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속 촬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저속 촬영(타임랩스)은 시간의 흐름을 압축하여 보여주는 촬영 기법으로, 1872년 에드워드 머이브리지의 경주마 사진 촬영에서 시작되었다. 이 기법은 영화,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고정, 모션, 하이퍼랩스 등 다양한 기술적 분류와 불릿 타임, 장노출, HDR, 홀리 그레일과 같은 특수 효과를 포함한다. 자연 현상, 도시 풍경, 과학적 실험, 예술 작품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며, 감시, 건설 현장 기록, 개인 취미 활동 등에도 사용된다.
저속 촬영(타임랩스)의 역사는 19세기 말부터 시작되었다. 1872년, 릴랜드 스탠포드의 의뢰를 받은 에드워드 머이브리지는 달리는 말의 발굽이 동시에 공중에 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일련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실험했다. 1878년까지 6년간의 실험 끝에, 머이브리지는 여러 대의 카메라를 통해 경주마의 움직임을 포착한 사진들을 연속적으로 배열하여 움직이는 이미지를 만들어냈다.[2] 이는 저속 촬영의 초기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영화는 초당 24프레임(frame)으로 촬영되고 영사된다. 즉, 1초에 24장의 이미지가 연속적으로 표시되어 움직이는 영상을 만들어낸다. 저속 촬영은 이보다 훨씬 낮은 프레임 속도로 촬영하고, 일반적인 속도로 영사하여 시간의 흐름을 압축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1분에 1프레임씩 촬영한 영상을 초당 24프레임으로 영사하면 실제보다 1440배 빠르게 움직이는 영상을 얻을 수 있다.[2] 화면 상 이미지의 속도 변화는 다음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타임랩스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그 예시는 다음과 같다.
[1]
뉴스
ALMA Time-lapse Video Compilation Released
http://www.eso.org/p[...]
ESO Announcement
2012-12-12
2. 역사
조르주 멜리에스는 1897년 영화 ''오페라의 교차로''(Carrefour De L'Opera)에서 처음으로 저속 촬영 기법을 사용했다.[3] 1910년, F. 퍼시 스미스는 무성 영화 ''꽃의 탄생''(The Birth of a Flower)에서 자연 사진에 저속 촬영을 활용했다.[4][5]
생물학적 현상의 저속 촬영은 1909년부터 장 코망동이 파테 프레르와 협력하여 개척했으며,[6][7] 1910년에는 F. 퍼시 스미스, 1915년부터 1918년까지는 로만 비쉬니악이 이 분야를 개척했다. 1920년대에 아르놀트 팡크는 ''베르크필메''(Bergfilme, [산악 영화]) 시리즈인 ''말로야의 구름 현상''(Das Wolkenphänomen in Maloja, 1924)과 ''성스러운 산''(1926) 등을 통해 산악 영화에 저속 촬영을 도입했다.
1929년부터 1931년까지 R. R. 라이프는 고배율 저속 촬영 현미경 사진을 선보이며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8][9] 존 오트는 저속 촬영 기술을 대중화하는 데 크게 기여한 인물이다. 은행가였던 그는 193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저속 촬영 장비를 제작하고, 식물의 성장 과정을 촬영하는 데 몰두했다. 그는 식물의 움직임을 조작하고, 심지어 식물의 성별까지 바꾸는 기술을 개발하여, 음악에 맞춰 춤추는 식물의 모습을 담은 영상을 제작하기도 했다. 그의 작품은 1950년대 후반 TV 쇼 ''요청하신 대로''(You Asked for It)에 소개되었고, 월트 디즈니의 ''생명의 비밀''(Secrets of Life, 1956)과 같은 다큐멘터리 영화에도 사용되었다.
영국 옥스퍼드의 옥스퍼드 과학 영화 연구소는 저속 촬영 및 슬로우 모션 시스템을 전문적으로 개발하여 TV 다큐멘터리와 영화에 기여했다. 1981년 PBS의 ''NOVA'' 시리즈에서는 ''움직이는 정지''(Moving Still)라는 에피소드를 통해 저속 촬영과 슬로우 모션 사진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비서사 영화 ''코야니스카치''(Koyaanisqatsi, 1983)는 촬영 감독 론 프리케가 촬영한 구름, 군중, 도시의 저속 촬영 이미지를 담고 있다. 론 프리케는 이후 IMAX 카메라를 사용한 ''크로노스''(1985)를 제작했고, 토드-AO(70mm) 필름으로 촬영한 다큐멘터리 ''바라카''(1992)에서도 저속 촬영 기술을 활용했다.
피터 그리너웨이의 영화 ''A Zed & Two Noughts''에는 분해되는 동물의 저속 촬영 사진이 등장하며, 마이클 니먼이 작곡한 "타임 랩스"라는 곡이 사용되었다. 1990년대 후반에는 CBS 텔레비전 시리즈 ''얼리 에디션''에 저속 촬영 기법이 사용되었고, 데이비드 애튼버러의 1995년 시리즈 ''식물의 사생활''에서도 이 기술이 활용되었다.
3. 동작 원리
:
600px
저속 촬영 시에는 프레임 간 간격뿐만 아니라 각 프레임의 노출 시간도 고려해야 한다. 긴 노출 시간을 사용하면 움직이는 피사체에 모션 블러 효과를 줄 수 있다.
인터벌로미터는 저속 촬영에 필수적인 장비로, 일정한 간격으로 카메라 셔터를 작동시켜 프레임 간의 시간 간격을 정확하게 제어한다.
4. 활용 분야
마키노 마사히로는 전전 작품에서 속도감을 주기 위해 코마 오토시(コマ落とし)를 즐겨 사용했다. 이는 1초당 촬영하는 프레임 수를 줄여 움직임을 빠르게 보이게 하는 기법이다.
참조
[2]
웹사이트
Blog - From Ponies to ProjectCam: The History of Time Lapse Photography
https://www.wingscap[...]
[3]
서적
Spanning Time: The Essential Guide to Time-lapse Photography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5-12-22
[4]
웹사이트
The Shy Edwardian Filmmaker Who Showed Nature's Secrets to the World
http://www.atlasobsc[...]
2019-10-14
[5]
웹사이트
The Birth Of A Flower (1910)
https://www.youtube.[...]
2014-08-08
[6]
웹사이트
Google Translate
https://translate.go[...]
[7]
서적
Moving Pictures
Heinemann
[8]
뉴스
Local Man Bares Wonders of Germ Life: Making Moving Pictures of Microbe Drama
San Diego Union
1929-11-03
[9]
간행물
Movie New Eye of Microscope in War on Germs
https://books.google[...]
1931-06
[10]
AV media
360 degree panning timelapse
https://www.youtube.[...]
2007-05-05
[11]
문서
Der heilige Gral der Zeitraffer Kinematografie. Möglichkeiten zur Erstellung von Tag zu Nacht Zeitraffern mit DSLR Kameras.
https://monami.hs-mi[...]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