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사단 (영연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사단 (영연방)은 한국 전쟁에 참전한 영연방 육군 부대로, 1951년 7월에 창설되었다. 영국군, 캐나다군, 호주군, 뉴질랜드군, 인도군으로 구성된 다국적 부대로, 미 제1군단에 배속되어 임진강 일대의 제임스타운 선을 방어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1953년 정전 협정 체결 후 병력 감축으로 1954년 해체되었으며, 이후 여단급 부대로 축소되어 1957년 최종 철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전쟁에 참전한 영국의 부대 및 편성 - 미들섹스 연대
    미들섹스 연대는 1881년 두 개의 보병 연대 통합으로 창설되어 제1, 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했으며, 1966년 다른 연대와의 통합으로 해체되었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영국의 부대 및 편성 - 제1항공모함전대
    제1항공모함전대는 1943년 11월 창설된 영국 해군의 항공모함 전대로,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태평양 작전 및 해상 봉쇄, 항공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
  • 1954년 해체된 단체 - 콜롬비아 대대
    콜롬비아 대대는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흑운토령 전투, 불모고지 전투, 삼각고지 전투 등 주요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대한민국의 자유 수호에 기여한 콜롬비아군 대대이며, 이러한 공헌으로 콜롬비아는 현재까지 유엔군사령부의 회원국으로 활동하고 전쟁 직후 란세로 부대를 창설했다.
  • 1954년 해체된 단체 - 제417공병항공여단
    제417공병항공여단은 한국군, 주한 미군, 유엔군을 지원하기 위해 1950년 창설되어 비행장 건설 및 정비 임무를 수행하고 한국 전쟁 중 공군 작전을 지원했으며 1956년 해산되었다.
제1사단 (영연방)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연방 제1사단 부대 마크
부대 패치
존속 기간1951년–1954년
국가




군종보병
규모사단
지휘 구조미국 제1군단
주둔지제임스타운 전선
별칭(없음)
표어(없음)
행진곡(없음)
마스코트(없음)
전투
참전한국 전쟁
지휘관
주요 지휘관제임스 캐슬스
마이클 웨스트

2. 역사

2. 1. 배경

한국 전쟁 발발 직후, 한국에 주둔한 영연방 육군 부대의 초기 모체였던 제27 영국 연방 여단은 1950년 8월, 2개의 영국 보병대대와 함께 한반도에 도착했다.[1] 1950년 9월에는 제3 호주 왕립 연대 대대(3 RAR)가, 1951년 2월에는 제2대대 프린세스 패트리샤 캐나다 경보병(PPCLI)이 증원되었다.[1]

이 여단은 1951년 4월에 제28 영연방 여단으로 재편되었다.[1] 한편, 1950년 11월에는 제29 독립 보병 여단이, 1951년 5월에는 제25 캐나다 보병 여단이 이 여단에 합류했다.[1]

2. 2. 편성

1951년 7월, 제28영연방보병여단, 제29독립보병여단, 제25캐나다보병여단이 통합되어 제1영연방사단이 창설되었다.[2] 이 부대는 영국군 58%, 캐나다군 22%, 오스트레일리아군 14%, 뉴질랜드군 5%, 인도군 1%로 구성된 다국적 부대였다.[2]

제1영연방사단은 미국 제1(I)군단에 배속되어 미 제1기병사단, 미 제3보병사단, 미 제25보병사단, 대한민국 제1사단과 함께 작전을 수행했다.[3] 서울에서 불과 48km 떨어진 임진강 일대의 제임스타운 선을 방어하는 임무를 맡았다.[3]

사단은 다음과 같은 주요 부대로 구성되었다.

전투 결산[2]
국가피해 사항
사망자부상자실종자전쟁포로합계
뉴질랜드23791-103
영국10782,6741799774,908
오스트레일리아3391,2163261,584
캐나다3121,2121321,557
항목별 합계1,7525,1812121,0359,187


2. 3. 해체

1953년 정전 협정 체결 이후, 영연방군의 한반도 주둔 병력 감축이 결정되었다.[4] 1954년, 제1영연방사단은 해체되었고, 영연방 여단급 부대로 축소되었다.[4] 1956년 5월부터 1957년 8월까지는 대대급 규모의 영연방군 파견 부대로 유지되다가 최종 철수했다.[4]

3. 부대 편성

제1영연방사단은 사단 본부 및 본부중대와 왕립통신군단의 통신 지원을 받았다. 포병 전력으로는 왕립포병, 오스트레일리아 왕립 포병, 왕립캐나다기마포병 부대들이 배속되어 화력을 제공했다. 왕립공병은 제2야전연대와 제64야전연대, Park편대로 구성되어 공병 지원을 담당했다.

기갑 부대로는 왕립기갑군단 소속 왕의 제8왕립아일랜드후사르, 제7왕립전차연대, 제5왕립에니스킬렌용기병근위대, 제1왕립전차연대, 제5왕립전차연대 등이 배속되었고, 캐나다 왕립 기갑군단 소속 스트라스코나 공작의 기마대도 A, B, C 전대가 순환 배치되었다.

의료 지원은 왕립육군의무대, 왕립캐나다육군의무대, 그리고 인도 육군 소속 제60공수야전의무대가 담당했다.

보병 전력은 제25캐나다보병여단, 제27보병여단, 제28영연방보병여단, 제29보병여단으로 구성되었다. 제27보병여단은 1951년 4월 제28영연방보병여단으로 재편되었다. 각 여단은 영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 영연방 각국의 보병대대들로 구성되었다.

전투 결산
국가피해 사항
사망자부상자실종자전쟁포로합계
뉴질랜드23791-103
영국10782,6741799774,908
오스트레일리아3391,2163261,584
캐나다3121,2121321,557
항목별 합계1,7525,1812121,0359,187



제1대대, 웰링턴 공작 연대 병사, 1953년 훅 전투에서

4. 전투 결산

5. 역대 지휘관


  • 지휘관
  • * 소장 제임스 캐슬스(James Cassels), 1951년 7월 28일 – 1952년 9월 7일
  • * 소장 마이클 웨스트(Michael West), 1952년 9월 7일 – 1953년
  • * 소장 호레이셔스 머레이(Horatius Murray), 1953년–1954년
  • 사단 포병 사령관 (CRA)
  • * 준장 윌리엄 파이크(William Pike), 1951년 7월 – 1952년
  • * 준장 가이 그렉슨(Guy Gregson), 1952년
  • 사단 공병 사령관 (CRE)
  • * 대령 ECW 마이어스, RE
  • 사단 통신 사령관 (CRSigs)
  • * 중령 AC 앳킨슨, 왕립 통신대
  • 사단 육군 수송대 사령관 (CRASC)
  • * 중령 MGM 크로스비, RASC
  • 의무 부참모장 (ADMS)
  • * 대령 G 앤더튼, RAMC
  • 사단 육군 병기 사령관 (CRAOC)
  • * 중령 MR 맥린, RAOC
  • * 중령 GJH 앳킨슨, RNZAOC
  • 사단 육군 전기 및 기계 기술자 사령관 (CREME)
  • * 중령 HG 굿, REME

5. 1. 사단장

제임스 카셀스 소장이 1951년 7월 28일부터 1952년 9월 7일까지 지휘했다. 마이클 웨스트 소장이 1952년 9월 7일부터 1953년까지 지휘했다. 호레이셔스 머레이 소장이 1953년부터 1954년까지 지휘했다. 사단 포병 사령관(CRA)은 1951년 7월부터 1952년까지 윌리엄 파이크 준장이, 1952년에는 가이 그렉슨 준장이 맡았다. 사단 공병 사령관(CRE)은 ECW 마이어스 대령이었다. 사단 통신 사령관(CRSigs)은 왕립 통신대의 AC 앳킨슨 중령이었다. 사단 육군 수송대 사령관(CRASC)은 MGM 크로스비 중령이었다. 의무 부참모장(ADMS)은 G 앤더튼 대령이었다. 사단 육군 병기 사령관(CRAOC)은 MR 맥린 중령과 GJH 앳킨슨 중령이었다. 사단 육군 전기 및 기계 기술자 사령관(CREME)은 HG 굿 중령이었다.

5. 2. 사단 포병대장

윌리엄 파이크 여단장이 1951년 7월부터 1952년까지 사단 포병대장을 역임했다. 1952년에는 가이 그렉슨 여단장이 사단 포병대장을 역임했다.

5. 3. 기타 지휘관

사단 공병 사령관 (CRE)은 대령 ECW 마이어스였다. 사단 통신 사령관 (CRSigs)은 중령 AC 앳킨슨 왕립 통신대였다. 사단 육군 수송대 사령관 (CRASC)은 중령 MGM 크로스비, RASC였다. 의무 부참모장 (ADMS)은 대령 G 앤더튼, RAMC였다. 사단 육군 병기 사령관 (CRAOC)은 중령 MR 맥린 RAOC, 중령 GJH 앳킨슨 RNZAOC였다. 사단 육군 전기 및 기계 기술자 사령관 (CREME)은 중령 HG 굿, REME였다.

참조

[1] 서적 Grey 1988, pp. 68–87
[2] 서적 The Commonwealth Armies and the Korean War: An Alliance Study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0
[3] 서적 Grey 1988, p. 135
[4] 서적 Grey 1988, p. 183
[5] 서적 Korean War Order of Battle: United States, United Nations, and Communist Ground, Naval, and Air Forces, 1950–1953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2
[6] 서적 Korea 1950–53 Recounting Reme Involvement Lulu.com 2007
[7] 서적 Wagons of War: A History of 10 transport Company 1951–2011 https://mro.massey.a[...] Massey University 2012
[8] 문서 From September 1950 to July 1951 3rd RAR was part of [[27th British Commonwealth Brigade]]
[9] 문서 From November 1950 to July 1951,1stRNF was part of [[29th Infantry Brigade (United Kingdom)#Korean War|29th Independent Infantry Brigade]]
[10] 문서 From November 1950 to July 1951,1st Glosters was part of [[29th Infantry Brigade (United Kingdom)#Korean War|29th Independent Infantry Brigade]]
[11] 문서 From November 1950 to July 1951,1stRUR was part of [[29th Infantry Brigade (United Kingdom)#Korean War|29th Independent Infantry Brigad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