행된 바 있다.

2019년 4월 17일 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30303'''으로 변경되었다.[21] 2021년 9월 13일 교외선의 운행 재개가 2025년 1월로 확정됐다. 2021년 8월 23일 고양·양주·의정부시, 국가철도공단, 한국철도공사와 '교외선 운행재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22] 디젤동차의 내구 연한 만료로 디젤기관차 견인형 무궁화호 투입으로 가닥을 잡았다.[17][10] 2023년 5월 개량공사가 착공되었으며, 2025년 1월 11일 운행 재개 예정이다.[23]

3. 역 목록

거리(km)영업
거리(km)소재지능곡Neunggok陵谷경의선
서해선0.00.0경기도고양시대곡Daegok大谷일산선
경의선
서해선
1.51.5원릉Wolleung元陵4.25.7일영Iryeong日迎11.016.7양주시장흥Jangheung長興2.419.1송추Songchu松湫4.023.1의정부Uijeongbu議政府경원선8.731.8의정부시



모든 역이 경기도 내에 위치한다.

역 이름역간 거리 (km)누적 거리 (km)역 등급역 종류연결 노선소재지
일본어한국어영어
능곡역 (陵谷駅)능곡역Neunggok0.00.03급보통역15px 경의·중앙선(경의선) ・15px 서해선고양시
덕양구
대곡역 (大谷駅)대곡역Daegok1.51.52급배치간이역15px 경의·중앙선(경의선) ・15px 3호선(일산선) ・15px 서해선
대정역 (大井駅)대정역Daejeong1.32.8무배치간이역 
원릉역 (元陵駅)원릉역Wolleung2.95.7무배치간이역 
삼릉역 (三陵駅)삼릉역Samneung2.17.8무배치간이역 
벽제역 (碧蹄駅)벽제역Byeokje4.212.0무배치간이역 
일영역 (日迎駅)일영역Iryeong4.716.7무배치간이역 양주시
장흥역 (長興駅)장흥역Jangheung2.419.1무배치간이역 
온릉역 (溫陵駅)온릉역Olleung0.819.9임시승강장 
송추역 (松湫駅)송추역Songchu3.223.1무배치간이역 
의정부역 (議政府駅)의정부역Uijeongbu8.731.82급관리역15px 1호선(경원선)의정부시


3. 1. 현재 역

거리(km)영업
거리(km)소재지능곡Neunggok陵谷경의선()
서해선()0.00.0경기도고양시대곡Daegok大谷일산선()
경의선()
서해선()
1.51.5원릉Wolleung元陵4.25.7일영Iryeong日迎11.016.7양주시장흥Jangheung長興2.419.1송추Songchu松湫4.023.1의정부Uijeongbu議政府경원선()8.731.8의정부시



교외선 역 소재지는 모두 경기도 내에 있다.

3. 2. 폐역

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접속 노선역간영업소재지
능곡Neunggok陵谷경의선()0.00.0경기도고양시
대곡Daegok大谷일산선()1.51.5
원릉Wolleung元陵4.25.7
일영Iryeong日迎11.016.7양주시
장흥Jangheung長興2.419.1
송추Songchu松湫4.023.1
의정부Uijeongbu議政府경원선()8.731.8의정부시



가릉역은 송추역의정부역 사이에 있었으며 1963년 8월 20일에 폐지되었다.

4. 운행 계통

1963년 전 구간 완공 직후에는 서울 - 신촌 - 수색 - 능곡 - 일영 - 송추 - 의정부 - 성북 - 청량리 - 왕십리 - 서빙고 - 용산 - 서울 구간을 운행하였다.

1986년 경원선 복선 전철화 이후에는 서울 - (중간역 미상) - 송추 - 의정부 구간을 운행하였다.

2004년 폐지 직전에는 서울 - 신촌 - 가좌 - 수색 - 화전 - 강매 - 행신 - 능곡 - 대곡 - 대정 - 원릉 - 삼릉 - 벽제 - 일영 - 장흥 - 온릉 - 송추 - 의정부 구간을 운행하였다.

2004년 서울야간 순환열차는 서울 - 신촌 - 수색 - 능곡 - 일영 - 송추 - 의정부 - 청량리 - 응봉 - 용산 - 서울 구간을 운행하였다. 이 열차는 첫차 오전 7시 30분, 요금은 3만 5,000원 전후였다. 운행 열차는 무궁화호 특실을 개조한 교외선 전용 새마을호 열차로, 총 198석의 객차 5량 등 모두 7량이었다.

2025년 여객열차 재개통 이후에는 대곡 - 원릉 - 일영 - 장흥 - 송추 - 의정부 구간을 운행할 예정이다.

현재 교외선은 단선 비전철화 노선이며,[2] 이용률이 매우 낮아 정기 여객 열차 운행이 없다.

4. 1. 여객 운행

1963년 전 구간 완공 직후에는 서울 - 신촌 - 수색 - 능곡 - 일영 - 송추 - 의정부 - 성북 - 청량리 - 왕십리 - 서빙고 - 용산 - 서울 구간을 운행하였다.

1986년 경원선 복선 전철화 이후에는 서울 - (중간역 미상) - 송추 - 의정부 구간을 운행하였다.

2004년 폐지 직전에는 서울 - 신촌 - 가좌 - 수색 - 화전 - 강매 - 행신 - 능곡 - 대곡 - 대정 - 원릉 - 삼릉 - 벽제 - 일영 - 장흥 - 온릉 - 송추 - 의정부 구간을 운행하였다.

2004년 서울야간 순환열차는 서울 - 신촌 - 수색 - 능곡 - 일영 - 송추 - 의정부 - 청량리 - 응봉 - 용산 - 서울 구간을 운행하였다. 이 열차는 첫차 오전 7시 30분, 요금은 3만 5,000원 전후였다. 운행 열차는 무궁화호 특실을 개조한 교외선 전용 새마을호 열차로, 총 198석의 객차 5량 등 모두 7량이었다.

2025년 여객열차 재개통 이후에는 대곡 - 원릉 - 일영 - 장흥 - 송추 - 의정부 구간을 운행할 예정이다.

현재 교외선은 단선 비전철화 노선이며,[2] 이용률이 매우 낮아 정기 여객 열차 운행이 없다.

4. 2. 화물 운행

교외선은 1963년 전 구간 완공 직후 서울 - 신촌 - 수색 - 능곡 - 일영 - 송추 - 의정부 - 성북 - 청량리 - 왕십리 - 서빙고 - 용산 - 서울 간 화물 운행을 시작하였다.[2] 1986년 경원선 복선전철화 이후에는 서울 - (중간역 미상) - 송추 - 의정부 구간을 운행하였다. 2004년 폐지 직전에는 서울 - 신촌 - 가좌 - 수색 - 한국항공대 - 강매 - 행신 - 능곡 - 대곡 - 대정 - 원릉 - 삼릉 - 벽제 - 일영 - 장흥 - 온릉 - 송추 - 의정부 구간에서 화물 열차가 운행되었다.

2013년 10월 불규칙적인 화물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고, 2014년 1월 24일에는 일영역이 무인역으로 격하되었다.[2] 이후 운영이 중단되었다가, 서울역 북부 재궤도 작업, 용산선 지하화(34.5‰의 경사), 효창선 폐지로 인해 화물 열차의 교외선 경유 필요성이 발생하여 2016년 4월 20일부터 철길 건널목 운영 및 직원 배치 하에 시험 운행이 재개되었고, 2016년 5월 16일부터 정기 화물 열차 운행이 재개되었다.[2]

5. 개량 계획

국토교통부는 2025년까지 GTX 기반 수도권 환상(環狀) 노선 완성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7803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교외선 29.6km 구간을 개량하는 사업이 포함된다.[24] 2019년 용역보고서에서는 원릉역, 벽제역, 송추역, 경민대역(신설)에 디젤동차가 정차하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고양시고양동을 경유하는 신설 노선을, 양주시일영역을 경유하는 기존 노선을 추진하고 있다. 연선 지자체에서는 교외선과 서울 지하철 3호선 지축역을 연결하는 방안이나[25], 서울 지하철 6호선을 연장하여 교외선에 직결하는 구상을 내놓기도 하였다.[26]

고양시, 양주시, 의정부시는 경기도 순환 철도 노선으로 교외선의 재개통을 희망하고 있다.[3] 미래의 대곡~소사~원시선 연장선으로서 교외선은 복선 전철화될 수 있으며, 서울 지하철에 정기 여객 서비스가 통합될 수 있다.

고양시, 양주시, 의정부시한국철도공사는 2023년까지 대곡역에서 의정부역까지 교외선을 수리하기로 결정했다. 철도는 비전철 단선 철도가 될 것이며, 수리된 한국철도공사 통근형 디젤 동차가 사용될 것이다.[4]

6. 이용객 변동

다음 자료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통계 내용을 모은 것이다.[27]

구분이용 인원수 (명)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비둘기0000000000000000
통일(통근)43,95242,85131,14731,9488,23800000000000
무궁화2,22900721,080500109763653351,52100000
새마을00000010000000000
건설3601,224641144각 종별 열차 이용객에 포함됨
정기권1,7221,5941,6342,332
합계48,26345,66933,42234,4969,318500209763653351,52100000


7.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철마 110년, 영고의 자취 [12] 경제개발과 철도 http://www.silvernet[...] Silvernet News 2010-03-20
[2] 웹사이트 경영원칙 > 경영공시 > 영업현황 > 영업거리현황 http://info.korail.c[...] Korail
[3] 뉴스 16년만에 교외선 재개통 ‘의기투합’…道-고양-의정부-양주 업무협약 체결 http://www.joongang.[...] 2020-12-29
[4] 뉴스 교외선, 실시설계 본격 착수‥ 2024년 운행 재개 ‘탄력’ http://www.mygoyang.[...] 2021-10-26
[5] 서적 조선교통사 1 BG북갤러리 2012
[6] 뉴스 교외선 능곡~의정부 35.9㎞, 2020년 전철 개통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11-10-20
[7] 뉴스 손범규 "교외선 예타 대상사업 재선정" http://www.joongboo.[...] 중부일보 2011-11-11
[8] 뉴스 교외선 복원으로 수도권 순환철도 완성 http://www.obsnews.c[...] OBS 경인TV 2019-01-01
[9] 뉴스 의정부 교외선, 2024년부터 능곡~의정부 하루 34차례 운행 https://www.kyeonggi[...] 경기일보 2021-08-09
[10] 기타
[11] 기타
[12] 서적
[13] 서적 조선교통사 1
[14] 웹사이트 해피 밸리 전투 -1- http://mnd9090.tisto[...] 2017-08-13
[15] 서적 철도건설사 1969
[16] 블로그 의정부시 공식 블로그 http://blog.naver.co[...]
[17] 뉴스 https://www.news1.kr[...] 2023-07-02
[18] 뉴스 https://news.kbs.co.[...] 1994-08-21
[19] 뉴스 https://news.kbs.co.[...] 2004-10-16
[20] 간행물 열차운전시행세칙 한국철도공사 2014-01-24
[21]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http://gwanbo.mois.g[...] 국토교통부 2019-04-17
[22] 뉴스 https://www.yna.co.k[...] 2021-08-23
[23] 뉴스 https://www.news1.kr[...] 2024-11-12
[24] 뉴스 http://news.donga.co[...] 2017-03-07
[25] 뉴스 https://news.naver.c[...] 2011-10-20
[26] 뉴스 http://www.seoul.co.[...] 2013-07-19
[27] 웹사이트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http://info.korail.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