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종교개혁 전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종교개혁 전집(Corpus Reformatorum)은 1827년 독일 신학자 카를 고트리프 브레치나이더의 주도로 시작된 종교개혁 관련 저작 모음집이다. 칼뱅, 멜란히톤, 츠빙글리의 작품을 담고 있으며, 브레치나이더는 1834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편집을 주도했다. 멜란히톤의 전집은 28권, 칼뱅의 전집은 59권, 츠빙글리의 전집은 14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글 도서를 통해 일부 열람이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세기 기독교 - 다이도지
    다이도지는 1551년 프란치스코 하비에르가 야마구치에서 기독교 포교 허가를 받아 설립되었으나, 화재와 오우치 씨 멸망으로 인해 활동이 중단된 일본의 교회였다.
  • 16세기 기독교 - 유럽 종교전쟁
    유럽 종교 전쟁은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중반까지 유럽에서 발생한 종교적, 정치적 분쟁으로, 종교 개혁의 영향, 국가 간 이해관계, 왕조 간 권력 다툼, 경제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했으며, 유럽 각지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했고, 30년 전쟁의 종결은 근대 국제 질서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16세기 책 - 성학집요
    《성학집요》는 율곡 이이가 붕당정치 시기에 선조의 인격적·정치적 개선과 인재 등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왕을 직접 독자로 삼아 저술한 정치·윤리서로, 시대적 상황 진단과 임금의 올바른 자세, 덕치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경연 교재로도 사용될 만큼 높이 평가받고 폭넓은 영향을 미쳤다.
  • 16세기 책 - 수상록
    미셸 드 몽테뉴가 1570년부터 집필한 《수상록》은 개인과 사회의 관계, 식민 정책 문제 등 다양한 주제를 자유로운 형식으로 서술하며 몽테뉴 자신의 내면 탐구와 인간 본성에 대한 성찰, 철학적 회의주의, 르네상스 시대 사회 문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은 에세이 모음집이다.
  • 총서 - 대하소설
    대하소설은 20세기 프랑스에서 시작된 소설 형식으로, 로맹 롤랑의 《장 크리스토프》에서 유래되었으며,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토지》 등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 총서 - 스페이스 오디세이
    스페이스 오디세이는 아서 C. 클라크의 소설과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영화를 시작으로, 인류의 기원과 진화, 인공지능, 우주 탐험을 형이상학적으로 다루는 과학 소설 시리즈이다.
종교개혁 전집

2. 역사

종교개혁 전집(Corpus Reformatorum)은 독일의 신학자 카를 고트리프 브레치나이더[3]가 1827년부터 준비하여 1834년부터 1848년 그가 사망할 때까지 편집장으로 일했으며, 칼뱅, 필리프 멜란히톤, 츠빙글리의 작품들을 수록했다.[2]

2. 1. 프로젝트의 시작 (1827년)

종교개혁 전집(Corpus Reformatorum)은 독일의 신학자 카를 고트리프 브레치나이더[3]가 1827년부터 준비한 것이다. 브레트슈나이더는 1834년부터 1848년 사망할 때까지 편집장으로 일했다.[2]

2. 2. 브레트슈나이더의 편집 (1834년 ~ 1848년)

종교개혁 전집(Corpus Reformatorum)은 독일의 신학자 카를 고트리프 브레치나이더[3]가 1827년 이후에 준비한 것이다. 브레트슈나이더는 1834년부터 1848년 사망할 때까지 편집장으로 일했다.[2] 이 전집에는 칼뱅, 필리프 멜란히톤, 츠빙글리의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다.

3. 편집 위원들

이름생몰년주요 기여
카를 고틀리브 브레트슈나이더1776-1848필리프 멜란히톤 전집 편집
하인리히 에른스트 빈트자일1803-1876필리프 멜란히톤 전집 편집
에드워드 로이스(Eduard Reuss|에두아르트 로이스프랑스어)1804–1891
아우구스트 에드워드 쿠니츠(Eduard Cunitz|에두아르트 쿠니츠de)1812-1886
요한 빌헬름 바움(Johann Wilhelm Baum)1806-1878
에밀 에글리1848-1908츠빙글리 전집 편집
게오르크 핀슬러(Georg Finsler)1819-1899츠빙글리 전집 편집
발터 쾰러1870-1946츠빙글리 전집 편집


3. 1. 칼 고트리프 브레트슈나이더 (Karl Gottlieb Bretschneider)

카를 고틀리브 브레트슈나이더(Karl Gottlieb Bretschneider, 1776-1848)는 독일의 신학자이다.

3. 2. 하인리히 에른스트 빈트자일 (Heinrich Ernst Bindseil)

하인리히 에른스트 빈트자일(1803-1876)은 카를 고틀리브 브레취나이더와 함께 필리프 멜란히톤의 전집을 편집하는 데 기여하였다.

3. 3. 에드워드 로이스 (Edward Reuss)

에드워드 로이스(Eduard Reuss|에두아르트 로이스프랑스어, 1804–1891)

3. 4. 아우구스트 에드워드 쿠니츠 (August Edward Cunitz)

아우구스트 에드워드 쿠니츠(Eduard Cunitzde, 1812-1886)는 종교개혁 전집 편집에 기여한 인물 중 한 명이다.

3. 5. 요한 빌헬름 바움 (Johann Wilhelm Baum)

요한 빌헬름 바움(Johann Wilhelm Baum, 1806-1878)은 종교개혁 전집 편집에 기여한 인물 중 한 명이다.

3. 6. 에밀 에글리 (Emil Egli)

에밀 에글리(1848-1908)는 츠빙글리 전집 편집에 기여한 인물이다.

3. 7. 조오지 핀스러 (Georg Finsler)

게오르크 핀슬러(Georg Finsler, 1819-1899)는 에밀 에글리, 발터 쾰러와 함께 츠빙글리 전집 편집에 기여한 인물이다.[1] 취리히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으며, 1887년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 1848년부터 1892년까지 빈터투어의 김나지움에서 교사로 활동했다.[1]

3. 8. 월터 쾰어 (Walther Köhler)

발터 쾰러(1870-1946)

4. 구성

《종교개혁 전집》(Corpus Reformatorum)은 19세기 독일의 신학자 카를 고트리프 브레치나이더[2]의 주도로 1834년부터 출판된 종교개혁 주요 문헌 সংগ্রহ(모음집)이다. 브레치나이더는 1848년 사망할 때까지 편집장을 맡았으며[3], 전집은 장 칼뱅, 필리프 멜란히톤, 울리히 츠빙글리의 저작들을 포함한다.


  • 시리즈 I: 필리프 멜란히톤의 ''Opera Quae Supersunt Omnia''(전 28권). 1~15권은 브레치나이더, 16~28권은 하인리히 에른스트 빈트자일(Heinrich Ernst Bindseil) 편집.
  • 시리즈 II: 장 칼뱅의 ''Opera Quae Supersunt Omnia''(전 59권). 기욤 봄(Guilielmus Baum), 에두아르트 퀴니츠(Eduardus Cunitz), 에두아르트 로이스(Eduardus Reuss) 편집.
  • 시리즈 III: 울리히 츠빙글리의 Sämtliche Werkede(전 14권).

4. 1. 시리즈 I: 필리프 멜란히톤(Philip Melanchthon), ''Opera Quae Supersunt Omnia'' (전 28권)

필리프 멜란히톤(Philip Melanchthon)의 ''Opera Quae Supersunt Omnia''(전 28권)는 1권부터 15권까지는 카를 고틀리프 브레치나이더(Karl Gottlieb Bretschneider)가 편집하였고, 16권부터 28권까지는 하인리히 에른스트 빈트자일(Heinrich Ernst Bindseil)이 편집하였다. 각 권의 출판 정보는 다음과 같다.

권 번호출판 연도편집자외부 링크
11834카를 고틀리프 브레치나이더[https://books.google.com/books?id=7A4RAAAAIAAJ&dq=bretschneider+%22reformatorum%22&pg=PP12]
21835카를 고틀리프 브레치나이더[https://books.google.com/books?id=bRARAAAAIAAJ&dq=%22corpus+reformatorum%22&pg=RA3-PA15]
31836카를 고틀리프 브레치나이더[https://books.google.com/books?id=I_A-AAAAcAA&dq=%22d+wolffgangus+capito+minister%22&pg=PA75]
41837카를 고틀리프 브레치나이더[https://books.google.com/books?id=QQ8RAAAAIAAJ&dq=%22corpus+reformatorum%22&pg=PA1]
51838카를 고틀리프 브레치나이더[https://books.google.com/books?id=mBARAAAAIAAJ&dq=%22corpus+reformatorum%22&pg=PA1]
61839카를 고틀리프 브레치나이더[https://books.google.com/books?id=WBMRAAAAIAAJ&dq=%22corpus+reformatorum%22&pg=RA1-PA1]
71840카를 고틀리프 브레치나이더[https://books.google.com/books?id=NBERAAAAIAAJ&dq=%22corpus+reformatorum%22&pg=RA3-PA1]
81841카를 고틀리프 브레치나이더[https://books.google.com/books?id=VBMRAAAAIAAJ&dq=corpus+reformatorum&pg=PA1]
91842카를 고틀리프 브레치나이더[https://books.google.com/books?id=qBERAAAAIAAJ&dq=%22corpus+reformatorum%22&pg=RA4-PA1]
101842카를 고틀리프 브레치나이더[https://books.google.com/books?id=GBERAAAAIAAJ&dq=%22corpus+reformatorum%22&pg=RA2-PA1]
111843카를 고틀리프 브레치나이더[https://books.google.com/books?id=-BARAAAAIAAJ&dq=%22corpus+reformatorum%22&pg=RA1-PA1]
121844카를 고틀리프 브레치나이더[https://books.google.com/books?id=VRERAAAAIAAJ&dq=%22corpus+reformatorum%22&pg=RA2-PA11]
131846카를 고틀리프 브레치나이더[https://books.google.com/books?id=gBERAAAAIAAJ&dq=%22corpus+reformatorum%22&pg=RA2-PA1]
141847카를 고틀리프 브레치나이더[https://books.google.com/books?id=GxMRAAAAIAAJ&dq=%22corpus+reformatorum%22&pg=RA3-PA588]
151848카를 고틀리프 브레치나이더[https://books.google.com/books?id=LRMRAAAAIAAJ&dq=%22corpus+reformatorum%22&pg=RA2-PA1]
161850하인리히 에른스트 빈트자일[https://books.google.com/books?id=Wf0QAAAAIAAJ&dq=%22corpus+reformatorum%22&pg=RA2-PA1]
171851하인리히 에른스트 빈트자일[https://books.google.com/books?id=zRARAAAAIAAJ&dq=%22corpus+reformatorum%22&pg=RA4-PA14]
181852하인리히 에른스트 빈트자일[https://books.google.com/books?id=ExIRAAAAIAAJ&dq=%22corpus+reformatorum%22&pg=RA1-PA2]
191853하인리히 에른스트 빈트자일[https://books.google.com/books?id=1UUMAAAAIAAJ&dq=%22Heinrich+Ernst+Bindseil,%22&pg=RA3-PA8-IA1]
201854하인리히 에른스트 빈트자일[https://books.google.com/books?id=fRERAAAAIAAJ&dq=%22corpus+reformatorum%22&pg=RA8-PA747]
211854하인리히 에른스트 빈트자일[https://books.google.com/books?id=_BERAAAAIAAJ&dq=%22corpus+reformatorum%22&pg=RA3-PA300]
221855하인리히 에른스트 빈트자일[https://books.google.com/books?id=cxIRAAAAIAAJ&dq=%22corpus+reformatorum%22&pg=RA7-PA710]
231855하인리히 에른스트 빈트자일[https://archive.org/details/corpusreformato03melagoog]
241856하인리히 에른스트 빈트자일[https://books.google.com/books?id=0xIRAAAAIAAJ&dq=%22corpus+reformatorum%22&pg=RA2-PR25]
251856하인리히 에른스트 빈트자일[https://books.google.com/books?id=shERAAAAIAAJ&dq=%22corpus+reformatorum%22&pg=RA2-PA1]
261858하인리히 에른스트 빈트자일[https://books.google.com/books?id=zxERAAAAIAAJ&dq=%22corpus+reformatorum%22&pg=RA4-PR18]
271859하인리히 에른스트 빈트자일[https://books.google.com/books?id=lBIRAAAAIAAJ&dq=%22corpus+reformatorum%22&pg=RA3-PR13]
281860하인리히 에른스트 빈트자일[https://books.google.com/books?id=0EUMAAAAIAAJ&dq=Philippi+Melanthonis+Opera+quae+supersunt+omnia+28&pg=RA3-PA393]


4. 2. 시리즈 II: 요한 칼빈(Ioannis Calvini), ''Opera Quae Supersunt Omnia'' (전 59권)

(CR)Opera Quae Supersunt Omnia
(Opp.)출판 연도CR 29Opp. 1CR 30Opp. 21864CR 31Opp. 31865CR 32Opp. 4CR 33Opp. 51867CR 34Opp. 61867CR 35Opp. 71868CR 36Opp. 81870CR 37Opp. 91870CR 38Opp. 101871, 1872CR 39Opp. 11CR 40Opp. 121874CR 41Opp. 131875CR 42Opp. 14CR 43Opp. 15CR 44Opp. 161877CR 45Opp. 17CR 46Opp. 18CR 47Opp. 19CR 48Opp. 20CR 49Opp. 211879CR 50Opp. 221880CR 51Opp. 23CR 52Opp. 24CR 53Opp. 25CR 54Opp. 26CR 55Opp. 27CR 56Opp. 28CR 57Opp. 29CR 58Opp. 30CR 59Opp. 311887CR 60Opp. 321887CR 61Opp. 331887CR 62Opp. 341887CR 63Opp. 351887CR 64Opp. 361888CR 65Opp. 371888CR 66Opp. 381888CR 67Opp. 39CR 68Opp. 40CR 69Opp. 41CR 70Opp. 42CR 71Opp. 431890CR 72Opp. 441890CR 73Opp. 451891CR 74Opp. 461891CR 75Opp. 471892CR 76Opp. 48CR 77Opp. 49CR 78Opp. 50CR 79Opp. 511895CR 80Opp. 521895CR 81Opp. 531895CR 82Opp. 541895CR 83Opp. 551896CR 84Opp. 561896CR 85Opp. 571897CR 86Opp. 58CR 87Opp. 591900


4. 3. 시리즈 III: 울리히 츠빙글리(Huldreich Zwinglis), ''Sämtliche Werke'' (전 14권)

Huldreich Zwinglis Sämtliche Werkede (전 14권)는 울리히 츠빙글리의 전집이다.

권 번호출판 연도편집자
CR 88; Werke 11904에밀 에글리, 게오르크 핀슬러
CR 89; Werke 21907에밀 에글리, 게오르크 핀슬러
CR 94; Werke 71911게오르크 핀슬러



CR 89; Werke 2는 외부 링크에서 볼 수 있다.

5. 온라인 열람

몇몇 작품을 제외하고 대부분 영문판 구글 도서를 통해 열람이 가능하다. 이러한 자료들은 구글 도서(Google Books)에 의해 디지털화되고 있다. 현재 모든 권이 이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디지털화된 많은 권들이 더 이상 온라인에서 이용할 수 없게 되었다.[2]

참조

[1] 서적 The Fortnightly review https://books.google[...] Arthur Preuss, St. Louis, Missouri 1919-11-01
[2] 웹사이트 Karl Gottlieb Bretschneider http://www.ccel.org/[...]
[3] 웹사이트 Karl Gottlieb Bretschneider http://www.ccel.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