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일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일봉은 해발 1,793m의 백두산 봉우리로, 과거 장수봉으로 불렸다. 1974년 김정일이 김일성의 후계자로 결정된 후, 김일성이 이곳을 김정일의 출생지라고 선언하고 정일봉으로 명명했다. 이후 김정일의 업적을 기리는 장소로, 매년 많은 북한 주민들이 방문하여 충성을 맹세하는 곳이 되었다. 정일봉을 찬양하는 문학 작품과 노래가 제작되었으며, 봉우리에는 붉은 글씨로 '정일봉'이라 새겨진 화강암 석판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량강도의 산 - 백두산
    백두산은 한반도에서 가장 높은 산이자 북중 국경에 위치한 화산으로, 예로부터 한민족과 만주족에게 신성시되어 왔으며 천지가 있고, 활발한 화산 활동과 잠재적 폭발 위험이 연구되는 중요한 관광 자원이다.
  • 삼지연시 - 백두산
    백두산은 한반도에서 가장 높은 산이자 북중 국경에 위치한 화산으로, 예로부터 한민족과 만주족에게 신성시되어 왔으며 천지가 있고, 활발한 화산 활동과 잠재적 폭발 위험이 연구되는 중요한 관광 자원이다.
  • 삼지연시 - 백두산 밀영
    백두산 밀영은 한국 신화에서 단군 탄생지로, 북한에서는 김정일 출생지로 여겨지며 김씨 일가의 정통성을 강화하는 혁명 성지로 숭배되는 장소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리에 관한 - 두만강
    두만강은 백두산에서 발원하여 동해로 흘러드는 강으로,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의 국경을 이루는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강이며, '두만'이라는 명칭은 만주어 '투먼'에서 유래되었고, 녹둔도는 역사적 영토 분쟁 지역이며, 탈북민들의 주요 경로이자 중국의 치어 방류로 생태계 위협 문제도 야기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리에 관한 - 간도
    간도는 고구려, 발해 등의 영토였으며 여진족 거주지였고, 압록강과 두만강 유역을 중심으로 조선 농민들이 이주하여 거주했으나 현재는 중국 영토로 편입되었으며, 영유권 분쟁은 중조변계조약으로 종식되었지만 두만강 위치와 '토문' 명칭 해석 차이로 한국 내 논쟁의 여지가 있다.
정일봉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산 정보
이름정일봉
로마자 표기Jeongilbong
한자 표기正日峰
위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량강도 삼지연시
산맥장백산맥
높이1793m
어미산소백산
2008년 9월의 정일봉
정일봉 (2008년 9월)

2. 자연

해발 1793m이며, 백두산 화산 폭발 이전의 식생이 보존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1]

3. 역사

원래 이 봉우리의 이름은 장수봉이었다. 1930~1940년대 조선인민혁명군백두산 밀영에 주둔했다. 북한 공식 역사에 따르면, 김정일이 그곳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1974년 김정일김일성의 후계자로 결정되자, 김일성은 백두산을 찾아 풍경이 아름다운 곳을 골라 그곳이 김정일이 태어난 백두산 밀영의 터라고 말하며, 그 뒤의 산을 "정일봉"이라고 명명했다.[8] 1988년 김정일의 업적을 기려 이 봉우리는 정일봉으로 개명되었다. 옛 밀영 부지에는 "혁명 사적지"가 조성되었다. 붉은 글씨로 봉우리 이름을 새긴 세 개의 화강암판이 남쪽 바위에 세워졌다. 1992년 김정일의 50회 생일을 기념하여 김일성의 축시 "광명성찬가"를 새긴 기념판이 밀영 근처에 설치되었다.[1] "광명성찬가"는 "백두산정 정일봉"으로 시작한다.[12] 정일봉 절벽에는 붉은 한글로 "정일봉한국어"이라고 새겨진 화강암 석판이 붙어 있으며, 질량은 216ton이다.[9][10]

4. 현재

정일봉 절벽에는 붉은 글씨로 "정일봉"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화강암 석판이 세 개 붙어 있다. 이 판의 무게는 216t이다.[9][10] 2013년 2월 핵실험의 여파로 글자가 떨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15]

5. 작품에서의 정일봉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는 김정일의 우상화를 위해 정일봉과 관련된 여러 작품을 제작하였다. 문학 작품으로는 오영재의 《인민의 아들》 6장[13], 전병구의 1989년 작품 《아, 정일봉이여》[14], 안종호의 《정일봉 위의 천둥》[5] 등이 있다. 노래로는 보천보전자악단의 《빛나라 정일봉》, 《정일봉의 봄맞이》, 《정일봉의 눈보라》[6][7]왕재산경음악단의 《정일봉의 우뢰소리》 등이 있다. 김일성은 80세 생일에 50세가 된 김정일에게 "백두산정 정일봉"으로 시작하는 한시 〈광명성찬가〉를 지어 선물했다.[12]

6. 비판

김정일의 실제 출생지는 소련 하바롭스크 인근이라는 주장이 유력하며, 정일봉 출생설은 김정일 우상화를 위한 허구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매년 20만 명의 북한 주민이 정일봉을 방문하여 "김정일에 대한 충성의 맹세를 외친다"는 점에서,[2] 정일봉이 체제 선전 및 개인 숭배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1974년 김정일이 김일성의 후계자로 결정되자, 김일성은 백두산을 찾아 풍경이 아름다운 곳을 골라 그곳이 김정일이 태어난 백두산 밀영의 터라고 말하며, 그 뒤의 산을 "정일봉"이라고 명명했다는 주장도 있다.[8]

참조

[1] 웹사이트 《광명성찬가》 http://www.dprktoday[...]
[2] 서적 A Handbook on North Korea Naewoe Press
[3] 웹사이트 인민의 아들 http://terms.naver.c[...]
[4] 웹사이트 전병구 http://terms.naver.c[...]
[5] 웹사이트 왕재산경음악단 http://terms.naver.c[...]
[6] 웹사이트 Album de Pochonbo Electronic Ensemble https://www.senscrit[...] 2021-10-06
[7] 웹사이트 Snowstorm on Jong Il Peak https://www.youtube.[...] Aloysius the Bad Sage 2021-01-23
[8] 문서 李相哲(2011)p.96
[9] 뉴스 北 핵실험 여파로 성지 ‘정일봉’에 균열 http://news.donga.co[...]
[10] 뉴스 【秘録金正日(17)】先祖の出自は韓国南部…創り出された「白頭山出生」神話、金日成は「ここだ」と決めつけ https://www.sankei.c[...] 産経新聞社 2015-03-24
[11] 문서 藤本(2008)p.194
[12] 문서 李相哲(2011)pp.116-117
[13]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14]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15] 웹사이트 http://news.donga.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