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천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천시는 경상북도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삼한 시대 골벌국에서 시작하여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겪었다. 1981년 영천읍이 시로 승격되었고, 1995년 영천시와 영천군이 통합되었다. 주요 지형으로는 보현산과 팔공산이 있으며, 금호강 상류가 흐른다. 중앙선, 대구선 철도와 경부고속도로, 새만금포항고속도로 등이 지나 교통의 요지이다. 주요 관광지로는 보현산천문대, 임고서원, 은해사 등이 있으며, 포도, 한방약초, 별빛 축제 등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교육 기관으로는 육군3사관학교, 성덕대학교, 여러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가 있다. 영천시장은 최기문이며, 국회의원은 이만희이다. 자매 도시로는 일본 구로이시시, 미국 시애틀, 중국 카이펑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천시의 행정 구역 - 청통면
    청통면은 경상북도 영천시에 위치하며, 1914년 두 면의 통합으로 설치되었고, 15개의 법정리와 행정리, 그리고 청통초등학교, 청통중학교와 거조암 영산전 등의 문화재를 포함한다.
  • 영천시의 행정 구역 - 금호읍
    금호읍은 경상북도 영천시에 속하며, 21개의 리로 구성되어 1914년 영천군 금호면으로 설치되어 1973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금호역, 금호초등학교 등 주요 시설과 교육 기관을 갖춘 곳이다.
  • 영천시 - 영천 전투
    영천 전투는 6.25 전쟁 중 조선인민군이 영천을 점령한 후 대한민국 국군과 벌인 치열한 전투로, 국군의 반격과 미군의 지원으로 북한군을 섬멸하며 전세를 역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영천시 - 보현산천문대
    보현산천문대는 1996년 준공된 대한민국의 천문 관측 시설로, 1.8m 반사망원경을 비롯한 관측 장비를 갖추고 천체 관측 연구, 거대질량 블랙홀 연구, 태양계 외 행성 탐색 등의 연구를 수행하며 소행성 보현산 발견 및 일반인 대상 공개 행사도 진행한다.
  • 경상북도의 도시 - 상주시
    상주시는 경상북도 서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사벌국에서 유래하여 신라, 고려, 조선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농업 기반 경제, 풍부한 문화유적, 뛰어난 교통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고, 현재 인구 감소에 대응하며 경제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경상북도의 도시 - 구미시
    구미시는 경상북도 중서부에 위치하며, 구미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급속한 산업화를 이루어 대한민국 경제 성장에 기여하고,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자원을 보유한 인구 약 40만 명의 도시이다.
영천시
지도 정보
대한민국 내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영천시
한글 표기영천시
한자 표기永川市
로마자 표기Yeongcheon-si
맥큔-라이샤워 표기Yŏngch'ŏn-si
국가대한민국
지역영남
면적919.76km²
인구 (2024년 9월)99,034명
인구 밀도123.7명/km²
방언경상 방언
행정 구역1읍 10면 5동
전화 지역 번호+82-54
시청 소재지경상북도 영천시 시청로 28 (문외동 27)
시목은행나무
시화장미
시조비둘기
홈페이지영천시청 공식 웹사이트
영천시청
영천시 엠블럼
영천시 기
정치
시장최기문 (무소속)
국회의원이만희 (국민의힘, 영천시·청도군)
추가 정보 (2023년 기준)
총 인구100,212명
남자 인구51,137명
여자 인구49,075명

2. 역사


  • 삼한시대 부족국가 골벌국(骨伐小國)이 형성되었다.
  • 신라시대 절야화군(切也火郡)으로 칭하였다.
  •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 임고군(臨皐郡)으로 개칭하고, 양주(현 양산시)에 속했다. 영현으로 도동현(道同縣), 임천현(臨川縣), 장진현(長鎭縣), 신령현(新寧縣), 맹백현(黽白縣)을 관할하였다.
  • 925년 (신라 경애왕 2년) 고울부(高鬱府)로 개칭하고, 도동현, 임천현, 맹백현, 이지현(梨旨縣)을 관할하였다.
  • 940년 (고려 태조 23년) 도동현·임천현을 병합하고 영주군으로 개칭하였다.
  • 995년 (고려 성종 14년) 자사(刺史)를 두었다.
  • 1018년 (고려 현종 9년) 경주대도호부(현 경주시)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
  • 1172년 (고려 명종 2년) 감무(監務)를 두면서 독립하였다.
  • 1383년 (고려 우왕 9년) 영주(永州)로 승격하고, 지주사(知州事)를 두었다.
  • 1414년 (조선 태종 14년) 영천군(永川郡)으로 개칭하고, 지군사(知郡事)를 두었다.
  • 1467년 (조선 세조 12년) 군수를 두었다.
  • 1522년 (조선 중종 17년) 영천현(永川縣)으로 강등되었다.
  • 1533년 (조선 중종 28년) 영천군으로 환원되었다.
  • 1895년 6월 23일 (조선 고종 32년 음력 윤 5월 1일) 대구부 영천군으로 개편되었다.[14]
  • 1896년 (건양 원년) 8월 4일 경상북도 영천군으로 개편되었다.[15]
  • 1900년 이후의 행정 구역 개편은 영천시의 행정 구역#역사를 참조

2. 1. 삼한시대 ~ 통일신라

삼한시대 부족국가 골벌국(骨伐小國)이 형성되었다. 신라시대 절야화군(切也火郡)으로 칭하였다.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 임고군(臨皐郡)으로 개칭하고, 양주(현 양산시)에 속했다. 영현으로 도동현(道同縣), 임천현(臨川縣), 장진현(長鎭縣), 신령현(新寧縣), 맹백현(黽白縣)을 관할하였다.

2. 2. 고려시대

925년 (신라 경애왕 2년) 고울부(高鬱府)로 개칭하고, 도동현, 임천현, 맹백현, 이지현(梨旨縣)을 관할하였다. 940년 (고려 태조 23년) 도동현·임천현을 병합하고 영주군으로 개칭하였다. 995년 (고려 성종 14년) 자사(刺史)를 두었다. 1018년 (고려 현종 9년) 경주대도호부(현 경주시)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 1172년 (고려 명종 2년) 감무(監務)를 두면서 독립하였다. 1383년 (고려 우왕 9년) 영주(永州)로 승격하고, 지주사(知州事)를 두었다.

2. 3. 조선시대 ~ 일제강점기

1414년 (조선 태종 14년) 영천군(永川郡)으로 개칭하고, 지군사(知郡事)를 두었다.[14] 1467년 (조선 세조 12년) 군수를 두었다.[14] 1522년 (조선 중종 17년) 영천현(永川縣)으로 강등되었다가,[14] 1533년 (조선 중종 28년) 영천군으로 환원되었다.[14]

1895년 6월 23일 (조선 고종 32년 음력 윤 5월 1일) 대구부 영천군으로 개편되었다가,[14] 1896년 (건양 원년) 8월 4일 경상북도 영천군으로 개편되었다.[15] 1914년 4월 1일 군면병합에 따라 영천군, 신녕군의 대부분(남면 제외), 흥해군 북안면을 영천군으로 편성하였다.(14면)[9]

2. 4. 대한민국

삼한시대 부족국가 골벌국(骨伐小國)이 형성되었다.[14] 신라시대 절야화군(切也火郡)으로 칭하였다.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 임고군(臨皐郡)으로 개칭하고, 양주(현 양산시)에 속했다. 영현으로 도동현(道同縣), 임천현(臨川縣), 장진현(長鎭縣), 신령현(新寧縣), 맹백현(黽白縣)을 관할하였다. 925년 (신라 경애왕 2년) 고울부(高鬱府)로 개칭하고, 도동현, 임천현, 맹백현, 이지현(梨旨縣)을 관할하였다. 940년 (고려 태조 23년) 도동현·임천현을 병합하고 영주군으로 개칭하였다. 995년 (고려 성종 14년) 자사(刺史)를 두었다. 1018년 (고려 현종 9년) 경주대도호부(현 경주시)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 1172년 (고려 명종 2년) 감무(監務)를 두면서 독립하였다. 1383년 (고려 우왕 9년) 영주(永州)로 승격하고, 지주사(知州事)를 두었다. 1414년 (조선 태종 14년) 영천군(永川郡)으로 개칭하고, 지군사(知郡事)를 두었다. 1467년 (조선 세조 12년) 군수를 두었다. 1522년 (조선 중종 17년) 영천현(永川縣)으로 강등되었다. 1533년 (조선 중종 28년) 영천군으로 환원되었다. 1895년 6월 23일 (조선 고종 32년 음력 윤 5월 1일) 대구부 영천군으로 개편되었다.[14] 1896년 (건양 원년) 8월 4일 경상북도 영천군으로 개편되었다.[15] 1981년 7월 1일 영천군 영천읍이 영천시로 승격되었다. 1983년 2월 15일 영천군 금호읍, 청통면, 화산면의 일부를 편입하였다. 1987년 1월 1일 영천군 임고면의 일부를 편입하였다. 1989년 1월 1일 영천군 청통면의 일부를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영천시와 영천군이 합병하여 영천시가 발족하였다(읍 1개, 면 10개).[14][15]

3. 지리

3. 1. 위치

영천시는 서울에서 동남쪽으로 350km 지점에 위치하며, 경상북도의 동남부에 자리잡고 있다.[16] 동쪽은 경주시포항시, 서쪽은 경산시대구광역시, 남쪽은 청도군, 북쪽은 청송군군위군이 접하고 있어 경북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16]

태백산맥의 지류인 보현산과 서쪽으로 팔공산, 동쪽으로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312875&cid=40942&categoryId=37713 운주산]이 둘러싸고 있으며, 남천(자호천, 고경천)과 북천(신녕천, 고현천)이 합류하여 금호강 상류를 형성하고 있다.[17] 영천시의 면적은 920.29km2경상북도의 4.8%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 임야 69%, 경지 18%, 기타 13%로 구성되어 있다.[17] 중앙선대구선 철도가 동서로 뻗쳐 있고 경부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등이 통과하고 있는 4통 5달의 교통 요충지이다.[17]

3. 2. 지형 및 수계

3. 3. 지질

중생대에 형성된 경상 분지 한가운데에 위치한 영천시는 지질의 대부분이 퇴적암 지층인 경상 누층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부 팔공산과 북부 보현산 일부 지역에 중생대에 관입한 화강암이 분포한다.[20]

3. 4. 기후

영천시의 기후는 온화한 편이며, 연평균 기온은 12.8℃, 연평균 강수량은 1,085.9mm이다.[18][19]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5.58.313.619.924.927.629.930.526.221.514.67.5
평균 기온 (℃)-0.51.76.612.717.821.725.025.320.414.17.31.1
평균 최저 기온 (℃)-5.9-4.20.05.310.816.321.021.215.57.91.1-4.4
강수량 (mm)22.126.050.076.485.8126.0229.8233.2137.648.631.618.8
평균 강수일수 (0.1 mm 기준)4.65.17.17.68.79.513.613.18.94.75.04.4
평균 상대 습도 (%)56.856.257.056.160.367.774.775.074.268.965.059.9
일조 시간166.2184.3211.1220.4234.3191.2163.4180.0162.0191.6155.7153.2



영천시의 최고 기온 극값은 1994년 7월 20일에 기록된 39.4℃이고, 최저 기온 극값은 1981년 1월 17일에 기록된 -20.5℃이다.[10][11]

4. 행정 구역



영천시의 행정구역은 1읍 10면 5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천시의 면적은 920.29 km2로 경상북도의 4.8%를 차지하고 있다.[21] 인구는 2012년 12월말 기준으로 45,328세대 103,969명이다.[22]

읍면동한자세대인구면적
금호읍琴湖邑5,93612,46551.55
청통면淸通面2,1544,75367.26
신녕면新寧面2,1944,59981.09
화산면花山面1,6533,59753.48
화북면華北面1,1502,32387.26
화남면華南面1,6403,31079.34
자양면紫陽面6481,23589.44
임고면臨皐面2,0514,39488.15
고경면古鏡面2,8626,561120.57
북안면北安面2,3494,91871.19
대창면大昌面1,5943,46450.93
동부동東部洞10,39127,52110.76
중앙동中央洞3,95210,04020.44
서부동西部洞2,6305,80116.64
완산동完山洞2,2464,8705.07
남부동南部洞1,8784,11827.17



영천시의 행정구역

5. 인구

대구와 포항, 경주 도시권 발달로 인하여 인구가 감소하여 2000년대 후반부터 10만 명 아래로 떨어졌다.[23] 2016년 경주 지진 발생 이후 경주, 포항 일원으로부터 인구가 유입되어 소폭 증가하였다.[23]


  • 영천시(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23]


연도총인구
1975년184,497명
1980년157,859명
1985년139,999명
1990년120,565명
1995년113,511명
2000년111,392명
2005년104,012명
2010년95,256명
2015년97,669명
2017년100,255명


6. 산업

7. 문화·관광

보현산천문대한국천문연구원 산하의 천문학 연구 기관으로서,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보현산 정상에 건설되었다. 한국에서 가장 큰 1.8m 반사망원경 및 태양 플레어 망원경 등 다수의 천체 관측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24]

수난이대, 나룻터 이야기로써 전쟁으로 인한 민중의 수난사를 서술한 소설가 하근찬 작가가 경상북도 영천시가 고향이다.

임고서원, 은해사, 시안미술관, 돌할매, 영천댐 등이 주요 관광지이다. 그 외에도 정각리 삼층석탑, 거조암, 만불사, 영천 조양각, 도계서원, 한약재전시관 등이 있다. 운주산 승마자연휴양림은 영천시가 임고면 황강리 73ha의 소나무 숲에 조성한 곳으로, 숲속에서 쉬며 승마를 즐길 수 있다.[24]

도계서원은 조선 3대 시가인으로 꼽히는 노계 박인로 선생의 위패를 모신 곳으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68호로 지정된 박노계집 판목이 보관되어 있다.

영천을 찾는 관광객은 적지만, 은해사, 전쟁기념공원, 시안아트갤러리, 영천댐, 정씨세원, 그리고 갓바위 등이 인기있다.

영천시에서는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보현산천문대를 중심으로 여름에 열리는 보현산 별빛축제에는 한국에서 세 번째로 큰 망원경이 설치되어 있다. 늦여름에는 포도축제가 열려 미스 포도 선발대회, 포도 먹기 대회 등의 행사가 개최된다. 10월에는 한방약초축제가 열리는데, 전통 음악 공연과 함께 480여 종의 약초를 선보인다. 영천 포도로 만든 약초와 와인 축제도 유명하다.

7. 1. 축제

영천시에서는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보현산천문대를 중심으로 여름에 열리는 보현산 별빛축제에는 한국에서 세 번째로 큰 망원경이 설치되어 있다. 늦여름에는 포도축제가 열려 미스 포도 선발대회, 포도 먹기 대회 등의 행사가 개최된다. 10월에는 한방약초축제가 열리는데, 전통 음악 공연과 함께 480여 종의 약초를 선보인다. 영천 포도로 만든 약초와 와인 축제도 유명하다.

7. 2. 주요 관광지

보현산천문대한국천문연구원 산하의 천문학 연구 기관으로서,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보현산 정상에 건설되었다. 한국에서 가장 큰 1.8m 반사망원경 및 태양 플레어 망원경 등 다수의 천체 관측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24] 임고서원, 은해사, 시안미술관, 돌할매, 영천댐 등이 주요 관광지이다. 그 외에도 정각리 삼층석탑, 거조암, 만불사, 영천 조양각, 도계서원, 한약재전시관 등이 있다. 운주산 승마자연휴양림은 영천시가 임고면 황강리 73ha의 소나무 숲에 조성한 곳으로, 숲속에서 쉬며 승마를 즐길 수 있다.[24] 영천을 찾는 관광객은 적지만, 은해사, 전쟁기념공원, 시안아트갤러리, 영천댐, 정씨세원, 그리고 갓바위 등이 인기있다.

8. 교통

영천에서 운행하고 있는 시내버스로, 해당 노선 번호는 750-1번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해당 차량은 대차 직전에 운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 철도 ====

한국철도공사 중앙선대구선이 영천시를 지난다. 중앙선모량·아화역에서 영천역을 거쳐 북영천역신녕역으로 이어진다. 대구선경산·하양역에서 금호역봉정역을 거쳐 영천역으로 연결된다. 영천삼각선은 북영천역에서 금호역을 잇는다.

==== 도로 ====

경부고속도로는 경산시에서 영천 분기점영천 나들목을 거쳐 경주시로 이어진다. 새만금포항고속도로는 대구광역시에서 청통와촌 나들목, 화산 분기점, 북영천 나들목을 지나 포항시로 연결된다. 영천상주고속도로는 대구광역시에서 시작하여 신녕 나들목, 화산 분기점, 동영천 나들목, 북안 나들목, 영천 분기점을 지난다.

국도 제4호선, 국도 제28호선, 국도 제35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이 영천시를 통과한다.

==== 버스 ====

영천시에서는 영천시외버스터미널에서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영천시의 시내버스는 지역 내 이동에 편리하다.

8. 1. 철도

한국철도공사 중앙선대구선이 영천시를 지난다. 중앙선모량·아화역에서 영천역을 거쳐 북영천역신녕역으로 이어진다. 대구선경산·하양역에서 금호역봉정역을 거쳐 영천역으로 연결된다. 영천삼각선은 북영천역에서 금호역을 잇는다.

8. 2. 도로

경부고속도로는 경산시에서 영천 분기점영천 나들목을 거쳐 경주시로 이어진다. 새만금포항고속도로는 대구광역시에서 청통와촌 나들목, 화산 분기점, 북영천 나들목을 지나 포항시로 연결된다. 영천상주고속도로는 대구광역시에서 시작하여 신녕 나들목, 화산 분기점, 동영천 나들목, 북안 나들목, 영천 분기점을 지난다.

국도 제4호선, 국도 제28호선, 국도 제35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이 영천시를 통과한다.

8. 3. 버스

영천시에서는 영천시외버스터미널에서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영천시의 시내버스는 지역 내 이동에 편리하다.

9. 교육

영천시에는 다양한 교육기관이 있다. 육군3사관학교가 영천시에 위치하고 있다.


10. 군사

영천시에는 육군3사관학교, 화산유격장, 제2탄약창 등 군사 시설이 있다.

11. 정치 · 행정

영천시장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당선된 최기문이다. 영천시의 국회의원은 이만희이다.

12. 자매 도시

영천시는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6]

13. 출신 인물

영천 출신의 저명한 인물로는 고려 시대 장군 최무선과 고려의 유학자 정몽주가 있다. 또한 한국 전쟁 당시 봉급 없이 근무하며 고위직에 오른 한국 전쟁 영웅 백군상 장군의 고향이기도 하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영천 주요 기업 리스트 https://informative.[...] 2024-11-30
[3]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4]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5]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01-01
[6] 웹사이트 Sister Cities https://www.yc.go.kr[...] Yeongcheon 2020-04-14
[7] 웹사이트 Buffalo Sister Cities https://www.buffalon[...] Buffalo 2023-01-05
[8]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9] 법령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10]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영천(281)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11]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영천(281)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12]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3]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4] 법령 칙령 제98호 지방제도의개정에관한안건
[15] 법령 칙령 제36호 지방제도와관제개정에관한안건
[16] 웹사이트 영천시의 위치와 기후 http://www.yc.go.kr/[...] 2011-07-28
[17] 웹사이트 영천시의 행정 구역 http://www.yc.go.kr/[...] 2011-07-28
[18]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영천(281)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19]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영천(281)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20] 웹인용 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1] 웹인용 영천시의 행정 구역 https://web.archive.[...] 2011-07-28
[22] 웹사이트 영천시의 인구 http://www.yc.go.kr/[...]
[23] 웹사이트 KOSIS 국가통계포털 통계청
[24] 뉴스 승마 즐기고 야영·물놀이 … 운주산 휴양림 오늘 개장 https://web.archive.[...] 중앙일보사 2009-06-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