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군 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읍군 을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정읍군 지역의 일부를 관할했던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 김종문, 김택술, 송영주, 송능운, 김성환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이후 정읍군 갑 선거구와 통합되어 정읍군 단독 선거구가 되면서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읍시의 정치 - 정읍시장 선거
정읍시장 선거는 정읍시의 시장을 선출하는 선거이며,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 시작되어 국승록, 유성엽, 강광, 김생기, 유진섭, 이학수 등이 역대 시장으로 재임했다. - 정읍시의 정치 - 정읍시 (선거구)
정읍시 선거구는 정주시와 정읍군의 통합으로 설치되어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개편되었으며, 인구 하한선 미달로 고창군과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폐지된 선거구 - 군산시 (2000년 선거구)
군산시 (2000년 선거구)는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계기로 군산시 갑, 군산시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되었으며, 2000년부터 2024년까지 군산시 전역을 관할하다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폐지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정읍군 을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정읍군 을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전라북도 |
연도 | 1948 |
폐지 | 1963 |
유형 | 국회 |
이후 선거구 | 정읍군 |
의원 수 | 1인 |
2. 역사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정읍군의 일부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신설 당시 정읍군 신태인읍, 태인면, 정우면, 감곡면, 옹동면, 칠보면, 산내면, 산외면을 관할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정읍군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정읍군 단독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당선인 정당 득표수 득표율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김종문 한국민주당 16,815 40.40%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김택술 노농청년연맹 10,323 25.04%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김택술 무소속 9,253 23.37%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송영주 민주당 15,961 36.94%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송능운 무소속 6,453 15.24% 196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김성환 무소속
4. 1.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정읍군 을 선거구에서 한국민주당 김종문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종문 | 한국민주당 | 16,815 | 40.40% |
김홍기 | 한국민주당 | 13,139 | 31.57% |
김택술 | 대한독립촉성농민총연맹 | 8,418 | 20.22% |
김부곤 | 한국민주당 | 1,824 | 4.38% |
송직상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418 | 3.40% |
합계 | 41,614 | 100% |
4. 2.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노농청년연맹 김택술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택술 | 노농청년연맹 | 10,323 | 25.04% |
김홍기 | 노농청년연맹 | 8,251 | 20.01% |
김진영 | 무소속 | 7,000 | 16.97% |
라재균 | 대한국민당 | 2,756 | 6.68% |
송문섭 | 무소속 | 2,260 | 5.48% |
유재익 | 무소속 | 1,554 | 3.76% |
임성근 | 무소속 | 1,535 | 3.72% |
신직한 | 무소속 | 1,500 | 3.63% |
은주표 | 민주국민당1949 | 1,362 | 3.30% |
박봉래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251 | 3.03% |
김현곤 | 무소속 | 1,216 | 2.94% |
김홍섭 | 무소속 | 1,128 | 2.73% |
오선근 | 무소속 | 1,089 | 2.64% |
합계 | 41,225 | 100% |
4. 3.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택술 | 무소속 | 9,253 | 23.37% |
송영주 | 민주국민당1949 | 7,911 | 19.98% |
송문섭 | 무소속 | 5,863 | 14.80% |
김종진 | 자유당 | 5,184 | 13.09% |
은성하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4,477 | 11.30% |
김진영 | 무소속 | 4,456 | 11.25% |
김효정 | 무소속 | 1,956 | 4.94% |
이기창 | 무소속 | 489 | 1.23% |
한병일 | 자유당 | 0 | 0% |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김택술 후보가 당선되었다.
4. 4.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4. 5.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정읍군 을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송능운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송능운 | 무소속 | 6,453 | 15.24 |
김성환 | 무소속 | 5,593 | 13.21 |
송문섭 | 무소속 | 5,512 | 13.02 |
김진기 | 혁신동지총연맹 | 4,013 | 9.47 |
송영주 | 자유당 | 3,854 | 9.10 |
김종민 | 무소속 | 3,481 | 8.22 |
김경운 | 민주당 | 3,069 | 7.24 |
송정덕 | 무소속 | 2,806 | 6.62 |
김광효 | 무소속 | 2,128 | 5.02 |
김환덕 | 무소속 | 1,738 | 4.10 |
홍병식 | 무소속 | 1,706 | 4.02 |
노용식 | 무소속 | 1,264 | 2.98 |
조창옥 | 한국독립당 | 716 | 1.69 |
총합 | 42,333 |
4. 6. 196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송능운 의원의 의원직 상실로 인해 치러진 196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무소속 김성환 후보가 당선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