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소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 소공은 춘추 시대 정나라의 군주로, 정 장공의 아들이자 등만의 장남이다. 그는 위나라의 침략을 격퇴하고 제나라를 구원하는 등 군사적 활약을 펼쳤으나, 제나라와의 혼인을 거절하는 등 신중한 면모를 보였다. 정 장공 사후 즉위했으나 송나라의 압력으로 위나라로 망명했다가 정 여공이 망명한 틈을 타 복위했다. 이후 고거미에게 살해당하며 생을 마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나라의 군주 - 정 환공
정 환공은 기원전 806년 정나라에 봉해지고 서주 사도가 되었으며, 견융의 침입 때 주 유왕을 보호하려다 전사했다. - 정나라의 군주 - 정 여공
정 여공은 춘추 시대 정나라의 군주로, 송나라의 옹립으로 즉위했으나 여러 차례 망명과 복위를 거듭하며 혼란스러운 정국을 이끌었고, 제나라 환공의 패권 다툼에 휘말리는 등 복잡한 외교 관계를 맺었다. - 기원전 8세기 출생 - 헤시오도스
헤시오도스는 기원전 8세기경 고대 그리스 시인으로, 『신통기』와 『일과 날』을 통해 신화, 우주론, 농업, 윤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당대 사회상과 가치관을 반영했고, 농부이자 방랑 음유시인으로서의 삶과 경험을 작품에 녹여내 정의와 노동의 가치를 성찰하여 서구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기원전 8세기 출생 - 제 희공
제 희공은 제나라의 제후로서 주변국과 우호 관계를 맺고, 송나라와 위나라 사이의 분쟁을 중재하며 북융의 침입을 격퇴하는 등 활발한 대외 활동을 펼쳤으나, 말년에 후계 구도에 혼란을 야기하다가 재위 33년 만에 사망했다.
정 소공 | |
---|---|
기본 정보 | |
이름 | 소공 희홀 |
다른 이름 | 정 소공 홀 |
성 | 희(姬) |
씨 | 정(鄭) |
휘 | 홀(忽) |
자 | 만백(曼伯) |
통치 정보 | |
작위 | 백작 |
호칭 | 공 |
왕조 | 정 |
재위 기간 | 기원전 701년, 기원전 696년 - 기원전 695년 |
도읍 | 신정 |
시호 | 소공(昭公) |
생애 | |
생년 | 불상 |
몰년 | 기원전 695년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정 장공 |
어머니 | 등만 |
부인 | 진규 |
기타 | |
주석 | 4대, 6대 군주 |
2. 생애
기원전 718년, 위나라가 남연나라 군대를 이끌고 정나라를 쳐들어오자, 아우 공자 돌과 함께 제읍의 군대를 거느리고 적의 배후를 공격하여 남연 군을 크게 무찔렀다.[3]
기원전 706년, 북융이 제나라를 공격하자, 태자 홀(훗날의 정 소공)이 제나라를 구원하여 북융을 크게 무찌르고 대량(大良)과 소량(小良)을 베어 제나라에 바쳤다.[4]
기원전 701년, 아버지 정 장공이 사망하자 채족의 추대로 정나라 군주에 즉위했다.[6] 그러나 송 장공의 압력으로 동생인 공자 돌에게 왕위를 내주고 위나라로 망명했다.[5][6]
기원전 697년, 정 여공이 채나라로 망명하자 소공은 다시 정나라 군주로 복귀했다.[5][7] 그러나 기원전 695년, 고거미에게 살해당했다.[5][9]
2. 1. 어린 시절과 태자 시절
정 소공은 정 장공(莊公)과 등만(鄧曼) 사이에서 태어난 장남으로, 태자로 책봉되었다.기원전 718년, 위나라가 남연나라 군대를 이끌고 정나라를 쳐들어오자, 정 소공은 아우 공자 돌과 함께 제읍의 군대를 이끌고 적의 배후를 공격하여 남연 군을 크게 무찔렀다.[3]
태자 시절, 북융을 격퇴하고 제나라 희공의 혼인 제안을 거절하는 등의 사건을 겪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 참조)
2. 1. 1. 북융 격퇴
기원전 706년, 북융이 제나라를 공격하자, 태자 홀(훗날의 정 소공)이 제나라를 구원하여 6월에 북융을 크게 무찌르고 대장 대량(大良)과 소량(小良)을 베어 제나라에 바쳤다.[4] 이 공으로 제나라는 정 소공에게 혼인을 제안했으나, 거절당했다.[4]2. 1. 2. 제나라 희공과의 혼인 거절
기원전 706년, 북융[1]이 제나라를 침공하자, 당시 태자였던 홀(정 소공)은 제나라를 구원하고 북융을 격퇴하는 큰 공을 세웠다.[4] 이에 제나라 희공은 태자 홀에게 자신의 딸과 혼인할 것을 제안했으나, 태자 홀은 "우리 나라는 작은 나라이며, 제나라와 균형을 이룰 수 없습니다"라고 말하며 혼인을 거절했다.[4]태자 홀의 신하 채족은 혼인을 통해 강력한 제나라의 지원을 받는 것이, 아버지 정 장공이 총애하는 다른 부인들의 아들들과의 왕위 경쟁에서 유리할 것이라며 혼인을 권유했으나,[5][6] 태자 홀은 끝내 혼인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다.[5][6]
이러한 정 소공의 혼인 거절은 당시 정나라와 제나라 간의 국력 차이를 보여주는 동시에, 정 소공의 신중한 성격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된다.
2. 2. 즉위와 망명
기원전 701년, 아버지 정 장공이 사망하자 채족의 추대로 정나라 군주에 즉위했다.[6] 그러나 송 장공의 압력으로 동생인 공자 돌에게 왕위를 내주고 위나라로 망명했다.[5][6]2. 2. 1. 송나라의 압력
기원전 701년, 정 장공이 죽자 채족의 추대로 정 소공이 즉위했다.[6] 그러나 송 장공은 채족을 협박하여, 송나라 여자 옹길의 아들인 공자 돌을 정나라 왕으로 세우도록 했다.[5][6] 채족은 이를 승낙했고, 결국 소공은 그해 가을 9월에 위나라로 망명해야 했다. 이는 춘추시대 국가 간의 복잡한 관계를 보여주는 사건이다.2. 3. 복위와 죽음
기원전 697년, 정 여공이 채나라로 망명하자 소공은 다시 정나라 군주로 복귀했다.[5][7] 그러나 기원전 695년, 고거미에게 살해당했다.[5][9]2. 3. 1. 고거미의 반란
기원전 695년, 고거미가 소공을 시해했다. 소공은 정 장공이 고거미를 경으로 삼으려 했을 때 반대했었다. 고거미는 소공이 자신을 죽일까 두려워하여, 10월 신묘일에 소공을 시해했다.[5][9]참조
[1]
문서
北の異民族
[2]
문서
춘추시대에는 즉위한 다음 해에 기원하기 때문에 대개 즉위년을 포함하지 않지만, 정 소공은 즉위하고 한 해도 넘기지 못하고 쫓겨났다.
[3]
서적
춘추좌씨전
[4]
서적
춘추좌씨전
[5]
서적
사기
[6]
서적
춘추좌씨전
[7]
서적
춘추좌씨전
[8]
서적
춘추좌씨전
[9]
서적
춘추좌씨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