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연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연방은 16세기 대항해 시대에 시작되어 식민지 제국을 건설한 영국을 중심으로, 19세기 자치령 제도를 거쳐 발전해 온 국가들의 연합체이다. 2022년 기준 56개국이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으며, 영국 국왕을 수장으로 한다. 영연방은 1971년 싱가포르 선언을 통해 세계 평화, 민주주의, 인권 증진, 자유 무역 등을 목표로 하는 국제기구로 정의되었다. 영연방은 영연방 사무국과 다양한 기구를 통해 회원국 간의 협력을 증진하며, 스포츠,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통의 유산을 공유한다. 한국과는 직접적인 관계는 없지만, 영연방 회원국들과의 외교, 경제적 교류를 통해 간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연방 - 총독 관저
    총독 관저는 영연방 국가에서 국가 원수를 대리하는 총독의 공식 관저로서, 각 국가 및 지역별로 다양한 특징을 가지며 국가 원수의 공식 업무와 외교 활동을 지원하는 중요한 장소이다.
  • 영연방 - 6.25 전쟁 기간 영국의 군사사
    6.25 전쟁 기간 영국의 군사사는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되어 영국이 해군과 육군을 파견하고 총 81,084명이 참전하여 1,108명이 전사했으며, 임진강 전투, 가평 전투 등 주요 전투에서 활약하고, 파주 설마리 전투 추모 공원과 런던 한국전쟁 기념비로 참전을 기린다.
  • 영국 - 보수당 (영국)
    보수당 (영국)은 17세기 토리당에서 유래하여 1834년 로버트 필에 의해 공식 출범했으며, 자유 시장 경제와 온건 보수주의를 지향하며, 브렉시트와 경제 문제로 2024년 총선에서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다.
  • 영국 - 자유민주당 (영국)
    자유민주당(Liberal Democrats)은 300년 이상 존재해 온 영국의 정당으로, 사회자유주의를 표방하며 유럽 연합 잔류, 선거 제도 개혁, 환경 보호 등을 주요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다.
  • 나라 정보 - 나우루
    나우루는 남서 태평양의 작은 섬나라 공화국으로, 미크로네시아와 폴리네시아 민족의 역사를 가지며 인광석 채굴 호황 이후 자원 고갈과 환경 파괴로 어려움을 겪고, 현재는 난민 수용 시설 운영 등으로 경제 회복을 모색하는 대통령 중심제 국가이다.
  • 나라 정보 - 팔라우
    팔라우는 태평양에 위치한 섬나라로, 스페인, 독일, 일본의 지배를 거쳐 미국의 신탁통치를 받았으며 1994년 독립하여 대통령 중심의 민주 공화국 체제를 갖추고 관광 산업, 특히 스쿠버 다이빙과 스노클링이 발달했으며 팔라우어와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모계 사회의 전통이 강하다.
영연방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명칭코먼웰스 오브 네이션스
다른 이름영연방
영어 명칭Commonwealth of Nations
유형정부간 조직
설명독립적이고 평등한 주권 국가들의 자발적인 연합체
현황
회원국56개국 (목록 참조)
본부 위치영국, 런던, 마를버러 하우스
공용어영어
인물
수장찰스 3세
사무총장패트리샤 스코틀랜드 남작부인
의장피아메 나오미 마타아파
역사
기원대영 제국
밸푸어 선언1926년 11월 18일
웨스트민스터 헌장1931년 12월 11일
런던 선언1949년 4월 28일
지리 및 인구
면적29,958,050 km²
추정 인구 (2016년)2,418,964,000명
인구 밀도75명/km²
기타
공식 웹사이트thecommonwealth.org
영연방기
영연방기
영연방 로고
영연방 로고
영연방 회원국 지도
영연방 회원국 지도

2. 역사

16세기 후반 엘리자베스 1세 여왕 시대에 영국은 해외 식민지 개척에 나서며 제국 건설의 기초를 다졌다. 18세기에는 캐나다를 식민지로 확정했고, 1788년에는 오스트레일리아에 죄수들을 보내 식민지화의 발판을 마련했다. 인도1600년 동인도 회사 설립 이후 영국의 영향력 아래 놓였으며, 1877년 빅토리아 여왕이 인도 황제로 즉위하면서 단순한 식민지를 넘어선 관계를 형성했다.

1867년 캐나다가 처음으로 자치령 지위를 얻은 것을 시작으로,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이 자치령이 되면서 영국 국왕에 대한 충성을 바탕으로 한 초기 영연방의 모습이 갖춰지기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탈식민지화 과정에서 영연방은 큰 변화를 맞았다. 1947년 인도, 파키스탄과 같이 기존 영국 문화권과는 다른 국가들이 독립하여 영연방에 가입하면서 다원적인 성격이 강화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1949년 영연방 총회는 런던 선언을 통해 영국 국왕을 '영연방의 수장이며 자유로운 결합의 상징'으로 재정의하고, 회원국의 국왕 충성 의무를 폐지했다. 이로 인해 기구의 명칭도 '브리튼 국가 연방'(British Commonwealth of Nations영어)에서 '국가 연방'(Commonwealth of Nations영어)으로 변경되었으며, 공화제 국가도 회원국으로 남을 수 있게 되었다.

1971년 싱가포르 선언에서는 영연방을 '국제적 이해와 세계 평화를 증진하기 위해 협력하는 독립 주권 국가들의 자발적인 연합체'로 정의하며 현대적인 성격을 확립했다. 이후 영국의 식민지가 아니었던 모잠비크(과거 포르투갈 식민지), 르완다(과거 벨기에 식민지), 가봉, 토고(과거 프랑스 식민지) 등도 회원국으로 가입하면서 영연방은 역사적 배경을 넘어 공동의 가치를 추구하는 국제 기구로 발전하고 있다. 현재의 영연방은 연방 국가와는 다른, 느슨한 형태의 국제 협력체이다.

2. 1. 개념적 기원

19세기 후반 이후 영국 본국은 세계 각지의 이주형 식민지의 권한을 강화해 갔고, 특히 백인이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식민지에 자치권을 부여하여 자치령(Dominion)으로 만들었다. 1867년 영국령 북아메리카법에 의해 3개의 영국 북아메리카 식민지가 연방을 이루어 캐나다가 자치령이 된 것을 시작으로, 1901년에는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의 6개 식민지가 연방화되어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이 성립되었으며, 1907년에는 뉴질랜드와 뉴펀들랜드, 1910년에는 남아프리카의 4개 식민지가 합동하여 연방화되어 남아프리카 연방이 성립되었다. 이러한 자치령과 영국 사이에는 1887년부터 협의 기관으로서 식민지 회의가 개최되었지만, 1907년에는 제국 회의로 개칭되었고, 제국 회의에 참석할 수 있는 자치령은 '식민지'(Colony영어)가 아닌 '도미니언'(Dominion영어)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1959년 캐나다 데이 연설에서 캐나다 연방이 1867년 7월 1일에 "대영 제국 내에서 최초의 독립 국가"로 탄생했다고 언급하며, "이것은 또한 현재 영연방으로 알려진 독립 국가들의 자유로운 연합의 시작을 의미합니다."라고 선언했다.[12] 앞서 1884년, 로즈베리 경은 오스트레일리아 방문 중, 일부 식민지가 더 독립적이 되어감에 따라 변화하는 대영 제국을 "영연방"(Commonwealth of Nations영어)이라고 묘사한 바 있다.[13][14] 영국 및 식민지 총리 회의는 1887년 첫 회의 이후 정기적으로 열렸고, 1911년에는 제국 회의가 창설되었다.[15][16]

제1차 세계 대전은 자치령들의 자립 움직임을 더욱 강화시켰다. 모든 자치령과 식민지가 참전했지만, 오스트레일리아에서의 징병제 도입 거부(1916년)[230]나 남아프리카에서의 말리츠 반란(1914년) 등 영국으로부터의 자립을 목표로 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졌다. 특히 아일랜드에서는 1919년 아일랜드 독립 전쟁이 발발하여 1921년 아일랜드 자유국으로서 자치령 지위를 획득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영국은 식민지의 협력을 얻기 위해 1917년 제국 전시 내각을 개최했고, 1919년 베르사유 조약 체결 시에는 각 자치령 대표의 참석을 허용했다. 또한, 국제 연맹의 위임 통치령으로서 오스트레일리아(뉴기니), 남아프리카(남서 아프리카), 뉴질랜드(서사모아)가 각각 영토를 획득하고 연맹에도 개별적으로 가입하면서[231], 각 자치령은 실질적으로 독립국과 다름없는 지위를 갖게 되었다.

얀 스머츠는 1917년 "영연방"(British Commonwealth of Nations영어)이라는 용어를 만들고 미래의 헌법 관계 재조정을 구상했으며[17], 1919년 파리 평화 회의에서도 이 용어를 사용했다.[18][19] 이 용어는 1921년 영국-아일랜드 조약에서 처음으로 법률적으로 인정받았는데, 아일랜드 자유국 의회 의원 선서문에서 "대영 제국"(British Empire영어) 대신 "영연방"(British Commonwealth of Nations영어)이 사용되었다.[20]

1921년 영국-아일랜드 조약 초안으로, "British Empire"(대영 제국)은 삭제되고 "British Commonwealth of Nations"(영연방)이 손으로 추가됨


제1차 세계 대전 후 영국의 국력 쇠퇴가 뚜렷해지자, 각 자치령은 더욱 독립적인 성향을 보였다. 1926년 제국 회의에서는 아일랜드 자유국과 남아프리카 연방이 제국 이탈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영국 본국과 각 자치령이 대등하다는 내용의 발푸어 보고서가 작성되었고, 영국과 자치령들은 "국내 및 외교 문제의 모든 측면에서 서로 종속되지 않고 동등한 지위를 가지며, 왕관에 대한 공동의 충성을 통해 연합하고 영국 연방의 회원으로서 자유롭게 연합한다"는 데 동의했다. '연방'이라는 용어가 공동체를 묘사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21][232]

1944년 영연방 회의에 참석한 구성원
(왼쪽부터: 캐나다의 윌리엄 킹, 남아프리카 연방의 얀 스머츠, 영국의 윈스턴 처칠, 뉴질랜드의 피터 프레이저, 오스트레일리아의 존 커틴)


이러한 관계는 1931년 영국 의회에서 통과된 웨스트민스터 헌장(Statute of Westminster)으로 공식화되었다. 이 헌장은 영연방을 영국 국왕에 대한 공통의 충성으로 묶인, 각자 주권을 가진 대등한 독립국의 자유로운 연합체로 정의했다. 초기 구성원은 영국, 아일랜드 자유국(후에 탈퇴), 캐나다, 뉴펀들랜드(후에 캐나다 주로 편입),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연방이었다.[233] 이 시점의 영연방은 기존 자치령들의 연합체로서 백인 중심의 성격을 가졌으며, 기존의 대영 제국과 병존하는 체제였다.[232] 웨스트민스터 헌장은 캐나다에는 비준 없이 적용되었지만,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뉴펀들랜드는 효력 발생을 위해 비준이 필요했다. 뉴펀들랜드는 경제난으로 1934년 자치 정부를 중단하고 런던의 직접 통치를 받게 되어 비준하지 않았고, 1949년 캐나다의 주로 합류했다.[22]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는 각각 1942년과 1947년에 헌장을 비준했다.[23][24] 남아프리카 연방은 헌장 채택이 불필요했으나, 주권 확인을 위해 1934년 연방 지위법 등을 통과시켰다.[25]

2. 2. 제1차 세계 대전과 자치령의 성장

19세기에 세계 최대의 제국으로 군림했던 대영 제국은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미국, 독일 등의 부상으로 점차 국력 우위를 상실해갔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영국 본국은 19세기 후반부터 세계 각지의 이주형 식민지에 대한 권한을 강화하는 한편, 특히 백인이 인구 다수를 차지하는 식민지에는 자치권을 부여하여 자치령(Dominion)으로 삼았다. 1867년 영국령 북아메리카법에 따라 영국 북아메리카의 3개 식민지가 연방을 이루어 캐나다 자치령이 된 것을 시작으로, 1901년에는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의 6개 식민지가 연방을 구성하여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이 되었고, 1907년에는 뉴질랜드와 뉴펀들랜드, 1910년에는 남아프리카의 4개 식민지가 통합하여 남아프리카 연방(현재의 남아프리카 공화국 전신)이 성립되었다.

이들 자치령과 영국 본국 간의 협의를 위해 1887년부터 식민지 회의가 열렸으나, 1907년에는 제국 회의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제국 회의에 참석할 수 있는 자치령은 더 이상 단순한 식민지(Colony영어)가 아닌, 독자적인 지위를 가진 자치령(Dominion)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1911년 오스트레일리아와 캐나다가 독자적인 해군 창설을 인정받는 등(오스트레일리아 해군, 캐나다 해군), 자치령 국가들은 점차 자립적인 움직임을 강화해 나갔다.

자치령들의 자립 움직임은 제1차 세계 대전을 계기로 더욱 가속화되었다. 모든 자치령과 식민지가 이 전쟁에 참전했지만, 각 지역에서는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추구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졌다. 예를 들어,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1916년 징병제 도입이 국민투표에서 부결되었고[230], 보어 전쟁 이후 반영 감정이 남아 있던 남아프리카 연방에서는 1914년 보어인들이 주도한 말리츠 반란이 일어났다. 이러한 움직임이 가장 격렬했던 곳은 영국 본국에 편입되어 있던 아일랜드였는데, 1919년 아일랜드 독립 전쟁이 발발하여 결국 1921년 아일랜드 자유국으로서 자치령 지위를 획득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영국 본국은 자치령들의 협력을 얻기 위해 보다 유화적인 태도를 취할 수밖에 없었다. 1917년에는 각 자치령 대표들이 참여하는 제국 전시 내각이 개최되기도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종결 후 1919년 체결된 베르사유 조약에서는 각 자치령 대표들의 참석이 허용되었으며, 국제 연맹의 위임 통치령으로서 오스트레일리아가 뉴기니를, 남아프리카 연방이 남서 아프리카(현재의 나미비아)를, 뉴질랜드가 서사모아(현재의 사모아)를 각각 영국 본국과는 별개로 획득했다. 또한, 이들 자치령은 국제 연맹에도 독자적으로 가입하는 것이 허용되었다[231]。 이를 통해 각 자치령은 사실상 독립국과 다름없는 지위를 확보하게 되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과 탈식민지화

제2차 세계 대전의 포스터,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남로디지아 식민지, 남아프리카, 인도 제국 군인 묘사


영연방 국가와 제국은 제2차 세계 대전의 모든 주요 전역에 참여하였다.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정부는 영국 연방 공군 훈련 계획을 창설하여 제국과 자치령 전역의 조종사를 훈련시켰다.[26][27] 전쟁 후에는 호주, 영국, 영국령 인도 제국, 뉴질랜드 군대가 일본에서 영국 연방 점령군을 구성하여 전후 처리에 참여하였다.[28]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면서 대영 제국은 점진적인 해체 과정을 겪었다. 제국의 구성 요소 대부분은 독립 국가가 되었으며, 이들 중 다수는 영연방 왕국이나 공화제 국가로서 영연방 회원국이 되었다. 현재 영국과 정치적 연관성을 유지하는 곳은 14개의 자치 영국 해외 영토뿐이다.

1947년 인도파키스탄이 독립(인도-파키스탄 분할)하면서 영연방은 큰 변화를 맞이하였다. 특히 인도가 공화제를 채택하면서도 영연방 잔류를 희망하자, 1949년 4월 런던 선언을 통해 기존의 '영국 국왕에 대한 공통의 충성'이라는 회원 자격 요건을 폐지하였다. 대신 영국 국왕을 '영연방의 수장이며 자유로운 결합의 상징'으로 규정하여, 공화제 국가도 회원국으로 남을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이 선언에 따라 영연방의 공식 명칭에서 '영국(British)'이 빠지고 '국가 연방'(Commonwealth of Nations영어)으로 변경되었다.[29] 이는 이후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신생 독립국들이 영연방에 참여하는 기반이 되었다.

그러나 모든 옛 식민지가 영연방에 가입한 것은 아니었다. 버마(1989년부터 미얀마)와 아덴(현재 예멘의 일부)은 독립 후 영연방에 참여하지 않았다. 또한, 영국의 보호령이나 국제 연맹 위임통치령이었던 이집트(1922년 독립), 이라크(1932년), 트란스요르단(1946년), 팔레스타인(일부는 1948년 이스라엘 국가가 됨), 수단(1956년), 영국령 소말릴란드(1960년 소말리아 공화국으로 통합), 쿠웨이트(1961년), 바레인(1971년), 오만(1971년), 카타르(1971년), 아랍 에미리트 연합(1971년) 등도 영연방 회원이 되지 않았다.[30]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1953년 크리스마스 방송에서 영연방을 "우정, 충성심, 자유와 평화를 향한 열망과 같은 인간 정신의 가장 고귀한 자질에 기반한 완전히 새로운 구상"이라고 묘사하며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였다.[31] 하지만 전후 영국의 국력은 약화되었고, 특히 경제적으로 미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다. 방위 및 재정적 역할의 축소는 조지프 체임벌린이 구상했던 제국 특혜 관세, 상호 방위, 공동 성장을 결합한 세계 제국 비전을 약화시켰다. 특히 인도와 싱가포르의 상실은 영국의 국제적 영향력을 더욱 제한하였다.[32] 영국 정치권 내에서도 영연방을 통한 영향력 유지에 대한 기대는 점차 줄어들었다. 영국의 정책이 영연방 회의에서 비판받는 일이 잦아졌고, 비백인 회원국 출신 이민자 문제(영연방 디아스포라)는 영국 내 사회적 갈등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33]

이 시기 영국에서는 '신영연방'이라는 용어가 등장했는데, 이는 주로 1960년대1970년대에 새롭게 탈식민지화된 아시아, 아프리카의 비백인, 개발도상국 회원국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용어는 종종 이들 국가로부터의 이민 문제와 관련된 논쟁에서 사용되었다.[34] 반면, 영국과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1945년 이전의 자치령들은 비공식적으로 '구영연방' 또는 과거 '백색 자치령'을 연상시키는 '백색 영연방'으로 불리기도 하였다.[35][36]

1949년에는 창설 회원국 중 하나였던 아일랜드가 공화국 선포와 함께 영연방을 탈퇴하였다. 1956년 수에즈 위기 당시, 이집트에 대한 영국의 군사 개입은 영연방 내에서 거의 지지를 받지 못했으며, 미국소련의 반대로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 이 사건은 영국의 국제적 위신을 크게 실추시켰고, 탈식민지화 흐름을 더욱 가속화하였다.[241] 영국 정부는 식민지를 독립시킨 후 영연방 틀 안에 남겨 영향력을 유지하려는 정책으로 전환했고, 1960년대에는 아프리카의 여러 나라들이 독립하여 영연방 회원국이 되었다.

하지만 영연방 내 갈등도 표출되었다. 1961년, 창설 회원국이었던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영연방을 탈퇴하였다. 남아공은 공화제 전환 이후에도 영연방 잔류를 희망했지만, 아파르트헤이트라는 극단적인 인종 차별 정책에 대한 비판이 영연방 내 유색 인종 회원국들을 중심으로 거세지자 결국 탈퇴를 결정하였다.[242]

1964년부터는 로디지아 문제가 주요 쟁점으로 부상하였다. 1923년부터 자치권을 누려온 남로디지아는 백인 소수 정부가 통치하고 있었다. 1963년 로디지아 니아살랜드 연방이 해체되고 말라위잠비아가 흑인 다수 통치하에 독립하여 영연방에 가입하자, 인종 차별 정책을 고수하던 남로디지아의 독립 및 영연방 가입 문제가 불거졌다. 다수의 영연방 회원국들은 인종 차별 철폐 없이는 독립과 가입을 인정할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였고, 영국 정부도 이를 무시할 수 없었다. 이에 반발한 남로디지아 백인 정부는 1965년 일방적으로 로디지아 공화국으로 독립을 선언하였다. 이 갈등은 1980년 로디지아 정권이 붕괴하고 흑인 다수 국가인 짐바브웨 공화국이 영연방에 가입하면서 해결되었다.

한편,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 전통적인 백인 자치령들은 점차 군사, 경제적으로 미국과의 관계를 강화해 나갔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영국은 점차 영연방보다는 지리적으로 가까운 유럽 대륙과의 관계에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1961년 보수당해럴드 맥밀런 정부는 유럽 경제 공동체(EEC) 가입을 신청했으나 프랑스의 반대로 무산되었고, 결국 1973년 에드워드 히스 정부 하에서 EEC 가입을 성사시키며 영국의 외교 정책 중심축이 유럽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2. 4. 냉전 시기와 비동맹 운동의 영향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탈식민지화 흐름이 거세지면서 영연방의 성격에도 큰 변화가 찾아왔다. 1947년 인도파키스탄이 독립하여 영연방에 가입하면서[233], 기존의 백인 중심적인 성격에서 벗어나 다양한 문화권의 국가들이 참여하는 다원적인 협력체로 나아가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특히 인도는 독립 과정에서 공화제 채택을 선언하면서도 영연방 잔류 의사를 밝혔고, 이는 영연방의 구조적 변화를 이끌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1949년 영연방 총회에서는 런던 선언(London Declaration)을 채택했다. 이 선언은 영국 국왕을 '독립 회원 국가들의 자유로운 연합의 상징이자 영연방 수장'으로 정의함으로써, 회원국들이 영국 국왕에게 충성 서약을 할 의무를 없앴다.[38] 이에 따라 기구의 명칭도 '브리튼 국가 연방'(British Commonwealth of Nations영어)에서 '국가 연방'(Commonwealth of Nations영어)으로 변경되었다. 런던 선언은 1950년 인도가 공화국이 된 후에도 영연방 회원국으로 남을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으며[38], 이후 다른 회원국들도 공화제를 채택하거나 독자적인 군주제를 유지하면서 영연방에 잔류할 수 있게 되었다.[39][41][42][43][44] 이는 동군 연합 형태인 영연방 왕국과 국제 협력체로서의 영연방이 제도적으로 분리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인도의 초대 총리 자와할랄 네루는 런던 선언 직후인 1949년 5월 제헌 의회 연설에서, 영연방 가입이 인도와 다른 회원국 모두에게 유익하고 세계 평화 증진에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를 표명하는 한편, 각 회원국은 언제든 자유롭게 탈퇴할 수 있음을 명확히 했다. 그는 "우리는 영연방에 가입합니다. 분명히 그것이 우리에게 유익하고 우리가 진전시키고 싶은 세계의 특정 대의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동시에, 각 국가는 완전히 자유롭게 자신의 길을 갈 수 있다는 것이 완벽하게 명확하게 밝혀졌습니다... 이 세상에서 좋은 일을 할 수 있는 협력적인 연합을 유지하는 것이 그것을 깨는 것보다 낫습니다."라고 설명했다.[40] 이는 영연방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는 느슨한 협력체임을 보여주는 동시에, 당시 부상하던 비동맹 운동의 정신과도 궤를 같이 했다. 반면, 1949년 아일랜드는 공화국 법을 통해 공화국임을 공식화하고 영연방에서 탈퇴했다.[37]

1950년대1960년대에 걸쳐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여러 식민지들이 독립하면서 영연방 회원국은 더욱 늘어났다. 1956년 수에즈 위기 당시 영국과 프랑스의 군사 개입이 국제적인 비판에 직면하고 결국 실패로 돌아가면서 영국의 국제적 위신은 크게 실추되었고, 이는 탈식민지화 흐름을 더욱 가속화했다.[241] 영국은 식민지를 독립시킨 후 영연방 틀 안에 머물게 하여 영향력을 유지하려는 정책으로 전환했고, 많은 신생 독립국들이 영연방 가입을 선택했다.

그러나 영연방 내부에서는 인종 문제로 인한 갈등도 표출되었다. 1961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아파르트헤이트 정책에 대한 영연방 내 비판 여론이 높아지자 결국 탈퇴를 결정했다.[242] 당시 영연방은 이미 유색 인종 국가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기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인종 차별 정책을 용납하기 어려웠다. 로디지아 문제 역시 비슷한 맥락에서 전개되었다. 1965년 소수 백인 정권이 일방적으로 독립을 선언한 로디지아에 대해 다수 영연방 회원국들은 인종 차별 철폐를 요구하며 독립 승인 및 영연방 가입을 반대했고, 이는 결국 1980년 로디지아가 붕괴하고 다수 흑인이 주도하는 짐바브웨 공화국이 영연방에 가입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

한편, 냉전 시기를 거치면서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 기존 백인 자치령들은 군사 및 경제적으로 미국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영국 본국 역시 점차 영연방보다는 통합이 진행되던 유럽 대륙에 주목하기 시작했고, 1973년 유럽 경제 공동체(EEC)에 가입하면서 영국의 외교 정책 중심축이 영연방에서 유럽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였다.

2. 5. 1970년대 이후의 발전

1971년 영연방 총회는 싱가포르 선언에서 영연방을 '인류 공통의 이익인 국제적인 이해와 세계 평화를 촉진시키고 협력하는 독립 주권 국가들의 연합체'로 새롭게 정의하였다. 이 선언은 영연방이 더 이상 영국 중심의 위계적인 구조가 아닌, 동등한 주권 국가들의 자발적인 협력체임을 명확히 했다.

1961년부터 유럽 경제 공동체(EEC) 가입을 시도했던 영국은 샤를 드골 프랑스 대통령의 반대로 번번이 무산되었으나, 1973년 에드워드 히스 정권 하에서 마침내 EEC 가입을 성사시켰다.[159] 이는 영국이 경제적으로 영연방보다 유럽 대륙과의 관계를 중시하게 되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역사가 벤 핌로트는 영국의 유럽 공동체 가입이 "영국과 옛 제국 간의 가족적 유대 관계를 단절하는 데 있어 가장 결정적인 조치"였으며, 남은 연결고리를 감성적이고 문화적인 것으로 축소시켰다고 평가했다.[160]

영국의 EEC 가입은 다른 영연방 국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는 영국 시장에 대한 특혜 관세 상실을 우려하여 가입에 반대했으며, 영국은 이들 국가의 수출 시장 보호를 위해 과도기적 조치와 보상을 약속해야 했다.[163][164] 캐나다는 이미 경제적으로 미국과의 관계가 더 중요해지고 있었으며, 영국과의 역사적 유대는 점차 약화되었다. 캐나다가 1964년 단풍잎 국기를 제정한 것은 이러한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162]

한편, 영연방 자체의 운영 방식에도 변화가 생겼다. 1965년에는 영국 정부로부터 독립된 영연방 사무국이 창설되었고[243], 1971년 싱가포르 회의 이후부터는 영연방 정상회의가 런던뿐만 아니라 회원국들을 순회하며 개최되기 시작했다.[244] 이는 영연방 내에서 영국의 주도권이 약화되고 회원국 간의 수평적 관계가 강화되었음을 의미한다.

1970년대1980년대에는 아시아, 아프리카, 카리브해 등지의 남은 영국 식민지 대부분이 독립하여 영연방 회원국이 되었다. 1980년에는 오랜 로디지아 문제 끝에 짐바브웨가 독립하여 영연방에 가입했다. 또한, 1994년에는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폐지한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영연방에 재가입하여 국제 사회로부터의 고립을 끝내고 영연방의 포용성을 보여주었다.

런던 국회의사당 광장에 게양된 영연방 회원국의 국기


오타와 캐나다 국회의사당에 게양된 영연방 기


영연방은 더 나아가 과거 영국의 식민지가 아니었던 국가들에게도 문호를 개방했다. 1995년 포르투갈의 옛 식민지였던 모잠비크가 처음으로 가입했으며, 2009년에는 벨기에의 옛 식민지였던 르완다가 가입했다. 르완다는 가입 전 해에 영어를 공용어로 추가하며 영연방 가입 의지를 보였다. 2022년에는 프랑스의 옛 식민지였던 가봉토고가 가입했다.[245] 이는 영국의 유럽 연합 탈퇴 이후 영국과의 관계 재정립 필요성 및 아프리카 내에서 프랑스의 영향력 약화 등이 배경으로 분석된다.[246] 이처럼 영연방은 역사적 배경을 넘어 민주주의, 인권, 법치 등 공동의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의 국제 협력체로서 발전하고 있다.

3. 구조

영연방은 독립된 사무국(영어: Commonwealth Secretariat) 및 각종 기관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의 대부분은 런던의 말버러 하우스에 설치되어 있다.

3. 1. 영연방 수장

영연방 수장은 영국 국왕의 세습직으로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초대 수장인 조지 6세 전 영국 국왕 이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수장직을 이어받았다. 2018년 4월, 엘리자베스 2세는 영연방 정상회의에서 차기 수장으로 당시 찰스 왕세자를 추천했다. 이에 대해 당시 영국 총리였던 테리사 메이는 찰스 왕세자를 차기 영연방 수장으로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영국 야당인 노동당은 회원국이 돌아가면서 수장을 맡는 방안이 더 적절하다며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https://news.jtbc.joins.com/html/807/NB11621807.html]

3. 2. 영연방 정부 수반 회의 (CHOGM)

이 기구의 주요 의사 결정 포럼은 격년으로 열리는 영연방 정부 수반 회의(Commonwealth Heads of Government Meeting, CHOGM)이다. 이 회의에는 영연방 정부 수반, 예를 들어 총리와 대통령 등이 며칠 동안 모여 상호 관심사에 대해 논의한다. CHOGM은 영연방 총리 회의와 그 이전의 제국 회의 및 식민지 회의의 후신으로, 그 역사는 1887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재무 장관, 법무 장관, 보건 장관 등의 정기 회의도 열린다. 재정적 기여를 체납한 회원국은 이전의 특별 회원국과 마찬가지로 장관 회의나 CHOGM에 대표를 파견하도록 초청받지 않는다.[54]

CHOGM을 주최하는 정부 수반은 영연방 의장(Chairperson-in-Office, CIO)이라고 불리며, 다음 CHOGM이 열릴 때까지 이 직위를 유지한다.[57]

연도개최일국가개최 도시리트리트 (회의 합숙)의장
1971년1월 14일-22일싱가포르싱가포르(없음)리콴유
1973년8월 2일-10일캐나다오타와몽트랑블랑피에르 트뤼도
1975년4월 29일-5월 6일자메이카킹스턴(없음)마이클 맨리
1977년6월 8일-15일영국런던글렌이글스 호텔제임스 캘러헌
1979년8월 1일-7일잠비아루사카루사카케네스 카운다
1981년9월 30일-10월 7일오스트레일리아멜버른캔버라맬컴 프레이저
1983년11월 23일-29일인도뉴델리고아인디라 간디
1985년10월 16일-22일바하마나소Lyford Cay린든 핀들링
1986년8월 3일-5일영국런던(없음)마거릿 대처
1987년10월 13일-17일캐나다밴쿠버오카나간브라이언 멀로니
1989년10월 18일-24일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랑카위마하티르 빈 모하마드
1991년10월 16일-21일짐바브웨하라레빅토리아 폭포로버트 무가베
1993년10월 21일-25일키프로스리마솔(없음)글라프코스 클레리데스
1995년11월 10일-13일뉴질랜드오클랜드밀브룩짐 볼저
1997년10월 24일-27일영국에든버러세인트앤드루스토니 블레어
1999년11월 12일-14일남아프리카 공화국더반조지타보 음베키
2002년3월 2일-5일오스트레일리아쿨럼 비치(없음)존 하워드
2003년12월 5일-8일나이지리아아부자Aso Rock올루세군 오바산조
2005년11월 25일-27일몰타발레타멜리하로렌스 곤지
2007년11월 23일-25일우간다캄팔라Munyonyo요웨리 무세베니
2009년11월 27일-29일트리니다드 토바고포트오브스페인Laventille Heights패트릭 매닝
2011년10월 28일-30일오스트레일리아퍼스킹스파크줄리아 길라드
2013년11월 15일-17일스리랑카콜롬보스리 자야와르데네푸라 코테마힌다 라자팍사
2015년11월 27일-29일몰타발레타; 멜리하Fort St Angelo조지프 무스카트
2018년4월 19일-20일영국런던; 윈저윈저 성테레사 메이
2022년6월 20일-26일르완다키갈리Radisson Blu Hotel Kigali폴 카가메
2024년6월 25일-26일사모아
2026년미정앤티가 바부다세인트존스



회원국 정부 수반 (총리 또는 대통령)은 2년에 한 번 회의를 개최하며, 개최지는 1971년 이후 회원국들이 돌아가며 맡는다.

CHOGM의 전신은 다음과 같다.[252]


  • 1887년 - 1909년: 식민지 회의 (Colonial Conference)
  • 1911년 - 1937년: 제국 회의 (Imperial Conference)
  • 1944년 - 1966년: 영연방 수석 회의 (Commonwealth Prime Ministers' Conference) (거의 매년)
  • 1971년 - 현재: 영연방 정부 수반 회의 (Commonwealth Heads of Government Meeting, CHOGM)

3. 3. 영연방 사무국

영연방 창설 초기에는 1926년 식민성에서 분리 독립한 영국 정부 내 자치령성(Dominions Office)이 관련 사무를 담당했다. 자치령성은 1947년 영연방관계성(Commonwealth Relations Office)으로 개명되어 사무를 이어갔으나, 영국령 식민지들의 빠른 독립과 이에 따른 회원국 급증으로 영국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 가나콰메 은크루마 등을 중심으로 영국 정부로부터 사무 기능을 독립시켜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되었다. 그 결과, 1965년 영연방 회원국들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독립된 사무국(영어: Commonwealth Secretariat)이 창설되었고, 영연방은 영국 정부로부터 독립된 국제기구로서의 성격을 갖추게 되었다.[243] 사무국 창설 이후, 1966년에는 영연방 정부 수반 회의(CHOGM)가 처음으로 영국 런던이 아닌 나이지리아라고스에서 개최되었고, 1971년 싱가포르 회의 이후로는 회원국들이 돌아가며 개최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244]

영연방 사무국은 각종 관련 기관과 함께 런던의 말버러 하우스에 위치해 있다. 사무국의 수장은 영연방 사무총장(영어: Commonwealth Secretary-General)이며, 역대 사무총장은 다음과 같다.

초상이름국적취임퇴임주요 경력
1
초상
아놀드 스미스 (Arnold Smith)캐나다1965년 7월 1일1975년 6월 30일이집트 캐나다 대사 (1958–1961)
주소비에트 연방 캐나다 대사 (1961–1963)
2
슈리다스 람팔
슈리다스 람팔 (Shridath Ramphal)가이아나1975년 7월 1일1990년 6월 30일가이아나 외무 장관 (1972–1975)
3--에메카 아냐오쿠 (Emeka Anyaoku)나이지리아1990년 7월 1일2000년 3월 31일영연방 사무차장 (정치 담당) (1977–1990)
4
돈 매키넌
돈 매키넌뉴질랜드2000년 4월 1일2008년 3월 31일뉴질랜드 부총리 (1990–1996)
뉴질랜드 통상 장관 (1990–1996)
뉴질랜드 외무 장관 (1990–1999)
5
카말레시 샤르마
카말레시 샤르마 (Kamalesh Sharma)인도2008년 4월 1일2016년 3월 31일주국제 연합 인도 대사 (1997–2002)
영국 인도 고등 판무관 (2004–2008)
6
패트리샤 스코틀랜드
패트리샤 스코틀랜드 (Patricia Scotland)도미니카 연방
영국
2016년 4월 1일현직잉글랜드 웨일스 법무장관 (2007–2010)
영국 내각 외 장관 (내무부; 2003–2007)
영국 정무 차관 (대법관성; 2001–2003)
외무·영연방·개발부 차관 (1999–2001)
영국 귀족원 의원 (1997–현재)


3. 4. 기타 조직

런던 말버러 하우스, 영연방 사무국 본부


영연방 사무국(Commonwealth Secretariat)은 1965년에 설립된 영연방의 주요 정부 간 기구로, 회원 정부 간의 협의와 협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58] 사무국은 회원 정부에 책임을 지며, 런던의 말버러 하우스에 본부를 두고 있다. 영연방은 사무국을 통해 유엔 총회에서 유엔 총회 옵서버 지위를 갖는다. 사무국은 영연방 정부 수반 회의(CHOGM), 장관 회의, 협의 회의 및 기술 토론을 조직하고, 정책 개발 지원, 정책 자문 제공, 회원 정부 간 다자간 소통 촉진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또한, 각국 정부의 사회 및 경제 개발과 영연방의 기본적인 정치적 가치를 지원하기 위한 기술 지원을 제공한다.[59]

사무국은 영연방 정부 수반이 선출하는 영연방 사무총장이 이끌며, 임기는 4년이고 한 번 연임할 수 있다. 사무총장과 두 명의 부사무총장이 사무국의 각 부서를 관리한다. 현재 사무총장은 도미니카 출신의 패트리샤 스코틀랜드 남작부인으로, 2016년 4월 1일에 취임하여 인도 출신의 카말레시 샤르마(2008–2016)의 뒤를 이었다. 초대 사무총장은 캐나다 출신 아놀드 스미스(1965–1975)였고, 이후 가이아나 출신 시리다스 람팔 경(1975–1990), 나이지리아의 에메카 아냐오쿠(1990–1999) 추장, 뉴질랜드 출신 돈 매키넌(2000–2008)이 차례로 역임했다.[59]

영연방 국가들 사이에는 사무국 외에도 다양한 제도적 연계가 존재한다.

추밀원 사법위원회는 일부 영연방 국가의 최고 법원 역할을 한다.

  • 사법 연계: 추밀원 사법위원회(Judicial Committee of the Privy Council)는 쿡 제도니우에(뉴질랜드 왕국의 일부)를 포함한 14개 영연방 국가의 최고 법원 역할을 수행한다 (단, 뉴질랜드 본토는 해당되지 않음).[73] 또한, 영연방 국적자는 피지 고등법원 판사로 임명될 자격이 있으며, 이 법원은 다른 영연방 국가 판사들의 도움을 받기도 한다.[74][75]


1946년 일본에서 활동 중인 영국 연방 점령군 소속 인도 육군 제5 구르카 소총대 군인들

  • 군사 연계: 영연방 시민은 영국군에 복무할 자격이 있다. 영국 육군은 영연방 출신 군인을 중요한 전력으로 간주하고 있다.[76] 하지만 지원자가 많아 자리가 부족하여 수천 명의 영연방 지원자가 입대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77] 영연방 회원국이 아닌 네팔 출신의 구르카 병사들은 오랫동안 영국 및 영연방 군대와 함께 복무해왔다.[78] 이들은 현재도 영국 육군 (구르카 여단), 인도 육군 (고르카 연대), 브루나이 왕립군 (구르카 예비 부대), 싱가포르 경찰의 구르카 파견대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브루나이 구르카 예비 부대원의 대부분은 영국 육군 및 싱가포르 경찰 출신이다.[79][80]


영연방은 과거 대영 제국과 직접적인 헌법적 관계가 없었던 국가들도 회원국으로 받아들였다. 1995년 모잠비크는 첫 민주 선거 이후 영연방에 가입한 최초의 비(非)영국 식민지 출신 국가가 되었다. 모잠비크는 과거 포르투갈 식민지였다. 모잠비크의 가입은 에든버러 선언과 현재의 회원 자격 기준이 마련되기 전에 이루어졌다.[88] 2009년에는 르완다가 두 번째로 가입했다. 르완다는 과거 벨기에 위임 통치령이었고, 그 이전에는 독일령 동아프리카의 일부였다.[89] 2022년에는 과거 프랑스 위임 통치령이었던 토고와 프랑스 식민지였던 가봉이 영국 통치를 받은 적이 없음에도 영연방에 가입했다.[92] 가봉은 2023년 9월 군사 쿠데타 이후 영연방에서 부분적으로 자격이 정지되었으며, 영연방 각료 행동 그룹(Commonwealth Ministerial Action Group)은 가봉에 2년 내 새로운 선거를 치르도록 요구하며,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완전한 자격 정지를 고려하기로 했다.[51][52] 토고의 가입과 관련하여, 토고 외무부 장관 로베르 뒤세이는 영연방 회원 자격이 토고 국민들에게 영어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새로운 교육 및 문화 자원에 접근할 수 있게 할 것이며, 영어권과의 관계 강화를 모색한다고 밝혔다.[53]

=== 영연방 의장 ===

영연방 의장(Commonwealth Chair-in-Office)은 영연방 정부 수반 회의(CHOGM) 주최국의 정부 수반이 맡으며, 다음 회의까지 직책을 유지한다.

사진이름국가직책CHOGM취임퇴임사무총장
1
타보 음베키
타보 음베키남아프리카 공화국대통령1999년1999년 11월 12일2002년 3월 2일에메카 아냐오쿠
돈 매키넌
2
존 하워드
존 하워드오스트레일리아총리2002년2002년 3월 2일2003년 12월 5일
3
올루세군 오바산조
올루세군 오바산조나이지리아대통령2003년2003년 12월 5일2005년 11월 25일
4
로렌스 곤지
로렌스 곤지몰타총리2005년2005년 11월 25일2007년 11월 23일
5
요웨리 무세베니
요웨리 무세베니우간다대통령2007년2007년 11월 23일2009년 11월 27일
카말레시 샤르마
6
패트릭 매닝
패트릭 매닝[248]트리니다드 토바고총리2009년2009년 11월 27일2010년 5월 25일[248]
7
캄라 파사드 비세서
캄라 파사드 비세서[249](없음)[249]2010년 5월 26일[249]2011년 10월 28일
8
줄리아 길라드
줄리아 길라드오스트레일리아총리2011년2011년 10월 28일2013년 6월 27일
9
케빈 러드
케빈 러드(없음)2013년 6월 27일2013년 9월 18일
10
토니 애벗
토니 애벗(없음)2013년 9월 18일2013년 11월 15일
11
마힌다 라자팍사
마힌다 라자팍사스리랑카대통령2013년2013년 11월 15일2015년 1월 9일
12
마이트리팔라 시리세나
마이트리팔라 시리세나(없음)2015년 1월 9일2015년 11월 27일
13
조셉 무스카트
조셉 무스카트몰타총리2015년2015년 11월 27일2018년 4월 19일
패트리샤 스코틀랜드
14
테레사 메이
테레사 메이영국총리2018년2018년 4월 19일2019년 7월 24일
15
보리스 존슨
보리스 존슨(없음)2019년 7월 24일2022년 6월 24일
16
폴 카가메
폴 카가메르완다대통령2022년2022년 6월 24일현직


4. 회원국

1949년 런던 선언은 영국 국왕을 '영연방의 수장이며 자유로운 결합의 상징'으로 정의하며, 회원국이 영국 국왕에 대한 충성 서약 없이도 자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선언으로 영연방의 명칭도 '브리튼 국가 연방'(British Commonwealth of Nations영어)에서 '국가 연방'(Commonwealth of Nations영어)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1971년 싱가포르 선언에서는 영연방을 '국제적 이해와 세계 평화 증진, 인류 공동 이익을 위한 협력을 추구하는 독립 주권 국가들의 자발적인 연합체'로 규정하며 현대적 의미를 더욱 명확히 했다.

이에 따라 영연방 회원국은 다양한 정치 체제를 가지고 있다. 영국 국왕을 국가 원수로 하는 영연방 왕국 외에도, 자체적인 대통령을 국가 원수로 하는 공화국, 그리고 독자적인 군주를 국가 원수로 하는 나라들이 공존한다.

또한, 모잠비크(과거 포르투갈 식민지), 르완다(과거 벨기에 식민지), 가봉, 토고(과거 프랑스 식민지)와 같이 과거 영국의 식민지가 아니었던 국가들도 회원국으로 가입하면서, 영연방은 역사적 배경을 넘어선 협력체로 발전했다. 현재의 영연방은 국제법적 의미의 연방 국가와는 다른, 느슨한 형태의 국제 기구이다.

회원국 간에는 일반적인 대사 대신 고등 판무관을 교환하며, 대사관 대신 고등 판무관 사무소를 설치하는 독특한 외교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과거 각국의 국가 원수가 동일 인물(영국 국왕)이었던 역사에서 유래했으나, 영국 국왕을 원수로 하지 않는 국가에서도 전통적으로 이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4. 1. 회원국 목록

영연방 회원국의 정치적 지위에 따른 구분. 영연방 왕국은 파란색, 공화국은 분홍색, 자체 군주국을 가진 회원국은 녹색으로 표시됨


영연방은 모든 대륙에 걸쳐 56개 국가로 구성되어 있다[93] 회원국 중 33개국은 소국이며, 이 중 25개국은 소도서 개발도상국이다. 2023년 기준 영연방의 총인구는 25억 명이다[94] 영연방은 '제3세계' 또는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의 가장 큰 연합체 중 하나이다[95]

인구 14억 명의 인도는 영연방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국가이며, 약 12,000명의 인구를 가진 투발루는 가장 작은 회원국이다[94]

과거에는 회비를 미납한 국가를 "특별 회원국"이라 칭했으나, 영연방 회원 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미납 회원" 상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96] 현재 미납 회원은 없다. 가장 최근의 미납 회원이었던 나우루는 2011년 6월에 정회원 자격을 회복했다[97] 나우루는 재정 상황에 따라 영연방 가입 이후 특별 회원국과 정회원국 지위를 오갔다[98]

영연방 회원국은 다음과 같은 56개국이며, 이 중 15개국은 영연방 왕국이다.

4. 2. 회원 자격



영연방 회원 자격 요건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러 문서를 통해 발전해왔다. 초기 조직의 근간이 된 1931년 웨스트민스터 헌장은 회원 자격을 영국의 자치령으로 한정했다.[81] 그러나 1949년 런던 선언은 이러한 제한을 없애고, 공화국이나 자체 군주제를 가진 국가들도 조지 6세영연방 수장으로 인정한다면 회원국이 될 수 있도록 허용했다.[81]

1960년대 탈식민화 과정에서 기존의 헌법적 원칙에 더해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원칙들이 추가되었다. 1961년에는 인종 평등 존중이 회원 자격 요건으로 포함되었으며, 이는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유지하던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공화국 전환에 따른 재가입 신청을 철회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1971년 싱가포르 선언의 14개 조항은 모든 회원국이 세계 평화, 자유, 인권, 평등, 자유 무역 원칙을 지지하도록 명시했다.[141]

하지만 이러한 기준들은 약 20년간 실질적인 구속력을 갖기 어려웠다.[82] 1991년 하라레 선언은 탈식민화 완료, 냉전 종식,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종식이라는 시대적 변화에 맞춰 싱가포르 선언의 원칙들을 재확인하고 구체화했다.[83] 이 선언을 통해 원칙 적용을 위한 메커니즘이 마련되었고, 1995년 밀브룩 영연방 행동 프로그램은 영연방 장관 행동 그룹(CMAG)을 창설하여 하라레 선언에 따른 회원국의 자격 요건 충족 여부를 심사할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적용 방식을 더욱 명확히 했다.[84]

1995년에는 회원 자격 요건을 최종적으로 확정하고 성문화하기 위한 정부 간 그룹이 구성되었다. 이 그룹의 보고서는 1997년 에든버러 선언을 통해 채택되었으며, 향후 가입하는 모든 회원국은 "원칙적으로" 기존 회원국과 직접적인 헌법적 관계를 가져야 한다고 규정했다.[85]

이 새로운 규칙과 함께 기존의 규칙들이 하나의 문서로 통합되었다. 현재 회원 자격 요건은 다음과 같다.[85]

  • 하라레 선언의 원칙을 수용하고 준수할 것
  • 완전한 주권 국가일 것
  • 찰스 3세를 영연방 수장으로 인정할 것
  • 영어를 영연방의 소통 수단으로 받아들일 것
  • 영연방 회원 자격에 대한 자국민의 의사를 존중할 것


이러한 요건들은 지속적으로 검토되고 있으며, 영연방 회원 자격 위원회는 2007년 영연방 정부 수뇌 회의에서 잠재적 수정 사항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하기도 했다.[86] 2007년 회의에서는 신규 회원국 승인이 없었으나, 2009년 영연방 정부 수뇌 회의에서는 가입 신청이 고려되었다.[87]

신규 회원국은 "일반적으로" 기존 회원국과의 직접적인 헌법적 연계를 가져야 한다. 대부분의 회원국은 과거 영국의 식민지였으나, 일부는 다른 국가와 더 직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예: 방글라데시파키스탄, 사모아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와 호주, 싱가포르말레이시아). 1995년 모잠비크는 이러한 헌법적 연결 없이 가입한 첫 사례였으며, 이는 에든버러 선언과 현재의 회원 자격 지침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88]

2009년에는 과거 벨기에와 독일의 통치를 받았던 르완다가 가입했다.[89] 르완다의 가입은 영연방 사무국에 의해 "예외적인 상황"으로 간주되었다.[90] 영연방 인권 이니셔티브(CHRI)는 르완다의 거버넌스와 인권 상황이 영연방 기준에 미치지 못해 "가입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음에도 불구하고 가입이 승인되었다.[91] CHRI는 "이미 영연방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국가를 가입시키는 것은 영연방의 명성을 훼손하고, 민주주의와 인권에 대한 지도자들의 선언이 공허하다는 비판을 확증할 뿐이다"라고 지적했다.[91]

2022년에는 과거 프랑스 영토였던 토고가봉이 영연방에 가입했다.[92]

1997년 영연방 정부 수반들은 가입 신청 국가는 원칙적으로 기존 회원국과 헌법적 관계를 맺고 있어야 하며, 하라레 선언에 명시된 영연방의 가치, 원칙, 우선순위를 준수하고 영연방의 규범과 관례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합의했다.[100]

남수단의 정치인들은 영연방 가입에 관심을 표명한 바 있다.[101]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역시 잠재적 회원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으나, 공식적인 접근은 없었다.[102]

야히아 자메 대통령은 2013년 10월 감비아를 일방적으로 영연방에서 탈퇴시켰으나,[103] 2016년 감비아 대통령 선거에서 새로 선출된 아다마 바로우 대통령은 2018년 2월 감비아를 영연방에 복귀시켰다.[130]

완전한 독립을 이룰 경우, 현재 남아있는 영국 해외 영토, 왕령지, 호주 외부 영토, 뉴질랜드 연합국 등도 가입 자격을 얻을 수 있다.[104] 이들 중 다수는 이미 영연방 가족 기구를 통해 영연방 내에서 활동하고 있다.[105] 홍콩중화인민공화국의 일부가 되었지만, 영연방 변호사 협회, 영연방 의회 협회 등 일부 영연방 기구에는 계속 참여하고 있다.[138][139]

세 왕령지(저지, 건지, 맨 섬)는 현재의 지위에 만족하지 않고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저지 의회는 영국 외무장관에게 왕령지 및 유사한 자치 영토에 준회원 자격을 부여하는 방안을 영연방 정부 수반들에게 제안해달라고 요청했다.[106] 건지 의회와 맨 섬 정부 역시 영연방과의 보다 통합된 관계, 직접적인 대표성 강화, 영연방 기구 및 회의 참여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107][108] 맨 섬 행정수반은 "영연방 자체와의 더 긴밀한 관계는 섬의 국제 관계에 긍정적인 발전이 될 것이다"라고 언급했다.[109]

4. 3. 가입, 자격 정지, 탈퇴



=== 가입 자격 요건 ===

영연방 회원 자격 요건은 여러 문서를 거치며 점진적으로 발전했다. 초기 기준인 1931년 웨스트민스터 헌장은 회원 자격을 영국 자치령으로 제한했다. 그러나 1949년 런던 선언은 공화국이나 독자적인 군주제를 가진 국가도 영연방 수장으로서 조지 6세를 인정한다면 회원국이 될 수 있도록 허용했다.[81] 이 선언으로 인해 조직 명칭에서 '영국(British)'이라는 단어가 빠지게 되었다.[29]

1960년대 탈식민지화 과정에서 정치, 경제, 사회적 원칙들이 추가되었다. 1961년에는 인종 평등 존중이 회원 자격 요건으로 추가되었고, 이는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고수하던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공화국 전환 후 재가입 신청을 철회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1971년 싱가포르 선언은 모든 회원국이 세계 평화, 자유, 인권, 평등, 자유 무역 원칙에 헌신할 것을 명시했다.[141]

이러한 기준들은 1991년 하라레 선언을 통해 구체화되었으며, 탈식민지화 완료, 냉전 종식,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종식이라는 시대적 변화에 맞춰 싱가포르 원칙을 적용하도록 했다.[83] 1995년 밀브룩 영연방 행동 프로그램은 하라레 선언 준수 여부를 판단하는 영연방 각료 행동 그룹(CMAG)을 창설하여[84] 원칙 이행을 위한 실질적인 메커니즘을 마련했다. 같은 해, 모든 회원 자격 요건을 최종 확정하고 성문화하기 위한 정부 간 그룹이 구성되었고, 1997년 에든버러 선언에서 채택된 보고서는 신규 회원국이 원칙적으로 기존 회원국과 직접적인 헌법적 연계를 가져야 한다고 규정했다.[85]

현재의 통합된 가입 요건은 다음과 같다.[85]

  • 하라레 선언의 원칙 수용 및 준수
  • 완전한 주권 국가일 것
  • 찰스 3세영연방 수장으로 인정할 것
  • 영어를 영연방 소통 수단으로 받아들일 것
  • 영연방 회원 자격에 대한 해당 국가 국민의 의사를 존중할 것


'기존 회원국과의 직접적인 헌법적 연계' 요건은 일반적으로 과거 영국의 식민지였음을 의미하지만, 예외도 존재한다. 모잠비크(1995년 가입, 구 포르투갈 식민지)는 이러한 연계 없이 가입한 첫 사례였으며,[88] 이후 르완다(2009년 가입, 구 벨기에독일 통치 지역),[89] 가봉, 토고(2022년 가입, 구 프랑스 식민지)가[92] 가입했다. 특히 르완다의 가입은 영연방 인권 이니셔티브(CHRI)가 르완다의 인권 상황이 영연방 기준에 미달한다고 지적했음에도 불구하고[91] "예외적인 상황"으로[90] 승인되어 논란이 있었다.

=== 가입 신청 및 잠재적 회원국 ===

1997년 영연방 정부 수반들은 가입 신청 국가는 원칙적으로 기존 회원국과 헌법적 관계를 맺고 있어야 하며, 하라레 선언의 가치와 원칙을 준수하고 영연방 규범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합의했다.[100]

남수단의 정치인들은 영연방 가입에 관심을 표명한 바 있다.[101] 이스라엘팔레스타인도 잠재적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으나 공식적인 접근은 없었다.[102]

소말릴란드, 수단, 수리남, 부룬디 등도 과거 가입을 신청한 바 있다. 짐바브웨는 탈퇴 후 2018년 재가입을 신청했다.

영국의 영국 해외 영토, 왕령지, 호주의 호주 외부 영토, 뉴질랜드의 뉴질랜드 연합국 등은 완전한 독립을 이룰 경우 가입 자격을 얻을 수 있다.[104] 이들 중 다수는 이미 영연방 가족 기구를 통해 영연방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105] 왕령지(저지, 건지, 맨섬)는 현재의 지위에 만족하지 않고 영연방과의 더 긴밀한 관계(준회원 자격 등)를 모색하고 있다.[106][107][108][109]

홍콩은 1997년 주권 이양으로 영연방 회원국 지위를 상실했지만, 영연방 변호사 협회, 영연방 의회 협회, 영연방 대학교 협회, 영연방 전쟁 묘지 위원회(CWGC) 등 일부 영연방 기구에는 계속 참여하고 있다.[138][139]

=== 자격 정지 ===

짐바브웨로버트 무가베(사진)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민주주의 및 인권 문제로 영연방으로부터 자격이 정지되었고, 이후 탈퇴했다. 무가베 실각 후 재가입을 신청했다.


회원국은 하라레 선언의 원칙, 특히 민주 정부 수립 책임을 "심각하거나 지속적으로 위반"할 경우 영연방 협의체로부터 자격이 정지될 수 있다.[110] 자격 정지 결정은 영연방 각료 행동 그룹(CMAG)에서 내린다. 자격이 정지된 국가는 영연방 정상회의나 각료회의에 대표를 파견할 수 없지만 회원국 지위는 유지된다.

=== 탈퇴 및 재가입 ===

영연방 회원 자격은 전적으로 자발적이므로, 회원국 정부는 언제든지 탈퇴할 수 있다.

공식적으로 영연방에서 추방된 국가는 없다.

=== 해산 및 지위 변경 회원국 ===

일부 회원국은 다른 국가와 통합되거나 지위가 변경되어 영연방 회원국으로서의 역사가 종료되었다.

5. 정치

영연방 회원국들은 영국의 군주를 국가 원수로 하는 영국 연방 왕국, 대통령을 원수로 하는 공화국, 또는 자체적인 국왕을 두는 등 다양한 정치 체제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역사적 공통점으로 인해 많은 회원국이 영국의 웨스트민스터 시스템에 기반한 의원 내각제와 코먼 로(영미법)에 기반한 법률 시스템을 공유하는 경향이 있다.

영연방은 민주주의, 인권, 법치주의 증진을 핵심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는 여러 선언과 영연방 헌장을 통해 강조되어 왔다. 이러한 가치를 공유하고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영연방 의회 협회, 영연방 지방 정부 포럼(CLGF) 등 다양한 기구가 활동하고 있다. 또한, 일부 회원국의 최고 법원 역할을 하는 추밀원 사법위원회와 같은 사법적 연결고리도 존재한다.

그러나 영연방은 회원국들의 민주주의 및 인권 규범 준수 문제와 관련하여 지속적인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 일부 회원국의 정치적 불안정, 독재, 부패 문제 등은 영연방의 이상과 현실 사이의 간극을 보여주는 사례로 지적되기도 한다.

5. 1. 목표 및 활동

영연방의 목표는 1971년 싱가포르 선언에서 처음 제시되었다. 이 선언은 영연방이 세계 평화 확립, 대의 민주주의와 개인의 자유 증진, 평등 추구 및 인종차별 반대, 빈곤·무지·질병과의 투쟁, 그리고 자유 무역에 헌신할 것을 명시했다.[140] 이후 1979년 루사카 선언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별 반대가 추가되었고,[141] 1989년 랑카위 선언에서는 환경 지속 가능성이 목표에 포함되었다.[142] 이러한 목표들은 1991년 하라레 선언을 통해 더욱 강화되었다.[143]

현재 영연방의 최우선 목표는 2003년 아소 록 선언(Aso Rock)에 명시된 대로 민주주의와 발전을 증진하는 것이다. 이 선언은 싱가포르와 하라레 선언의 내용을 바탕으로 그 적용 범위를 명확히 하며, "우리는 민주주의, 굿 거버넌스, 인권, 양성 평등, 그리고 세계화의 혜택을 보다 공정하게 공유하는 데 전념한다"고 밝혔다.[144][145] 영연방 웹사이트는 주요 활동 분야로 민주주의, 경제, 교육, 성별, 거버넌스, 인권, 법, 소국, 스포츠, 지속 가능성, 청소년 등을 열거하고 있다.[146]

그러나 영연방은 핵심 가치 이행과 관련하여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다. 2010년 10월에는 사무총장이 직원들에게 인권 문제에 대해 발언하지 말라고 지시한 내부 메모가 유출되어 논란이 되었다.[147] 2011년 영연방 정부 수반 회의에서는 영연방 저명인사 그룹(EPG) 패널의 보고서가 검토되었다. 이 보고서는 영연방이 인권이나 민주주의 규범을 위반하는 회원국을 효과적으로 제재할 메커니즘이 부족하여 그 중요성이 약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150] EPG는 영연방 헌장 채택, 인권 침해 및 정치적 탄압 문제를 다룰 새로운 위원 임명, 41개 영연방 국가의 동성애 관련 법률 철폐 및 강제 결혼 금지 등 106개의 긴급 권고 사항을 제시했다.[148][149] EPG 위원이었던 전 영국 외무장관 말콤 리프킨드는 보고서 발표나 개혁 권고안 수용 실패를 "수치"라고 비판하며, 영연방의 목적과 관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경고했다.[149]

결과적으로 EPG의 권고 사항 중 상당수는 즉각적으로 이행되지 않았고, 연구 그룹으로 넘겨지거나 장기 과제로 미뤄졌다. 권고된 인권 위원 직책은 신설되지 않았으며, 대신 장관급 관리 그룹에 관련 권한이 부여되었다. 다만, 원칙 준수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결정 없이 영연방 가치 헌장을 개발하기로 합의했다.[150]

이에 따라 2013년 3월 11일,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말보로 하우스에서 서명한 새로운 영연방 헌장이 채택되었다. 이 헌장은 "성별, 인종, 피부색, 신조, 정치적 신념 또는 기타 근거에 기반한 모든 형태의 차별"에 반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151][152]

영연방 재단은 영연방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고 보고하며, 영연방의 가치와 우선순위에 따라 운영되는 정부 간 기구이다. 이 기구의 임무는 영연방의 우선순위인 민주주의와 좋은 통치, 인권 존중 및 양성 평등, 빈곤 퇴치, 인간 중심적이고 지속 가능한 개발을 달성하고 예술과 문화를 증진하는 데 있어 시민 사회를 강화하는 것이다.[176]

이 재단은 1965년 정부 수반에 의해 설립되었다. 가입은 영연방의 모든 회원국에 열려 있으며, 2008년 12월에는 53개 회원국 중 46개국이 가입했다. 회원 정부의 관련 국가 또는 해외 영토에 열려 있는 준회원 자격은 지브롤터에 부여되었다. 2005년에는 재단 설립 40주년을 기념했다. 재단은 말보로 하우스, 런던 팰 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사무국과 재단 간에는 정기적인 연락 및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재단은 양해 각서에 명시된 대로 설립된 광범위한 목적을 계속 수행하고 있다.[176]

영연방 학습 기구(COL)는 정부 수반들이 개방형 학습/원격 교육 지식, 자원 및 기술의 개발 및 공유를 장려하기 위해 설립한 정부 간 기구이다. COL은 개발도상국이 양질의 교육 및 훈련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도록 돕고 있다.[184]

5. 2. 정치 체제

영연방 회원국들은 다양한 정치 체제를 가지고 있다. 일부 국가는 영국의 군주를 국가 원수로 하는 영국 연방 왕국이며, 다른 국가들은 대통령을 원수로 하는 공화국이거나 자체적인 국왕을 원수로 한다.

영연방 회원국의 정치 체제 분류 (예시)
원수 형태해당 국가 (일부 예시)
영국의 군주 (찰스 3세)영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 (영국 연방 왕국)
대통령 (공화국)파키스탄, 가나, 키프로스, 케냐, 나이지리아, 스리랑카
자체 국왕말레이시아, 레소토



영연방은 헌법상의 역사적 공통점으로 인해 대부분의 국가들이 외관상 유사한 법적, 정치적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많은 회원국들이 양원제를 갖춘 웨스트민스터 시스템의 의원 내각제 민주주의를 채택하고 있으며, 영국법을 모델로 한 관습법을 사용한다.[209] 영연방 의회 협회는 영연방 전역의 입법부 간 협력을 촉진하고, 영연방 지방 정부 포럼(CLGF)은 지방 정부 관리들 사이에서 좋은 거버넌스를 증진한다.[209][185] CLGF는 국가 및 지방 정부와 협력하여 민주주의 가치와 우수한 지방 정부의 발전을 지원하며, 영연방 정부 수반에 의해 영연방 내 지방 정부를 대표하는 공식적인 관련 조직으로 인정받고 있다.[185] CLGF는 지방 정부 협회, 개별 지방 자치 단체, 관련 부처, 연구 및 전문 기관 등을 회원으로 하며, 실무자 간의 지원을 핵심 업무로 삼는다.[186]

국회의사당, 뉴델리, 인도. 영연방 헌장은 영연방의 민주주의 헌신을 명시하고 있으며, 많은 영연방 국가들이 웨스트민스터 시스템을 사용한다.


2022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즉위 70주년을 기념하는 기념 봉화 점등식, 웰링턴, 뉴질랜드


그러나 영연방은 핵심 가치인 인권민주주의를 제대로 실현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해 왔다. 2010년에는 사무총장이 직원들에게 인권 문제에 대해 발언하지 말라고 지시한 메모가 유출되어 논란이 되었다.[147] 2011년 영연방 정부 수반 회의에서는 영연방 저명인사 그룹(EPG)의 보고서가 논의되었는데, 이 보고서는 영연방이 인권이나 민주주의 규범을 위반하는 회원국을 제재할 메커니즘이 부족하여 영향력이 약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150] EPG는 영연방 헌장 채택, 인권 침해 및 정치 탄압 감시를 위한 위원 임명, 41개국의 동성애 관련 법률 철폐, 강제 결혼 금지 등 106개의 긴급 권고 사항을 제시했다.[148][149] EPG 위원이었던 말콤 리프킨드 전 영국 외무장관은 보고서 발표 실패와 권고안 수용 실패를 "수치"라고 비판하며 영연방의 목적과 관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경고했다.[149]

결국 EPG의 권고 사항 중 상당수는 즉각적인 조치 없이 연구 그룹으로 넘겨졌으며, 권고된 인권 위원 직책은 신설되지 않았다. 대신 인권 침해 혐의가 있는 국가들을 포함한 장관급 관리 그룹에 시행 권한을 부여하기로 합의했으며, 원칙 준수 방안에 대한 결정 없이 영연방 가치 헌장을 개발하기로 했다.[150] 그 결과 2013년 3월 11일, 엘리자베스 2세가 서명한 새로운 영연방 헌장이 발표되었다. 이 헌장은 "성별, 인종, 피부색, 신조, 정치적 신념 또는 기타 근거에 기반한 모든 형태의 차별"에 반대한다고 명시하고 있다.[151][152]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파키스탄, 스리랑카, 방글라데시, 피지, 감비아, 그레나다, 나이지리아, 말라위, 짐바브웨, 탄자니아, 시에라리온, 우간다 등 여러 회원국들은 일당 독재, 문민 또는 군사 독재, 파괴적인 내전을 경험했으며, 많은 국가들이 여전히 만연한 부패와 열악한 거버넌스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영연방 지도부는 2022년 르완다 키갈리에서 열린 영연방 정부 수반 회의에서 인권 기록이 좋지 않은 가봉을 회원국으로 받아들여 비판을 받았다. 가봉은 2023년 쿠데타로 축출되기 전까지 56년 동안 봉고 가문에 의해 통치되었다.[208] 2003년에 채택된 래티머 하우스 원칙은 권력 분립을 강조하고 있으나, 실제 회원국들의 상황은 이러한 이상과 거리가 있는 경우가 많다.

5. 3. 법률 시스템



영연방은 헌법상의 역사적 공통점으로 인해, 대부분의 회원국들이 외관상 유사한 법적, 정치적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많은 국가들이 영국의 코먼 로(영미법)를 법체계의 기반으로 삼고 있다. 다만, 코먼 로는 토착 관습을 중요하게 여기는 법체계이기도 하므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처럼 영국 통치 이전에 대륙법의 영향을 받은 지역에서는 대륙법 또는 대륙법적 요소가 혼합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정치 제도 면에서는 웨스트민스터 시스템에 기반한 의원 내각제 민주주의를 채택한 국가가 다수이다. 영연방 의회 협회는 영연방 전역의 입법부 간 협력을 촉진하며, 영연방 지방 정부 포럼은 지방 정부 관리들 사이에서 좋은 거버넌스 증진을 목표로 한다.[209] 2003년에 채택된 래티머 하우스 원칙은 권력 분립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영연방은 회원국들에게 인권 존중과 법치주의를 요구하며, 이를 심각하게 위반할 경우 회원 자격이 정지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키스탄, 스리랑카, 방글라데시, 피지, 감비아, 그레나다, 나이지리아, 말라위, 짐바브웨, 탄자니아, 시에라리온, 우간다 등 여러 국가들이 일당 독재, 문민 또는 군사 독재, 파괴적인 내전을 경험했다. 또한 많은 국가들이 여전히 만연한 부패와 거버넌스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영연방 지도부는 2022년 르완다 키갈리에서 열린 영연방 정부 수반 회의에서 인권 기록이 좋지 않은 가봉을 회원국으로 받아들여 비판을 받기도 했다. 가봉은 2023년 쿠데타로 축출되기 전까지 56년간 부패한 봉고 가문에 의해 통치되었다.[208]

사법 시스템과 관련하여, 추밀원 사법위원회는 쿡 제도니우에(두 국가는 뉴질랜드 왕국 소속이지만, 뉴질랜드 자체는 추밀원에 상고하지 않음)를 포함한 14개 영연방 국가의 최고 법원 역할을 수행한다.[73] 또한, 영연방 국적자는 피지 고등법원의 판사로 임명될 자격이 있으며, 피지 고등법원은 다른 영연방 국가 판사들의 도움을 받고 있다.[74][75]

국제사법재판소(ICJ)의 선택조항수락선언에는 "영연방 유보" 조항이 존재한다. 2014년 기준으로 바베이도스, 캐나다, 인도, 케냐, 몰타, 모리셔스, 영국, 감비아 등 8개국이 이 유보 조항을 채택하고 있다. 이 유보 조항을 선언한 국가는 다른 영연방 국가로부터 제소될 경우, 해당 분쟁을 국제사법재판소의 관할권 밖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인도는 이 조항을 통해 파키스탄으로부터의 제소를 피한 사례가 있다.[253]

6. 경제

2019년 기준, 영연방 회원국들의 총 국내총생산(GDP)은 9조달러를 넘어섰으며, 이 중 78%는 4개의 주요 경제 대국인 인도( 3.737조달러), 영국( 3.124조달러), 캐나다( 1.652조달러), 호주( 1.379조달러)가 차지했다.[99]

아래는 2012년 기준 영연방 국가들의 경제 지표이다.

{| class="wikitable"

! 영연방 국가의 경제 (2012년)

|-

|

회원국명목 GDP (미국 달러)GDP (PPP, 미국 달러)영연방 왕국?
백만[153]1인당[154]백만[155]1인당[156]
앤티가 바부다1,17612,4801,77818,492
호주1,520,60861,7891,008,54741,974
바하마8,14922,43111,76531,978
방글라데시115,610743291,2991,777아니요
바베이도스3,68513,453아니요
벨리즈1,4484,0592,3816,672
보츠와나14,4118,53334,03814,746아니요
브루나이16,95440,30121,99251,760아니요
카메룬24,9841,26050,8202,359아니요
캐나다1,821,42450,3441,489,16540,420
키프로스22,98130,67026,72032,254아니요
도미니카 연방4807,15490613,288아니요
가나40,7101,57051,9431,871아니요
그레나다7907,7801,14210,837
가이아나2,8513,4082,704아니요
인도3,732,2242,17111,468,0227,874아니요
자메이카14,8405,335
케냐37,22980876,0161,710아니요
키리바시1761,6492482,337아니요
레소토2,4481,1064,0271,691아니요
말라위4,26436514,344893아니요
말레이시아303,5269,977501,24916,051아니요
몰디브2,2226,4053,0708,871아니요
몰타8,72221,38012,13827,504아니요
모리셔스10,4928,75520,21014,420아니요
모잠비크14,58853325,805975아니요
나미비아12,8075,38316,9186,801아니요
나우루아니요
뉴질랜드139,76836,254139,64031,082
나이지리아262,6061,502449,2892,533아니요
파키스탄231,1821,189517,8732,745아니요
파푸아뉴기니15,6541,84520,7712,676
르완다7,1038,87415,5171,282아니요
세인트키츠 네비스74813,14496617,226
세인트루시아1,1867,1542,01611,597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7136,2911,20210,715
사모아6773,4858534,475아니요
세이셸1,03212,3212,37125,788아니요
시에라리온3,7964968,1251,131아니요
싱가포르274,70146,241328,32360,688아니요
솔로몬 제도1,0081,5171,7182,923
남아프리카 공화국384,3138,070585,62510,960아니요
스리랑카59,4212,835126,9935,582아니요
에스와티니3,7473,8316,4586,053아니요
탄자니아28,24953274,2691,512아니요
통가4724,1525274,886아니요
트리니다드 토바고23,98616,69935,63825,074아니요
투발루373,636
우간다19,88148749,1301,345아니요
영국3,124,650[157]38,9743,174,92135,598
바누아투7853,0941,1394,379아니요
잠비아20,6781,42524,0961,621아니요



|}

영연방은 다자간 무역 협정을 맺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로열 영연방 협회의 연구에 따르면, 영연방 회원국 간의 무역 규모는 비회원국과의 무역보다 평균적으로 50% 더 크며, 특히 규모가 작거나 상대적으로 부유하지 않은 국가일수록 영연방 내에서 무역을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66] 2005년 몰타에서 열린 영연방 정상회의(CHOGM)에서는 회원국 정부 수반들이 영연방 회원국 간의 양자 간 자유 무역을 증진하는 데 합의하기도 했다.[167]

브렉시트(영국의 유럽 연합 탈퇴) 이후, 영국 내 일부에서는 영연방을 유럽 연합 회원국 지위에 대한 대안으로 여기는 시각이 제기되었다.[169] 하지만 이러한 구상이 유럽 연합 탈퇴로 인한 경제적 영향을 상쇄할 만큼 충분한 이익을 제공할 수 있을지, 또는 다른 영연방 회원국들이 이를 받아들일지는 불확실하다는 지적이 있다.[170] 유럽 연합은 이미 인도캐나다와 같은 다수의 영연방 국가들과 자유 무역 협정(FTA) 체결을 추진해왔으나, EU 전체의 승인을 얻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예를 들어 캐나다와의 협정 체결에는 거의 10년이 소요되었다.[171][172]

2021년 12월 17일, 브렉시트 이후 영국은 호주와 호주-영국 자유 무역 협정을 체결했다. 이 협정은 비준을 거쳐 발효되었으며, 양국 간 관세 철폐와 인적 교류 확대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173][174]

7. 문화

영연방 국가들은 과거 대영 제국의 일부였던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문화적으로 많은 공통점을 공유한다. 영국의 영향은 언어(주로 영어), 법률, 정치 체제, 교육 시스템 등 사회 전반에 걸쳐 나타나며, 이는 영연방을 하나로 묶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187][188]

특히 스포츠문학은 영연방 국가들의 문화적 교류와 정체성 형성에 큰 역할을 한다. 크리켓, 럭비 등 영국에서 유래한 스포츠가 널리 퍼져 있으며, 4년마다 열리는 코먼웰스 게임은 회원국 간의 우호를 다지는 중요한 행사이다. 또한, 영연방 출신 작가들은 영어로 쓰인 풍부한 문학 작품들을 통해 세계 문학에 기여해왔으며, 이를 영연방 문학이라 부르기도 한다.[197][198]

이러한 문화적 유산은 각 회원국의 고유한 문화와 결합하여 다양하면서도 공통된 정체성을 형성하는 기반이 된다. 영연방 내에서는 영연방의 날과 같은 공통의 기념일이 있으며,[189][190] 영어는 중요한 소통 수단이자 회원국 간의 유대를 상징하는 요소로 기능한다.

7. 1. 공통 문화

영연방 국가들은 영국의 역사적 영향으로 인해 영어, 스포츠, 법률 시스템, 교육, 정부 등 여러 측면에서 공통된 문화를 공유한다.[187][188] 이러한 공통점은 영국으로부터 물려받은 영연방의 역사적 유산에 기인한다.

영연방을 상징하는 요소로는 영연방 기와 영연방의 날이 있으며, 현충일은 영연방 전역에서 기념된다.[189][190] 일부 영연방 국가에서는 가이 포크스 데이 축제가 열리기도 한다.[191]

영어는 회원국들의 공통 유산이자 영연방의 상징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영연방 내 주요 소통 수단으로서 회원 가입의 필수 조건 중 하나이다. 영연방의 기는 영연방 사무국의 상징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어두운 파란색 바탕에 금색 지구본과 그 주위를 둘러싼 광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기는 1973년 두 번째 CHOGM을 위해 디자인되었고, 1976년 3월 26일에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같은 해, 기존의 제국 기념일과는 별개로 매년 3월 두 번째 월요일을 영연방의 날로 지정하여 기념하기로 결정했다.[210]

2009년 영연방 창립 60주년을 기념하여, 영연방 사무국은 폴 캐롤에게 "영연방 찬가" 작곡을 의뢰했다. 찬가의 가사는 1948년 세계 인권 선언에서 가져왔다.[211] 영연방은 영연방 청소년 관현악단이 연주한 찬가를 공식적으로 발표했다.[212][213]

문화적으로 영국 본국의 영향은 식문화에서도 나타나는데, 홍차를 마시는 습관 등이 영연방 국가들 사이에 퍼져 정착된 사례가 있다. 또한, 영어가 국민 다수의 모국어이거나 다양한 모국어를 가진 국민들의 공용어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 사용되는 영어의 철자나 용법은 영국 영어와 공통되는 경우가 많다.

스포츠 분야에서는 럭비, 크리켓, 폴로, 모터 스포츠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나라가 많다. 1930년부터는 4년마다 회원국 간의 종합 스포츠 대회인 코먼웰스 게임이 열리고 있다.

7. 2. 스포츠

2006년 코먼웰스 게임에서 열린 럭비 세븐스 경기로, 코먼웰스 게임은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멀티 스포츠 행사이며,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스포츠와 영연방 고유의 스포츠를 함께 개최한다.


코먼웰스 게임은 4년마다 열리는 멀티 스포츠 대회이다. 2018년 코먼웰스 게임은 오스트레일리아 골드 코스트에서, 2022년 코먼웰스 게임버밍엄에서 개최되었으며, 2026년 코먼웰스 게임글래스고에서 열릴 예정이다. 이 대회는 하계 올림픽처럼 일반적인 육상 종목 외에도 볼링, 넷볼, 럭비 세븐스와 같이 영연방 국가들에서 특히 인기 있는 스포츠 종목을 포함한다. 1930년 '제국 게임'(Empire Games)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이 대회는 아마추어리즘이라는 올림픽 모델을 바탕으로 했지만, 영연방 국가 간의 관계를 증진하고 공유된 스포츠 및 문화 유산을 기념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우정의 게임"으로 설계되었다.[177]

코먼웰스 게임은 영연방의 활동 중 가장 눈에 띄는 행사이며,[177] 게임이 열릴 때마다 영연방 운영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진다.[179] 그러나 게임과 스포츠가 영연방의 정치적 문제에 관여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도 있다.[178] 1977년 글리니글스 협정은 영연방 국가들이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펴던 남아프리카 공화국(당시 회원국 아님)과의 스포츠 교류를 중단함으로써 인종 차별에 맞서 싸울 것을 약속한 협정이다. 반면, 1986년 코먼웰스 게임은 일부 국가들이 글리니글스 협정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는 것에 항의하여 대부분의 아프리카, 아시아, 카리브해 국가들이 불참(보이콧)하기도 했다.[180]

코먼웰스 유스 게임은 코먼웰스 게임의 청소년 버전으로, 14세에서 18세 사이의 젊은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다. 첫 대회는 2000년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열렸다. 가장 최근 대회는 2023년 트리니다드 토바고에서 개최되었다.

르완다 키갈리에 있는 르완다 크리켓 스타디움. 과거 대영제국에 속하지 않았던 르완다에서 크리켓의 인기가 높아진 것은 영연방 회원국 자격과 관련이 있다.


많은 영연방 국가들은 크리켓, 축구, 럭비, 필드 하키, 넷볼과 같이 영국 문화에 뿌리를 둔 스포츠를 공유한다. 이러한 스포츠는 영국의 통치 또는 영향 아래 발전했다. 특히 럭비 유니온, 크리켓, 넷볼, 필드 하키에서는 영국, 호주,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간의 유대가 강하며, 럭비 리그에서는 호주, 크리켓과 넷볼에서는 카리브해 국가들, 크리켓과 하키에서는 인도 아대륙 국가들과의 관계가 끈끈하다. 반면, 캐나다야구, 농구, 아이스 하키, 캐나다식 축구 등 북미 스포츠가 주를 이루지만, 전통적인 영연방 스포츠에서도 작지만 열정적인 커뮤니티를 유지하며 각 종목의 월드컵에 진출하기도 했다. 캐나다는 1930년 해밀턴에서 첫 코먼웰스 게임을 개최한 나라이기도 하다.[192]

이러한 공통된 스포츠 기반은 주요 스포츠 국가들 사이에 우호적인 경쟁 관계를 발전시켰고, 이는 종종 국가 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요소가 되었다. 특히 인도, 호주, 뉴질랜드의 경우, 스포츠(크리켓, 럭비 리그, 럭비 유니온)가 국가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러한 경쟁 관계는 대영제국이 영연방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도 국제 관계에서 변함없는 요소로 작용하며 긴밀한 유대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193] 외부적으로 볼 때, 이러한 스포츠를 즐기는 것은 특정 영연방 문화를 공유한다는 신호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르완다 학교에서 크리켓을 채택한 것은 르완다가 영연방 회원국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상징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194][195] 실제로 르완다의 영연방 회원 자격은 고아원, 학교, 대학교, 크리켓 클럽 등에서 남녀 모두 크리켓을 즐기게 되면서 이 스포츠의 대중화에 기여했다.[196]

코먼웰스 게임은 이러한 스포츠적 유대를 가장 잘 보여주는 행사로, 4년마다 올림픽 주기의 중간 해에 개최되며 청소년 버전도 함께 열린다. 대회에는 육상, 수영, 체조, 역도, 복싱, 필드 하키, 사이클링과 같은 일반적인 종목뿐만 아니라, 넷볼, 스쿼시, 잔디 볼처럼 영연방에서 특히 인기가 많아 이 대회에서만 볼 수 있는 스포츠도 포함된다. 또한 코먼웰스 게임은 올림픽보다 더 공공연하게 정치적인 성격을 띠며, 영연방의 가치를 증진하는 데 기여한다. 역사적으로 공동의 군사적 노력을 기념하고 장려했으며, 패럴림픽과 장애인 스포츠를 완전히 통합했다. 또한 코먼웰스 게임 연맹은 많은 영연방 국가에서 동성애가 여전히 불법임에도 불구하고 LGBT 권리를 공개적으로 지지해 왔다.

7. 3. 문학

우간다계 영국 소설가 제니퍼 난수부가 마쿰비는 2014년 영연방 단편 소설상을 수상했다.


남아프리카 작가 올리브 슈라이너


영국의 영향력이라는 공통된 역사는 다양한 언어로 쓰인 상당한 양의 문학 작품을 탄생시켰으며, 이를 영연방 문학이라고 부른다.[197][198] 영연방 문학 및 언어 연구 협회(ACLALS)는 전 세계에 11개 지부를 두고 있으며, 3년마다 국제 회의를 개최한다.[199]

1987년, 영연방 재단은 "새로운 영연방 소설의 등장을 장려하고 보상하며, 가치 있는 작품이 출신 국가를 넘어 더 많은 독자에게 닿도록 보장"하기 위해 매년 영연방 작가상을 제정했다. 이 상은 영연방 최고의 책과 최고의 데뷔작, 그리고 각 4개 지역 최고의 책과 최고의 데뷔작에 수여되었다. 비록 영연방과 공식적인 관련은 없지만, 권위 있는 연례 부커상(Man Booker Prize)은 문학계에서 가장 높은 영예 중 하나로 여겨진다.[200] 과거에는 아일랜드짐바브웨와 같은 영연방 국가 또는 이전 회원국의 작가에게만 수여되었으나, 2014년부터는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영국 내 정식 출판사에서 소설을 출판한 작가라면 국적에 관계없이 수상 자격을 갖게 되었다.[201] 현재 영연방 재단은 매년 영연방 단편 소설상을 수여하고 있다.[202]

1950년 이전, 당시 대영 제국 내에서도 몇몇 중요한 영어 문학 작품이 등장했다. 남아프리카 작가 올리브 슈라이너의 유명한 소설 ''아프리카 농장의 이야기''는 1883년에 출판되었고, 뉴질랜드 출신 캐서린 맨스필드는 1911년에 첫 단편 소설집 ''독일 숙소에서''를 발표했다. 인도 아대륙 출신의 첫 주요 소설가인 R. K. 나라얀은 영국 소설가 그레이엄 그린의 격려에 힘입어 1930년대 영국에서 작품을 출판하기 시작했다.[203] 카리브해 작가 진 리스는 1928년부터 작가 활동을 시작했지만, 그녀의 가장 유명한 작품인 ''광막한 사르가소 바다''는 1966년에 출판되었다. 남아프리카의 앨런 페이턴의 유명한 소설 ''울어라, 사랑하는 조국이여''는 1948년에 나왔다. 현재의 짐바브웨남로디지아 출신의 도리스 레싱은 1950년부터 꾸준히 작품을 발표하며 20세기 영국 문학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며, 2007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204]

1950년 이후, 영연방 국가 출신의 많은 작가들이 국제적인 명성을 얻기 시작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영국으로 이주하기도 했다. 살만 루슈디는 이전 영국의 식민지 출신으로 영국에 정착한 대표적인 2차 세계 대전 이후 작가이다. 그는 ''한밤의 아이들''(1981)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그의 소설 ''사탄의 시''(1989)는 무함마드의 삶에서 일부 영감을 받아 논란이 되기도 했다. 트리니다드에서 태어난 V. S. 나이폴(1932년 출생) 역시 이민자 작가로, ''강의 만곡''(1979) 등 다수의 작품을 남겼다. 나이폴은 2001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205]

이 외에도 많은 영연방 작가들이 영문학 작품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나이지리아 소설가 치누아 아체베와 극작가 월레 쇼잉카가 대표적이다. 쇼잉카는 1986년에, 남아프리카 소설가 나딘 고디머는 1991년에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다른 남아프리카 영어 작가로는 소설가 J. M. 쿳시 (2003년 노벨상 수상)와 극작가 애솔 푸가드가 있다. 케냐에서 가장 국제적으로 알려진 작가는 소설, 희곡, 단편 소설 등 다양한 장르에서 영어로 글을 쓴 응구기 와 시옹오이다. 카리브해의 세인트루시아 출신 시인 데릭 월컷은 1992년에 노벨상을 받았다. 호주의 주요 소설가 패트릭 화이트는 1939년에 첫 작품을 발표했으며 1973년 노벨상을 수상했다. 이 시기 후반의 다른 주목할 만한 호주 작가로는 시인 레스 머리와 소설가 피터 케리가 있으며, 케리는 부커상을 두 번 수상한 네 명의 작가 중 한 명이다.[206]

''The Journal of Commonwealth Literature'', ''옥스퍼드 대학교 영연방 법학 저널'', ''The Journal of Imperial and Commonwealth History'', ''The Round Table'' 등 다수의 학술 저널이 영연방 관련 연구를 다루고 있다. 영연방 자체에 대한 저서로는 인도의 외교관이자 전 영연방 부 사무총장인 크리슈난 스리니바산의 ''영연방의 부상, 쇠퇴 및 미래''(The Rise, Decline and Future of the British Commonwealtheng, 2005)가 있다.[207]

참조

[1] 웹사이트 Commonwealth Charter http://thecommonweal[...] 2013-06-06
[2] 웹사이트 Annex B – Territories Forming Part of the Commonwealth http://www.civilserv[...] Her Majesty's Civil Service 2011-09
[3] 뉴스 BBC News – Profile: The Commonwealth http://news.bbc.co.u[...] 2012-02
[4] 웹사이트 About Us https://thecommonwea[...] The Commonwealth
[5] 웹사이트 The Commonwealth http://www.thecommon[...] The Commonwealth
[6] 웹사이트 Commonwealth Family http://www.thecommon[...] Commonwealth Secretariat
[7] 서적 The rise, decline, and future of the British Commonwealth Palgrave Macmillan 2008
[8] 웹사이트 Imperial Conference 1926 Inter-Imperial Relations Committee Report, Proceedings and Memoranda https://www.founding[...] 1926-11
[9] 웹사이트 The London Declaration http://www.thecommon[...] The Commonwealth
[10] 웹사이트 The Commonwealth https://www.victoria[...] 2019-05-21
[11] 웹사이트 Commonwealth Charter https://thecommonwea[...] The Commonwealth
[12] 비디오 Queen Elizabeth's 1959 Dominion Day Message http://www.cbc.ca/ar[...] CBC 1959-07-01
[13] 웹사이트 Liberal History https://liberalhisto[...]
[14] 웹사이트 History – Though the modern Commonwealth is just 60 years old, the idea took root in the 19th century http://www.thecommon[...] Commonwealth Secretariat
[15] 간행물 Seminars for statesmen': the evolution of the Commonwealth summit 2004-09
[16] 간행물 The Colonial and Imperial Conferences, 1887-1911: A Study in Imperial Organization https://academic.oup[...] Longmans
[17] 웹사이트 Commonwealth Heads Of Government Meeting 2018 - Civil Service https://civilservice[...] 2018-03-12
[18] 문서 Jan Smuts: A Biography 2005
[19] 문서 Oath of Allegiance
[20] 서적 Peace by ordeal: an account, from first-hand sources of the negotiation and signature of the Anglo-Irish Treaty 1921 Sidgwick and Jackson
[2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uropean Imperialism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2] 웹사이트 The Commission of Government, 1934–1949 http://www.heritage.[...] Newfoundland and Labrador Heritage Website 2003-01
[23] 웹사이트 Statute of Westminster Adoption Act 1942 (Cth) http://foundingdocs.[...] Museum of Australian Democracy at Old Parliament House
[24] 웹사이트 New Zealand Sovereignty: 1857, 1907, 1947, or 1987? http://www.parliamen[...] Parliament of New Zealand 2007-08
[25] 서적 International law: a South African perspective Juta 2005
[26] 웹인용 History of the Creation of the British Commonwealth Air Training Plan. http://www.airmuseum[...]
[27] 웹사이트 Fact File : Commonwealth and Allied Forces https://www.bbc.co.u[...]
[28] 웹사이트 British Commonwealth Occupation Force 1945–52 https://www.awm.gov.[...]
[29] 웹사이트 Celebrating thecommonwealth@60 http://www.thecommon[...] Commonwealth Secretariat 2009-04-26
[30] 서적 Commonwealth Political Facts Macmillan 1978
[31] 서적 Seeking a Role: The United Kingdom 1951—1970 Oxford UP 2009
[32] 서적 Seeking a Role: The United Kingdom 1951—1970
[33] 간행물 "Nobody's Commonwealth? The Commonwealth in Britain's post-imperial adjustment." 2006
[34] 뉴스 Blair calls for quotas on immigrants from 'New Commonwealth' https://www.telegrap[...] 2004-06-05
[35] 간행물 Review of ''The Ambiguous Champion: Canada and South Africa in the Trudeau and Mulroney Years'' by Linda Freeman
[36] encyclopedia British Empire Charles Scribner's Sons 2006
[37] book A New History of Ireland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8-06
[38] 웹사이트 Staying loyal to George http://www.indianexp[...] 2011-04-13
[39] 뉴스 Barbados to remove Queen Elizabeth as head of state https://www.bbc.com/[...] 2021-03-18
[40] 웹사이트 Constituent Assembly Debates (India) http://parliamentofi[...] Parliament of India 1949-05-16
[41] citation The Monarchy and the Constitu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8-02-12
[42] journal Royal Style and Titles http://www.internati[...] 1952-11-24
[43] journal Royal titles and styles http://findarticles.[...] 2011-01-03
[44] 웹사이트 The Invisible Crown http://www.monarchis[...] Monarchy Canada 2008-04-20
[45] book Britain and European Integration Since 1945: On the Sidelin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46] 논문 Perfidious Albion? Britain, Plan G and European Integration, 1955–1956 1996
[47] 논문 Plan G – A "Counterblast"? British Policy Towards the Messina Countries, 1956 1998
[48] 뉴스 France offered to 'merge' with UK in 1950s https://www.telegrap[...] 2007-01-15
[49] 뉴스 UK – When Britain and France nearly married http://news.bbc.co.u[...] 2016-09-12
[50] book British Government Policy and Decolonisation, 1945–63: Scrutinising the Official Mind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51] 웹사이트 Gabon partially suspended from the Commonwealth pending restoration of democracy https://thecommonwea[...] 2023-10-01
[52] 뉴스 Gabon partially suspended from Commonwealth after coup https://www.bbc.com/[...] 2023-10-03
[53] 뉴스 Togo sees Commonwealth entry as pivot to English-speaking world https://www.reuters.[...] 2022-07-01
[54] 웹사이트 Report of the Committee on Commonwealth Membership http://www.thecommon[...] Commonwealth Secretariat 2007-10-24
[55] 웹사이트 Head of the Commonwealth http://www.thecommon[...] Commonwealth Secretariat 2008-06-29
[56] 뉴스 Prince Charles to be next head of Commonwealth https://www.theguard[...] 2018-12-03
[57] 웹사이트 How we are run https://thecommonwea[...] 2020-11-17
[58] 웹사이트 The Commonwealth https://thecommonwea[...] 2023-06-01
[59] 문서 Commonwealth Political Facts 1978
[60] journal Muddy waters: citizenship and the right to vote in the Commonwealth Caribbean migratory context https://www.tandfonl[...] 2019-01-02
[61] 웹사이트 Prove you have right of abode in the UK https://www.gov.uk/r[...] 2024-06-02
[62] 웹사이트 Immigration https://dgip.gov.pk/[...] 2024-06-02
[63] book Citizenship Law in Africa: 3rd Edition https://muse.jhu.edu[...] African Books Collective 2015
[64] book Citizenship Law in Africa: 3rd Edition https://muse.jhu.edu[...] African Books Collective 2015
[65] journal Is the Commonwealth an International Organisation? 1982-07
[66] journal Commonwealth and Favored-Nation Usage 1958-07
[67] journal What is the Commonwealth? 1959-07
[68] AustLII
[69] 웹사이트 Support for British nationals abroad: a guide https://www.gov.uk/g[...] Foreign and Commonwealth Office
[70] 웹사이트 The new UK Emergency Passport http://centralconten[...] Foreign and Commonwealth Office 2019-05-15
[71] 웹사이트 Travel related documents https://www.passport[...]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2019-05-15
[72] 서적 Diplomacy with a Difference: The Commonwealth Office of High Commissioner, 1880-2006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20-04-18
[73] 웹사이트 Practice direction 1 https://www.jcpc.uk/[...] 2024-01-08
[74] 뉴스 High Court Act to be amended http://www.fijitimes[...] Fiji Times 2007-07-04
[75] Webarchive High Court promulgation 2007 https://web.archive.[...] Fiji government 2007-07-17
[76] 웹사이트 Nationality and Commonwealth https://jobs.army.mo[...] 2024-06-09
[77] 웹사이트 Applications to armed forces from Commonwealth citizens surge https://ukdefencejou[...] 2024-06-09
[78] 웹사이트 Gurkhas: Terms and Conditions of Service https://researchbrie[...] 2024-06-09
[79] 뉴스 Agnipath scheme: The pain of Nepal's Gurkhas over Indian army's new hiring plan https://www.bbc.com/[...] 2024-06-09
[80] 웹사이트 The Gurkha Regiments Explained https://www.gwt.org.[...] 2024-06-09
[81] 간행물 The London Declaration of the Commonwealth Prime Ministers, 28 April 1949 1949-07
[82] 간행물 Blair's Britain and the Commonwealth 2005-07
[83] 웹사이트 Harare Commonwealth Declaration http://www.thecommon[...] Commonwealth Secretariat 2007-07-29
[84] 웹사이트 Commonwealth Ministerial Action Group http://www.thecommon[...] Commonwealth Secretariat 2007-07-29
[85] 웹사이트 The future of the modern Commonwealth: Widening vs. deepening? http://www.cpsu.org.[...] Commonwealth Policy Studies Unit 2005-10-10
[86] 웹사이트 Commonwealth membership in focus at London meeting http://www.thecommon[...] Commonwealth Secretariat 2006-12-06
[87] 뉴스 Rwanda membership delayed http://www.sundayvis[...] 2009-11-29
[88] 뉴스 Rwanda: Joining the Commonwealth AllAfrica 2009-11-27
[89] 뉴스 Rwanda Joins British Commonwealth https://www.nytimes.[...] 2009-11-29
[90] 뉴스 Conference on Rwanda's Commonwealth bid to be held http://www.newtimes.[...] 2015-09-25
[91] 웹사이트 Rwanda's application for membership, Commonwealth Human Rights Initiative https://www.humanrig[...] 2021-07-27
[92] 뉴스 Togo and Gabon to become newest members of Commonwealth this week https://www.telegrap[...] 2022-06-26
[93] 문서 Three Commonwealth countries also have long-standing claims to sovereignty in [[Antarctica]], although these claims are not widely recognised. The claims, which each include permanent research stations and together cover most of the continent, are the [[Australian Antarctic Territory]], the [[British Antarctic Territory]] and the [[Ross Dependency]] (New Zealand).
[94] 웹사이트 Fast Facts: The Commonwealth https://production-n[...] Commonwealth Secretariat 2024-10-20
[95] 웹사이트 The King loves Australia but his next stop's the big one (and China will be watching) https://www.smh.com.[...] 2024-10-20
[96] 간행물 The Expansion of the Commonwealth and the Criteria for Membership 2008-04
[97] 웹사이트 Nauru back as full Commonwealth member http://www.rnzi.com/[...] Radio New Zealand International 2011-06-26
[98] 웹사이트 Nauru Accedes to Full Membership of the Commonwealth http://www.thecommon[...] Commonwealth Secretariat 1999-04-12
[99]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http://www.imf.org/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17-06-20
[100] 웹사이트 New Criteria for Commonwealth Membership http://thecommonweal[...] 2013-11-07
[101] 웹사이트 South Sudan Launches Bid to Join Commonwealth http://www.gurtong.n[...] 2011-07-10
[102] 뉴스 Israelis and Palestinians could join Commonwealth https://www.telegrap[...] 2009-11-29
[103] 웹사이트 Statement by Commonwealth Secretary-General Kamalesh Sharma on The Gambia http://thecommonweal[...] The Commonwealth 2013-10-06
[104] 웹사이트 States and Territories http://www.15ccem.co[...]
[105] 간행물 Exploring sub-national island jurisdictions: An editorial introduction 2006-09
[106] 웹사이트 Written evidence from States of Jersey https://publications[...] Chief Minister of Jersey 2013-03-18
[107] 웹사이트 The role and future of the Commonwealth https://publications[...] House of Commons 2013-03-18
[108] 웹사이트 Written evidence from the States of Guernsey https://publications[...] Policy Council of Guernsey 2013-03-18
[109] 뉴스 Isle of Man welcomes report on Commonwealth future https://web.archive.[...] 2012-11-23
[110] 간행물 A Place to Stand: the Problems and Potential of the Commonwealth Ministerial Action Group 2004-07
[111] 간행물 Commonwealth Update 1999-10
[112] 간행물 Twenty Commonwealth steps from Singapore to Kampala 2007-10
[113] 간행물 Commonwealth Update 2000-01
[114] 간행물 Commonwealth Update 2004-07
[115] 간행물 Commonwealth Update 2008-02
[116] 간행물 Commonwealth Update 2002-04
[117] 간행물 Editorial: CHOGM 2003, Abuja, Nigeria 2004-01
[118] 웹사이트 Zimbabwe applies to rejoin Commonwealth https://www.aljazeer[...] 2018-05-22
[119] 웹사이트 Fiji Rejoins the Commonwealth https://web.archive.[...] Commonwealth Secretariat 1997-09-30
[120] 간행물 Commonwealth Update 2000-07
[121] 웹사이트 Fiji Suspended from the Commonwealth https://web.archive.[...] Commonwealth Secretariat 2009-09-01
[122] 뉴스 Fiji suspended from Commonwealth http://news.bbc.co.u[...] 2006-12-08
[123] 웹사이트 Foreign & Commonwealth Office Minister welcomes Commonwealth statement on Fiji – GOV.UK https://www.gov.uk/g[...] 2014-07-31
[124] 웹사이트 Fiji rejoins Commonwealth as a full member https://web.archive.[...] The Commonwealth 2014-09-26
[125] 뉴스 We're back http://www.fijitimes[...] 2014-09-28
[126] 뉴스 Britain must stand up for human rights in Sri Lanka https://www.theguard[...] 2013-03-11
[127] 뉴스 Harper rebukes Sri Lanka over jurist's dismissal as talk of summit boycott heats up https://www.theglobe[...] 2013-01-14
[128] 웹사이트 Sirisena sworn in as Sri Lanka's new president https://www.rappler.[...] 2015-01-09
[129] 웹사이트 Commonwealth website confirms Zimbabwe "terminated" its membership with effect from 7 December 2003 https://web.archive.[...]
[130] 웹사이트 The Gambia rejoins the Commonwealth http://thecommonweal[...] Commonwealth Secretariat 2018-02-08
[131] 웹사이트 The Commonwealth Secretariat http://thecommonweal[...] 2016-10-13
[132] 웹사이트 The Maldives decides to leave the Commonwealth; commits to continue with its international engagement https://web.archive.[...] Maldivi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6-10-13
[133] 뉴스 Maldives to rejoin Commonwealth of former British colonies https://www.thenatio[...] 2018-11-20
[134] 뉴스 Maldives rejoins Commonwealth after over three years https://www.thehindu[...] 2020-02
[135] 웹사이트 Withdrawals and Suspension https://www.commonwe[...] 2024-10-29
[136] 웹사이트 South Africa withdraws from the Commonwealth https://www.sahistor[...] 2024-05-21
[137] 서적 The National and Provincial Elections in South Africa, 2 June 1999 https://books.google[...] Commonwealth Secretariat 2018-02-10
[138] 웹사이트 Office of Parliamentary Counsel – CALC – Constitution & Membership https://web.archive.[...] 2011-03-11
[139] 웹사이트 Legislative drafting offices in which there are CALC members https://web.archive.[...]
[140] 웹사이트 Singapore Declaration of Commonwealth Principles 1971 http://thecommonweal[...] Commonwealth Secretariat 1971-01-22
[141] 웹사이트 Lusaka Declaration on Racism and Racial Prejudice https://web.archive.[...] Commonwealth Secretariat 2008-04-03
[142] 웹사이트 Langkawi Declaration on the Environment https://web.archive.[...] USM Regional Center of Expertise i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08-04-03
[143] 논문 Southern Africa and democracy, in the light of the Harare declaration. 2000
[144] 웹사이트 Our Work https://web.archive.[...] Commonwealth Secretariat 2008-04-03
[145] 웹사이트 Aso Rock Commonwealth Declaration https://web.archive.[...] Commonwealth Secretariat 2008-04-03
[146] 웹사이트 Commonwealth Secretariat http://www.thecommon[...] Commonwealth Secretariat 2008-04-03
[147] 뉴스 Commonwealth has abandoned human rights commitment – leaked memo https://www.theguard[...] 2016-12-14
[148] 뉴스 Commonwealth leaders still haggling over human rights reforms https://www.thestar.[...] 2011-10-29
[149] 뉴스 Commonwealth leaders under fire for refusing to publish human rights report https://www.theguard[...] 2011-10-29
[150] 뉴스 Commonwealth leaders agree to develop charter of values and little else https://www.thestar.[...] 2011-10-30
[151] 웹사이트 Queen to sign new charter backing equal rights for gay people across Commonwealth https://www.standard[...] Standard.co.uk 2013-04-18
[152] 웹사이트 Commonwealth charter to focus on gay rights https://archive.toda[...] 2013-04-18
[153] 웹사이트 Gross domestic product 2012 http://databank.worl[...] World Bank 2013-07-01
[154] 웹사이트 GDP per capita (current US$) http://data.worldban[...] World Bank 2013-07-01
[155] 웹사이트 Gross domestic product 2012, PPP http://databank.worl[...] World Bank 2013-07-01
[156] 웹사이트 GDP per capita, PPP (current international $) http://data.worldban[...] World Bank 2013-07-01
[157] 웹사이트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https://www.imf.org/[...] 2021-08-31
[158] 논문 "Britain in the world economy." 2005
[159] 서적 The rise and fall of a national strategy, 1945–1963 2002
[160] 서적 The Queen: A Biography of Elizabeth II https://books.google[...] Wiley 1998
[161] 서적 Six Moments of Crisis: Inside British Foreign Policy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8-02-10
[162] 논문 "The Last Gasp of Empire: The 1964 Flag Debate Revisited"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2005
[163] 논문 Layin' Low and Sayin' Nuffin': Australia's Policy towards Britain's Second Bid to Join the European Economic Community (1966–67)" 2006
[164] 서적 New Zealand in World Affairs: 1972–1990 https://books.google[...] Victoria UP 2018-02-10
[165] 서적 A Nation for a Continent: the history of Australia, 1901–1975 1977
[166] 웹사이트 Trading Places: The "Commonwealth effect" revisited, p. 9. https://thercs.org/a[...]
[167] 웹사이트 Commonwealth Secretariat – Valletta Statement on Multilateral Trade https://archive.toda[...] Thecommonwealth.org 2012-09-27
[168] 웹사이트 The role and future of the Commonwealth https://publications[...] British Parliament 2013-06-29
[169] 서적 Time to say no: alternatives to EU membership Civitas 2011
[170] 웹사이트 To the Commonwealth, "Global Britain" sounds like nostalgia for something else http://www.newstates[...] 2017-09-04
[171] 웹사이트 Assessing the Costs and Benefits of a Closer EU – Canada Economic Partnership: A Joint Study by the European Commission and the Government of Canada https://web.archive.[...] 2017-06-10
[172] 웹사이트 Canada-European Union: CETA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gc.ca 2012-09-27
[173] 뉴스 Australia trade deal will not hit UK farmers, says Liz Truss https://www.bbc.com/[...] 2022-07-23
[174] 뉴스 Australia signs UK free trade deal, scrapping import tariffs and opening British jobs market https://www.abc.net.[...] 2021-12-19
[175] 웹사이트 Directory of accredited organisations https://thecommonwea[...] 2023-03-25
[176] 웹사이트 Commonwealth Foundation – About Us http://www.commonwea[...] 2006-01-05
[177] 간행물 A Commonwealth of Values: a Commonwealth of incomparable value 2008-02
[178] 간행물 Commonwealth Games and Art Festival 2002-07
[179] 간행물 Australia and the Commonwealth 2005-07
[180] 간행물 The significance of the Commonwealth Games in Malaysia's foreign policy 1998-04
[181] 뉴스 Ten Key Things About War Graves 2000-10-15
[182] 뉴스 Millions trace war dead on Internet 1999-01-22
[183] 서적 Cemeteries of the Great War By Sir Edwin Lutyens 010 Publishers
[184] 웹사이트 About the Commonwealth of Learning https://www.col.org/[...] 2023-04-11
[185] 웹사이트 Commonwealth Local Government Forum (CLGF) {{!}} The Commonwealth http://thecommonweal[...] 2013-07-31
[186] 웹사이트 Global Taskforce of Local and Regional Governments http://www.gtf2016.o[...] 2017-02-23
[187] 웹사이트 The Commonwealth https://www.mfat.gov[...] 2024-01-08
[188] 웹사이트 UK Representation in the Commonwealth https://www.gov.uk/w[...] 2024-05-23
[189] 웹사이트 Remembrance https://www.cwgc.org[...] 2024-07-20
[190] 웹사이트 Remembrance Day vs ANZAC Day explained https://remembertore[...] 2024-07-20
[191] 웹사이트 Do any other countries celebrate Bonfire Night? https://metro.co.uk/[...] 2022-10-29
[192] 간행물 Teaching the nations how to play: sport and society in the British Empire and Commonwealth 1989-09
[193] 간행물 Acting global, thinking local: 'Liquid imperialism' and the multiple meanings of the 1954 British Empire & Commonwealth Games 2006-02
[194] 뉴스 Schoolboy cricketers bat their way to a place in the Commonwealth http://www.timesonli[...] 2007-11-20
[195] 뉴스 Rwanda in drive to join Commonwealth https://www.telegrap[...] 2007-07-24
[196] 서적 Skirting the Boundary: A History of Women's Cricket Robson Press
[197] 뉴스 A report on stories from the outposts of Commonwealth literature 1988-10-01
[198] 뉴스 English Is a World Language – and That's to Be Prized 2003-10-13
[199] 웹사이트 ACLALS: Association for Commonwealth Literature and Language Studies http://www.aclals.ul[...] 2018-09-27
[200] 뉴스 The Empire Writes Back 1993-02-12
[201] 웹사이트 Meet the Man Booker Prize 2014 Judges http://manbookerpriz[...] 2013-12-12
[202] 웹사이트 Commonwealth Short Story Prize https://commonwealth[...] 2024-01-05
[203]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English Literature Oxford University Press
[204]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2007 https://www.nobelpri[...]
[205]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2001 http://nobelprize.or[...] Nobel Prize Outreach AB 2016-06-26
[206] 웹사이트 J. G. Farrell http://themanbookerp[...]
[207] 간행물 Whose Commonwealth? Responses to Krishnan Srinivasan's The Rise, Decline and Future of the British Commonwealth http://www.tandfonli[...] 2024-01-05
[208] 웹사이트 Why was a country as corrupt as Ali Bongo’s Gabon ever admitted to the Commonwealth? https://www.commonwe[...]
[209] 서적 The Statesman's Yearbook 2017: The Politics, Cultures and Economi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K 2018-01-27
[210] 문서 Flags of All Nations: Flags of the British Commonwealth of Nations
[211] 웹사이트 A Celebration of Her Majesty's Sapphire Jubilee http://www.commonwea[...] 2016
[212] 웹사이트 Commonwealth Anthem (with introductory narrative) https://www.youtube.[...] 2017-09-13
[213] 웹사이트 Windsor Suite Commonwealth Anthem https://www.youtube.[...] 2018-03-20
[214] 간행물 An Uncommon Association, a Wealth of Potential: Final Report of the Commonwealth Conversation https://thercs.org/a[...] Royal Commonwealth Society 2010
[215] 뉴스 Canada, Commonwealth and the key to relevance https://www.theglobe[...] 2009-07-21
[216] 뉴스 Commonwealth: quaint historical relic or meaningful bloc? https://www.theglobe[...] 2009-07-20
[217] 뉴스 Queen marks Commonwealth launch http://news.bbc.co.u[...] 2009-03-09
[218] 웹사이트 Commonwealth Charter http://thecommonweal[...] 2019-03-05
[219] 웹사이트 Annex B – Territories Forming Part of the Commonwealth http://www.civilserv[...] Her Majesty's Civil Service 2013-11-19
[220] 뉴스 BBC News – Profile: The Commonwealth http://news.bbc.co.u[...] 2012-02
[221] 웹사이트 About us http://thecommonweal[...] The Commonwealth 2013-10-03
[222] 웹사이트 The Commonwealth http://www.thecommon[...] The Commonwealth 2013-06-30
[223] 논문 「新コモンウェルス」と南アフリカ共和国の脱退 (一九六一年) -拡大と制度変化- https://doi.org/10.1[...] 日本国際政治学会 2020-06-01
[224] 웹사이트 Commonwealth of Nations http://www.let.osaka[...] 大阪大学大学院文学研究科・文学部 西洋史学研究室 2020-05-30
[225] 웹사이트 Imperial Conference 1926 Inter-Imperial Relations Committee Report, Proceedings and Memoranda https://www.founding[...] 2018-06-14
[226] 웹사이트 The London Declaration http://www.thecommon[...] The Commonwealth 2013-07-04
[227] 웹사이트 Charter of the Commonwealth http://www.thecommon[...] The Commonwealth 2013-06-30
[228] 웹사이트 上海協力機構(SCO)とは 中国・ロシア主導、安保で連携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2-09-16
[229] 웹사이트 UNdate/Population, surface area and density https://data.un.org/ 国際連合 2022-06-26
[230] 서적 西洋の歴史――近現代編 ミネルヴァ書房 1988
[231] 서적 イギリス帝国の歴史――アジアから考える 中公新書 2012
[232] 서적 イギリス帝国の歴史――アジアから考える 中公新書 2012
[233] 서적 南アフリカの歴史 明石書店 1995-06
[234] 서적 イギリス帝国の歴史――アジアから考える 中公新書 2012
[235] 서적 イギリス帝国の歴史――アジアから考える 中公新書 2012
[236] 서적 イギリス帝国の歴史――アジアから考える 中公新書 2012
[237] 서적 イギリス帝国の歴史――アジアから考える 中公新書 2012
[238] 서적 世界民族問題事典 平凡社 2002-11-25
[239] 서적 イギリス帝国の歴史――アジアから考える 中公新書 2012
[240] 서적 イギリス史10講 岩波書店 2013-12-20
[241] 서적 イギリス帝国の歴史――アジアから考える 中公新書 2012
[242] 서적 南部アフリカ政治経済論 アジア経済研究所 1999-04-15
[243] 서적 二〇世紀後半のコモンウェルス 新しい統合の展望 ミネルヴァ書房 2007-06-30
[244] 서적 二〇世紀後半のコモンウェルス 新しい統合の展望 ミネルヴァ書房 2007-06-30
[245] 웹사이트 Gabon and Togo join the Commonwealth https://thecommonwea[...] 영국연방 2022-06-26
[246] 웹사이트 West African states Gabon and Togo join Commonwealth https://www.france24[...] フランス24 2022-06-26
[247] 웹사이트 About the commonwealth https://www.gov.uk/g[...] The Foreign and Commonwealth office, UK 2018-01-12
[248] 뉴스 Former Trinidad PM Manning resigns as political leader https://web.archive.[...] CaribbeanNetNews 2010-05-29
[249] 뉴스 Kamla now Commonwealth Chair http://www.newsday.c[...] 2010-05-29
[250] 서적 イギリス帝国の歴史――アジアから考える 中公新書 2012
[251] 뉴스 http://www.bbc.com/n[...] 2015-11-28
[252] 간행물 Brief History of CHOGM http://www.thecommon[...] 2007
[253] 논문 国際司法裁判所の選択条項受諾宣言における コモンウェルス留保 -イギリス帝国の「残滓」の存在意義-
[254] 서적 スポーツの世界地図 丸善出版 2012-05-30
[255] 웹사이트 Barbados announces plan to remove Queen Elizabeth as head of state next year https://www.usatoday[...] 2020-09-18
[256] 논문 Commonwealth Update 2000-07
[257] 논문 Commonwealth Update 2002-04
[258] 논문 Commonwealth Update 2007-02
[259] 웹사이트 Fiji suspended from the Commonwealth http://www.thecommon[...] Commonwealth Secretariat 2009-09-01
[260] 웹사이트 Gabon partially suspended from the Commonwealth pending restoration of democracy https://thecommonwea[...] 영국연방 2023-09-26
[261] 웹사이트 Statement by Commonwealth Secretary-General Kamalesh Sharma on The Gambia http://thecommonweal[...] The Commonwealth 2013-10-06
[262] 웹사이트 Gambia quits the Commonwealth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3-10-05
[263] 뉴스 The Gambia presents formal application to re-join the Commonwealth http://thecommonweal[...] The Commonwealth 2018-01-24
[264] 웹사이트 The Gambia rejoins the Commonwealth http://thecommonweal[...] Commonwealth Secretariat 2021-11-07
[265] 웹사이트 Maldives becomes 54th member of Commonwealth family https://thecommonwea[...]
[266] 뉴스 Rwanda becomes a member of the Commonwealth http://news.bbc.co.u[...] BBC News 2009-11-29
[267] 뉴스 Nauru back as full Commonwealth member https://www.rnz.co.n[...] 2011-10-23
[268] 뉴스 Road to Independence https://web.archive.[...] AsiaOne 2006-06-28
[269] 웹사이트 South Africa http://thecommonweal[...] Commonwealth Secretariat 2016-01-25
[270] 웹사이트 Tanzania – History https://web.archive.[...] Commonwealth Secretariat 2008-02-15
[271] 웹사이트 Tanzania – History https://web.archive.[...] Commonwealth Secretariat 2008-02-15
[272] 논문 Commonwealth Update 2002-04
[273] 논문 Editorial: CHOGM 2003, Abuja, Nigeria 2004-01
[274] 웹사이트 Dominion Status http://www.commonwea[...] Commonwealth of Nations 2016-10-15
[275] 웹사이트 Tanzania – History https://web.archive.[...] Commonwealth Secretariat 2008-02-15
[276] 웹사이트 South Sudan on Track to Join Commonwealth. http://shimronletter[...]
[277] 웹사이트 Suriname eying membership of Commonwealth http://www.stabroekn[...] 2021-11-07
[278] 문서 '[네이버 지식백과] 바베이도스 [Barbados]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