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안옹주 (세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안옹주는 세종과 숙원 이씨의 딸로, 1441년에 태어났다. 1453년 심안의와 혼인하여 1남 1녀를 낳았으며, 단종은 면포 6백 필로 집을 하사했다. 1461년에 사망했으며, 세조는 조회를 중지하고 부조했다. 정안옹주의 어머니인 숙원 이씨는 외손자의 관직을 청탁하여 물의를 빚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61년 사망 - 샤를 7세
    샤를 7세는 백년 전쟁 시기에 프랑스를 통치했으며, 잔 다르크의 도움으로 잉글랜드와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프랑스를 재건했으나 아들과의 갈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1461년 사망 - 변효문
    변효문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문과 급제 후 농업 기술 및 법의학 발전에 기여하고 일본과의 계해약조 체결 등 외교적 역할도 수행했으나, 만년에 불법 장물 사건으로 파직되었다.
  • 1441년 출생 - 알리셰르 나보이
    알리셰르 나보이는 15세기 티무르 제국에서 활동하며 차가타이어와 페르시아어로 시를 쓴 시인이자 정치가, 건축가, 신비주의자로서, 호라산 지역의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차가타이어 문학을 발전시켜 "튀르크인의 제프리 초서"라는 평가를 받으며 우즈베키스탄에서 국민 시인으로 추앙받고 있다.
  • 1441년 출생 - 레 인종
    레 인종은 1442년 즉위하여 섭정과 친정을 거치며 과거 제도 개혁과 참파 침공 격퇴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형에 의해 살해당한 베트남 레 왕조의 황제이다.
  • 조선 세종의 자녀 - 임영대군
    세종과 소헌왕후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은 무예에 능했으며, 총통과 화차 제작에 참여했고,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을 도와 세조 즉위에 공을 세운 왕실의 수장격 인물이다.
  • 조선 세종의 자녀 - 안평대군
    안평대군은 조선 전기의 왕자로서 학문과 예술에 능했으며 안견, 박팽년 등과 교류하며 몽유도원도와 같은 서화 작품을 남겼으나, 계유정난으로 유배 후 사사되었고 후에 복권되었다.
정안옹주 (세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조선 세종의 옹주
배우자청성위(靑城尉) 심안의(沈安義)
자녀1남 1녀
----심언 · 최맹사의 처 심씨
아버지세종
어머니숙원 이씨
출생일1441년
사망일1461년 11월 26일
능묘심안의 · 정안옹주 합장묘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명덕리원래 남양주시에 심안의와 정안옹주의 묘가 각각 따로 있었는데, 포천시로 이장하면서 합장묘가 되었다.

2. 생애

1441년 세종숙원 이씨의 딸로 태어났다.

1453년(단종 1년) 단종이 강맹경에게 명하여 사족 자제 중에 배필을 찾게 한 끝에[3] 관찰사 심선의 아들 청성위(靑城尉) 심안의에게 하가하여 1남 1녀를 낳았다. 단종은 이에 면포 6백 필로 집을 사서 하사하였다.

1461년(세조 7년) 10월 16일 훙서하였으며, 이에 세조는 사흘간 조회를 중지하고 쌀·콩 1백 석과 종이 2백 권, 백저포(白苧布)·면포(綿布) 각 10필, 베[布] 60필을 부조하였다.[4] 정안옹주의 남편인 심안의는 1476년(성종 7년) 39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묘소는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에 위치하고 있다.

정안옹주의 어머니인 숙원 이씨는 딸과 사위가 죽은 이후에도 생존하여 1490년(성종 21년), 자신의 외손자이자 정안옹주의 아들인 심언(沈漹)의 관직을 당시 국구였던 정현왕후의 아버지 영원부원군 윤호에게 청탁한 일로 물의를 빚었다.[5]

3. 가족 관계

항목내용
아버지세종(1397~1450)
어머니숙원 이씨
시아버지심선(? ~ 1467)
시어머니초계 정씨
남편청성위(靑城尉) 심안의(1438 ~ 1476)
장녀청송 심씨(1454 ~ 1514)[6]
장녀의 사위전주 최씨 최맹사(崔孟思, ? ~ 1472)[6]
외손자최인수(崔仁壽), 최인복(崔仁福)
장남심언(沈漹)
며느리문화 류씨 (류수륜(柳守綸)의 딸)
손자심광붕(沈光鵬)


참조

[1] 문서 원래 남양주시에 심안의와 정안옹주의 묘가 각각 따로 있었는데, 포천시로 이장하면서 합장묘가 되었다.
[2] 실록 문종실록 1452-04-27
[3] 실록 단종실록 1452-10-21
[4] 실록 세조실록 1461-10-16
[5] 실록 성종실록 1490-06-07
[6] 문서 최인수 모 심씨 묘지명(崔仁壽母沈氏墓誌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