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37수송대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837수송대대는 대한민국 육군 예하 부대로, 한국 전쟁 중 창설되어 부산항을 운영하며, 베트남 전쟁 시기에는 군수 물자 수송을 지원했다. 1997년 제837수송대대로 개편되었으며, 현재 부산 제8부두를 운영하며 국군수송사령부 등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과거에는 캠프 하야리아에 주둔했으나, 폐쇄 이후 대구 캠프 헨리로 본부를 이전했다. 한국 전쟁 당시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의 수송대대 - 제836수송대대
제836수송대대는 1941년 창설된 미국 육군 수송 부대로, 주요 전쟁에 참전하여 육군을 지원했으며 냉전 시대를 거쳐 현재의 모습으로 재편, 한국 전쟁 지원 공로로 공로부대표창을 수여받고 괌과 알래스카에 파견대를 두고 있다. - 대구 남구 소재의 관공서 - 제19원정지원사령부
제19원정지원사령부는 1966년 창설되어 주한 미군의 군수 지원을 담당하며,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05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대구 남구 소재의 관공서 - 제403육군야전지원여단
제403육군야전지원여단은 1966년 서울에서 시작하여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07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주한 육군야전지원대대 등을 예하 부대로 두고 대한민국 캠프 험프리스와 일본 요코하마 북부부두에 주둔하는 미국 육군 소속 부대이다. - 1950년 설립 - 한국은행
한국은행은 대한민국 원의 발행권을 가지며 통화신용정책 수립 및 집행, 금융기관에 대한 여신 업무, 한국은행권 발행 등을 수행하는 무자본 특수법인이다. - 1950년 설립 -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의 통제를 받으며 군내 당 조직 및 근로 단체 활동 지도, 정치사상 교육, 선전, 선동을 담당하는 핵심 기관으로, 조직부가 군 간부 인사권을 행사하고 판문점대표부는 대남 정책 및 군사 전략 수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제837수송대대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제837수송대대 |
원어 이름 | 837th Transportation Battalion |
활동 기간 | 1950년 ~ 현재 |
국가 | 미국 |
소속 | 미국 육군 |
병과 | 수송대 |
규모 | 대대 |
명령 체계 | 제599수송여단 |
본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남구 캠프 헨리 |
별명 | Kargo King (화물왕) |
마스코트 | 거북선 |
참전 | 한국 전쟁 |
2. 역사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직후, 일본에서 ''제809임시항만사령부''로 편성되어 부산에 투입, 제2군수사령부에 예속되어 부산 항만을 운영하였다. 전쟁 중 ''제7주요항구대''로 개편되었고, 1953년 한국 전쟁 휴전 협정 체결 후 군항 규모 축소로 1955년 8132부대 제2수송터미널사령부 예하 ''부산 출항만대''로 재편성되었다.[2]
1967년 베트남 전쟁 당시 '부산 항만운영대'로서 한반도에서 베트남으로 파견되는 부대나 군수품 수송을 담당하였다.[2] 1971년 인천항의 ''제202수송터미널대대'' 해산으로 한반도 내 유일한 해양 터미널 운영 부대가 되었다.[2]
1997년 10월 1일, ''제837수송대대''로 개편됨과 동시에 제599수송터미널단으로 예속되었다.[2]
2006년까지 부산광역시 캠프 하야리아에 주둔하였고, 이후 대구광역시 캠프 헨리로 본부를 이전했다.[2]
현재 부산 제8부두를 운영하며, 국군수송사령부 예하 항만운영단, 국토안보부 부산사무소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2. 1. 한국 전쟁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에서 ''제809임시항만사령부''로 편성되어 부산에 투입되었다. 제2군수사령부에 예속되어 부산 항만을 운영하였다. 전쟁 도중 ''제7주요항구대''로 개편되었고, 한국 전쟁 휴전 협정이 맺어진 1953년 7월 6일부터 군항의 크기가 작아져 1955년 8132부대 제2수송터미널사령부의 ''부산 출항만대''로 재편성되었다.[2]2. 2. 베트남 전쟁
1967년 베트남 전쟁 당시 '부산 항만운영대'로서 한반도에서 베트남으로 파견되는 부대나 베트남에서 후송되어 온 군수품을 싣거나 내리는 일을 담당하였다.[2]2. 3. 1970년대 이후
1971년 인천항의 ''제202수송터미널대대''(202nd Transportation Battalion (Terminal)영어)가 해산되면서 한반도에 남은 유일한 해양 터미널 운영 부대가 되었다.[2]1997년 10월 1일, ''제837수송대대''로 개편됨과 동시에 제599수송터미널단으로 예속되었다.[2]
2006년까지 부산광역시 캠프 하야리아가 폐쇄되기 전까지 주둔하였고, 이후 대구광역시 캠프 헨리로 본부를 이전했다.[2]
3. 부대
부대 | 역할 |
---|---|
제76수송분견대 | 화물 감독 |
제195수송분견대 | 화물 문서화 |
제352수송분견대 | 계약 감독 |
제596수송분견대 | 화물 문서화 |
3. 1. 제76수송분견대
화물 감독 임무를 수행한다.[1]3. 2. 제195수송분견대
제195수송분견대는 화물 문서화 임무를 수행한다.[1]3. 3. 제352수송분견대
제352수송분견대는 계약 감독 임무를 수행한다.3. 4. 제596수송분견대
화물 문서화 임무를 수행한다.[1]4. 소속
제2군수사령부 (1950년), 제599수송터미널단 (1997년 10월 1일)에 배속되었다.
4. 1. 주요 소속 부대
- 제2군수사령부 (1950년)
- 제599수송터미널단 (1997년 10월 1일)
5. 계보
제837수송대대는 1950년 제809임시항만사령부로 창설된 이후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1997년 10월 1일 현재의 명칭이 되었다.[1]
5. 1. 부대 명칭 변천
- 1950년, 809th Port Command (Provisional)|제809임시항만사령부영어
- 195?년, 7th Major Port|제7요항만대영어
- 1955년, Pusan Outport|부산 출항만대영어
- 1967년, U.S. Army Port Operations Pusan|부산 항만운영대영어
- 1981년 10월 1일, Military Traffic Management Command Terminal-Pusan|MTMC-부산 터미널영어
- 1993년 1월 1일, 1317th Medium Port Command|제1317중형항만사령부영어
- 1997년 10월 1일, 837th Transportation Battalion|제837수송대대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