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나골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나골드는 사과 품종 중 하나로, 1943년 미국 뉴욕주 농업시험장에서 골든 딜리셔스와 홍옥을 교배하여 개발되었다. 자가불화합성을 가지며, 과실은 크고 등적색을 띠며, 단맛과 신맛의 조화가 뛰어나 식미가 좋고 저장성이 우수하다. 일본에서는 10월에서 11월에 수확하며, 흑성병, 적성병, 화상병에 약하다. 조나골드는 다수의 파생 품종을 가지고 있으며, 일본과 유럽에서 생산량이 많은 품종 중 하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조나골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조나골드' |
학명 | Malus 'Jonagold' |
품종 | '조나골드' |
교배종 | '골든데리셔스' × '조나단' |
원산지 | 미국 뉴욕주 제네바, 1943년 |
로마자 표기 | 'jonagold' |
발음 | IPA: /ˌdʒɒnəˌɡoʊld/ |
품종 정보 | |
특징 | 껍질은 노란색 바탕에 붉은색 줄무늬가 있다. 과육은 단단하고 과즙이 풍부하며, 단맛과 신맛이 조화롭다. |
용도 | 생식용, 가공용 |
수확 시기 | 9월 하순 ~ 10월 상순 |
재배 지역 | 전 세계 |
병충해 | 흰가루병에 약함 |
수상 | 미국 원예학회 우수 과일 품종상 (2013) |
기타 정보 | |
품종 등록 번호 | PP5937 |
관련 링크 | '사과 흰가루병' '미국 사과 협회 품종 정보' '조나골드 품종 특허' |
2. 특징
조나골드는 자가불화합성 관련 S유전자형은 S₂S₃S₉이다.[18] 다수확성이며, 조기낙과 및 후기낙과는 적다.[18] 삼배체이므로 화분 수확률은 낮다.[18] 중생 품종이며, 일본에서 수확기는 10월부터 11월이다.[9] 흑성병, 적성병, 화상병에 약하다.[10]
과실은 다소 크고 무게는 300g–400g이며, 원형에서 장원추형이다.[11][13] 과피는 등적색이며, 줄무늬 모양으로 색이 든다.[11][13] 과피에서 리놀레산과 올레산 등 불포화지방산을 분비하여 과실 표면이 반짝이며 끈적거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유아がり"라고 부른다.[11][12] 향이 있으며, 과육은 치밀하고 단맛이 비교적 강하지만(당도 14–15%), 신맛도 강하다(산도 0.5% 전후). 감미와 신맛의 조화가 좋아 식미가 좋으며, 생식 외에도 주스 등 가공용으로 적합하다.[11][18][13][9] 비교적 저장성이 좋다.[11]
2. 1. 과실 특성
조나골드는 자가불화합성 관련 S유전자형은 S₂S₃S₉이다.[18] 다수확성이며, 조기낙과 및 후기낙과는 적다.[18] 삼배체이며, 화분 수확률은 낮다.[18] 중생 품종이며, 일본에서 수확기는 10월부터 11월이다.[9] 흑성병, 적성병, 화상병에 약하다.[10]과실은 다소 크고 무게는 300–400그램이며, 원형에서 장원추형이다.[11][13] 과피는 등적색이며, 줄무늬 모양으로 색이 든다.[11][13] 과피에서 리놀레산과 올레산 등 불포화지방산을 분비하여 과실 표면이 반짝이며 끈적거리는 경우가 있다( "유아がり"라고 부른다).[11][12] 향이 있으며, 과육은 치밀하고 단맛이 비교적 강하지만(당도 14–15%), 신맛도 강하다(산도 0.5% 전후). 감미와 신맛의 조화가 좋아 식미가 좋으며, 생식 외에도 주스 등 가공용으로 적합하다.[11][18][13][9] 비교적 저장성이 좋으며, 무봉지 재배의 경우 상온에서 약 1개월, 일반 냉장에서 2–3개월, 유봉지 재배의 경우 CA저장으로 약 5개월 저장할 수 있다.[11]
2. 2. 저장성
조나골드는 비교적 저장성이 좋은 품종이다. 무봉지 재배를 할 경우 상온에서 약 1개월, 일반 냉장에서는 2–3개월 동안 저장할 수 있다. 유봉지 재배를 할 경우에는 CA저장을 통해 약 5개월까지 저장 기간을 늘릴 수 있다.[11]2. 3. 병충해 저항성
흑성병, 적성병, 화상병에 약하다.[10]3. 생산 현황
‘조나골드’는 일본에서 대표적인 중생종 사과 품종이다.[14] 2023년도 일본에서 ‘조나골드’의 생산량은 37000ton이며, 사과 총생산량(603800ton)의 약 6%를 차지한다. ‘후지’, ‘쓰가루’, ‘왕림’에 이어 일본에서 생산량이 네 번째로 많은 품종이다.[15]
2015년 세계(중국 제외) 사과 생산량에서 ‘조나골드’는 7위를 차지하며 2.76%를 점유했다.[16] 2022-2023년 유럽에서 ‘조나골드’ 생산량은 21,101,363부셸이며, 전체 생산량의 3.3%를 차지하여 품종별로는 7위였다.[17] 같은 기간 ‘조나골드’의 가지변이 품종(아래 참조)인 ‘레드조나프린스’는 5위, ‘조나고레드’는 14위였다.[17]
4. 역사
1943년, 미국 뉴욕주 농업시험장(New York State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에서 골든 딜리셔스를 모본으로, 홍옥(Jonathan)을 부본으로 하는 교배가 이루어졌다.[11][18][19] 1953년에 그 실생에서 선발되어 1968년에 ‘Jonagold’로 정식 발표되었다.[18] 품종명 ‘조나골드’(Jonagold)는 부모 품종명에서 유래한다.[20]
일본에서는 1970년(쇼와 45년)에 아키타현 과수시험장에 처음 도입되었다.[18][21]
5. 파생 품종
조나골드는 다양한 파생 품종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접목 과정에서 발생하는 돌연변이인 '가지치기'를 통해 새로운 품종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5. 1. 주요 파생 품종
- 시나노 스위트 (후지 × 조나골드)
- 엑셀 조나골드
- 조나고레드
사과는 접목을 통해 증식하기 때문에, 같은 품종은 유전적으로 동일한 클론이지만, 드물게 돌연변이가 발생하여 가지나 나무의 일부가 다른 부분과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이를 "가지치기"라고 하며, 이로부터 새로운 품종이 만들어지는 경우가 있다.[22] 조나골드의 가지치기에서 유래한 품종으로는 수확 시기가 약간 빠른 ‘얼리조나’, ‘뉴조나골드’[23], ‘Jorayca’[24], 과일의 기름기가 없는 ‘모리타조나’[25], 색깔이 좋은 ‘Crowngold’[24], ‘Decosta’[24], ‘Jomured’[24], ‘조나고레드’[26], ‘Jonica’[24], ‘Jored’[24], ‘King Jonagold’[24], ‘모렌즈’[27][28], ‘레드조나프린스’[24], ‘Rubinstar’[24] 등이 있다.
참조
[1]
논문
'Jonagold' apple
American Pomological Society
1991
[2]
논문
Varieties of Commercial Interest: 'JONAGOLD'
Cornell University
1997
[3]
웹사이트
Powdery mildew of apples
http://agriculture.v[...]
2021-08-15
[4]
논문
The ASHS Outstanding Fruit Cultivar Award: A 25-year Retrospective
https://journals.ash[...]
2013-01-01
[5]
웹사이트
The largest Belgian apple variety in terms of quantity is Jonagold
https://www.belgianf[...]
2021-10
[6]
웹사이트
Varieties
https://web.archive.[...]
[7]
서적
Obstsorten – Atlas
Ulmer (Eugen)
1996
[8]
웹사이트
Apple tree--Jonagored - Patent # PP5937 - PatentGenius
https://web.archive.[...]
2006-10-10
[9]
웹사이트
ジョナゴールド
https://vegemart.net[...]
JA全農
2024-10-18
[10]
웹사이트
'Malus' 'Jonagold'
https://www.missouri[...]
Missouri Botanical Garden
2024-10-18
[11]
웹사이트
ジョナゴールド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0-18
[12]
웹사이트
第17回 「ジョナゴールド」果皮の「油あがり」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0-09
[13]
웹사이트
りんごの品種
https://www.aomori-r[...]
一般社団法人青森県りんご対策協議会
2024-10-18
[14]
웹사이트
第14回 早生品種のエース「つがる」
https://www.ringodai[...]
2024-10-18
[15]
웹사이트
令和5年産りんごの結果樹面積、収穫量及び出荷量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24-10-05
[16]
웹사이트
第2回 世界のリンゴ品種
https://www.ringodai[...]
2024-10-18
[17]
웹사이트
Industry Outlook 2023
https://usaa.memberc[...]
U.S. Apple Association
2024-11-11
[18]
서적
果樹園芸学
文永堂出版
[19]
웹사이트
Jonagold
https://www.national[...]
National Fruit Collection
2024-10-30
[20]
웹사이트
ジョナゴールド リンゴ
https://www.kudamono[...]
果物ナビ
2024-10-18
[21]
웹사이트
ジョナゴールド
https://life.ja-grou[...]
JAグループ
2024-10-18
[22]
웹사이트
アーリージョナ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0-18
[23]
웹사이트
ニュージョナゴールド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0-18
[24]
웹사이트
Jonagold
https://www.national[...]
National Fruit Collection
2024-10-18
[25]
웹사이트
モリタジョナ
https://www.ringodai[...]
りんご大学
2024-10-18
[26]
웹사이트
Jonagored
https://pomiferous.c[...]
Pomiferous.com
2024-12-08
[27]
웹사이트
モーレンズ(Jonagored) リンゴ
https://www.kudamono[...]
果物ナビ
2024-10-18
[28]
웹사이트
Morren's Jonagored
https://pomiferous.c[...]
Pomiferous.com
2024-1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