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젠더퀴어는 1990년대부터 사용된 용어로, 성별 이분법에 도전하는 사람들을 지칭한다. 젠더퀴어는 성 정체성에 관계없이 전통적인 성별 구분을 초월하거나 다른 것으로 인식되는 사람들을 포괄하며, 안드로진, 논바이너리 등 다양한 하위 정체성을 포함한다. 젠더퀴어는 양성성, 바이젠더, 트라이젠더, 팬젠더, 데미젠더, 에이젠더, 젠더리스, 젠더플루이드 등 다양한 세부 분류로 나뉘며, 자신을 지칭할 때 성별 이분법적인 대명사 대신 one, ze, they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트랜스젠더 정체성 - 카토이
카토이는 태국에서 트랜스젠더 여성을 지칭하는 용어로, 게이 남성을 포함하기도 하며, 사회적으로 비교적 폭넓게 수용되지만, 법적, 사회적 차별에 직면하여 관련 운동과 옹호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 트랜스젠더 정체성 - 에이젠더
에이젠더는 성별이 없다고 인식하는 젠더 정체성으로, 젠더리스나 뉴트로이스와 구별되며 성적 지향을 나타내는 에이섹슈얼과는 다른 개념이다. - 논바이너리 - 바이젠더
바이젠더는 두 가지 젠더 정체성을 가지는 사람을 의미하며, 젠더플루이드와는 다르게 두 가지의 분리된 젠더만을 가진다. - 논바이너리 - 키노피오
키노피오는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에 처음 등장한 버섯 왕국의 주민으로, 붉은색 버섯 갓을 쓰고 피치 공주의 시종이나 다양한 직업으로 등장하며, 슈퍼 마리오 시리즈의 거의 모든 게임에 출연한다. - 트랜스젠더 - 성전환 수술
성전환 수술은 성별 불쾌감을 겪는 트랜스젠더가 신체적 성별을 재확인하기 위해 받는 수술로, 생식기 재건술, 유방 절제술 등을 포함하며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한다. - 트랜스젠더 - 성전환
성전환은 생물학적 성이 수컷에서 암컷 또는 그 반대로 변하는 현상으로, 짝짓기 시스템이나 크기와 번식 성공 간의 관계에 따라 진화하며, 어류, 갑각류 등 다양한 생물에서 관찰되고, 인간의 경우 생식기 외관을 바꾸는 성별적합수술이 시행되기도 한다.
| 젠더퀴어 | |
|---|---|
| 젠더퀴어 | |
![]() | |
| 다른 이름 | 젠더 비순응 논바이너리 젠더 다양성 |
| 정체성 | |
| 정의 | 자신의 젠더 정체성이 남성이나 여성이라는 이분법적인 성별 범주에 속하지 않는 사람들 |
| 관련 개념 | 에이젠더 바이젠더 젠더플루이드 논바이너리 트랜스젠더 |
| 특징 | 사회적으로 규정된 성별 역할에 도전 다양한 젠더 표현 가능 성별 정체성에 대한 개인의 자유 중시 |
| 사회적 측면 | |
| 차별 | 사회적 편견과 차별에 직면할 수 있음 |
| 수용 | 사회적 인식 개선과 수용 확대 필요 다양한 젠더 정체성에 대한 이해 필요 |
| 법적 인정 | 일부 국가에서 논바이너리 성별의 법적 인정이 이루어지고 있음 |
| 기타 | |
| 관련 용어 | 성정체성 젠더 표현 시스젠더 성소수자 |
| 참고 자료 | 영문 위키백과 일본어 위키백과 한국어 위키백과 |
2. 용어
젠더퀴어라는 용어는 1990년대 리키 앤 윌친스를 필두로 한 정치적 운동가 사이에서 널리 쓰이기 시작했다. 윌친스는 1995년 In Your Face 제1호에 실린 에세이에서 성별에 맞지 않는 사람을 묘사하기 위해 젠더퀴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2000년대 이후 인터넷을 통해 젠더퀴어라는 용어가 더 널리 퍼졌고, 2010년대에는 젠더퀴어임을 공개적으로 밝힌 유명인들을 통해 이 용어가 소개되기 시작했다.[1]
젠더퀴어는 다양한 하위 정체성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출생 시 할당된 성과 일생 동안 동일한 성 정체성을 느끼며, 대개는 남성 또는 여성이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있으며, 남성과 여성의 성 이원론적 규범에서 벗어난 성 정체성을 가질 수 있다.[1] 이러한 사람들은 논바이너리, 바이젠더, 에이젠더, 젠더플루이드 등의 개별적인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모든 젠더퀴어 사람들이 트랜스젠더라고 인식하는 것은 아니다.[2]
성별 이분법적인 사회구조에 도전하는 사람들은 주로 자신들을 젠더퀴어로 자칭한다. 이분법에서 벗어난 정체성에 대한 포괄적인 용어 외에도, 젠더퀴어는 성 정체성과 상관없이 전통적인 성별 구분을 초월하거나 다른 것으로 인식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형용사로 사용되어 왔다.
젠더퀴어에 속하는 안드로진(androgynous)이라는 용어도 젠더퀴어 범주에 속하는 사람들을 설명하는 용어로 자주 사용된다. 안드로진은 남성을 뜻하는 andro-와 여성을 뜻하는 gene이 합쳐진 용어로, 사회적으로 정의된 남성성과 여성성의 혼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안드로진은 젠더퀴어에 속한 젠더 정체성 중 하나로 모든 젠더퀴어가 안드로진은 아니다. 일부 젠더퀴어들은 성별 이분법에서 벗어났다는 뜻으로 쓰이는 논바이너리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3. 분류
3. 1. 세부 분류
| 젠더 정체성 | 설명 |
|---|---|
| 안드로진 | 중성적, 양성적 젠더 정체성이다. |
| 바이젠더 | 남성 정체성과 여성 정체성, 개별적인 두 가지 정체성을 가진다. |
| 트라이젠더 | 남성, 여성, 제3의 성 세 가지 젠더를 가진다. |
| 팬젠더 | 모든 젠더를 가지고 있다. |
| 데미젠더 | 부분적으로 남성, 여성, 안드로진의 젠더를 느낀다. |
| 에이젠더 | 자신을 어떤 성별로도 인식하지 않는다. |
| 젠더리스 | 성별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느낀다. |
| 젠더플루이드 | 성별 정체성이 고정적이지 않고 액체처럼 유동적이다. |
4. 젠더 표현
젠더퀴어 사람들의 젠더 표현은 사람마다 다르며, 의복이 남성적인 사람도 있고 여성적인 사람도 있으며, 중성적인 외모를 선호하는 사람도 있다.[1]
5. 지칭어
대체적으로 젠더퀴어들은 자신들을 지칭할 때 one, ze, sie, hir, co, ey 또는 they, their, them 등의 성별 이분법에서 벗어난 대명사들을 사용한다. 성별 이분법적인 대명사인 he, she, him, her 등을 사용하고 싶지 않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또한, 성별 이분법적인 Ms, Mr 이 아닌 Mx를 붙임으로써 자신들을 표현한다.
참조
[1]
웹사이트
Genderqueer: What Does It Mean?
https://www.webmd.co[...]
WebMD
2024-03-10
[2]
웹사이트
What Is Genderqueer?
https://www.verywell[...]
Verywell Health
2024-03-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