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종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종탑은 종을 울려 멀리까지 소리를 전달하기 위해 세워진 건축물이다. 교회 예배, 정경(canonical hours) 알림, 결혼식, 장례식 등 특별한 경우에 종을 치는 데 사용된다. 종탑에는 여러 개의 종이 설치될 수 있으며, 카리용이나 차임과 같은 악기가 포함되기도 한다. 유럽과 미국의 교회, 세속 건물, 대학 캠퍼스 등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구마 의식 공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기독교에서는 하루 세 번 종을 쳐서 주기도문 암송을 알리는 전통이 있으며, 이슬람의 미나레트에서 아잔을 하는 것과 유사하다. 종탑은 역사적, 건축적 가치로 보존되기도 하며, 동아시아에서도 종루가 흔히 발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탑 - 조토의 종탑
    조토의 종탑은 이탈리아 피렌체 대성당의 종탑으로, 조토 디 본도네가 설계를 맡아 1334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다채색 대리석과 기하학 무늬, 조각상 등으로 장식되었으며, 현재 7개의 종이 있고 피렌체 시내를 조망할 수 있다.
  • 종탑 - 벨기에와 프랑스의 종루
    벨기에와 프랑스의 종루는 벨기에와 프랑스 북부 도시들의 자치와 번영을 상징하는 역사적인 건축물로,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각 도시의 랜드마크 역할을 한다.
  • 가톨릭 건축 - 장미창
    장미창은 로마 건축의 오쿨루스에서 유래된 원형 창으로, 초기 기독교 건축에서 시작하여 고딕 시대에 이르러 크고 화려하게 발전했으며,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 가톨릭 건축 - 내진
    교회 건축에서 성직자나 성가대가 자리하는 특별한 공간인 성가대석은 초기 기독교 시대 본당 동쪽 끝에 위치하며 칸막이로 구분되었으나, 수도원 운동 발달과 종교 개혁 이후 예배 방식 변화에 따라 역할과 형태가 다양하게 변화했다.
종탑
종탑
피사의 사탑
피사의 사탑
종류건축 구조
용도종을 보관하거나 매달기 위한 탑
어원늦은 라틴어 campanile, 이탈리아어 campanile
관련 용어미나레트

2. 목적

종탑에서 종을 울리는 것은 멀리서도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교회 종은 예배자들이 공동 예배를 드리러 교회에 갈 시간을 알리는 신호가 될 수 있으며, 하루에 일곱 번 있는 규정된 시간의 그리스도교 기도(Christian prayer)인 정경(canonical hours)을 알리는 신호가 될 수도 있다.[3] 정경은 브레비어리에 기록되어 있다. 또한 결혼식이나 장례식과 같은 특별한 경우에도 종을 친다. 어떤 종교 전통에서는 예배 의식 중 특정 부분에 도달했음을 알리기 위해 종을 사용하기도 한다.[3]

종탑에는 종 하나 또는 공통 음계로 조율된 여러 개의 종이 있을 수 있다. 종들은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작은 각도로 흔들리면서 불규칙적으로 울리거나, 완전히 회전하면서 영국식 체인지 링잉(change ringing)의 높은 수준의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종탑에는 카리용(carillon) 또는 차임이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 종은 케이블을 통해 건반에 연결된 해머로 울린다. 이러한 종탑은 유럽과 미국의 많은 교회와 세속 건물, 그리고 대학(college)과 대학교(university) 캠퍼스에서 찾아볼 수 있다.[4]

종소리를 시뮬레이션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가 있지만, 상당한 자금이 투자된 어떤 상당한 규모의 종탑에는 일반적으로 실제 종이 있다.

일부 교회는 종탑에 구마 의식 공간을 가지고 있는데, 이곳에서는 폭풍이나 폭우와 같은 기상 이변을 막기 위한 의식이 거행되었다. 무르시아 대성당(Cathedral of Murcia)의 주요 종탑에는 네 개의 구마 의식 공간이 있다.

그리스도교(Christianity)에서 많은 교회들은 하루 세 번(오전 9시, 12시, 오후 3시) 종탑에서 교회 종을 울려 그리스도 신자들을 주기도문(Lord's Prayer)을 암송하도록 부른다.[5][6][7] 주기도문을 하루 세 번 암송하라는 명령은 『디다케(Didache)』 8, 2 f.에 나와 있으며,[8][9][10] 이는 구약성서, 특히 ("저녁과 아침과 정오에")과 (다니엘 선지자가 하루 세 번 기도하는 내용)에 나오는 하루 세 번 기도하는 유대인의 관습의 영향을 받았다.[8][9][11][12] 따라서 초기 그리스도인들은 오전 9시, 12시, 오후 3시에 주기도문을 암송하게 되었고;[13] 그러한 이유로 많은 루터교(Lutheran)와 성공회(Anglican) 교회는 아침, 정오, 저녁에 종탑에서 교회 종(church bell)을 세 번 울려 그리스도인들에게 주기도문을 암송하도록 부른다.[5][6][14] 많은 가톨릭 교회는 오전 6시, 정오, 오후 6시에 종을 세 번 울려 신자들에게 하느님의 강생을 기리는 기도인 천사의 영광송(Angelus)을 암송하도록 부른다.[15][16] 동방 정교회(Oriental Orthodox Christian)인 콥트 정교회(Coptic Orthodox Church)와 인도 정교회(Indian Orthodox Church) 신자들은 브레비어리(breviary)인 아그페이아(Agpeya)와 셰히모(Shehimo)를 사용하여 그리스도교 기도(Christian prayer)인 정경(canonical hours)을 하루 일곱 번 동쪽을 향하여 기도하며, 특히 수도원에서는 이러한 일곱 번의 규정된 기도 시간을 알리기 위해 교회 종을 친다 (시편 119:164 참조).[17][18]

종탑에서 교회 종을 치는 그리스도교 전통은 이슬람교(Islamic)의 미나레트(minaret)에서 아잔(adhan) (기도를 부르는 소리)를 하는 전통과 유사하다.[19][20]

원래 목적으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오래된 종탑은 역사적(historic) 또는 건축적 가치 때문에 보존될 수 있지만, 강력한 캠패놀로지(Campanology) 전통을 가진 국가에서는 종종 종을 계속 울린다.

3. 역사

400년경, 놀라의 파울리누스가 교회 종을 그리스도교에 도입했다.[21][22] 11세기까지는 종탑에 종을 두는 것이 일반적이 되었다.[22]

유럽 전역에는 역사적인 종탑들이 존재한다. 아일랜드 원형탑은 부분적으로 종탑의 기능을 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중세에는 도시들이 종종 중요한 문서를 종탑에 보관하기도 했다. 모든 종탑이 대규모인 것은 아니다. 슬로바키아 카투니의 "종"탑은 한때 시골 지역에 흔했던 더욱 소박한 구조물의 전형적인 예이다. 리투아니아폴란드의 일부 지역에서는 교회에 인접한 고대 목조 종탑이 남아 있다.

정교회 동유럽에서는 종소리가 강력한 문화적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러시아 정교회 종소리), 종탑이 있는 교회들이 건설되었다.

종루는 중국과 동아시아 문화권 국가들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사찰 건축물의 일부 또는 독립적인 시민 건축물로 존재하며, 종종 고루와 함께 세워지기도 하고, 지역 교회 건물에도 세워지기도 한다. 잘 알려진 예로는 북경 종루(鐘樓)와 서안 종루가 있다.

3. 1. 유럽

400년경, 놀라의 파울리누스가 교회 종을 그리스도교에 도입했다.[21][22] 11세기까지는 종탑에 종을 두는 것이 일반적이 되었다.[22]

유럽 전역에는 역사적인 종탑들이 존재한다. 아일랜드 원형탑은 부분적으로 종탑의 기능을 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유명한 중세 유럽의 종탑으로는 브뤼헤 종탑, 이프르의 천포장, 겐트 종탑이 있다. 그러나 아마도 가장 유명한 유럽의 독립형 종탑은 피사 사탑으로, 이탈리아 피사피사 대성당의 종탑이다. 1999년에는 32개의 벨기에 종탑이 유네스코의 세계유산 목록에 추가되었다. 2005년에는 이 목록에 벨기에 종탑 1개와 프랑스 북부의 종탑 23개가 추가되어, 이후 ''벨기에와 프랑스의 종탑''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들 대부분은 주로 시청과 같은 시민 건물에 부속되어 있으며, 중세 시대에 이 지역 도시들이 얻게 된 더 큰 권력의 상징이었다. 종탑과 연결되지 않은 건물(예: 교회의 종탑이나 교회와 함께 있는 종탑)과 같은 소수의 건물들도 이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https://whc.unesco.org/en/list/943/multiple=1&unique_number=1100 자세히 보기]). 중세에는 도시들이 종종 중요한 문서를 종탑에 보관하기도 했다. 모든 종탑이 대규모인 것은 아니다. 슬로바키아 카투니의 "종"탑은 한때 시골 지역에 흔했던 더욱 소박한 구조물의 전형적인 예이다. 리투아니아폴란드의 일부 지역에서는 교회에 인접한 고대 목조 종탑이 남아 있다.

정교회 동유럽에서는 종소리 또한 강력한 문화적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러시아 정교회 종소리), 종탑이 있는 교회들이 건설되었다(높은 정교회 종탑 목록 참조).

3. 2. 동아시아

종루는 중국과 동아시아 문화권 국가들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사찰 건축물의 일부 또는 독립적인 시민 건축물로 존재하며, 종종 고루와 함께 세워지기도 하고, 지역 교회 건물에도 세워지기도 한다. 가장 잘 알려진 예로는 북경 종루(鐘樓)와 서안 종루가 있다.

4. 양식

종탑에서 종을 울리는 목적은 멀리서도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교회 종은 예배자들이 공동 예배를 드리러 교회에 갈 시간을 알리는 신호가 될 수 있으며, 하루에 일곱 번 있는 규정된 시간의 그리스도교 기도(Christian prayer)인 정경(canonical hours)을 알리는 신호가 될 수도 있다.[3] 정경은 브레비어리에 기록되어 있다. 또한 결혼식이나 장례식과 같은 특별한 경우에도 종을 친다. 어떤 종교 전통에서는 예배 의식 중 특정 부분에 도달했음을 알리기 위해 종을 사용하기도 한다.[3]

셰이퍼 타워(Shafer Tower), 볼 주립대학교(Ball State University), 먼시(Muncie), 인디애나(Indiana)


종탑에는 종 하나 또는 공통 음계로 조율된 여러 개의 종이 있을 수 있다. 종들은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작은 각도로 흔들리면서 불규칙적으로 울리거나, 완전히 회전하면서 영국식 체인지 링잉(change ringing)의 높은 수준의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종탑에는 카리용(carillon) 또는 차임이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 종은 케이블을 통해 건반에 연결된 해머로 울린다. 이러한 종탑은 유럽과 미국의 많은 교회와 세속 건물, 그리고 대학(college)과 대학교(university) 캠퍼스에서 찾아볼 수 있다.[4]

종소리를 시뮬레이션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가 있지만, 상당한 자금이 투자된 어떤 상당한 규모의 종탑에는 일반적으로 실제 종이 있다.

이반 대제 종탑(Ivan The Great Bell Tower), 크렘린(Kremlin), 모스크바(Moscow) (1508년 건립)


아로(Haro), 라 리오하(La Rioja)의 산토 토마스 교구 교회는 종탑에 구마 의식 공간을 가지고 있다.


일부 교회는 종탑에 구마 의식 공간을 가지고 있는데, 이곳에서는 폭풍이나 폭우와 같은 기상 이변을 막기 위한 의식이 거행되었다. 무르시아 대성당(Cathedral of Murcia)의 주요 종탑에는 네 개의 구마 의식 공간이 있다.

그리스도교(Christianity)에서 많은 교회들은 하루 세 번(오전 9시, 12시, 오후 3시) 종탑에서 교회 종을 울려 그리스도 신자들을 주기도문(Lord's Prayer)을 암송하도록 부른다.[5][6][7] 주기도문을 하루 세 번 암송하라는 명령은 『디다케(Didache)』 8, 2 f.에 나와 있으며,[8][9][10] 이는 구약성서, 특히 ("저녁과 아침과 정오에")과 (다니엘 선지자가 하루 세 번 기도하는 내용)에 나오는 하루 세 번 기도하는 유대인의 관습의 영향을 받았다.[8][9][11][12] 따라서 초기 그리스도인들은 오전 9시, 12시, 오후 3시에 주기도문을 암송하게 되었고;[13] 그러한 이유로 많은 루터교(Lutheran)와 성공회(Anglican) 교회는 아침, 정오, 저녁에 종탑에서 교회 종(church bell)을 세 번 울려 그리스도인들에게 주기도문을 암송하도록 부른다.[5][6][14] 많은 가톨릭 교회는 오전 6시, 정오, 오후 6시에 종을 세 번 울려 신자들에게 하느님의 강생을 기리는 기도인 천사의 영광송(Angelus)을 암송하도록 부른다.[15][16] 동방 정교회(Oriental Orthodox Christian)인 콥트 정교회(Coptic Orthodox Church)와 인도 정교회(Indian Orthodox Church) 신자들은 브레비어리(breviary)인 아그페이아(Agpeya)와 셰히모(Shehimo)를 사용하여 그리스도교 기도(Christian prayer)인 정경(canonical hours)을 하루 일곱 번 동쪽을 향하여 기도하며, 특히 수도원에서는 이러한 일곱 번의 규정된 기도 시간을 알리기 위해 교회 종을 친다 (시편 119:164 참조).[17][18]

종탑에서 교회 종을 치는 그리스도교 전통은 이슬람교(Islamic)의 미나레트(minaret)에서 아잔(adhan) (기도를 부르는 소리)를 하는 전통과 유사하다.[19][20]

원래 목적으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오래된 종탑은 역사적(historic) 또는 건축적 가치 때문에 보존될 수 있지만, 강력한 캠패놀로지(Campanology) 전통을 가진 국가에서는 종종 종을 계속 울린다.

5. 갤러리

슬로바키아 카투뉴의 원시 종탑 (12세기경)


잉글랜드 콘월 피옥 교회의 독립형 종탑 (13세기)


베이징 종루 (1272년 건립, 1420년, 1800년 재건)


캘리포니아주 버클리 서터 타워 ("캄파닐레"로 더 잘 알려짐) (1914년)


유타주 프로보 브리검 영 대학교의 브리검 영 대학교 100주년 카리용 타워 (1975년)

6. 현대의 종탑

종탑에서 종을 울리는 것은 멀리서도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교회 종은 예배자들이 공동 예배를 드리러 교회에 갈 시간을 알리는 신호가 될 수 있으며, 하루에 일곱 번 있는 규정된 시간의 그리스도교 기도(Christian prayer)인 정경(canonical hours)을 알리는 신호가 될 수도 있다.[3] 정경은 브레비어리에 기록되어 있다. 또한 결혼식이나 장례식과 같은 특별한 경우에도 종을 친다. 어떤 종교 전통에서는 예배 의식 중 특정 부분에 도달했음을 알리기 위해 종을 사용하기도 한다.[3]

종탑에는 종 하나 또는 공통 음계로 조율된 여러 개의 종이 있을 수 있다. 종들은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작은 각도로 흔들리면서 불규칙적으로 울리거나, 완전히 회전하면서 영국식 체인지 링잉(change ringing)의 높은 수준의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종탑에는 카리용(carillon) 또는 차임이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 종은 케이블을 통해 건반에 연결된 해머로 울린다. 이러한 종탑은 유럽과 미국의 많은 교회와 세속 건물, 그리고 대학(college)과 대학교(university) 캠퍼스에서 찾아볼 수 있다.[4]

종소리를 시뮬레이션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가 있지만, 상당한 자금이 투자된 어떤 상당한 규모의 종탑에는 일반적으로 실제 종이 있다.

일부 교회는 종탑에 구마 의식 공간을 가지고 있는데, 이곳에서는 폭풍이나 폭우와 같은 기상 이변을 막기 위한 의식이 거행되었다. 무르시아 대성당(Cathedral of Murcia)의 주요 종탑에는 네 개의 구마 의식 공간이 있다.

그리스도교(Christianity)에서 많은 교회들은 하루 세 번(오전 9시, 12시, 오후 3시) 종탑에서 교회 종을 울려 그리스도 신자들을 주기도문(Lord's Prayer)을 암송하도록 부른다.[5][6][7] 주기도문을 하루 세 번 암송하라는 명령은 『디다케(Didache)』 8, 2 f.에 나와 있으며,[8][9][10] 이는 구약성서, 특히 ("저녁과 아침과 정오에")과 (다니엘 선지자가 하루 세 번 기도하는 내용)에 나오는 하루 세 번 기도하는 유대인의 관습의 영향을 받았다.[8][9][11][12] 따라서 초기 그리스도인들은 오전 9시, 12시, 오후 3시에 주기도문을 암송하게 되었고;[13] 그러한 이유로 많은 루터교(Lutheran)와 성공회(Anglican) 교회는 아침, 정오, 저녁에 종탑에서 교회 종(church bell)을 세 번 울려 그리스도인들에게 주기도문을 암송하도록 부른다.[5][6][14] 많은 가톨릭 교회는 오전 6시, 정오, 오후 6시에 종을 세 번 울려 신자들에게 하느님의 강생을 기리는 기도인 천사의 영광송(Angelus)을 암송하도록 부른다.[15][16] 동방 정교회(Oriental Orthodox Christian)인 콥트 정교회(Coptic Orthodox Church)와 인도 정교회(Indian Orthodox Church) 신자들은 브레비어리(breviary)인 아그페이아(Agpeya)와 셰히모(Shehimo)를 사용하여 그리스도교 기도(Christian prayer)인 정경(canonical hours)을 하루 일곱 번 동쪽을 향하여 기도하며, 특히 수도원에서는 이러한 일곱 번의 규정된 기도 시간을 알리기 위해 교회 종을 친다 (시편 119:164 참조).[17][18]

종탑에서 교회 종을 치는 그리스도교 전통은 이슬람교(Islamic)의 미나레트(minaret)에서 아잔(adhan) (기도를 부르는 소리)를 하는 전통과 유사하다.[19][20]

원래 목적으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오래된 종탑은 역사적(historic) 또는 건축적 가치 때문에 보존될 수 있지만, 강력한 캠패놀로지(Campanology) 전통을 가진 국가에서는 종종 종을 계속 울린다.

참조

[1] 웹사이트 25 tallest clock towers/government structures/palaces http://www.ctbuh.org[...] Council on Tall Buildings and Urban Habitat 2008-01-00
[2] 웹사이트 Campus tour booklet http://www.studyhere[...] University of Birmingham null
[3] 서적 Church Words: Origins and Meanings https://books.google[...] Forward Movement 1996
[4] 웹사이트 The World Carillon Federation (WCF) http://www.carillon.[...] Carillon.org null
[5] 서적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Curts & Jennings 1897
[6] 간행물 Uncovering the Blessing of Fixed-Hour Prayer Calvin Institute of Christian Worship 2006
[7] 웹사이트 Church bells https://wels.net/faq[...] Wisconsin Evangelical Lutheran Synod 2017-07-25
[8] 서적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Volume 8 https://books.google[...]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72
[9] 서적 Calendar, Chronology, and Worship: Studies in Ancient Judaism and Early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2005
[10] 서적 Matthew: A Shorter Commentary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05
[11] 서적 Introduction to Christian Worship, 3rd ed.: Revised and Enlarged https://books.google[...] Abingdon Press 2010
[12] 서적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1999
[13] 서적 Calendar, Chronology And Worship: Studies in Ancient Judaism And Early Christianity Brill 2005
[14] 웹사이트 Church bells https://wels.net/faq[...] Wisconsin Evangelical Lutheran Synod 2017-07-25
[15] 서적 Joyce's Finnegans Wake: The Curse of Kabbalah, Volume 2 https://books.google[...] Universal Publishers 2009
[16] 서적 The Anglican Service Book: A Traditional Language Adaptation of the 1979 Book of Common Prayer, Together with the Psalter Or Psalms of David and Additional Devotions https://books.google[...] Good Shepherd Press 1991
[17] 웹사이트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bells and the church? When and where did the tradition begin? Should bells ring in every church? https://www.suscopts[...] Coptic Orthodox Diocese of the Southern United States 2020-00-00
[18] 서적 A Sketch of Egyptian History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Day Methuen 1906
[19] 서적 Church Words: Origins and Meaning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996
[20] 서적 Islamic Beliefs, Practices, and Cultures https://archive.org/[...] Marshal Cavendish 2009
[21] 서적 Clip Notes for Church Bulletins – Volume 1 https://books.google[...] 1997
[22] 웹사이트 Church Bells http://www.awakentop[...] Sacred Heart Catholic Church and St. Yves Mission 1997
[23] 서적 建築大辞典 第2版普及版 彰国社 1993
[24] 서적 建築大辞典 第2版普及版 彰国社 1993
[25] 서적 図説大聖堂物語 河出書房新社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