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규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규설은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천군 출신으로, 보성전문학교와 문화학원을 졸업했다. 미주동지회 연락원, 펑위샹 군 참모부 문화과원, 고려요업 주식회사 사장 등을 역임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북 영천에서 당선되었으나, 한국 전쟁 중 납북되었다. 이후 북한에서 재북 평화통일 촉진 협의회 중앙위원으로 활동하다가 1956년 요양 시설에 수용된 후 소식이 알려지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월북자 - 박태원 (1909년)
    박태원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로, 모더니즘 소설을 주로 썼으며,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
  • 월북자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창녕 조씨 - 조대환
    조대환은 강력 및 특수 분야 수사를 담당한 검사 출신 법조인으로, 변호사 개업 후 삼성 비자금 의혹 특별검사보,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부위원장,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하며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활동 및 대우조선해양 사외이사 추천과 관련하여 논란이 있었다.
  • 창녕 조씨 - 조만식
    조만식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민족주의 지도자이자 독립운동가로, 간디의 비폭력 저항 사상에 영향을 받아 실력 양성 운동에 참여하고 신탁통치 반대 운동을 주도했으나, 한국 전쟁 중 처형되었다.
  • 대한민국의 제2대 국회의원 - 김시현 (1883년)
    김시현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2대 및 제5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당선되었다.
  • 대한민국의 제2대 국회의원 - 권중돈
    권중돈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무소속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민주당, 신민당 등 야당에서 활동하며 5선 국회의원을 지낸 인물이다.
조규설
조규설
조규설의 사진
조규설
기본 정보
출생1891년
사망1950년 9월 28일
직업대한민국의 정치인
대한민국 국회
소속 정당대한독립촉성국민회
선거구전라북도 김제군
당선 횟수1회
이력
주요 이력제2대 국회의원
제헌 국회의원
기타 정보
6.25 전쟁6.25 전쟁 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의해 납북
가족 관계6남매

2. 약력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천군(현 영천시) 출신으로, 1950년 5월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 경북 영천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1][3] 한국 전쟁 중 북한에 납치되어 1956년 재북 평화통일 촉진 협의회 중앙위원을 맡았다. 같은 해 10월, 병으로 요양 시설에 수용된 후 소식이 끊겼다.[4]

2. 1. 학력

2. 2. 경력

학력
보성전문학교 졸업
문화학원 졸업



경력
미주동지회 연락원
춘추잡지사 연락원
펑위샹 군 참모부 문화과원 (육군 중위)
고려요업 주식회사 사장
조선요업협회 부회장
대한식량공사 이사장
대한식량영단 부이사장
1950년 5월 제2대 국회의원 (경북 영천, 무소속)
1956년 재북 평화통일 촉진 협의회 중앙위원[4]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천군(현 영천시) 출신이다.[1][3] 한국 전쟁 당시 북한에 납치되었으며, 1956년 10월 병으로 요양 시설에 수용된 후 소식은 알 수 없다.[4]

3. 정치 활동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천군(현 영천시) 출신이다. 보성전문학교, 문화학원을 졸업하였다. 미주동지회, 춘추잡지사 연락원, 펑위샹 군 참모부 문화과원(육군 중위), 고려요업 주식회사 사장, 조선요업협회 부회장, 대한식량공사 이사장, 대한식량영단 부이사장을 역임했다.[1][3]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북 영천군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으나, 한국 전쟁 당시 북한에 납치되었다.[4]

3. 1.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5월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 경상북도 영천군 을 선거구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1][3] 한국 전쟁 중 북한에 납치되었으며, 1956년 재북 평화통일 촉진 협의회 중앙위원을 맡았다. 같은 해 10월, 병으로 요양 시설에 수용되었던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후 소식은 불명이다.[4]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영천군 을)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 여부비고
무소속조규설11,039표36.06%1위당선초선


3. 2. 납북 이후 행적

1950년 5월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북 영천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한국 전쟁 당시 북한에 납치되었으며, 이후 1956년 재북 평화통일 촉진 협의회 중앙위원을 맡았다. 같은 해 10월, 병으로 요양 시설에 수용되었던 것으로 알려졌으나 그 후 소식은 불명이다.[4]

4.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50년총선무소속11,039표 (36.06%)1위당선초선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3-11-16
[2] 웹사이트 2815.조규설 -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http://www.kwafu.org[...] 2023-11-16
[3] 웹사이트 자료일람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s://db.history.g[...] 2023-11-16
[4] 웹사이트 북한총람 중 납북인사명단(4)-아자차하 -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http://www.kwafu.org[...] 2023-11-16
[5] 뉴스 죽음의 歲月 (19) http://gonews.kinds.[...] 동아일보 1962-04-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