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적러시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적러시아는 15세기 이후 서유럽 기록에서 처음 등장한 지명으로, 오늘날 우크라이나와 폴란드 남동부에 걸쳐 있던 역사적 지역을 가리킨다. 14세기부터 폴란드 왕국, 리투아니아 대공국 등의 지배를 받았으며, 갈리치아 지방의 별칭으로 굳어졌다. 렌디안족, 백크로아티아인, 루신인 등이 거주했으며, 중세 시대에는 키예프 루스의 일부였다. 1772년 폴란드 분할로 오스트리아 제국에 정복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 제2 공화국에 속했다. 주요 도시로는 리비우, 이바노-프란키우스크, 테르노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르노필주의 역사 - 갈리치아 관구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이 점령한 폴란드 지역에 설치된 갈리치아 관구는 독일 점령 폴란드의 일부로 유대인 탄압과 학살이 자행되었으며, 소련군 재점령 후 소련화 정책이 시행되었다.
  • 이바노프란키우스크주의 역사 - 갈리치아 관구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이 점령한 폴란드 지역에 설치된 갈리치아 관구는 독일 점령 폴란드의 일부로 유대인 탄압과 학살이 자행되었으며, 소련군 재점령 후 소련화 정책이 시행되었다.
  • 르비우주의 역사 - 삼비르
    삼비르는 우크라이나 리비우주에 위치한 도시로, 드니스터강 좌안에 자리 잡고 동유럽과 서유럽을 연결하는 교통 요충지이며, 중세 시대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에 점령되어 유대인 공동체가 큰 피해를 입었다.
  • 르비우주의 역사 - 야보리우 군사 기지 공격
적러시아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유형역사적 지역
위치폴란드, 우크라이나
최대 도시리비우
지도
붉은 루테니아의 위치
명칭
한국어붉은 루테니아, 붉은 루스
폴란드어Ruś Czerwona (루시 체르보나)
우크라이나어Червона Русь (체르보나 루스)
라틴어Ruthenia Rubra (루테니아 루브라), Russia Rubra (루시아 루브라)
러시아어Червoнная Русь (체르보나야 루스), Красная Русь (크라스나야 루스)
루마니아어Rutenia Roșie (루테니아 로시에)
영어Red Ruthenia (레드 루테니아), Red Russia (레드 러시아)
역사적 맥락
관련 지역체르벤 도시들
갈리치아
포돌리아
폴란드
우크라이나
주요 도시
리비우 시장 광장
리비우 시장 광장
프셰미실 파노라마
프셰미실 파노라마
피드히르치 성
피드히르치 성
성모 마리아 대성당, 테르노필
성모 마리아 대성당, 테르노필

2. 명칭의 기원과 의미

'붉은 루스'라는 지명은 루스인 측 사료가 아닌 15세기 이후 서유럽 측 기록에서 처음 등장한다.[19] 초기에는 '흑 루스'를 대신하여 '백 루스'의 반대어로 사용되었으며, 대상 범위는 모호했다.

1420년 울리히 폰 리헨탈의 『콘스탄츠 공의회 연대기』에 처음 등장하는데,[19] 폴란드 왕국이 지배하는 갈리치아 지방이 아닌 볼히니아 지방을 비롯한 리투아니아 대공국 지배 하의 루스 전 영역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1459년, 베네치아 공화국의 프라 마우로가 저술한 세계 전도에서는 붉은 루스를 키예프, 랴잔 등을 포함하는 리투아니아의 남쪽 이웃 국가로 묘사했다. 그러나 1543년에 출판된 프랑스의 세계 전도 『역사의 바다』에서 붉은 루스는 옛 할리치-볼히니아 대공국의 영역(갈리치아 지방, 볼히니아 지방)을 가리킨다.[20] 1566년 독일인 카스파르 포페르가 저술한 지도에서는 붉은 루스를 볼히니아 지방 북동부에서 벨라루스 남서부까지의 지역으로 묘사하고 있다.

17세기 중반, 폴란드 역사학자 시몬 스타로볼스키의 연구로 '붉은 루스'는 폴란드 왕국이 지배하는 루스인의 거주 지역, 특히 루스 현과 연관되어 역사서나 지지 등 연구서에서 갈리치아 지방의 별칭으로 정착되었다.

19세기 이후 폴란드 학자들은 '붉은'(체르보나)의 어원을 중세 볼히니아 지방에 존재했던 '체르벤'이라는 마을 이름에서 유래했다고 보았다.[21] 체르벤은 폴란드와 키예프 대공국의 국경에 있던 체르벤의 도시들이라고 불리는 지역의 중심 도시였으며, 양국 분쟁의 원인이었다고 한다.

3. 민족 구성

북부 적러시아의 최초 주민은 렌디안족[4]과 백크로아티아인[5]이었으며, 보이코인과 렘코인[6]과 같은 루신인의 하위 집단은 남쪽에 살았다. 발트도이치, 유대인, 아르메니아인, 폴란드인도 인구의 일부를 구성했다.[6] 마친 비엘스키에 따르면, 볼레스와프 1세 흐로브리가 국경 방어를 위해 이 지역에 독일인을 정착시켰지만, 정착민들은 농부가 되었다. 마체이 스트리코프스키는 제슈프, 프셰미실, 사노크, 야로스와프 근처의 독일인 농부들을 훌륭한 농부로 묘사했다. 카지미르 3세는 소폴란드와 적러시아의 국경에 독일 시민을 정착시켰다.[6] 14세기 후반, 블라흐인이 남동 카르파티아 산맥에서 도착하여 남부 적러시아 전역에 정착했다. 15세기에는 루테니아인이 발판을 마련했지만, 비에슈차디 산맥과 로우 베스키드의 발라히아 인구가 루테니아화된 것은 16세기였다.[9]

4. 역사

초기 중세 시대에 이 지역은 키예프 루스의 일부였으며, 1199년부터는 독립적인 갈리치아-볼히니아 왕국이었다. 1340년 갈리치아-볼히니아의 로마노비치 가문이 단절되면서 갈리치아-볼히니아 전쟁(1340–1392)이 발발했다.[13][14] 폴란드의 카지미르 대왕은 1340년에 갈리치아를 장악했고, 리투아니아 대공국은 볼히니아를 획득했다.[13][14] 1333년부터 1370년까지 재위 기간 동안 카지미르 대왕은 여러 도시를 건설하여 농촌 지역을 도시화했다.[15] 폴란드 통치하에서 14세기부터 17세기 후반까지 325개의 도시가 건설되었으며, 대부분은 15세기와 16세기에 건설되었다(각각 96개와 153개).[16]

오폴레의 브와디스와프 2세 (Władysław Opolczyk)의 공작 인장: "Ladislaus Dei Gracia Dux Opoliensis Wieloniensis et Terre Russie Domin et Heresla" (c. 1387)


1372년 10월, 브와디스와프 오폴치크는 팔라틴 백작에서 해임되었지만, 헝가리에서 대부분의 성과 재산을 유지했고, 보상으로 헝가리 갈리치아의 총독이 되었다. 그는 이 새로운 지위에서 지역 경제 개발에 기여했다. 오폴치크는 주로 르비우에 거주했지만, 통치 말기에는 할리치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냈다.



현대 행정 경계선을 배경으로 한 적러시아(''Ruś Czerwona'') 및 기타 폴란드의 역사적 지역 (이름은 폴란드어)


폴란드어 이름인 ''Ruś Czerwona''( "적러시아"로 번역)는 드니스트르강까지 뻗어 있고 프셰미실을 중심으로 하는 영토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폴란드 지역은 여러 보이보드십으로 나뉘었고, 독일 동부 이주와 폴란드인의 루테니아인 정착 시대가 시작되었다. 아르메니아인유대인도 이 지역으로 이주했다. 이 시기에 여러 개의 성이 건설되었고, 스타니슬라비우(우크라이나어로는 스타니슬라비우)와 크리스티노폴이라는 도시가 건설되었다.

적러시아는 3개의 보이보드십으로 구성되었다:

  • 루테니아 보이보드십: 르비우를 수도로 하고 르비우, 할리치, 사노크, 프셰미실 및 체움을 주로 한다. 브와디스와프 2세 야기에워 (1434년 사망)의 통치 이후 프셰미실 보이보드십은 루테니아 보이보드십(''województwo ruskie'')이라고 불렸으며, 르비우를 중심으로 했다. 루테니아 보이보드십은 5개 지역으로 구성되었다: 르비우, 사노크, 할리치 (할리치), 프셰미실 및 체움. 할리치라는 마을은 갈리치아라는 이름을 부여했다.
  • 벨츠 보이보드십: 르비우와 프셰미실 지방을 나머지 루테니아 보이보드십에서 분리한다. 벨츠 군, 그라보비에츠 군, 호로들로 군, 루바초프 군, 부스크 랜드로 구성된다.
  • 포돌리아 보이보드십: 카미에니에츠 포돌스키를 수도로 한다.


루테니아는 16세기와 17세기 동안 반복적인 타타르인과 오스만 제국의 침략을 받았고, 흐멜니츠키 봉기 (1648–1654), 1654–1667년 러시아-폴란드 전쟁 및 대홍수 (1655–1660) 동안의 스웨덴 침공의 영향을 받았다. 스웨덴은 18세기 초의 대북방 전쟁 동안 다시 돌아왔다.

비에슈차디 산맥


적러시아(포돌리아 제외)는 1772년 폴란드 분할 당시 오스트리아 제국에 정복되었으며, 1918년까지 제국의 일부로 남아있었다.[18]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사이에는 폴란드 제2 공화국에 속했다.

4. 1. 중세 시대 (1199년 ~ 1772년)

초기 중세 시대에 이 지역은 키예프 루스의 일부였으며, 1199년부터는 독립적인 갈리치아-볼히니아 왕국이었다. 1340년 갈리치아-볼히니아의 로마노비치 가문이 단절되면서 갈리치아-볼히니아 전쟁(1340–1392)이 발발했다.[13][14] 폴란드의 카지미르 대왕은 1340년에 갈리치아를 장악했고, 리투아니아 대공국은 볼히니아를 획득했다.[13][14] 1333년부터 1370년까지 재위 기간 동안 카지미르 대왕은 여러 도시를 건설하여 농촌 지역을 도시화했다.[15] 폴란드 통치하에서 14세기부터 17세기 후반까지 325개의 도시가 건설되었으며, 대부분은 15세기와 16세기에 건설되었다(각각 96개와 153개).[16]

1372년 10월, 브와디스와프 오폴치크는 팔라틴 백작에서 해임되었지만, 헝가리에서 대부분의 성과 재산을 유지했고, 보상으로 헝가리 갈리치아의 총독이 되었다. 그는 이 새로운 지위에서 지역 경제 개발에 기여했다. 오폴치크는 주로 르비우에 거주했지만, 통치 말기에는 할리치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냈다.

폴란드어 이름인 ''Ruś Czerwona''( "적러시아"로 번역)는 드니스트르강까지 뻗어 있고 프셰미실을 중심으로 하는 영토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폴란드 지역은 여러 보이보드십으로 나뉘었고, 독일 동부 이주와 폴란드인의 루테니아인 정착 시대가 시작되었다. 아르메니아인유대인도 이 지역으로 이주했다. 이 시기에 여러 개의 성이 건설되었고, 스타니슬라비우(우크라이나어로는 스타니슬라비우)와 크리스티노폴이라는 도시가 건설되었다.

적러시아는 3개의 보이보드십으로 구성되었다:

  • 루테니아 보이보드십: 르비우를 수도로 하고 르비우, 할리치, 사노크, 프셰미실 및 체움을 주로 한다. 브와디스와프 2세 야기에워 (1434년 사망)의 통치 이후 프셰미실 보이보드십은 루테니아 보이보드십(''województwo ruskie'')이라고 불렸으며, 르비우를 중심으로 했다. 루테니아 보이보드십은 5개 지역으로 구성되었다: 르비우, 사노크, 할리치 (할리치), 프셰미실 및 체움. 할리치라는 마을은 갈리치아라는 이름을 부여했다.
  • 벨츠 보이보드십: 르비우와 프셰미실 지방을 나머지 루테니아 보이보드십에서 분리한다. 벨츠 군, 그라보비에츠 군, 호로들로 군, 루바초프 군, 부스크 랜드로 구성된다.
  • 포돌리아 보이보드십: 카미에니에츠 포돌스키를 수도로 한다.


루테니아는 16세기와 17세기 동안 반복적인 타타르인과 오스만 제국의 침략을 받았고, 흐멜니츠키 봉기 (1648–1654), 1654–1667년 러시아-폴란드 전쟁 및 대홍수 (1655–1660) 동안의 스웨덴 침공의 영향을 받았다. 스웨덴은 18세기 초의 대북방 전쟁 동안 다시 돌아왔다.

4. 2. 근대 (1772년 ~ 1918년)



적러시아(포돌리아 제외)는 1772년 폴란드 분할 당시 오스트리아 제국에 정복되었으며, 1918년까지 제국의 일부로 남아있었다.[18]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사이에는 폴란드 제2 공화국에 속했다.

5. 현대

6. 주요 도시

적러시아의 주요 도시는 다음과 같다.

style="width:1%;" |style="width:1%;" |도시인구 (2022)국가행정 구역
1
25px
리비우717,273우크라이나리비우주
2
25px
이바노-프란키우스크238,196우크라이나이바노-프란키우스크주
3
25px
테르노필225,004우크라이나테르노필주
4
25px
제슈프198,609폴란드카르파티아 저지주
5
25px
드루호비치73,682우크라이나리비우주
6
25px
칼루시65,088우크라이나이바노-프란키우스크주
7
25px
체르보노흐라드64,297우크라이나리비우주
8
25px
콜로미야60,821우크라이나이바노-프란키우스크주
9
25px
스트리이59,425우크라이나리비우주
10
25px
자모시치58,942폴란드루블린주
11
25px
헬름57,933폴란드루블린주
12
25px
프셰미실57,568폴란드카르파티아 저지주
13
25px
크로스노44,322폴란드카르파티아 저지주
14
25px
야로스와프35,945폴란드카르파티아 저지주
15
25px
사노크34,687폴란드카르파티아 저지주
16
25px
삼비르34,152우크라이나리비우주
17
25px
보리슬라프32,473우크라이나리비우주
18
25px
노보야보리우스크31,366우크라이나리비우주
19
25px
트루스카베츠28,287우크라이나리비우주
20
25px
초르트키우28,279우크라이나테르노필주



이바노-프란키우스크


참조

[1] 서적 Poland https://archive.org/[...] T.C. & E.C. Jack 1916
[2] 서적 Into the Carpathians: A Journey Through the Heart and History of East Central Europe (Part 2: The Western Mountains) https://books.google[...] Rainy Day Publishing 2020
[3] 간행물 Atlas historyczny Rzeczypospolitej. Ruś Czerwona w drugiej połowie XVI wieku – koncepcja i program projektu https://www.ceeol.co[...] 2022
[4] 서적 Our Bug. Creating conditions for development of the border areas of Poland, Ukraine and Belarus through enhancement and preservation of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http://naszbug2.ovh.[...] Catholic University of Lublin 2008
[5] citation Galicia: A Historical Survey and Bibliographic Guid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서적 America and the New Poland (1928) https://books.google[...] Read Books 2007
[14] 서적 God's playground: a history of Poland in two volum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5] 웹사이트 NOWE LOKACJE MIAST KRÓLEWSKICH W MAŁOPOLSCE W LATACH 1333–1370 https://web.archive.[...]
[16] 서적 Town and country in the Polish Commonwealth, 1350-165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17] 간행물 Pochodzenie domów przysłupowych w Rzeszowskiem 1957
[18] 서적 Ethnic Geography of the Hungarian Minorities in the Carpathian Basin Simon Publications 1988
[19] 웹사이트 Chronik des Konstanzer Konzils http://inkunabeln.di[...] Anton Sorg, Augsburg 1483
[20] 문서
[21]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