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공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공채는 1934년 경상남도 하동군에서 태어난 시인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1957년 현대문학에 등단했다. 1959년 현대문학상을, 1981년 한국문학가협회상을, 2004년 한국문학상을 수상했다. 시집으로 《정공채 시집 있읍니까》, 《해점》, 《아리랑》, 《새로운 우수》 등이 있으며, 수필집 《너의 아침에서 나의 저녁까지》를 출간했다. 그의 동생은 작사가 겸 시인인 정두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동군 출신 - 정홍원
정홍원은 '특별 수사통'으로 불렸던 법조인 출신 정치인으로서, 새누리당 공직후보추천위원장을 거쳐 박근혜 정부 초대 국무총리를 지냈으며, 세월호 침몰 사고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했으나 유임 후 퇴임, 이후 봉사 및 저술 활동과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장을 맡았고, 아들의 병역 면제 의혹과 위장전입 논란이 있었다. - 하동군 출신 - 태완선
태완선은 경상남도 하동군 출신의 관료, 정치인, 기업인으로, 국회의원, 부흥부 장관, 상공부 장관, 경제기획원 장관, 건설부 장관 등을 역임하며 경제 개발에 참여했고, 대한석탄공사 사장, 한국종합제철 사장, 대한중석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등을 역임한 인물이다. - 하동 정씨 - 정청래
정청래는 1965년생으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며, 17·19·21·22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더불어민주당 수석최고위원을 역임했으며, 22대 국회 전반기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 하동 정씨 - 정몽준
정몽준은 현대중공업 대표이사 사장, 7선 국회의원, 대한축구협회 회장, FIFA 부회장을 역임하고 2002년 FIFA 월드컵 유치에 기여했으며, 아산나눔재단을 설립하여 사회 공헌 활동을 한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 축구 행정가이다. - 현대문학상 수상자 - 도정일
도정일은 영문학자이자 사회운동가로, 경희대학교 교수, 도서관장,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문화개혁시민연대 공동대표 등을 역임했으나, 2016년 학력 위조 논란 이후 이를 인정했고, 저서로는 《시인은 숲으로 가지 못한다》 등이 있다. - 현대문학상 수상자 - 조정래
조정래는 1943년 전라남도 순천 출생으로, 대하소설 《태백산맥》, 《아리랑》, 《한강》 등을 통해 한국 사회의 역사와 민족 문제를 다룬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정공채 | |
|---|---|
| 기본 정보 | |
![]() | |
| 본관 | 하동(河東) |
| 생애 | |
| 출생 | 1934년 1월 20일 |
| 사망 | 2008년 1월 28일 (향년 74세) |
| 직업 | 시인 |
| 학력 | |
| 학력 | 진주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국문학과 졸업 |
| 경력 | |
| 경력 | 경남대학교 교수 창원대학교 교수 |
| 수상 | |
| 수상 내역 | 경상남도 문화상 한국시협상 노산문학상 |
| 작품 | |
| 시집 | 《추일서정》 《황사바람》 《항아리》 《유정천리》 《낙엽송》 《새재》 《가야산》 《만추일기》 《겨울 바다》 《그대, 다시 내게로》 《빈 들》 《저녁놀》 《그리운 능선》 《그대 가슴에 해 저무는 소리》 《흔들리는 종소리》 《사랑굿》 《들국화》 《노을에 기대다》 《슬픈 모정》 《섬진강》 |
| 기타 정보 | |
| 관련 정보 | 정진업 시인의 친동생 |
2. 생애
1934년 경상남도 하동군에서 태어났다. 연세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을 전공했으며, 현대문학에 '종이 운다', '여진', '하늘과 아들' 세 편의 시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정공채는 1957년 현대문학에 등단한[1] 시인이다. 1959년 현대문학상, 1981년 한국문학가협회상, 2004년 한국문학상을 수상했다.[2]
3. 이력
3. 1. 활동 사항
정공채는 1957년 현대문학에 등단하였다.[1] 1963년에는 시 '미 8군의 차'를 발표하였다.[2]
그의 작품 활동은 다음과 같다.
| 출간 연도 | 종류 | 제목 |
|---|---|---|
| 1979 | 시집 | 《정공채 시집 있읍니까》 |
| 1981 | 시집 | 《해점》 |
| 1986 | 시집 | 《아리랑》 |
| 1986 | 시집 | 《비에 젖읍시다》 |
| 1986 | 평전 | 《전혜린 평전》 |
| 1989 | 시집 | 《이솝 우화》 |
| 1989 | 시집 | 《사람소리》 |
| 1990 | 시집 | 《땅에 글을 쓰다》 |
| 2000 | 시집 | 《새로운 우수》 |
3. 2. 수상 내역
4. 저서
정공채는 여러 편의 시집과 수필집을 저술하였다. 대표적인 시집으로는 정공채 시집 있읍니까(1979), 해점(1981), 아리랑(1986) 등이 있으며, 수필집으로는 《너의 아침에서 나의 저녁까지한국어》(1989)가 있다.
4. 1. 시집
| 제목 | 출판사 | 출판년도 |
|---|---|---|
| 정공채 시집 있읍니까 | 한국문학도서관 | 1979년 |
| 해점 | 한국문학도서관 | 1981년 |
| 아리랑 | 오상출판사 | 1986년 |
| 비에 젖읍시다 | ? | 1986년 |
| 전혜린 평전 | ? | 1986년 |
| 이솝 우화 | 백양출판사 | 1989년 |
| 사람소리 | 한국문학도서관 | 1989년 |
| 땅에 글을 쓰다 | 한국문학도서관 | 1990년 |
| 새로운 우수 | 제3의문학 | 2000년 |
4. 2. 수필집
《너의 아침에서 나의 저녁까지한국어》 (문음사, 1989)5. 가족
정두수(동생): 작사가 겸 시인
참조
[1]
디지털
디지털하동문화대전
http://hadong.grandc[...]
[2]
웹사이트
Prix littéraires 1960
https://www.frwik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