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장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 장공은 춘추 시대 정나라의 군주로, 무공의 아들이자 무강의 아들이다. 그는 어머니 무강의 편애를 받지 못하고 동생 공숙단과의 갈등을 겪었으며, 공숙단의 난을 진압했다. 주 왕실과의 관계에서 주 평왕, 주 환왕과 갈등을 겪었고, 주변 제후국들과 외교 및 군사적 관계를 맺었다. 정 장공 사후, 여러 아들들 간의 권력 다툼이 벌어졌고, 정 여공이 최종적으로 정권을 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8세기 출생 - 헤시오도스
헤시오도스는 기원전 8세기경 고대 그리스 시인으로, 『신통기』와 『일과 날』을 통해 신화, 우주론, 농업, 윤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당대 사회상과 가치관을 반영했고, 농부이자 방랑 음유시인으로서의 삶과 경험을 작품에 녹여내 정의와 노동의 가치를 성찰하여 서구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기원전 8세기 출생 - 제 희공
제 희공은 제나라의 제후로서 주변국과 우호 관계를 맺고, 송나라와 위나라 사이의 분쟁을 중재하며 북융의 침입을 격퇴하는 등 활발한 대외 활동을 펼쳤으나, 말년에 후계 구도에 혼란을 야기하다가 재위 33년 만에 사망했다.
| 정 장공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鄭莊公 (정 장공) |
| 한자 표기 | 鄭莊公 |
| 로마자 표기 | Zhèng Zhuāng Gōng (정 좡 공) |
| 성 | 姬 (Ji, 희) |
| 휘 | 寤生 (Wusheng, 오생) |
| 시호 | 莊 (Zhuang, 장) |
| 통치 | |
| 작위 | 정나라의 군주 |
| 재위 기간 | 기원전 743년 - 기원전 701년 |
| 이전 통치자 | 정 무공 |
| 다음 통치자 | 정 소공 |
| 생애 | |
| 출생 | 기원전 757년 |
| 사망 | 기원전 701년 |
| 가족 관계 | |
| 아버지 | 정 무공 |
| 어머니 | 武姜 (Wu Jiang, 무강) |
| 자녀 | 정 소공 정 여공 Prince Wei (정자 위) Prince Ying (정자 영) Prince Ren (정자 인) |
2. 사적
정 장공은 기원전 757년 정 무공과 무강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무강은 난산으로 인해 장공을 미워하고 동생 공숙단을 총애하여 태자를 동생으로 교체할 것을 요구했지만, 무공은 이를 거절했다.[16]
기원전 745년 아버지 정 무공이 사망한 후 왕위를 계승했고, 무강의 요구로 공숙단에게 큰 영토를 주었다.[16] 기원전 722년 공숙단은 어머니와 함께 반란을 일으켰으나, 정 장공은 이를 진압하고 공숙단을 추방했다.[18][16] 무강은 성영으로 보내졌으나, 훗날 화해했다.[18][16]
주 평왕과의 갈등으로 세자 홀을 주나라에 인질로 보냈으며,[20] 주 환왕 즉위 후 주나라와 관계가 악화되어 기원전 707년 수거 전투에서 주나라 군대를 격파하고 환왕에게 부상을 입혔다.[27][16]
정 장공은 여러 제후들과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 송나라, 위나라와 갈등을 겪기도 했지만, 노나라, 제나라와 우호 관계를 맺기도 했다.[29][22]
기원전 701년 정 장공 사후, 제중이 세자 홀(정 소공)을 옹립했으나, 송 장공의 개입으로 공자 돌(정 여공)이 즉위하면서 후계 다툼이 벌어졌다.[16]
2. 1. 즉위 전
정 장공은 기원전 757년(무공 14년)에 무공과 신후의 딸 무강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나 태자가 되었다. 그는 거꾸로 태어났기 때문에 '오생'이라는 이름을 얻었다.[9] 어머니 무강은 난산으로 인해 오생을 미워하고, 그의 동생인 공자 단을 총애했다. 무강은 여러 차례 무공에게 오생 대신 공자 단을 태자로 삼을 것을 요구했지만, 무공은 이를 거절했다.[16]2. 2. 공숙 단의 난
기원전 745년, 아버지가 죽자 정 장공은 정백의 자리를 이었다.[16] 어머니 무강은 정 장공에게 3년간 정사를 신하들에게 맡길 것을 권했고, 정 장공은 이를 따랐다. 1년 후, 대부 변보가 정치에 나설 것을 청했으나 거절했다.[17] 무강은 동생인 단에게 제읍(制邑)을 봉읍으로 줄 것을 청했으나, 정 장공이 거부하자[18] 경성(京城)을 요구하여 이를 승낙하였다.[16][18] 채중은 너무 큰 읍을 주었다고 간언했다.[16][18] 단은 경성에 봉해진 후 경성대숙(京城大叔) 혹은 태숙단(太叔段)으로 불렸다.정 장공은 두 아들 중 장남으로 태어나 왕위 계승을 준비했으나, 어머니 무강은 둘째 아들 단을 더 선호했다. 이는 정 장공을 낳을 때 극심한 고통을 겪었기 때문이다. 정 장공이 어머니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공작위를 계승하자, 어머니는 공숙 단을 권좌에 앉히려 했다. 무강은 정 장공에게 공숙 단에게 단 지역을 봉토로 줄 것을 요청했다. 당시 단은 정나라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중요한 요새였다. 정 장공은 신하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어머니에 대한 예의 때문에 동의했다.
무강은 단에게 성벽을 쌓고, 무기를 비축하며, 용병을 모집하도록 종용했다. 정 장공의 신하들은 이 소식을 정 장공에게 보고하며, 공숙 단에게서 단 지역을 되찾을 것을 촉구했다. 그러나 정 장공은 공숙 단에게 잘못이 없고, 쿠데타를 계획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없으며, 자신의 동생을 상대로 무기를 들 수 없다고 말했다.
정 장공이 외교 문제로 낙양으로 간 사이, 무강은 단에게 편지를 써서 반란을 일으키라고 명령하며, 수도의 문을 열어주겠다고 했다. 공숙 단은 반란을 일으켜 수도 성벽 아래에 도달했다.
정 장공 22년(기원전 722년), 태숙 단이 무강과 함께 본국을 공격하려 하자, 정 장공은 군사를 일으켜 단을 쳤다. 경성 사람들이 단을 배반하여 단은 언(鄢)으로 도망갔고, 정 장공은 추격하여 언을 치고, 단은 다시 공(共)나라로 도망갔다.[18][16] 이로써 단은 ‘공숙단(共叔段)’으로 불리게 되었다. 정 장공은 기원전 722년 5월 여름에 연(현재의 연령현 북쪽)에서 공숙 단을 격파했다.[3][4][5] 5월 23일에 공숙 단은 공나라로 도망쳤다.[6]
장공은 무강을 성영(城穎)으로 옮기고, “황천(黃泉, 저승)에 가기 전까지는 만나지 않겠다.”라고 맹세했다. 그러나 이를 후회했고, 이듬해 영고숙(穎考叔)이 황천(지하수)에서 만나면 된다고 진언하자 굴을 파서 어머니를 만나 화해했다.[18][16]
한편, 단의 아들 공손활(公孫滑)이 위나라로 도망갔고, 위나라는 정나라의 늠연(廩延) 땅을 탈취했다.[18] 정나라는 주(周)나라 천자의 군대인 왕사(王師)와 괵(虢)나라 군대를 거느리고 위나라를 쳤으며, 주(邾)나라에도 원군을 요청했다.[18] 이듬해(기원전 721년), 위나라를 쳐 공손활의 난을 징계했다.[19]
2. 3. 주 왕실과의 관계
주 평왕(周 平王)이 괵공(虢公)에게 정 장공의 권한 반을 주려 하자, 장공과 평왕 사이에 틈이 생겨 주나라에서는 왕자 호를, 정나라에서는 세자 홀을 각기 인질로 내어주었다.[20] 기원전 720년, 주 평왕이 죽자 주나라에서는 괵공에게 집정을 맡기려 했다.[20] 이에 채족이 주나라를 침입하여 주나라 곡식을 취하게 해, 주나라와 정나라의 사이는 악화되었다.[20][16]기원전 717년, 정 장공은 처음으로 주나라에 조현했다.[16][21] 주 환왕(周 桓王)은 정나라가 곡식을 노략질한 것에 분노하여 무례하게 대했다.[16][21] 주공 흑견(周公 黑肩)은 주나라가 낙양으로 천도할 때 정나라가 보좌했으므로 잘 예우하기를 왕에게 권했다.[21]
기원전 715년, 정 장공은 태산(泰山)의 제사에 쓰도록 정나라가 받은 노(魯)나라 경내의 월경지 탕목읍(湯沐邑)을, 정나라 경내에 있는 노나라의 시조 백금(伯禽)의 아버지 주공 단(周公旦)의 묘가 있는 허전(許田)과 맞바꾸었다.[16][22] 이는 정나라가 더 이상 주 왕의 대리로서 태산의 제사를 지내지 않겠다는 뜻이다.[23] 이 교섭은 4년 후, 정나라에서 벽옥을 얹어 줌으로 마무리되었다.[24] 이해 8월에는 제 희공(齊 僖公)과 함께 주왕께 조현했다.[22]
기원전 714년, 정 장공은 주나라의 좌경사로써 주 왕실에 실례한 송나라를 토벌했다.[25]
기원전 712년, 주 환왕은 정나라의 네 고을을 취하고, 대신 소분생의 영지에서 열두 고을을 정나라에 주었는데, 이미 소분생이 배반한 탓에 그 고을들은 주왕이 줄 수도 없는 땅인지라 사실상 정나라 땅을 빼앗기만 한 셈이었다.[26]
주 환왕은 정 장공의 정권을 빼앗았고, 정 장공이 원망하여 조현하지 않자 기원전 707년에 채나라, 위나라, 진나라와 함께 정나라를 정벌했다.[16][27] 그러나 정 장공은 이를 막아내고 오히려 주왕의 군대를 패배시켰으며, 주왕은 축담(祝聃)의 화살을 맞아 어깨에 큰 부상을 입었다.[27][16]
정 장공은 주 평왕에 의해 좌경으로 임명되었다. 주 평왕이 죽은 후, 다음 왕인 주 환왕은 그를 파면했다. 이 모욕에 대한 보복으로 정 장공은 환왕을 만나기 위해 수도로 가지 않았다. 이에 환왕은 기원전 707년 정 장공을 상대로 연합군을 이끌었고, 이는 수거 전투에서 정나라의 승리로 귀결되었다. 정 장공의 군대는 왕을 굴욕적으로 만들었고, 왕의 군대를 격파하여 환왕의 어깨에 화살을 맞혔으며, 주 왕가의 위신을 더욱 떨어뜨렸다.
2. 4. 제후들과의 관계
정 장공은 여러 제후들과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 기원전 720년 송 상공이 즉위하자, 전 임금의 아들 공자 빙이 정나라로 도망쳐 왔고, 정나라는 그를 도왔다.[16][19] 위나라에서는 공자 주우가 위 환공을 암살하고 임금이 되었는데, 정나라가 위나라를 친 원한을 갚고 공자 빙을 우환거리로 여기는 송 상공과 연합했다.[19][16] 진나라, 채나라도 위나라와 화목했기 때문에 이 네 나라는 정나라를 공격했다.[19] 노나라도 끌어들여 다섯 나라 연합군은 정나라를 패퇴시켰다.[19]기원전 718년, 정 장공은 위나라에 보복하고, 송나라를 쳐서 보복했다.[28] 기원전 717년에는 노나라와 우호를 맺고,[29] 진나라를 쳤다.[21] 기원전 716년에는 송나라, 진나라와 강화하고, 진나라와는 혼인 동맹을 맺었다.[21] 기원전 715년에는 제 희공의 주선으로 송나라, 위나라와 화해했다.[22]
기원전 714년, 정 장공은 주왕의 군사를 거느리고 송나라를 쳤다.[25] 기원전 713년에는 제 희공, 노 은공과 회견하고, 노나라와 함께 송나라를 공격하여 땅을 노나라에 주었다.[30] 채나라, 위나라, 성나라가 정나라의 왕명 선포를 따르지 않고, 위나라는 오히려 송나라와 손잡고 정나라를 쳤다. 정 장공은 이들을 쳐 모조리 사로잡았다.[30] 겨울에는 제나라와 손잡고 성나라를 쳤다.[30]
기원전 713년, 제, 노와 연합하여 허나라를 쳐 멸망시키고, 허나라를 둘로 나누어 다스렸다.[26] 같은 해 식나라를 대패시키고, 괵나라 군사를 거느리고 송나라를 쳐 보복했다.[26]
노나라에서 환공이 즉위하자, 정 장공은 환공과 우호를 맺었다.[24] 기원전 712년, 송나라에서 상공이 시해당하는 변이 일어나자, 여러 제후들과 함께 이를 평정하고자 했으나, 모두 송나라의 뇌물을 받고 임금을 시해한 화독(華督)을 재상으로 세웠다.[31]
기원전 707년, 제 희공과 함께 기나라를 치고자 했으나 들통났다.[27] 기원전 706년, 북융이 제나라를 공격하자 구원병을 파견했다.[32][16] 기원전 705년, 정 장공은 제나라, 위나라와 함께 맹(盟) · 향(向) 두 고을을 쳤다.[33] 기원전 702년에는 제 희공, 위 혜공과 함께 노나라를 공격했다.[34][35] 기원전 701년, 제나라, 위나라와 회맹했다.[36]
2. 5. 후계 문제
정 장공은 등만(鄧曼)과 혼인하여 태자 홀(忽)을 낳았으나,[16] 궁중에 총애하는 여자가 많았고,[16] 열한 명의 아들을 더 두었다.[37] 이들 중 공자 돌(公子 突), 공자 미(公子 亹, 혹은 鄭子 亹), 공자 영(公子 嬰, 혹은 鄭子 嬰, 자는 子儀)이 특히 군위를 겨룰 만했다.[16]정 장공 43년(기원전 701년), 장공이 죽자 제중족(祭仲足)(혹은 祭足, 祭仲)이 세자 홀을 세웠으니 이가 바로 정 소공이다. 그러나 송 장공이 개입하여 공자 돌이 즉위하였고, 정 소공은 위나라로 달아났다. 즉위한 공자 돌이 바로 정 여공이 된다. 이후 정 소공, 정자영과 이를 세운 제중족, 정 여공(공자 돌), 정자미와 이를 세운 고거미 간의 싸움이 계속되었고, 결국은 제중족이 죽으면서 정 여공이 마지막으로 임금이 되었다.[16]
정 장공은 11명의 아들을 두었는데, 그중 가장 유명한 아들은 홀(忽), 돌(突), 미(亹), 의(儀)였다. 홀은 상속자였고, 처음에는 정 소공으로 봉해졌지만, 곧 송 장공이 정나라의 계승에 간섭했고, 정나라의 대신 제중은 소공을 유배시키고 돌을 정 여공으로 옹립했다. 미와 의 역시 도망쳤다. 여공은 제중에게 통제받는 것에 대한 증오심 때문에 제중에 대항한 음모가 실패한 후 유배되었고, 소공이 복위했다. 그러나 3년 후, 미와 친분이 있었고 소공을 싫어했던 부대신 고거미가 제중이 부재중인 틈을 타 소공을 암살하고 미를 통치자로 옹립했지만, 제중의 지위는 변함이 없었다. 1년이 채 지나지 않아, 명성을 얻고 싶어했던 제 환공은 미와 고거미를 수지(壽止)로 초청하여 살해했다. 제중은 의를 공작으로 옹립하고 초나라에 소속될 것을 약속했으며, 유배된 여공 역시 복위를 계획했다. 17년 후, 여공은 제나라 군대를 이끌고 의를 격파하고 그의 두 아들을 죽인 후 권력을 되찾았다(기원전 680년).[8] 이후 정나라의 공작들은 모두 여공의 후손이었다.
3. 가족 관계
| 관계 | 이름 |
|---|---|
| 아버지 | 정 무공(鄭武公) |
| 어머니 | 무강(武姜) |
| 정비 | 등만(鄧曼) |
| 첩 | 옹길(雍吉) |
| 아들 | 정 소공(鄭昭公) 자홀(子忽) |
| 아들 | 정 여공(鄭厲公) 자돌(子突) |
| 아들 | 정자 미(鄭子 亹) |
| 아들 | 정자 영(鄭子 嬰) |
| 아들 | 공자 어 |
| 기타 | 일곱 아들 |
| 서형 | 원번(原繁) |
| 동생 | 공숙 단(共叔 段) |
참조
[1]
사전
Ministry of Education Mandarin Chinese Dictionary
https://dict.revised[...]
[2]
간행물
The Interpretation of Duke Zhuang Wu Sheng in Zuo Zhuan and the Superstition Behind It
https://www.atlantis[...]
Atlantis Press
2023
[3]
서적
Zuo Tradition / Zuozhuan: Commentary o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6
[4]
서적
Cihai (Sixth Edition in Color)
上海辞书出版社. Shanghai Lexicographical Publishing House.
2009-09
[5]
웹사이트
鄢陵概况
http://www.yanling.g[...]
2018-05-02
[6]
서적
New Translation of Guwen Guanzhi (Expanded and Revised, 5th edition)
San Min Book Co., Ltd.
2012
[7]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Asian Civilizations
Infobase
2004
[8]
서적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2-03-09
[9]
문서
寤生(ごせい)とは「逆子」の意。古くは「寤」は「牾」の意で用いられた。
[10]
문서
邑名、現在の河南省滎陽市汜水鎮虎牢関
[11]
문서
邑名、現在の河南省滎陽市
[12]
문서
邑名、現在の山東省費県。周から祭祀用として賜った地。
[13]
문서
現在の許昌で、魯の飛び地。後には鄭に属することを潔しとせず、叛して事実上独立した諸侯となる。
[14]
문서
北の異民族。
[15]
문서
반고, 《한서》 권20 고금인표제8
[16]
문서
《사기》 권42 정세가
[17]
저널
청화간(淸華簡)<정무부인규유자(鄭武夫人規孺子)>주해
http://kiss.kstudy.c[...]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7-03
[18]
문서
《춘추좌씨전》 은공 원년
[19]
문서
《춘추좌씨전》 은공 2년
[20]
문서
《춘추좌씨전》 은공 3년
[21]
문서
《춘추좌씨전》 은공 7년
[22]
문서
《춘추좌씨전》 은공 8년
[23]
서적
대하역사평설 중국의 역사 2 : 춘추전국시대
1995
[24]
문서
《춘추좌씨전》 환공 원년
[25]
문서
《춘추좌씨전》 은공 9년
[26]
문서
《춘추좌씨전》 은공 11년
[27]
문서
《춘추좌씨전》 환공 5년
[28]
문서
《춘추좌씨전》 은공 5년
[29]
문서
《춘추좌씨전》 은공 6년
[30]
문서
《춘추좌씨전》 은공 10년
[31]
문서
《춘추좌씨전》 환공 2년
[32]
문서
《춘추좌씨전》 환공 6년
[33]
문서
《춘추좌씨전》 환공 7년
[34]
문서
《춘추좌씨전》 환공 10년
[35]
문서
《춘추좌씨전》의 두예의 주석에 따르면, 노나라가 예를 지킨 것에서 발단한 것이므로, 양측이 예로써 화해하고 큰 싸움은 없었다고 한다.
[36]
서적
춘추좌씨전 환공 11년
[37]
서적
춘추좌씨전 장공 13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