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66보병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66보병사단은 1977년 9월 30일 경상북도 안동에서 제66훈련단으로 창설되어, 1982년 경기도 지역으로 이전하며 제66동원사단으로 개편되었다. 1987년 제66보병사단으로 개칭되었으며, 1992년 부대 별칭을 횃불부대로 변경했다. 2018년 육군동원전력사령부 예하 부대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사단은 사단본부, 3개의 보병여단, 포병여단, 그리고 직할대로 편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평군 소재의 관공서 -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수도기계화보병사단은 1949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으며, 기계화 장비를 운용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이다.
  • 가평군 소재의 관공서 - 가평경찰서
    가평경찰서는 1945년 개소하여 현재 경기남부경찰청 산하에서 가평군 일대의 치안을 담당하며 6개의 파출소를 관할하는 가평읍 소재 경찰서이다.
  • 1977년 설립된 단체 - 주시애틀 대한민국 총영사관
    주시애틀 대한민국 총영사관은 1976년 개설되어 워싱턴주를 포함한 미국 북서부 지역을 관할하며 재외국민 보호, 영사 서비스, 문화 교류, 경제 협력 증진을 통해 한국과 미국의 우호 관계 증진에 기여하는 외교부 산하 재외공관이다.
  • 1977년 설립된 단체 - 정보보안사령부
    미국 육군 정보보안사령부(INSCOM)는 정보 수집, 기밀 보호, 전자전 수행을 담당하며 냉전 시대 소련 감시, 한반도 안보를 위한 제501군사정보여단 창설, 사이버전 및 테러 대응, 육군방첩사령부 창설 등의 활동을 수행해왔다.
  • 대한민국 예비군의 사단 - 제32보병사단
    제32보병사단은 1955년 창설되어 월남전 파병으로 전방에 배치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충청남도와 세종특별자치시를 방어하는 향토사단으로, 2020년 국방개혁에 따라 여단으로 승격된 예하 부대들로 구성되어 해당 지역의 방위 임무를 수행한다.
  • 대한민국 예비군의 사단 - 제62보병사단
    제62보병사단은 대한민국 육군 보병사단으로 수도권 서부 지역 방어 임무를 수행했으며, 2008년 부대 개편으로 해체되었다.
제66보병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대한민국 육군 제66보병사단 휘장
사단 휘장
부대 명칭제66보병사단
원어 명칭제66보병사단 (第六十六步兵師團)
별칭횃불부대
창설일1982년 3월 1일
해체일현재
국가대한민국
소속대한민국 육군
병과보병
종류예비군
역할예비군 교육훈련
규모사단
명령 체계동원전력사령부
주둔지경기도 가평군
군가66사단가
상징색남색, 백색
지휘관
현재 사단장[[파일:KA_insignia_(cloth)_Brigadier_Genera.gif|30px]] 준장 문석호
기타 정보
관련 웹사이트66th Infantry Division (Republic of Korea Army)

2. 연혁

1977년 9월 30일, 경상북도 안동에서 제66훈련단으로 창설,[4] 1982년 3월 1일 경기도 지역으로 이전, 제66동원사단으로 개편되었다.[4] 1987년 4월 1일 제66보병사단으로 개칭, 1992년 비룡부대에서 횃불부대로 별칭이 변경되었으며, 2018년 4월 6일 육군동원전력사령부 예하로 소속이 변경되었다.[4]

2. 1. 창설

1977년 9월 30일, 경상북도 안동에서 제66훈련단으로 창설되었다.[4]

2. 2. 발전

1982년 3월 1일, 경기도 지역으로 부대를 이전하고 제66동원사단으로 개편되었다.[4] 1987년 4월 1일, 제66보병사단으로 개칭되었으며, 1992년에 비룡부대에서 횃불부대로 별칭이 변경되었다.

2. 3. 최근

2018년 4월 6일, 육군동원전력사령부 예하로 소속이 변경되어 동원 전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4]

3. 편성

제66보병사단은 제187보병여단 "황소", 제188보병여단 "땅벌", 제189보병여단 "돌풍", 포병여단으로 편성되어 있다.

3. 1. 사단 본부

제66보병사단 본부는 사단 지휘 및 통제 기능을 수행한다.[2] 사단 본부 예하에는 본부대대와 수색대대, 공병대대, 전차대대, 정보통신대대, 화생방대대, 군수지원대대, 군사경찰대, 의무근무대 등 여러 직할대가 있다.

3. 1. 1. 직할대


  • 수색대대
  • 공병대대
  • 전차대대 (M48A5K 운용)[3]
  • 정보통신대대
  • 화생방대대
  • 군수지원대대
  • 군사경찰대
  • 의무근무대[2]

3. 2. 예하 부대


  • 제187보병여단 "황소"
  • 제188보병여단 "땅벌"
  • 제189보병여단 "돌풍"
  • 포병여단

3. 2. 1. 포병여단 예하 부대


  • 제361포병대대
  • 제362포병대대
  • 제363포병대대
  • 제935포병대대

참조

[1] 웹사이트 66th Infantry Division https://www.mma.go.k[...]
[2] 웹사이트 TROKA Mobilization Forces https://www.globalse[...]
[3] 뉴스 육군 M48A5/5K 전차를 도태 시켜야 http://www.defenseto[...] 2019-12-08
[4] 문서 기록에 따라서는 10월 1일 창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