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잭 하시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잭 하시먼은 1945년 마이너 리그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하여 1954년부터 1960년까지 메이저 리그에서 활동한 야구 선수였다. 마이너 리그에서는 투수와 타자를 겸했으며, 1954년 시카고 화이트삭스에서 데뷔하여 14승을 기록하며 성공적인 시즌을 보냈다. 볼티모어 오리올스, 보스턴 레드삭스,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를 거치며 통산 42승을 기록했다. 1960년 허리 부상으로 은퇴했으며, 2013년 8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욕 자이언츠 (야구) 선수 - 레드 쇼인딘스트
    레드 쇼인딘스트는 "레드"라는 별명으로 알려진 미국의 프로 야구 선수이자 감독, 코치로, 뛰어난 수비력과 양손 타격 능력으로 10번의 올스타에 선정되었으며, 선수와 감독으로서 월드 시리즈 우승을 경험하고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인물이다.
  • 뉴욕 자이언츠 (야구) 선수 - 호이트 윌헬름
    호이트 윌헬름은 너클볼을 던지던 미국의 전 야구 선수로, 21시즌 동안 메이저 리그에서 활약하며 1070경기 출전, 143승 122패, 124세이브, 월드 시리즈 우승, 노히트 노런, 5회 올스타 선정, 2회 최우수 방어율 기록, 야구 명예의 전당 헌액, 밥 펠러 용기상 수상 등의 업적을 남겼다.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1루수 - 애덤 던
    애덤 던은 뛰어난 장타력과 높은 삼진율을 동시에 가진 미국 프로 야구 선수로, 메이저 리그에서 여러 팀을 거치며 14시즌 동안 활약했고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미국 대표팀으로도 출전했지만 수비에서는 약점을 드러냈다.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1루수 - 케빈 유킬리스
    케빈 유킬리스는 뛰어난 타격과 수비로 골드글러브와 행크 아론 상을 수상하고 보스턴 레드삭스 월드 시리즈 우승에 기여한 미국의 전 메이저 리그 야구 선수로, 은퇴 후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사회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 캘리포니아주 출신 야구 선수 - 재키 로빈슨
    재키 로빈슨은 1947년 브루클린 다저스에 입단하여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최초의 흑인 선수로 데뷔, 뛰어난 야구 실력과 용기로 인종 차별의 벽을 허물었으며 은퇴 후에도 인권 운동가와 사업가로 활동하며 사회적 정의를 위해 헌신한 인물이다.
  • 캘리포니아주 출신 야구 선수 - 지미 윌리엄스
    지미 윌리엄스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선수 및 감독으로 활동한 미국인으로, 토론토 블루제이스, 보스턴 레드삭스, 휴스턴 애스트로스 감독을 역임하며 1995년과 2008년 월드시리즈 우승에 기여했고, 1999년 아메리칸 리그 최우수 감독상을 수상했다.
잭 하시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58년의 잭 하시먼
1958년의 하시먼
본명존 엘빈 하시먼
포지션투수 / 1루수
타석/투구좌타/좌투
출신지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고
사망지미국 텍사스주 조지타운
선수 경력
데뷔 (MLB)1948년 9월 16일
마지막 경기 (MLB)1960년 10월 1일
뉴욕 자이언츠 (, , )
시카고 화이트삭스 (–)
볼티모어 오리올스 (–)
보스턴 레드삭스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통계 (MLB)
승패 기록69–65
평균 자책점3.50
탈삼진741
타율.179
홈런21
타점65

2. 선수 경력

잭 하시먼은 1945년 마이너 리그 야구 선수로 경력을 시작하여 1953년까지 투수와 타자를 오가며 활약했다. 1954년 시카고 화이트삭스에서 메이저 리그에 데뷔하여 볼티모어 오리올스, 보스턴 레드삭스,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를 거치며 1960년까지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하시먼은 마이너 리그 시절 타자로 시작했지만, 투수로 전향하여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다. 특히 1956년에는 코니 존슨과의 1안타 완투 경기에서 승리하며 역사적인 기록을 세웠고,[8] 1958년에는 개인 통산 최다 탈삼진(161개)을 기록했다.[1]

2. 1. 마이너 리그 (1945-1953)

하시먼은 1945년 17세의 나이로 마이너 리그 야구 AA 퍼시픽 코스트 리그의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에서 프로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처음 5시즌 동안 하시먼은 투수가 아닌 메이저 리그 타자가 되기 위한 훈련을 받았다. 하시먼은 샌디에이고에서 짧은 기간 동안 67 타수에서 .254의 타율을 기록했다.[1]

1946년, 하시먼은 C등급 모데스토 레즈로 옮겨 56경기에서 .288을 기록한 후, PCL 샌디에이고로 돌아와 3경기에 출전했다. 1947년은 하시먼의 첫 번째 풀타임 시즌으로, 웨스턴 인터내셔널 리그의 빅토리아 애슬레틱스에서 151경기에 출전하여 .306의 타율과 36개의 홈런을 기록했다. 이후 다시 샌디에이고로 옮겨 11경기에서 .148의 저조한 타율을 기록했다.[1] 이러한 부진에도 불구하고, 1947년 12월 메이저 리그 뉴욕 자이언츠는 1루수로서 그의 계약을 구매했다.[2]

1948년, 하시먼은 AAA 인터내셔널 리그의 저지 시티 자이언츠로 이적하여 24개의 홈런, 76 타점, .245의 타율을 기록했다. 그는 자이언츠에서 잠시 콜업되어 9번의 타석에서 .250을 기록했다.[1]

1949년은 21세의 하시먼에게 획기적인 해였다. AA 미니애폴리스 밀러스에서 150경기에 출전하여 40개의 홈런과 111타점을 기록했다. 1950년, 하시먼의 성적은 급락했다. A등급 잭슨빌 타스에서 35경기 동안 .193, 미니애폴리스에서 .230의 타율을 기록했다. 자이언츠에서 보낸 두 번째 MLB 기간은 더욱 나빠져, 32타수에서 .125의 타율을 기록했다.[1]

이 시점에서 구단은 하시먼의 역할 변경을 고려했다. 1950년 시즌 동안 하시먼은 잭슨빌 타스 소속으로 두 경기에 투수로 등판하여 12이닝 동안 6.75의 ERA를 기록했고, 2경기에서 1승 1패를 거두었다.[1]

1951년, 하시먼은 내슈빌 볼런티어스에서 154경기에 출전하여 47개의 홈런과 .251의 타율을 기록하며 타자로서의 기량을 회복했다. 그러나 그의 감독은 다시 한번 하시먼을 투수로 기용했고, 5경기에 등판한 하시먼은 1승 1패, 3.94의 ERA를 기록했다.[1]

이전 시즌의 뛰어난 타격 성적에도 불구하고, 1952년 하시먼은 투수와 유틸리티 타자를 겸업하게 되었다. 135타수에서 .222의 타율, 8개의 홈런, 15타점을 기록했지만, 시즌 대부분을 투수로 활동했다. 26경기에 등판하여 14번 선발 등판했고, 총 131이닝 동안 78개의 삼진, 4.67의 ERA, 6승 7패를 기록했다.[1]

1953년은 하시먼에게 획기적인 해였다. AA 사우스턴 어소시에이션의 내슈빌 볼런티어스에서 하시먼은 3.27의 ERA와 23승 7패의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1]

2. 2. 메이저 리그 (1954-1960)

하시먼은 1954년 시카고 화이트삭스에서 메이저 리그에 데뷔하여 첫 시즌에 14승 8패, 2.95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성공적인 모습을 보였다. 1956년에는 코니 존슨과의 1안타 완투 경기에서 승리하며 역사적인 기록을 세웠다.[8]

1957년 화이트삭스에서 8승 8패의 시즌을 보낸 후,[1] 볼티모어 오리올스로 트레이드되었다. 오리올스에서 하시먼은 1958년에 개인 통산 최다 탈삼진(161개)을 기록하며 뛰어난 활약을 펼쳤지만, 득점 지원 부족으로 12승 15패를 기록했다.[1]

1959년에는 보스턴 레드삭스와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에서 뛰었다. 허리 부상으로 인해 1960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메이저 리그에서 은퇴했다.[1]

2. 2. 1. 시카고 화이트삭스 시절 (1954-1957)

자이언츠는 뛰어난 슬러거 1루수에서 젊은 투수 유망주로 성공적인 변신을 한 하시먼의 계약을 시카고 화이트삭스에 매각하도록 허용했다. 잭은 1954년 4월 14일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를 상대로 화이트삭스 데뷔전을 치렀지만, 선발 투수로 나서 8개의 안타를 맞고 4자책점을 기록하며 3⅔이닝 만에 강판되었다.[3] 4월 19일에도 부진한 모습을 보여,[4] 불펜으로 강등되었다. 6월 6일 다시 선발 기회를 얻기 전까지 계속 고전한 그는 워싱턴 세너터스를 상대로 7안타 완봉승을 거두었다.[5] 7월 25일에는 5–2 승리를 거두며 완투 경기에서 테드 윌리엄스를 포함해 16명의 레드삭스 타자를 삼진으로 돌려세웠다.[6] 이는 당시 펜웨이 파크 역사상 가장 많은 삼진 기록이었으며, 로저 클레멘스가 20명의 타자를 삼진으로 잡을 때까지 32년 동안 유지되었다.[7] 이후 하시먼은 안정을 찾았고, 8월 한 달 동안 6승 0패, 47탈삼진, 0.77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는 등 전반적으로 성공적인 시즌을 보냈다. 그의 첫 풀 시즌은 14승 8패, 2.95의 평균자책점, 4번의 완봉승, 134개의 탈삼진(아메리카 리그 5위)을 기록하며 인상적이었다.[1]

1955 시즌에 하시먼은 11승 7패, 3.36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고 116개의 탈삼진으로 AL 9위에 올랐다.[1] 1956년 6월 21일, 코미스키 파크에서 잭은 현대 시대에 단 두 번밖에 일어나지 않았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진귀한 기록을 달성했는데, 그와 상대 선발 투수인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코니 존슨 모두 1안타 완투 경기를 펼쳤고 하시먼은 1-0으로 승리했다.[8] 잭은 그 시즌에 3번의 완봉승을 더 거두며 15승 12패, 3.10의 평균자책점, 143개의 탈삼진을 기록하여 리그 8위에 올랐다.[1]

2. 2. 2. 볼티모어 오리올스 시절 (1958)

1958년 시즌 전, 래리 도비, 짐 마셜과 함께 볼티모어 오리올스로 트레이드되었고, 그 대가로 빌리 굿맨, 티토 프란코나, 레이 무어가 윈터 미팅에서 화이트삭스로 이적했다.[9] 오리올스는 하시먼이 디스크 질환을 앓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고, 야구 커미셔너 포드 프릭은 화이트삭스에게 20000USD 또는 오리올스가 받아들일 만한 선수를 오리올스에 보내도록 명령했다. 이 거래를 완료하기 위해 러스 헤먼이 볼티모어로 보내졌다.[10]

하시먼은 오리올스 투수 중 처음으로 팀 입단 후 처음 5번의 등판에서 모두 승리한 투수가 되었으며, 이 기록은 2024년에 잭 이플린에 의해 경신되었다.[11] 1958년, 하시먼은 평균자책점 2.89로 개인 통산 최저치를 기록했고, 아메리칸 리그에서 3번째로 높은 기록이었으며, 3개의 완봉승과 함께 개인 통산 최다인 161개의 탈삼진을 기록했다. 그러나 득점 지원이 부족하여 시즌을 12승 15패로 마감했다.[1]

2. 2. 3. 보스턴 레드삭스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시절 (1959-1960)

하시먼은 1959년에 세 팀에서 뛰었다. 1959년 6월 15일, 빌리 호프트를 상대로 보스턴 레드삭스로 트레이드되기 전까지 0승 6패, 평균자책점 6.85를 기록했다.[12] 레드삭스에서 한 달 동안 2승 3패, 2번의 선발 등판과 6번의 구원 등판에서 평균자책점 6.57을 기록했다.[1]

1959년 7월 30일,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는 하시먼의 계약을 구매했다.[13] 시즌 나머지 기간 동안 66이닝을 소화하며 5승 1패, 평균자책점 2.59를 기록했다.[1]

1960년은 하시먼의 메이저 리그 마지막 시즌이었다. 32세의 나이에 허리 부상이 심해졌다. 미끄러진 디스크 관련 문제로 클리블랜드 레이크사이드 병원에 입원한 후, 4월 24일에 부상자 명단에 올랐다.[14] 3개월 후에야 다시 마운드에 오를 수 있었지만, 감을 되찾지 못했다. 7월 24일, 레드삭스와의 경기에서 3이닝 동안 3안타 4볼넷으로 5실점하고 교체되었다. 결국 정상 궤도에 오르지 못하고 2승 4패, 평균자책점 3.98로 시즌을 마감했다.[1]

1960년 10월, 하시먼은 인디언스에서 방출되었다.[15]

3. 개인사

하시먼은 배우 마고 하시먼과 전 워싱턴 주립 대학교 및 워싱턴 대학교 농구 코치 마브 하시먼과 친척 관계였다. 그는 여러 번 결혼하여 많은 자녀와 의붓자녀를 두었다. 아내 제네비브와의 사이에서 딸 패트리샤와 조이스를, 아내 프란시스와의 사이에서 의붓딸 라빈을, 아내 도로시와의 사이에서 아들 잭 주니어를, 아내 릴리안과의 사이에서 딸 재클린을, 아내 버지니아와의 사이에서 의붓아들을 두었다.[1]

4. 사망

하시먼은 2013년 8월 17일, 그가 살던 텍사스주 조지타운에서 8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6] 그는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 있는 포트 로즈크란스 국립묘지에 묻혔다.

참조

[1] 웹사이트 Pitching Splits, Batter Matchups, Daily pitching logs http://www.retroshee[...]
[1] 웹사이트 pitching gamelogs https://www.baseball[...]
[2] 뉴스 Giants Acquire San Diego Star Sarasota Herald-Tribune 1947-12-04
[3] 뉴스 Chisox Whip Hoeft; Dorish Stars in Relief The Milwaukee Sentinel 1954-04-15
[4] 뉴스 Sox Fall, 6 to 3; Lemon Yields 3 Hits Chicago Tribune 1954-04-20
[5] 뉴스 White Sox Extend Streak to Five By Beating Senators, 5-3 and 6-0; Minoso's 2-Run Homer Wins Opener -- Harshman Triumphs on Mound in Second Game New York Times 1954-06-07
[6] 뉴스 16 Harshman Whiffs Spur Sox Chicago Tribune 1954-07-26
[7] 뉴스 Clemens fans a record 20 The Boston Globe 1986-04-30
[8] 뉴스 White Sox Shade Orioles in Duel of One-Hitters, 1-0 The Sporting News 1956-06-27
[9] 뉴스 Chisox Get Francona, Moore & Goodman https://news.google.[...] 2015-10-10
[10] 뉴스 Heman Goes to Orioles in 7 Player Deal https://news.google.[...] 1958-02-01
[11] 뉴스 Eflin's dazzling return boosts O's amid tight AL East race https://www.mlb.com/[...] MLB.com 2024-09-01
[12] 뉴스 Red Sox Get Harshman; Hoeft Goes to Orioles in Trade of Southpaws New York Times 1959-06-16
[13] 뉴스 Indians Purchase Jack Harshman The Milwaukee Journal 1959-07-30
[14] 뉴스 Hurler Jack Harshman Put On Disabled List Sarasota Herald-Tribune 1960-04-24
[15] 뉴스 Indians Drop Harshman New York Times 1960-10-19
[16] 뉴스 Death Notices https://www.newspape[...] The Austin American-Statesman 2013-08-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