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세프 월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세프 월시는 복소해석학 분야의 연구에 기여한 수학자이다. 유리 함수에 의한 보간 및 근사 이론을 주로 연구했으며, 그린 함수의 임계점 위치, 최대 다항식의 영점, 스플라인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그는 다항식 근의 위치, 해석 함수의 근사, 등각 사상의 경계 거동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고, '월시 정리'와 '월시-자이델 정리'를 발표했다. 또한, 1949년부터 1950년까지 미국 수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수학자 - 시어도어 카진스키
    미국 수학자이자 "유나바머"로 알려진 시어도어 카진스키는 뛰어난 수학적 재능으로 대학 조교수를 지냈으나 산업 사회에 대한 비판으로 18년간 우편 폭탄 테러를 감행, 체포되어 가석방 없는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복역 중 사망했다.
  • 미국의 수학자 - 존 포브스 내시
    미국의 수학자 존 포브스 내시는 게임 이론의 내시 균형 개념을 제시하고 미분기하학과 편미분 방정식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겼으며 조현병을 극복하고 노벨 경제학상과 아벨상을 수상한 인물로, 그의 삶은 영화 《뷰티풀 마인드》로 알려졌다.
  • 1895년 출생 - 임흥순
    임흥순은 보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국회의원과 서울시장을 역임했으며, 친일 행적으로 인해 친일파 명단에 등재되었다.
  • 1895년 출생 - 제말 귀르셀
    제말 귀르셀은 터키의 군 장교 출신 정치인으로, 1960년 쿠데타 이후 국가 원수가 되어 새로운 헌법 제정, 민주주의 회복, 터키 현대화 및 경제 개발에 기여했으나, 아드난 멘데레스 총리의 사형 집행을 막지 못한 것에 대한 논란도 있다.
  • 1973년 사망 - 여운홍
    여운홍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임시정부 활동에 참여하고 해방 후 과도입법의원과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친일 행적 의혹으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정치인이다.
  • 1973년 사망 - 린든 B. 존슨
    린든 B. 존슨은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후 대통령직을 승계하여 "위대한 사회"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 개혁을 추진하고 시민권법과 투표권법을 통과시켰으나, 베트남 전쟁 개입으로 비판을 받으며 정치적 유산에 영향을 받았다.
조세프 월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조세프 L. 월시
이름조세프 L. 월시
출생일1895년 9월 21일
출생지워싱턴 D. C.
사망일1973년 12월 6일
사망지칼리지 파크, 메릴랜드주
국적미국
학문
분야수학
직장하버드 대학교
모교하버드 대학교
박사 지도교수막심 보허
조지 데이비드 버코프
박사 제자조지프 레오 두브
오린 J. 패럴
모리스 하인스
도널드 J. 뉴먼
시오도어 J. 리블린
에드워드 B. 사프
리처드 S. 바가
알려진 업적월시 함수
월시 부호
월시 행렬
월시-르베그 정리

2. 생애

조지프 레너드 월시는 1895년 9월 21일 미국 메릴랜드주에서 태어나 하버드 대학교에서 수학을 공부했다. 1916년 학사, 1917년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1920년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하버드 대학교 수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복소해석학 분야를 연구했다.

1949년부터 1950년까지 미국 수학회 회장을 지냈으며, 미국 수학회 회보, 미국 수학회 논문집 등 저명한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했다. 블라디미르 자이델, 시어도어 모츠킨, 로렌스 로젠펠드 등과 공동 연구를 수행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조지프 레너드 월시는 1895년 9월 21일 미국 메릴랜드주에서 태어났다. 그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1916년 학사, 1917년 석사, 1920년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 2. 학문적 경력

월시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수학 교수로 재직하며 복소해석학 분야의 연구를 수행했다. 1949년부터 1950년까지 미국 수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월시는 미국 수학회 회보, 미국 수학회 논문집 등 저명한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블라디미르 자이델, 시어도어 모츠킨, 로렌스 로젠펠드 등과 공동 연구를 수행했다.

월시의 주요 논문은 다음과 같다.

출판 연도논문 제목학술지공동 저자
1922특정 유형의 다항식 근의 위치에 관하여미국 수학회 회보
1933그린 함수의 임계점 위치에 대한 노트미국 수학회 회보
1941분석 함수의 유클리드 및 비유클리드 변환에 의한 근사에 관하여미국 수학회 회보블라디미르 자이델
1953다항식의 도함수와 체비쇼프 근사에 관하여미국 수학회 논문집시어도어 모츠킨
1956특정 직교 함수의 영점 위치에 관하여미국 수학회 논문집J. P. Evans
1956등각 사상의 경계 거동에 관하여미국 수학회 회보로렌스 로젠펠드
1963최대 다항식의 영점에 관한 페예르의 원리의 일반화미국 수학회 논문집
1964일반화된 스플라인의 기본적인 성질미국 국립 과학원 회보J. H. Ahlberg, E. N. Nilson
1965일반화된 스플라인의 수렴 성질미국 국립 과학원 회보J. H. Ahlberg, E. N. Nilson
1967복소 입방 스플라인미국 수학회 회보J. H. Ahlberg, E. N. Nilson


3. 연구 업적

조세프 월시는 복소해석학 분야에서 주로 연구를 진행했으며, 특히 유리 함수에 의한 보간 및 근사 이론에 큰 기여를 했다. 그는 그린 함수의 임계점, 최대 다항식의 영점, 스플라인 이론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다.

월시는 블라디미르 자이델과 함께 해석 함수의 근사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월시-자이델 정리를 발표했고, 복소해석학에서 다항식 근의 위치에 관한 중요한 결과인 월시 정리를 발표했다.[1]

3. 1. 주요 연구 분야

월시는 주로 복소해석학, 특히 유리 함수에 의한 보간 및 근사 이론을 연구했다. 그는 그린 함수의 임계점 위치, 최대 다항식의 영점, 스플라인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기여했다.

다음은 월시의 주요 연구 분야 및 논문 목록이다.

연도연구 분야 및 논문 제목
1922특정 유형의 다항식 근의 위치에 관하여[2]
1933그린 함수의 임계점 위치에 대한 노트[3]
1941블라디미르 자이델과 함께 분석 함수의 유클리드 및 비유클리드 변환에 의한 근사에 관하여[4]
1953시어도어 모츠킨과 함께 다항식의 도함수와 체비쇼프 근사에 관하여
1956J. P. Evans와 함께 특정 직교 함수의 영점 위치에 관하여
1956로렌스 로젠펠드와 함께 등각 사상의 경계 거동에 관하여
1963최대 다항식의 영점에 관한 페예르의 원리의 일반화
1964J. H. Ahlberg & E. N. Nilson과 함께 일반화된 스플라인의 기본적인 성질
1965J. H. Ahlberg & E. N. Nilson과 함께 일반화된 스플라인의 수렴 성질
1967J. H. Ahlberg & E. N. Nilson과 함께 복소 입방 스플라인


3. 2. 월시 정리 (Walsh's theorem)

복소해석학에서 월시 정리(Walsh's theorem)는 특정 유형의 다항식 근의 위치에 관한 중요한 결과를 제공한다.[1] 조세프 월시는 1922년 "특정 유형의 다항식 근의 위치에 관하여"라는 논문에서 월시 정리를 발표하였다.[3]

3. 3. 월시-자이델 정리 (Walsh-Seidel theorem)

블라디미르 자이델과 함께 연구한 월시-자이델 정리는 해석 함수의 근사에 관한 결과를 다룬다. 이 논문에서 자이델과 월시는 해석 함수의 유클리드 및 비유클리드 변환에 의한 근사를 다루었다.

3. 4. 저서


  • Interpolation and Approximation by Rational Functions in the Complex Domain영어[4], AMS Colloquium Publications 1935, 5판 1969
  • The Location of Critical Points of Analytic and Harmonic Functions영어, AMS Colloquium Publications, vol. 34, 1950
  • 존 해럴드 알버그(John Harold Ahlberg), 에드윈 노먼 닐슨(Edwin Norman Nilson) 공저: The Theory of Splines and Their Applications영어, Academic Press 1967

4. 한국과의 관계

월시는 한국 전쟁 이후 한국 수학계의 재건과 발전에 관심을 가졌다.

5. 수상 및 명예

조세프 월시는 1949년부터 1950년까지 미국 수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4]

6. 기타

Joseph Leonard Walsh영어는 1966년 미국수학회 콜로키움 강좌를 진행했다.

참조

[1] 논문 A Converse to the Grace–Walsh–Szegő Theorem 2008-09-18
[2] 논문 On the location of roots of polynomials and entire functions
[3] 서적 Comptes rendus du Congrès international des mathématiciens tenu à Strasbourg du 22 au 30 Septembre 1920 University of Toronto Press
[4] 논문 Walsh on Approximations https://www.ams.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