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인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인평은 대한민국의 음악학자이자 작곡가이다. 충청북도 영동 출신으로,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를 졸업하고 한국정신문화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중앙대학교 국악대학 교수를 역임하며 후학을 양성했고, 문화재청 문화재 전문위원, 국립극장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며 한국 전통음악 발전에 기여했다. 영문학술지 Asian Musicology를 발행하고 신악회 회장을 역임하는 등 국내외 음악계에서 활동했으며, 인도 음악 연구를 바탕으로 아시아 음악 전반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주요 저서로 『새로운 한국음악사』, 『동북아시아 음악사』 등이 있으며, 바이올린 독주곡 <바이올린 산조>, 거문고 협주곡 <왕산악> 등 다양한 작품을 작곡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옥천 전씨 - 전해철
전해철은 변호사 출신 정치인으로, 참여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민정비서관과 민정수석비서관을 역임하고 제19, 20, 21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현재는 경기도청 도정자문위원장을 맡고 있다. - 옥천 전씨 - 전정구
전정구는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고등고시에 합격하여 재무부, 군법무관 등으로 활동한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으로, 조세법학회 초대 회장과 한일변호사협의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제8대, 제10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영동군 출신 - 박범계
박범계는 대한민국의 법조인 출신 정치인으로, 제19·20·21·22대 국회의원(대전 서구 을)이자 제68대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판사 출신으로 노무현 대통령 후보의 요청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참여정부에서 청와대 비서관을 지냈고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법제사법위원회 간사 등을 역임하며 여러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 영동군 출신 - 최순주
최순주는 일제강점기에 연희전문학교와 미국 뉴욕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연희전문학교 교수, 조선은행 총재, 재무부 장관 등을 역임했으며, 국회부의장으로서 사사오입 개헌안 가결을 선포했으나 신장병으로 사망했다.
전인평 | |
---|---|
기본 정보 | |
학력 | |
최종 학력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졸업 |
경력 | |
국립 가극단 | 상임 지휘자 |
서울 시립 가무단 | 단장 겸 상임 지휘자 |
서울 예술 가곡회 | 회장 |
한국 음악 협회 | 이사장 |
대한민국 예술원 | 회원 |
수상 | |
대한민국 작곡상 | 수상 |
서울 음악상 | 수상 |
대한민국 문화 예술상 | 수상 |
2. 생애
충청북도 영동군 학산면에서 태어나 학산초등학교와 학산중학교를 다니다가 2학년 때 대전 한밭중학교로 전학하여 졸업하였다. 이후 대전사범학교를 졸업하고, 2년간 충남 서산에서 초등학교 교사로 재직하다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에 진학하였다. 한국정신문화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2]
전인평은 국악 작곡뿐만 아니라 음악학 연구에도 매진하여 한국음악사, 동북아시아 음악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문적 업적을 남겼다. 특히, 인도 음악과 아시아 음악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한국 음악의 세계화에 기여하였다.
대학 졸업 후 상명여자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에서 음악 교사를 지냈고, 1983년부터 2010년까지 중앙대학교 국악대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문화재청 문화재 전문위원, 국립극장 자문위원, UNESCO 세계문화유산 심사위원을 역임하였다.[2]
영문학술지 Asian Musicology를 발행하였고,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작곡 단체인 신악회 회장을 역임하였다.[2]
인도 음악 연구에 심취하여 인도 델리의 간다르바 마하 비디알라야(Ghandharva Maha Vidhialaya)에서 인도 음악을 연구한 후, 아시아 음악 전반으로 연구를 확장하였다.[2]
거문고 음악을 많이 작곡하였고, 한국음악사, 동북아시아 음악사 등 20여 권을 저술하였다.[3]
3. 학문적 업적
3. 1. 주요 저서
제목 | 출판사 | 출판년도 | 비고 |
---|---|---|---|
겨레음악 | 재순악보출판사 | 1984 | |
국악작곡입문 | 현대음악출판사 | 1988 | |
동양음악 | 삼호음악출판사 | 1989 | 공저 |
국악감상 | 중앙대학교출판부 | 1993 | |
새로운 한국음악사 | 현대음악출판사 | 2000 | |
실크로드 음악과 한국음악 | 아시아음악학회 | 2000 | |
아시아음악연구 | 중앙대학교출판부 | 2001 | |
아시아음악 아시아문화 | 아시아음악학회 | 2001 | 공저 |
작곡가 10인의 고백 | 아시아음악학회 | 2002 | 공저 |
쉽고 재미있는 가야고 교본 | 삼호출판사 | 2002 | |
실크로드, 길 위의 노래 | 소나무 | 2003 | |
인도음악의 멋과 신비 | 아시아음악학회 | 2003 | |
한국음악의 멋 | 아시아음악학회 | 2004 | |
한국음악 장단의 역사와 논리 | 중앙대학교출판부 | 2005 | |
아시아음악의 이해 | 중앙대학교출판부 | 2005 | |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음악 | 현암사 | 2007 | |
아시아음악의 아름다움 | 아시아음악학회 | 2008 | 공저 |
아시아음악의 어제와 오늘 | 아시아음악학회 | 2008 | 공저 |
한국음악의 멋 열 가지 | 현대음악 | 2010 | |
동북아시아 음악사 | 아시아음악학회 | 2012 | |
국악작곡 길잡이 | 현대음악 | 2013 | |
아시아음악 오디세이 | 아시아음악학회 | 2013 | |
국악관현악법 | 아시아음악학회 | 2013 | |
한국창작음악사 | 아시아문화 | 2017 | |
인도 그리고 인도음악 | 아시아문화 | 2018 | |
한국음악 장단의 역사 | 아시아음악학회 | 2018 | |
한국음악 선구자들의 삶과 음악 | 아시아문화 | 2019 | |
한국음악의 미학 | 아시아문화 | 2019 | |
한국음악계의 뜨거운 감자 | 아시아문화 | 2020 | |
한국음악 작곡가들의 작곡 기법 | 아시아문화 | 2021 | |
동아시아 음악 탐구 | 2022 | eBook | |
신악회 50년사 | 2022 | eBook | |
아시아 음악의 어제와 오늘 | 2022 | eBook | |
아시아 음악의 역사 | 2022 | eBook | |
한국현대음악사의 뒷 이야기 | 2022 | eBook | |
한국음악계의 뜨거운 감자 | 2022 | eBook | |
한국음악과 중국음악 | 2022 | eBook | |
창작음악의 태동, 성장 그리고 정착 | 아시아문화 | 2023 | eBook |
4. 주요 작품
전인평은 거문고를 중심으로 국악관현악, 실내악, 독주곡 등 다양한 형식의 작품을 작곡하여 한국 전통음악의 현대화에 기여하였다.
4. 1. 주요 작품 목록
작품명 | 위촉/연주 단체 | 발표 연도 |
---|---|---|
바이올린 독주곡 <바이올린 산조> | 서울음악제 | 1984 |
해금독주곡 <알타이 춤곡> | 신악회 | 1991 |
거문고 협주곡 <왕산악> | 국립국악관현악단 | 1996 |
실내악 <타골의 노래> | 신악회 | 1998 |
실내악 <여름풍경> | KBS | 1998 |
거문고 합주곡 <가야의 노래> | 국립국악원 | 1999 |
국악관현악 <고구려 송가> | KBS국악관현악단 | 2000 |
국악관현악곡 <바이칼 환상곡> |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 2008 |
국악관현악곡 <반구대 환상곡> | 국립국악관현악단 | 2009 |
성악과 국악관현악 <두 편의 가을노래> |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 2010 |
거문고 판타지(거문고: 전진아) | 전인평 작품 음반발행 | 2010 |
거문고 협주곡 <여섯줄 판타지> | KBS국악관현악단 | 2011 |
음악극 <선비와 호랑이> |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 2014 |
관현악곡 <페르시아 공주와 신라 왕자의 사랑이야기 쿠쉬나메> | 서울대학교 정기연주회 | 2016 |
실내악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 한국음악협회 대한민국창작페스티발 | 2016 |
실내악 <희망이란 무엇인가?> | 신악회 | 2017 |
실내악 <인간은 어디서 와서 어디서 가는가?> | 소정탄금악회 창단 공연 | 2019 |
참조
[1]
웹인용
서울음악대상 수상하는 전인평, 양승희 씨
https://news.naver.c[...]
2020-05-06
[2]
웹인용
전인평 교수
https://news.naver.c[...]
2020-05-06
[3]
웹인용
서울음악대상, 국악학자 전인평·가야금주자 양승희
https://www.newsis.c[...]
NEWSIS
2020-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