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해운대구의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해운대구의회 선거는 민선 1기 해운대구의회를 구성하기 위해 치러졌으며, 15개 선거구에서 무소속 후보가 강세를 보였다. 총 13개 선거구에서 무소속 후보가 당선되었으며, 반송제1동과 재송제1동에서는 무투표 당선이 이루어졌다. 이 선거 결과는 지역 주민들이 정당보다는 인물 중심의 투표 성향을 보였음을 보여준다.

2. 지역구별 선거 결과

wikitext

선거구유권자 수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비고
우제1동 선거구25,426황준연무소속7,38446.48당선
김규명무소속4,63829.19
김복업무소속3,86224.31
총 투표수15,884
우제2동 선거구12,702윤동렬무소속3,08638.92당선
김홍렬무소속2,54932.15
김경수무소속2,29328.92
총 투표수7,928
중제1동 선거구12,711이외수무소속3,97052.78당선
박덕만무소속2,14728.54
박상유무소속1,40418.66
총 투표수7,521
중제2동 선거구10,513이택환무소속3,26551.77당선
강귀호무소속3,04148.22
총 투표수6,306
좌동 선거구1,060예형근무소속48355.26당선
정병오무소속39144.73
총 투표수874
송정동 선거구4,344이덕춘무소속1,18338.11당선
이상식무소속1,13536.56
송만일무소속78625.32
총 투표수3,104
반여제1동 선거구20,032정홍정무소속2,45219.16당선
윤경현무소속2,21717.32
이상준무소속2,15716.85
심정남무소속1,76413.78
문태근무소속1,54012.03
정천호무소속1,46311.43
이영수무소속1,2049.40
총 투표수12,797
반여제2동 선거구16,689이부길무소속3,82438.79당선
최종규무소속2,75127.90
조부호무소속1,62016.43
김윤석무소속8388.50
박승길무소속8248.35
총 투표수9,857
반여제3동 선거구12,263황민부무소속4,49658.19당선
안문현무소속3,23041.80
총 투표수7,726
석대동 선거구1,109천두용무소속27432.00당선
김채두무소속22225.93
천성도무소속19022.19
천건조무소속17019.85
총 투표수856
반송제1동 선거구신중복무소속무투표 당선
총 투표수0
반송제2동 선거구25,418오창영무소속6,23741.21당선
양대진무소속4,29028.35
김익환무소속2,52716.69
박문기무소속2,07813.73
총 투표수15,132
반송제3동 선거구10,824윤정춘무소속2,43738.20당선
정종수무소속2,01631.60
선우식무소속1,92530.18
총 투표수6,378
재송제1동 선거구박정희무소속무투표 당선
총 투표수0
재송제2동 선거구24,575김문호무소속4,29028.90당선
이확석무소속4,23428.52
이용진무소속3,67324.74
배용무소속1,4619.84
이분우무소속1,1867.98
총 투표수14,844


2. 1. 우제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우제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5,426명이었다. 무소속 황준연 후보가 7,384표(46.48%)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김규명 후보는 4,638표(29.19%), 무소속 김복업 후보는 3,862표(24.31%)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5,884표였다.

2. 2. 우제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우제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2,702명이었다. 무소속 윤동렬 후보가 3,086표(38.92%)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홍렬 후보는 2,549표(32.15%), 무소속 김경수 후보는 2,293표(28.92%)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7,928표였다.

2. 3. 중제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해운대구의회 중제1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2,711명이었다. 무소속 이외수 후보가 3,970표(52.78%)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박덕만 후보는 2,147표(28.54%), 무소속 박상유 후보는 1,404표(18.66%)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7,521표였다.

2. 4. 중제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해운대구의회 중제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0,513명이었다. 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택환 후보가 3,265표(51.77%)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강귀호 후보는 3,041표(48.22%)를 얻어 낙선했다. 총 투표수는 6,306표였다.

2. 5. 좌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좌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060명이었다. 무소속 예형근 후보가 483표(55.26%)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정병오 후보는 391표(44.73%)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874표였다.

2. 6. 송정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송정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4,344명이었다. 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덕춘 후보가 1,183표(38.11%)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상식 후보는 1,135표(36.56%)를, 무소속 송만일 후보는 786표(25.32%)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3,104표였다.

2. 7. 반여제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반여제1동 선거구는 20,032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후보는 모두 무소속으로, 정홍정이 2,452표(19.16%)를 얻어 당선되었고, 윤경현이 2,217표(17.32%), 이상준이 2,157표(16.85%), 심정남이 1,764표(13.78%), 문태근이 1,540표(12.03%), 정천호가 1,463표(11.43%), 이영수가 1,204표(9.40%)를 득표했다. 총 투표수는 12,797표였다.

2. 8. 반여제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반여제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6,689명이었다. 무소속 이부길 후보가 3,824표(38.79%)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최종규 후보는 2,751표(27.90%), 무소속 조부호 후보는 1,620표(16.43%), 무소속 김윤석 후보는 838표(8.50%), 무소속 박승길 후보는 824표(8.35%)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9,857표였다.

2. 9. 반여제3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반여제3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2,263명이었다. 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황민부 후보가 4,496표(58.19%)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안문현 후보는 3,230표(41.80%)를 얻어 낙선했다. 총 투표수는 7,726표였다.

2. 10. 석대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석대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109명이었다. 무소속 천두용 후보가 274표(32.0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채두 후보는 222표(25.93%), 무소속 천성도 후보는 190표(22.19%), 무소속 천건조 후보는 170표(19.85%)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856표였다.

2. 11. 반송제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반송제1동 선거구는 무소속 신중복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2. 12. 반송제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해운대구의회 반송제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5,418명이었다. 무소속 오창영 후보가 6,237표(41.21%)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양대진 후보는 4,290표(28.35%), 무소속 김익환 후보는 2,527표(16.69%), 무소속 박문기 후보는 2,078표(13.73%)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5,132표였다.

2. 13. 반송제3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반송제3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0,824명이었다. 무소속 윤정춘 후보가 2,437표(38.2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정종수 후보는 2,016표(31.60%), 무소속 선우식 후보는 1,925표(30.18%)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6,378표였다.

2. 14. 재송제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재송제1동 선거구는 무투표 당선으로 인해 투표가 실시되지 않았다. 무소속 박정희 후보가 해당 선거구에서 당선되었다.

2. 15. 재송제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해운대구의회 재송제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4,575명이었다. 무소속 김문호 후보가 4,290표(28.90%)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이확석 후보는 4,234표(28.52%)를 얻어 그 뒤를 이었다. 무소속 이용진 후보는 3,673표(24.74%), 무소속 배용 후보는 1,461표(9.84%), 무소속 이분우 후보는 1,186표(7.98%)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4,844표였다.

3. 분석 및 평가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해운대구의회 선거는 민선 1기 해운대구의회를 구성하기 위한 선거였다. 당시 대한민국의 정치 지형은 민주자유당과 새정치국민회의 등 거대 양당 구도였으나, 해운대구의회 선거에서는 무소속 후보들이 압도적인 강세를 보였다. 이는 지역 기반 정치인들의 영향력이 컸던 당시 정치 환경을 반영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개표 결과, 전체 15개 선거구 중 13개 선거구에서 무소속 후보가 당선되었다. 특히 우제1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황준연 후보가 46.4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고, 우제2동에서는 무소속 윤동렬 후보가 38.92%로 당선되었다. 중제1동에서는 무소속 이외수 후보가 52.78%, 중제2동에서는 무소속 이택환 후보가 51.77%로 과반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당선되었다. 좌동 선거구의 무소속 예형근 후보(55.26%), 송정동 선거구의 무소속 이덕춘 후보(38.11%)도 당선되었다.

반여제1동에서는 무소속 정홍정 후보(19.16%)와 윤경현 후보(17.32%)가, 반여제2동에서는 무소속 이부길 후보(38.79%)와 최종규 후보(27.90%)가 당선되었다. 반여제3동에서는 무소속 황민부 후보가 58.19%의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석대동에서는 무소속 천두용 후보가 32.00%로 당선되었다. 반송제1동과 재송제1동에서는 각각 무소속 신중복 후보와 박정희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반송제2동에서는 무소속 오창영 후보(41.21%)와 양대진 후보(28.35%)가, 반송제3동에서는 무소속 윤정춘 후보가 38.20%로 당선되었다. 재송제2동에서는 무소속 김문호 후보(28.90%)와 이확석 후보(28.52%)가 당선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당시 해운대구 지역 주민들이 정당보다는 인물 중심의 투표 성향을 보였음을 시사한다. 또한, 무소속 후보들의 강세는 기존 정당 정치에 대한 불신과 변화에 대한 열망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