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군단 (미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군단 (미국)은 미국 육군 소속 군단으로,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기 위해 1918년 창설되었다.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테러와의 전쟁 등 주요 군사 작전에 참여했으며, 냉전 기간에는 소련과의 전면전에 대비했다. 현재는 워싱턴주 루이스-맥코드 합동 기지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를 위해 대한민국 국군, 호주군, 일본 육상자위대 등과 연합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1년 해체된 단체 - 제8전구지원사령부
    제8전구지원사령부는 주한 미군의 군수 지원을 담당하며, 1956년 창설되어 베트남 전쟁 참전 부대 지원, 한국 지원 사령부 통합 등을 거쳐 2005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군단 - 제10군단 (미국)
    제10군단은 미국 육군의 군단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태평양 전선과 인천 상륙 작전 등 주요 전투에 참여했으며, 냉전 시대에는 미국 본토 북서부 지역의 육군 예비군 부대 훈련을 담당하다 1968년 해체되었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군단 - 제9군단 (미국)
    제9군단은 1940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 등 주요 전투에 참전하고 류큐 열도 주둔 후 주일 미국 육군과 합병되어 캠프 자마에 주둔하다 1994년 해체된 미국 육군의 군단이다.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군단 - 제5상륙군단
    제5상륙군단은 1943년 창설되어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여 타라와, 사이판, 이오지마 전투 등에서 활약했으며, 1946년 해체된 미국 해병대 군단이다.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군단 - 제10군단 (미국)
    제10군단은 미국 육군의 군단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태평양 전선과 인천 상륙 작전 등 주요 전투에 참여했으며, 냉전 시대에는 미국 본토 북서부 지역의 육군 예비군 부대 훈련을 담당하다 1968년 해체되었다.
제1군단 (미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부대 정보
검은색 원 윤곽선 안에 더 작은 검은색 원이 채워져 있는 모습
어깨 소매 휘장
별칭미국의 군단
표어용기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전투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이라크 전쟁
전투 근무 식별 배지
고유 부대 휘장
깃발
일반 사항
창설일1918년 1월 15일
종류군단
역할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행정 감독
지휘 구조FORSCOM (ADCON)
미국 육군 태평양사령부(OPCON)
주둔지루이스-맥코드 합동 기지(캠프 자마 전방)
지휘관
현재 사령관매튜 맥팔레인(사령관)
주임원사Nema Mobarakzadeh
주임원사주임원사
역사
주요 지휘관지휘관 목록
참고
이전 부대제1기병군단
다음 부대제2군단

2. 역사

제1군단은 미국 육군의 군단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창설 이후 여러 차례 해산되어 일관된 역사를 가진 부대는 아니다. 최초 창설은 미국 남북 전쟁 당시였으며,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에도 참전했다.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에도 참전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태평양의 섬에서 일본군과 격전을 벌였다. 일본 점령 시에는 사령부를 교토에 두었다.[57]

전후에는 한국 전쟁에 참전한 외에는 실전에 참가하지 않고 예비군의 훈련에 힘쓰며 소련과의 전면전에 대비했다.

냉전 종결 후에도 예비군 훈련 임무를 맡았으며, 걸프 전쟁에도 많은 예비군 부대를 파견했다. 테러와의 전쟁에도 참여하여 여러 전투 지원 및 근무 지원 임무를 제공하였다.

2. 1.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을 위해 1918년 1월 15일 국군 소속 제1군단으로 창설되었고, 닷새 뒤인 1월 20일 프랑스 보주주 뇌샤토에서 결성되었다.[1] 프랑스 제32군단의 지원을 받아 사령부가 조직되고 훈련을 받았으며, 같은 날 헌터 리게트 소장이 지휘권을 인수했다.[2]

2월에 군단은 제1, 제2, 제26, 제32, 제41, 제42 보병 사단으로 구성되었다. 같은 해 2월부터 7월까지 독일군은 미국의 모든 병력이 동원되기 전에 승리하기 위해 4차례의 대규모 공세를 시작했다. 7월에 시작된 마지막 공세는 마른 강을 샤토티에리 지역에서 건너려는 시도였지만, 제1군단과 미국 전선의 다른 부대들이 방어에 성공하여 공격을 격퇴했다.[2]

이러한 독일군의 공세가 격퇴되면서 제1군단은 7월 18일부터 8월 6일까지 마른강 제2차 전투에 참여하여 첫 번째 공격 임무를 수행했으며, 이 전투로 독일군의 공세로 연합군 전선에 형성된 더 중요한 돌출부가 줄어들었다.[2] 8월 7일부터 9월 11일까지 샹파뉴와 로렌의 방어 구역에서 잠시 주둔한 후, 9월 12일에 생미히엘 공격에 참여하여 다음 4일 동안 독일군의 돌출부를 축소했다. 그 후 로렌에서 또 다른 방어 기간이 이어졌고, 전쟁의 마지막 연합군 공세를 준비했다. 9월 26일, 제1군단 병력은 북쪽으로 공격을 시작하여 뫼즈-아르곤 공세를 시작했다. 그날부터 전쟁이 끝난 1918년 11월 11일까지 제1군단은 끊임없이 전진했다.[2]

제1군단의 어깨 소매 표지는 1918년 12월 3일 AEF의 승인을 받은 후 제1군단 구성원들이 처음 착용했지만, 1922년에 공식적으로 승인되었다.[3] 제1군단은 프랑스에서 훈련을 계속하다가 1919년 3월 25일에 해산되었다.[1]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제1군단은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26, 제28, 제32, 제35, 제36, 제41, 제43, 제77, 제78, 제80, 제82, 제90, 제91, 제92 보병 사단을 지휘했다.[2] 또한 프랑스 제62, 제167, 제5 기병 사단이 군단에 배속되었다.[2]

2. 2. 전간기

1921년 7월 29일, 제1군단(I Corps)은 조직 예비군에 편성되어 제1군단 지역에 할당되었고, 제1군에 배속되었다.[1] 1922년 9월까지 본부 및 본부 중대(HHC)는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의 육군 기지에서 창설되었다.[1] 1927년 8월 15일, 제1군단 HHC는 조직 예비군에서 철수하여 해산되었고, 정규군 소속 제20(XX)군단 본부로 재지정되었다.[1]

2. 3. 제2차 세계 대전

1940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콜롬비아에서 재결성되었다.[5] 1942년 7월 6일, 로버트 L. 아이첼버거 소장이 제1군단장에 취임하였다.[5]

해변으로 달려가는 해상 전투함에서 나온 여러 척의 수륙 양용 선박이 있는 항구
LVT가 홀란디아 상륙에서 요스 수다르소 만으로 향하고 있다


1942년 여름, 군단은 호주로 이동하여 1942년 10월 17일 록햄프턴에 주둔했다.[5] 당시 군단은 제41사단과 제32사단으로 구성되어 파푸아 뉴기니 방어에 참여했으며, 이는 뉴기니 전역의 시작이었다.[7] 제32사단과 제41사단의 제163보병연대는 오웬 스탠리 산맥을 넘어 공세를 시작했고, 이후 호주 제7사단이 증원되어 부나-고나 전투를 벌였다.[7] 이들은 혹독한 날씨와 지형 조건 속에서 끈질긴 일본군을 상대로 북쪽으로 천천히 진격했다.[7] 1943년 1월 22일, 섬 북부 해안에 위치한 부나가 함락되면서 이 전역은 일본군에 대한 연합군의 첫 번째 주요 승리가 되었고, 제1군단은 우수 부대 표창을 받았다.[5]

이후 제1군단은 카트휠 작전을 준비하여 1944년 4월 19일 네덜란드령 뉴기니 북부 해안의 홀란디아를 점령하기 위한 수륙 양용 공격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5] 제24 및 제41보병사단이 투입되어 격렬한 전투 끝에 6월 6일 그 지역을 확보했다.[7][15] 이어서 군단은 비악 섬 점령을 지시하여 6월 24일까지 확보했다. 1944년 8월 20일, 이니스 P. 스위프트 소장이 아이켈버거 장군을 대신하여 군단장이 되었다.[15]

1945년 1월 9일, 제1군단은 제6군 소속으로 필리핀 전역에 참여하여 루손 섬 북부 린가옌 만 해안에 상륙했다.[16] 175,0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제6군의 일원으로서, 미군은 루손 섬에서 260,000명 이상의 일본군과 대치했다.[17] 제1군단은 34일간 100마일 이상을 진격하여 루손 섬 중부를 횡단하고, 북부의 일본군과 남부의 일본군을 분리했다.[18] 이후 북쪽으로 방향을 돌려 카가얀 계곡으로 접근하는 적의 진지를 체계적으로 격파하며 100일 남짓한 기간 동안 200마일을 돌파, 루손 섬 북부에서 효과적인 적의 저항을 제거했다.[5]

이후 연합군은 일본 본토 침공 작전인 다운폴 작전을 준비했고, 제1군단은 미야자키 공격 선봉 부대가 될 예정이었다.[23][24] 그러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대한 핵무기 사용 이후 일본이 항복하면서 이 공격은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25]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제6사단, 제8사단, 제9사단, 제24사단, 제25사단, 제30사단, 제32사단, 제33사단, 제37사단, 제41사단, 제43사단, 제77사단, 제98사단이 제1군단에 배속되었으며, 제2해병사단, 제7호주사단과 제11공수사단의 일부 부대도 함께했다.[5]

미군이 거리를 순찰하는 거대한 일본 도시
1946년 도쿄의 점령군


적대 행위 종료 후, 제1군단은 일본 점령 임무에 배정되었다. 1945년 9월 19일, 군단은 린가옌 만을 출발하여 일본으로 향했고, 9월 25일 혼슈 섬에 상륙했다.[26] 1950년 3월 28일, 군단은 일본에서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26]

2. 4. 한국 전쟁

육지 동남쪽 끝의 방어선을 보여주는 지도
부산 교두보 방어


한국 전쟁 발발 직후, 미국더글러스 맥아더 극동 사령관의 요청에 따라 3개 군단을 재소집했는데, 그 중 하나가 제1(I)군단이었다. 1950년 8월 2일 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브래그에서 재소집된 제1군단은 존 B. 콜터 소장의 지휘 아래 제8군 부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잭슨 지대의 작전 지휘를 맡았다.[1]

1950년 9월 12일, 프랭크 W. 밀번 소장이 군단장으로 취임하면서, 제1군단은 제1기병사단, 제24보병사단, 대한민국 제1보병사단, 제27영국 연방 여단을 지휘하며 낙동강 지역을 방어했다.[28][29]

제10군단인천 상륙 작전 성공 이후, 제1군단은 9월 16일부터 부산 교두보 돌파를 시작했다. 9월 26일 수원 남쪽에서 제7보병사단과 연결되었고, 38선을 넘어 북진을 계속하여 10월 19일 평양을 점령했다.[28]

그러나 10월 말, 중국 인민지원군의 참전으로 첫 번째 공격에 직면했다. 11월 25일 제2차 공세로 인해 38선 이남 임진강까지 완전 철수했다.[30] 1951년 1월 1일, 중공군은 서울을 재점령했으나, 보급 문제로 공세가 둔화되었다.[30]

매슈 리지웨이 장군은 썬더볼트 작전을 명령하여 반격을 시작했다. 킬러 작전과 리퍼 작전을 통해 중공군을 한강 이북으로 밀어내고 3월에 서울을 탈환했다.[34][35] 4월에는 러기드 작전과 돈틀리스 작전으로 38선 이북에 캔자스 선과 유타 선을 확보했다.[33]

4월 말, 중공군의 대규모 반격이 시작되었다. 가평 전투에서 대한민국 제6보병사단이 괴멸되었으나, 제1해병사단과 제27영국 연방 여단이 중공군을 저지하고, 제24보병사단제25보병사단은 철수하여 서울 방어선을 유지했다.[37][38] 5월-6월 유엔군 반격으로 중공군의 점령지를 대부분 탈환했다.[38]

나무로 방어 시설을 건설하는 한국 군인들
올드 발디 언덕을 따라 방어선을 강화하는 한국군


1951년 9월, 반격 작전이 개시되어 화천 저수지 서쪽에서 제24보병사단이 금화를 지나 중공군과 교전했다.[39] 11월, 중공군의 반격은 실패로 끝났다.[40] 1951년 말, 제1기병사단제45보병사단으로 교체되었다.[31]

1952년 3월, 제1군단은 제1영연방사단, 대한민국 제1사단, 제8사단, 제9사단을 지휘하게 되었다.[31] 벙커 힐, 더 훅, 켈리, 올드 발디 언덕, 노리스, 포크 찹 힐 등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28]

군복을 입은 나이든 백인 남자로, 많은 리본과 훈장을 착용하고 있다
브루스 C. 클라크


1953년 1월, 제1군단은 제2, 제7, 제25보병사단제1해병사단을 지휘하게 되었다.[31] 1953년 4월 10일, 브루스 C. 클라크 중장이 군단장으로 취임했다.[28]

포크 찹 힐, 네바다 콤플렉스, 더 훅 등에서 전투가 계속되었고, 1953년 휴전 협정 체결 이후에도 제1군단은 한반도 비무장지대(DMZ) 동부 중간지점을 경비하며 정전 체제를 유지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2. 5. 냉전

1953년 정전 체결 이후에도 제1군단은 1971년 4월 2일까지 한반도 비무장 지대 동부 중간 지점을 경비하였다.[31] 닉슨 독트린에 따라 제7보병사단과 함께 미국 본토 워싱턴주 포트 루이스로 철수하여 해산하였다.

1981년 10월 1일, 포트 루이스에서 공식적으로 재소집되었다. 군단의 영향력이 점차 커져 캘리포니아주 포트 오드의 제7보병사단과 알래스카 포트 리처드슨의 제172보병여단을 통제하게 되었다. 제172보병여단은 1986년 4월 15일에 제6보병사단 1여단으로 지정되었다.[41]

1989년 냉전 종식 이후 미국 정부는 국가적 우선순위와 국방 체제를 신중하게 재편했다.

2. 6. 테러와의 전쟁

2001년 9월 11일 사건 이후, 제1군단은 테러와의 전쟁을 지원하기 위해 육군 부대 파병을 지원하였다. 제1군단은 전투 지원 및 전투 근무 지원 임무를 제공하였고, 여기에는 아프가니스탄의 항구적 자유 작전, 이라크의 이라크 자유 작전과 국내의 고귀한 독수리 작전이 포함되었다.[41]

군인들이 깃발을 펼치고 있다
이라크에서 제1군단의 기장 공개


2004년 2월 4일, 제1군단 전방 사령부가 이라크로 파병되었다. "올림피아 태스크포스"로 불린 이 부대는 2004년 1월 이라크 모술에 배치되어 제101공수사단으로부터 임무를 인계받아 북부 이라크의 모든 연합군과 이라크군을 지휘, 통제하는 사령부를 구성했다. 이 부대는 2개의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단, 공병, 민사, 통신 및 기타 지원 부대와 12,000명 이상의 이라크 보안군 노력을 조정했다. 이라크 보안군은 4개의 민방위군 대대, 3개의 국경 경찰 대대, 수천 명의 이라크 시설 보호 보안군 구성원, 1개의 육군 대대를 포함했다. 2005년 2월, 군단 전방 사령부는 북부 이라크에 대한 책임을 "태스크포스 프리덤"의 병력과 제11기갑기병연대에 넘겨주었다.[41]

2008년, 제1군단이 2009년에 이라크 자유 작전 지원을 위해 제18공수군단을 대체하기 위해 이라크로 파병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군단 소속 군인들은 1년 동안 훈련을 받았으며, 2009년 4월 9일에 파병이 시작되었다.[43] 제1군단은 알 파우 궁전에서 다국적 군단 - 이라크 역할을 수행했다. 2010년 1월, 다국적 군단 - 이라크는 다국적군 - 이라크(MNF-I) 및 다국적 안보 전환 사령부 - 이라크(MNSTC-I)와 통합되어 미국군 - 이라크(USF-I)를 형성했다. 1년간의 파병 기간 동안, 군단은 이라크 주둔 미군의 주요 구성 요소의 철수를 감독했다.[44] 제1군단은 제3군단과의 임무 교대(RIP/TOA)를 마치고 2010년 3월 이라크에서 귀환했다.[45]

제1군단 사령부는 1년 동안 국제 안보 지원군 합동 사령부(IJC)의 사령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으로 파병되었다.[46] 제1군단 사령관 커티스 스카파로티 중장은 2011년 7월 11일[47]부터 2012년 7월 11일[48]까지 국제 안보 지원군 합동 사령관 및 미국군 - 아프가니스탄 부사령관을 겸임했다.

3. 한반도 안보와 제1군단

제1군단은 대한민국 방위 및 일본 방위에 대한 작전 계획을 준비하고 있다.[58] 주한 미군 재배치의 일환으로 가나가와현자마시에 있는 캠프 자마로 제1군단 사령부를 이전할 예정이다. 이미 이전 준비를 위해 자마에 전방 배치 사령부가 설치되어 있다. 사령부 이전 후에는 한국 주둔 육군 부대를 포함한 서태평양 전역의 육군 부대를 지휘 하에 둘 예정이지만,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발표되지 않았다.[58]

4. 주요 훈련

제1군단은 대한민국 국군, 오스트레일리아 방위군, 육상자위대와 정기적으로 야전 훈련 연습(FTX)을 하고 있다.[49]



제1군단의 환태평양 재균형에는 일본, 대한민국, 태국, 필리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실시하는 여러 연합 및 합동 군사 훈련이 포함된다.[50]

5. 현재 편성

제1군단은 워싱턴주 루이스-맥코드 합동 기지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현역 및 예비군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미 육군 현역 군단 중 현역과 예비군 부대가 혼합된 유일한 군단으로, 미국 50개 주 중 47개 주에 걸쳐 있고, 하와이, 알래스카, 워싱턴주에 주둔하는 약 45,0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어 있다.[42][51]

2023년 군단 조직도


2012년 10월, 제7보병사단이 군단에서 재창설되었다. 예하 여단에는 이전부터 군단에 소속되어 있던 제2보병사단의 여단 명칭이 남아 있다.[59]

현재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6. 파트너십

제1군단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중요한 협력국의 전력과 파트너십을 맺고, 위협으로부터 대비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야전훈련연습을 하고 있다.

국가부대
대한민국지상작전사령부
오스트레일리아제1사단
일본육상총대
태국제1육군지역
필리핀북루손 사령부
육군 국가방위대
인디애나주제38보병사단 (인디애나 육군 국가방위대)
캘리포니아주제40보병사단 (캘리포니아 육군 국가방위대)
육군 예비군
제351민사사령부
제63대응사단


참조

[1] 웹사이트 Lineage and Honors Information: I Corps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09-06-19
[2] 웹사이트 I Corps History: World War I http://www.lewis-mcc[...] I Corps Public Affairs Office 2009-06-19
[3] 웹사이트 I Corps https://web.archive.[...] The Institute of Heraldry 2010-06-06
[4] 서적 U.S. Army Order of Battle, 1919-1941, Volume 1. The Arms: Major Commands and Infantry Organizations, 1919-41 Combat Studies Institute Press 2010
[5] 웹사이트 I Corps History: World War II https://web.archive.[...] I Corps Public Affairs Office 2009-06-18
[6] 문서 Horner
[7] 문서 Pimlott
[8] 문서 Marston
[9] 문서 Wilmott
[10] 문서 Willmott
[11] 문서 Horner
[12] 문서 Marston
[13] 문서 Horner
[14] 문서 Willmott
[15] 문서 Pimlott
[16] 문서 Pimlott
[17] 문서 Horner
[18] 문서 Pimlott
[19] 문서 Willmott
[20] 문서 Willmott
[21] 문서 Horner
[22] 문서 Willmott
[23] 문서 Marston
[24] 문서 Marston
[25] 문서 Marston
[26] 웹사이트 I Corps History: Occupation https://web.archive.[...] I Corps Public Affairs Office 2009-06-18
[27] 문서 Marston
[28] 웹사이트 I Corps History: Korea https://web.archive.[...] I Corps Public Affairs Office 2009-06-18
[29] 문서 Varhola
[30] 문서 Varhola
[31] 문서 Varhola
[32] 문서 Varhola
[33] 문서 Varhola
[34] 문서 Varhola
[35] 문서 Varhola
[36] 서적 null
[37] 서적 null
[38] 서적 null
[39] 서적 null
[40] 서적 null
[41] 웹사이트 I Corps History: 1980 – present http://www.lewis.arm[...] I Corps Public Affairs Office 2009-06-18
[42] 웹사이트 GlobalSecurity.org: I Corps http://www.globalsec[...] 2009-06-19
[43] 웹사이트 I Corps Soldiers relieve Fort Liberty troops (Baghdad) http://www.mnf-iraq.[...] Multi-national Force Iraq Public Affairs Office 2009-06-19
[44] 웹사이트 I Corps deputy commander tasked with overseeing drawdown in Iraq http://www.army.mil/[...] United States Army 2009-04-17
[45] 웹사이트 I Corps HQ returns from Iraq Sunday http://www.thesubtim[...] 2010-03-11
[46] 웹사이트 I Corps ready for challenges in Afghanistan http://www.army.mil/[...] The United States Army 2011-06-03
[47] 웹사이트 Lieutenant General Curtis Scaparrotti http://www.isaf.nato[...] ISAF 2011-07-11
[48] 웹사이트 Images – Change of command ceremony [Image 2 of 3] http://www.dvidshub.[...] DVIDS 2012
[49] 웹사이트 Panetta Aims to Fortify Alliances on Asia-Pacific Tour http://www.defense.g[...] American Forces Press Service 2012-11-08
[50] 웹사이트 I Corps to re-focus on Asia-Pacific http://www.nwguardia[...] 2012-11-15
[51] 웹사이트 I Corps - MISSION https://www.army.mil[...] US Army - I Corps 2019-09-28
[52] 웹사이트 The War on Terror: Unit Award Orders & Citations; Department of the Army Permanent Order 133-19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9-04
[53] 웹사이트 Meritorious Unit Citation awarded to I Corps for service in Afghanistan https://www.hrc.army[...] I Corps Public Affairs Office 2012-11-30
[54] 웹사이트 WPAOG Recognizes BG(R) Paul D. Phillips ’40 as the Newest Oldest Living West Point Graduate https://www.westpoin[...] 2023-10-18
[55] 웹사이트 Official register of the officers and cadets. 1971 (page 484) https://babel.hathit[...] 2023-10-18
[56] 간행물 군사연구 군사연구 2013-07
[57] 이미지 Military Government in Japan, January 1946-July 1948 https://history.army[...]
[58] 웹사이트 I Corps {{!}} The United States Army https://www.army.mil[...] 2022-02-18
[59] 간행물 군사연구 군사연구 2013-07
[60] 뉴스 I Corps HQ returns from Iraq Sunday http://thesubtimes.c[...] The Suburban Times 2010-03-11
[61] 뉴스 I Corps ready for challenges in Afghanistan http://www.army.mil/[...] Northwest Guardian 2011-06-02
[62] 웹인용 日米共同指揮所演習YamaSakura53(YS-53) http://www.mod.go.jp[...] 일본 방위성 2014-11-30
[63] 문서 Permanent order 133-19 http://www.history.a[...] Human Resouces Command 2010-05-13
[64] 문서 Permanent order 212-12 http://www.history.a[...] Human Resouces Command 2012-07-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