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동원전력사령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군동원전력사령부는 대한민국 국방부 직속 부대로, 예비 전력의 효율적인 관리와 전력 증강을 목표로 2018년 4월 6일 창설되었다. 동원사단, 동원지원단, 동원자원호송단, 예비전력연구소로 구성되며, 예비군 자원 관리 및 전시 동원 태세 유지를 주요 임무로 한다. 사령관은 소장 계급이며, 역대 사령관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예비군의 부대 - 제27예비단
제27예비단은 1954년 대전에서 창설되어 진주로 이전한 대한민국 공군 예비군 관리 부대이다. - 대한민국 육군의 사령부 - 육군제2작전사령부
육군 제2작전사령부는 1954년 창설된 제2야전군사령부에서 개편되어 전라, 충청, 경상 지역의 후방 작전, 경비, 예비군 훈련, 재해·재난 구호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작전사령부이다. - 대한민국 육군의 사령부 - 지상작전사령부
지상작전사령부는 대한민국 육군의 작전사령부로, 과거 제1야전군과 제3야전군을 통합하여 2019년 1월 1일에 창설되었으며, 평시에는 대비 태세를 유지하고 전시에는 한미 연합사령부 예하 지상 구성군 사령부 역할을 수행한다. - 용인시 소재의 관공서 - 법무연수원 용인분원
법무연수원 용인분원은 법무연수원 소속 기관으로 운영지원과와 대외연수과로 구성되어, 법무 관련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국제적인 법률 및 수사 협력 강화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용인시 소재의 관공서 - 지상작전사령부
지상작전사령부는 대한민국 육군의 작전사령부로, 과거 제1야전군과 제3야전군을 통합하여 2019년 1월 1일에 창설되었으며, 평시에는 대비 태세를 유지하고 전시에는 한미 연합사령부 예하 지상 구성군 사령부 역할을 수행한다.
육군동원전력사령부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陸軍動員戰力司令部 |
활동 기간 | 2018년 4월 6일 ~ 현재 |
종류 | 군단급 기능사령부 |
역할 | 예비군 관리 및 훈련 |
명령 체계 | 육군본부 |
본부 | 경기도 용인시 |
군가 | 예비군 군가 |
기념일 | 4월6일, 예비군 창설날 |
사령관 | [[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Major General (OF-7).svg|30px]] 소장 김관수 (3사 27기) |
사령관 명칭 | 사령관 |
2. 역사
원래 대한민국 국방부 직속 조직으로 창설될 계획이었으나, 법적 및 제도적 뒷받침 부족으로 오랫동안 시행되지 못했다. 2016년 10월 1일 국군의 날 기념식 훈시에서 예비 전력의 정예화가 강조되면서 창설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같은 해 11월 22일 관련 세미나가 열렸고, 24일에는 국방부 주관 지휘관회의에서 논의가 이어졌다. 초기 계획과 달리, 예비군의 대부분이 육군 소속인 점을 고려하여 육군 중심의 조직으로 방향이 수정되었고, 필요시 다른 군종의 협조를 받는 방식으로 조정되었다. 2017년 초에는 창설추진단을 발족하고, 그 해 연말에 사령부 창설을 목표로 하였다.[1]
육군동원전력사령부는 예하에 동원사단, 동원지원단, 동원자원호송단 및 예비전력연구소를 두고 있다. 이들 부대는 평시 및 전시 예비군 동원과 관련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21세기군사연구소의 박계호 박사는 사령관으로 중장을 임명하고, 사령부 예하에 전국의 동원사단, 동원지원단, 동원자원호송단을 두는 방안을 제안하기도 했다.[1]
2018년 4월 6일, 동원전력사령부가 군단급 부대로 창설되었다. 다만, 동원부대의 특성상 지휘관 계급이 상대적으로 낮게 책정되는 경향이 있어, 동원전력사령관은 군단장 보직임에도 불구하고 소장 계급의 장성이 임명된다.
3. 편성
3. 1. 동원사단
동원사단은 전시에 예비군으로 편성되는 보병사단이다. 현재 육군동원전력사령부 예하에는 다음과 같은 동원사단이 편성되어 있다.
3. 2. 동원지원단
동원지원단은 예비군 자원을 평시에 관리하고 전시에 신속하게 소집하여 무장시킨 후 전장으로 투입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전투근무지원부대이다.[2] 국방개혁 2020 계획에 따라, 전시 상황에서 예비사단을 정규사단 편제로 신속히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창설되었다. 동원지원단은 일반적으로 참모부, 동원보충대대, 장비물자관리중대, 훈련중대 등으로 구성되며, 전시에는 정밀보충대대가 추가 편성된다.
2009년 10월 1일 제32사단과 제50사단 예하에 처음 창설된 것을 시작으로, 2015년까지 총 11개의 동원지원단이 창설되었다. 이후 2016년까지 161개 대대를 창설하는 계획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었다.[2]
2018년 4월 6일부로 모든 동원지원단은 기존의 각 향토사단 예하에서 육군동원전력사령부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현재 각 향토사단별로 1개 동원지원단과 해병대 교육훈련단 예하 동원지원단이 운영되고 있다.
3. 2. 1. 동원지원단 목록
명칭 | 위치 | 창설일 | 참고 |
---|---|---|---|
제31보병사단 동원지원단 | 광주광역시, 북구 | 2011년 10월 2일 | [3] |
제32보병사단 동원지원단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 2009년 10월 1일 | |
제35보병사단 동원지원단 | 전라북도 임실군 | 2011년 10월 1일 | [4] |
제36보병사단 동원지원단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 ||
제37보병사단 동원지원단 | 충청북도 증평군 | 2010년 6월 1일 | [5] |
제39보병사단 동원지원단 | 경상남도 함안군 | 2015년 9월 30일 | [6] |
제50보병사단 동원지원단 | 경상북도 안동시 | 2009년 10월 1일 | |
제51보병사단 동원지원단 | 경기도 화성시 | ||
제52보병사단 동원지원단 | 경기도 안양시 | ||
제55보병사단 동원지원단 | 경기도 구리시 | ||
제56보병사단 동원지원단 | 경기도 남양주시 | ||
해병대 교육훈련단 동원지원단 | 경상북도 포항시 | 2014년 9월 1일 |
3. 3. 동원자원호송단
동원자원호송단은 전시에 동원자원을 수송하는 임무를 맡은 예비군 부대이다. 처음에는 제1야전군과 제3야전군 사령부 직할부대로 각각 창설되었다. 2019년 1월 1일, 대한민국 국방부가 두 야전군사령부를 통합하여 지상작전사령부를 창설하면서, 두 개의 동원자원호송단 또한 단일 부대로 통합되었다. 예하 부대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광명시, 고양시, 의정부시에 위치하고 있다.3. 4. 예비전력연구소
육군동원전력사령부 예하 기관으로, 예비 전력 관련 연구를 수행한다.4. 역대 사령관
중장으로 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