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사는 이탈리아 토스카나주에 있는 도시로, 아르노 강 어귀에 위치해 있으며 '입'을 의미하는 에트루리아어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유력하다. 고대 로마 시대에는 중요한 항구 도시였으며, 중세 시대에는 해양 공화국으로 번성하며 지중해 무역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11세기에는 제노바와의 경쟁에서 밀려 쇠퇴하기 시작했으며, 1405년 피렌체에 점령당했다. 피사는 피사 대성당 광장, 피사의 사탑, 피사 대학교 등으로 유명하며, 현재는 문화, 교육, 교통의 중심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사도의 코무네 - 볼테라
볼테라는 이탈리아 토스카나 지방의 도시이자 코무네로, 에트루리아 문명의 중심지였고 로마 시대에는 무니키피움으로, 중세 시대에는 주교의 영향력이 강했으나 피렌체 공화국에 정복되었으며, 현재는 역사 유적과 문화 행사로 유명한 관광 도시이다. - 피사도의 코무네 - 카스텔프랑코디소토
카스텔프랑코디소토는 이탈리아 토스카나 주 피사도에 위치한 코무네로 1215년에 처음 등장했으며, 1966년 아르노강 범람으로 피해를 입었고, D 기후대와 지진 위험 등급 4등급으로 분류되며, 화가, 조각가, 정치인, 축구 선수, 사이클 선수를 배출했다. - 이탈리아의 도청 소재지 - 페라라
페라라는 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주에 위치한 도시로, 1264년 에스테 가문의 지배 이후 르네상스 시대 예술과 문화의 중심지로 번영했으며,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역사적인 도시이다. - 이탈리아의 도청 소재지 - 로마
로마는 이탈리아의 수도이자 고대 로마 제국의 중심지로, 오랜 역사와 풍부한 문화유산을 지닌 세계적인 도시이며, 왕정과 공화정을 거쳐 로마 제국을 건설하고 지중해 세계를 지배했으며, 가톨릭 교회의 중심지로서 유럽 역사와 르네상스 및 바로크 시대 예술과 건축에 영향을 미쳤고, 현재는 이탈리아와 유럽 연합의 중요한 중심지이다. - 이탈리아의 도시 - 페라라
페라라는 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주에 위치한 도시로, 1264년 에스테 가문의 지배 이후 르네상스 시대 예술과 문화의 중심지로 번영했으며,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역사적인 도시이다. - 이탈리아의 도시 - 로마
로마는 이탈리아의 수도이자 고대 로마 제국의 중심지로, 오랜 역사와 풍부한 문화유산을 지닌 세계적인 도시이며, 왕정과 공화정을 거쳐 로마 제국을 건설하고 지중해 세계를 지배했으며, 가톨릭 교회의 중심지로서 유럽 역사와 르네상스 및 바로크 시대 예술과 건축에 영향을 미쳤고, 현재는 이탈리아와 유럽 연합의 중요한 중심지이다.
피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Comune di Pisa |
로마자 표기 | Pisa |
현지어 명칭 | Pisa |
영어 발음 | /ˈpiːzə/ |
한국어 발음 | 피자 |
이탈리아어 발음 | /ˈpiːza/ 또는 /ˈpiːsa/ |
위치 | 이탈리아 토스카나주 피사 현 |
행정 구역 | 피사 (PI) |
분리 집락 | 칼람브로네 콜타노 마리나디피사 산피에로아그라도 티레니아 |
시장 | 미켈레 콘티 |
면적 | 185 제곱킬로미터 |
인구 (2023년 7월 31일) | 98,778명 |
인구 (2024년 1월 1일) | 89,371명 |
인구 밀도 | 482.4명/제곱킬로미터 |
거주민 명칭 | 피사노 피산 (영어) |
전화 지역 번호 | 050 |
우편 번호 | 56121–56128 |
ISTAT 코드 | 050026 |
수호 성인 | 산 라니에리 |
축제일 | 6월 17일 |
공식 웹사이트 | 피사 시 공식 웹사이트 |
지리 | |
해발 고도 | 4미터 |
기후 분류 | #기후 분류・지진 분류 참조 |
지진 분류 | #기후 분류・지진 분류 참조 |
이미지 | |
![]() | |
![]() | |
![]() | |
![]() | |
![]() | |
기타 정보 | |
인접 코무네 | #인접 코무네 참조 |
로마자 표기법 | |
이탈리아어 발음 | ˈpiːza |
2. 역사
피사는 에트루리아어에서 유래했으며, '입(mouth)'을 의미한다는 가설이 유력하다. 1980년대와 1990년대 고고학 발굴을 통해 기원전 5세기 에트루리아 유적이 발견되면서, 해상 도시로서 지중해 문명과 교역했던 에트루리아 도시였음이 밝혀졌다.[4][5]
고대 로마 시대에는 피사가 오래된 도시로 기록되었으며, 충각의 발명과 함께 해상 역할이 중요해졌다. 제노바와 오스티아 사이 서부 해안의 유일한 항구였던 피사는 로마 해군 원정 기지가 되었다. 기원전 180년 로마 식민지가 되었고, 기원전 89년에는 무니키피움이 되었다. 아우구스투스 황제는 Colonia Iulia obsequens로 이름을 바꾸고 항구를 강화했다.[6]
서로마 제국 말기에도 피사는 하천 수계 덕분에 방어가 용이하여 쇠퇴하지 않았다. 7세기에는 교황 그레고리오 1세를 도와 비잔티움 제국에 대항했으며, 랑고바르드족에게 평화롭게 함락된 후에는 상부 티레니아 해의 주요 항구가 되었다. 860년 바이킹에게 점령당하기도 했지만, 930년에는 투시아(Tuscia) 영토 내 지역 중심지가 되었다.[7] 10세기 중반에는 투시아 지방의 수도로 불렸으며, 1003년에는 루카를 상대로 이탈리아 최초의 공동 전쟁을 벌였다. 9세기 이후 사라센 해적의 출현은 피사의 함대 확장을 촉진했고, 이는 828년 북아프리카 해안 공격, 871년 살레르노 방어, 970년 비잔틴 함대 격파 등으로 이어졌다.
11세기에 피사는 해양 공화국으로서 전성기를 맞았다. 1005년 레조 칼라브리아 약탈을 시작으로, 1017년 제노바와 동맹하여 사라센을 물리치고 티레니아 해 패권을 장악했다. 이후 시칠리아와 카르타고를 정복하고, 1063년에는 팔레르모를 탈환하여 대성당 건설을 시작했다. 1077년 교황 그레고리오 7세는 피사의 "해양법과 관습"을 인정했고, 황제 하인리히 4세는 영사 지명권을 부여했다. 1092년 교황 우르바노 2세는 피사에게 코르시카와 사르데냐에 대한 패권을 부여하고 대주교직으로 승격시켰다.
피사는 제1차 십자군에 참여하여 1099년 예루살렘 점령에 기여하고, 레반트 지역에 교역소와 식민지를 건설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에도 특권을 얻어, 12세기에는 베네치아를 제치고 비잔틴 제국의 주요 동맹국이 되었다.
12세기 초 피사는 발레아레스 제도를 정복하여 서부 지중해에서 탁월한 역할을 얻었으나,[1] 이는 제노바와의 경쟁을 심화시켰다. 1119년 전쟁이 시작되어 1133년까지 지속되었다.[1] 1135년 피사 공의회에서 교황 인노첸시오 2세의 주장이 옹호되면서 제노바와의 갈등이 해결되고, 피사는 아말피 공화국을 정복하는 등 세력을 확장했다.[1]
13세기에 들어서면서 피사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1209년 레리치에서 제노바와의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지만, 1220년 프리드리히 2세의 티레니아 해안 지배권 확증으로 제노바와의 갈등이 다시 커졌다. 1241년 질리오 해전에서 제노바 호송대를 격파했지만, 피사는 파문당했다. 1256년 제노바가 레리치를 되찾으면서 피사는 어려움을 겪었다.
1284년 멜로리아 해전에서 제노바에 패배하면서 피사의 해상력은 크게 약화되었고, 1290년에는 포르토 피사노가 파괴되었다. 아르노 강의 흐름 변화와 말라리아 발생 가능성, 1324년 사르데냐 상실 등도 피사의 쇠퇴에 영향을 미쳤다.
14세기 피사는 세력을 회복하려 노력했지만, 1405년 피렌체에 점령당했다.[57] 1494년 프랑스의 샤를 8세 침공 때 독립을 되찾았으나,[57] 15년간의 전투 끝에 다시 피렌체에 정복당했다. 이후 피사는 리보르노에게 주요 항구 역할을 넘겨주고, 피사 대학교 등을 중심으로 문화적 역할을 맡게 되었다.
피사는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탄생지이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괴를 겪었지만, 1950년대 이후 미군 기지가 유지되고 있다.[58][59]
2. 1. 고대
피사(Pisa)라는 이름은 에트루리아어에서 유래했으며, 피사가 아르노강 어귀에 있기 때문에 '입(mouth)'을 의미한다는 것이 가장 널리 알려진 가설이다.[4]피사의 기원은 역사적으로 여러 불확실성이 있었지만, 1980년대와 1990년대의 발굴을 통해 기원전 5세기 에트루리아 왕자의 무덤을 포함한 수많은 고고학적 유적이 발견되어, 피사가 에트루리아 문명의 도시였으며, 해상 도시로서 다른 지중해 문명과 무역 관계를 유지했음을 알 수 있다.[5]
고대 로마 작가들은 피사를 오래된 도시라고 불렀다. 알페이우스강 근처 엘리스의 피사 출신 식민지 개척자들이 이 도시를 세웠다고 전해지기 때문에 알페아에라는 별명이 붙여졌다.[6]
고대 기록에서 피사의 해상 역할은 충각의 발명으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피사는 제노바(당시 작은 마을)와 오스티아 사이 서부 해안에서 유일한 항구라는 이점을 누렸다. 피사는 리구리아인과 갈리아인을 상대로 한 로마 해군 원정 기지 역할을 했다. 기원전 180년에는 포르투스 피사누스(Portus Pisanus)라는 이름으로 로마법에 따라 로마 식민지가 되었다. 기원전 89년, 포르투스 피사누스는 무니키피움이 되었다. 아우구스투스 황제는 식민지를 중요한 항구로 강화하고 Colonia Iulia obsequens로 이름을 변경했다.
피사는 해안에 세워졌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아르노강과 세르키오 강의 충적 퇴적물로 인해 해안이 서쪽으로 이동했다. 스트라보는 도시가 해안에서 약 4.02km 떨어져 있다고 말했다. 현재는 해안에서 약 9.66km 떨어져 있다. 그러나 그곳은 아르노강을 따라 항해하는 배들이 있는 해상 도시였다.[7] 서기 90년대에는 도시에 목욕탕 단지가 건설되었다.
2. 2. 고대 후기와 중세 초기
서로마 제국 말기, 피사는 복잡한 하천 수계와 그로 인한 방어 용이성 덕분에 이탈리아의 다른 도시들만큼 쇠퇴하지 않았다. 7세기 피사는 교황 그레고리오 1세가 라벤나의 비잔티움 제국에 대항해 벌인 군사 원정에 수많은 선박을 공급하며 그를 도왔다. 피사는 투시아의 유일한 비잔티움 중심지였으며, 무역 이익이 있던 이웃 지역과의 동화를 통해 랑고바르드족에게 평화롭게 함락되었다. 이를 통해 피사는 상부 티레니아 해의 주요 항구 역할을 시작했으며, 토스카나와 코르시카, 사르데냐, 프랑스 및 스페인 남부 해안 사이의 주요 무역 중심지가 되었다.774년 샤를마뉴가 데시데리우스 휘하의 랑고바르드족을 격파한 후, 피사는 위기를 겪었으나 곧 회복되었다. 정치적으로는 루카 공국의 일부가 되었다. 860년 피사는 뵤른 야른시다가 이끄는 바이킹에게 점령당했다. 930년 피사는 투시아(Tuscia) 영토 내 지역 중심지가 되었으며, 이 지위는 오토 1세가 도착할 때까지 유지되었다. 루카가 수도였지만 피사가 가장 중요한 도시였다. 10세기 중반 크레모나의 주교 리우트프란트는 피사를 "Pisa Tusciae provinciae caput"(투시아 지방의 수도)라고 불렀으며, 1세기 후에는 투시아 후작이 일반적으로 "피사 후작"으로 불렸다. 1003년 피사는 루카를 상대로 이탈리아 최초의 공동 전쟁을 벌였다. 해군 관점에서 9세기 이후 사라센 해적의 출현은 도시가 함대를 확장하도록 촉구했다. 이후 이 함대는 도시에 더 많은 확장 기회를 제공했다. 828년 피사 선박은 북아프리카 해안을 공격했고, 871년에는 사라센족으로부터 살레르노를 방어하는 데 참여했다. 970년에는 오토 1세의 원정을 강력히 지원하여 칼라브리아 해안 앞에서 비잔틴 함대를 격파했다.
2. 3. 11세기: 피사 공화국의 전성기
피사의 해양 국가로서의 힘은 11세기에 정점에 달했으며, 이탈리아의 4대 역사적 해양 공화국 중 하나로 전통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다.
당시 피사는 매우 중요한 상업 중심지였으며, 지중해 상선과 해군을 통제했다. 1005년 이탈리아 남부의 레조 칼라브리아를 약탈하여 세력을 확장했다. 피사는 지중해 지배권을 놓고 코르시카에 기지를 두고 있던 '사라센'(아랍 무슬림을 지칭하는 중세 용어)과 지속적인 갈등을 겪었다. 1017년, 제노바와 동맹을 맺은 피사는 군사적 지원을 받아 사르데냐 북부에 병참 기지를 정착한 사라센 왕 무가히드를 물리쳤다. 이 승리로 피사는 티레니아 해에서 패권을 갖게 되었다. 이후 피사인들이 사르데냐에서 제노바인들을 축출했을 때, 이들 주요 해양 공화국들 사이에 새로운 갈등과 경쟁이 탄생했다. 1030년에서 1035년 사이에 피사는 시칠리아의 여러 경쟁 도시를 무찌르고 북아프리카의 카르타고를 정복했다. 1051~1052년에 야코포 치우리니(Jacopo Ciurini) 제독이 코르시카를 정복하여 제노바인들의 분노를 더 불러일으켰다. 1063년에 노르만족 루제로 1세의 도움을 받은 조반니 올란디 제독은 사라센 해적에게서 팔레르모를 빼앗았다. 팔레르모의 사라센에서 가져온 금 보물을 통해 피사는 대성당과 유명한 두오모 광장을 구성하는 다른 기념물을 짓기 시작할 수 있었다.
1060년에 피사는 제노바와 첫 번째 전투를 벌여야 했다. 피사의 승리는 지중해에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교황 그레고리오 7세는 1077년에 피사인들이 제정한 새로운 "해양법과 관습"을 인정했고, 황제 하인리히 4세는 자문회의 조언을 받아 그들 자신의 영사를 지명할 수 있는 권리를 그들에게 부여했다. 그 해에 후작은 이미 권력에서 제외되었기 때문에 이것은 단순히 현재 상황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1092년 교황 우르바노 2세는 피사에게 코르시카와 사르데냐에 대한 패권을 부여하고 동시에 대주교직으로 승격시켰다.
피사는 1088년에 튀니지의 도시 마흐디야를 약탈했다. 4년 후 피산과 제노바 선박은 카스티야의 알폰소 6세를 도와 엘 시드를 발렌시아에서 몰아냈다. 120척의 배로 구성된 피사 함대도 제1차 십자군에 참여했고, 피사인들은 1099년에 예루살렘을 점령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성지로 가는 도중에 배들은 비잔틴 섬 일부를 약탈할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피사 십자군은 미래의 예루살렘 총대주교인 다이베르트 대주교가 이끌었다. 피사와 다른 해양 공화국들은 십자군을 이용하여 레반트 동부 해안 도시에 교역소와 식민지를 건설했다. 특히 피사인들은 안티오키아, 아크레, 야파, 트리폴리, 티레, 라타키아, 아코네에 식민지를 세웠다. 그들은 또한 예루살렘과 가이사랴에 다른 소유물을 가지고 있었고, 카이로, 알렉산드리아, 그리고 비잔틴 황제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가 그들에게 특별한 계류권과 무역권을 부여한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자율성이 덜한) 작은 식민지도 가지고 있었다. 이 모든 도시에서 피사인들은 특권과 세금 면제를 받았지만 공격에 대비해 방어에 기여해야 했다. 12세기에 콘스탄티노플 동부의 피사 지구는 인구가 1,000명으로 늘어났다. 그 세기의 몇 년 동안 피사는 베네치아를 제치고 비잔틴 제국의 가장 뛰어난 상업적, 군사적 동맹국이었다.
2. 4. 12세기: 경쟁과 갈등
1113년, 피사는 교황 파스칼 2세와 함께 바르셀로나 백작과 프로방스 및 이탈리아(제노바 제외)의 다른 파견대와 연합하여 발레아레스 제도를 무어인에게서 해방시키기 위한 전쟁을 시작했다. 마요르카의 여왕과 왕은 사슬에 묶여 토스카나로 끌려갔다. 무라비트 술탄국은 곧 섬을 다시 정복했지만, 빼앗은 전리품은 피사인들이 웅장한 건물, 특히 대성당 건설에 도움이 되었으며, 피사는 서부 지중해에서 탁월한 역할을 얻었다.[1]이후 몇 년 동안 피에트로 모리코니 대주교가 이끄는 강력한 피사 함대는 치열한 전투 끝에 사라센족을 몰아냈다. 비록 단명했지만, 스페인에서의 피사의 성공은 제노바와의 경쟁을 더욱 심화시켰다. 피사의 랑그도크, 프로방스(놀리, 사보나, 프레쥐스, 몽펠리에)와의 무역은 이에르, 포, 앙티브, 마르세유와 같은 도시에 대한 제노바의 관심에 장애물이었다.[1]
1119년 제노바인들이 본국으로 돌아가는 길에 여러 척의 갤리선을 공격하면서 전쟁이 시작되어 1133년까지 지속되었다. 두 도시는 육지와 바다에서 서로 싸웠지만, 적대 행위는 습격과 해적과 같은 공격으로 제한되었다.[1]
1135년 6월,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는 피사 공의회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아 1130년 노르만인의 지원을 받아 교황으로 선출되었지만 로마 밖에서는 인정받지 못한 아나클레투스 2세의 주장에 맞서 교황 인노첸시오 2세의 주장을 옹호했다. 교황 인노첸시오 2세는 제노아와의 갈등을 해결하여 피사와 제노바의 영향력 영역을 확립했다. 이후 피사는 제노바의 방해를 받지 않고 인노첸시오 2세가 시칠리아의 로제로 2세를 상대로 벌이는 충돌에 참여할 수 있었다. 해상 공화국 중 하나인 아말피 공화국(이미 노르만 통치 하에서 쇠퇴하고 있었음)은 1136년 8월 6일에 정복되었다. 피사인들은 항구의 배를 파괴하고 주변 지역의 성을 공격했으며, 아베르사에서 로제로가 보낸 군대를 몰아냈다. 이 승리로 피사는 권력의 정점에 이르렀고 베네치아와 동등한 지위에 올랐다. 2년 후, 피사 군인들은 살레르노를 약탈했다.[1]
2. 5. 13세기: 쇠퇴의 시작
1209년 레리치에서 제노바와의 경쟁 관계를 해결하기 위해 두 번의 공의회가 열렸고, 20년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 그러나 1220년 황제 프리드리히 2세가 치비타베키아에서 포르토베네레까지 티레니아 해안에 대한 지배권을 확증하면서 제노바와 토스카나의 피사에 대한 분노가 다시 커졌다. 이후 피사는 가르파냐나에서 루카와 충돌했고 카스텔 델 보스코에서 피렌체에 패배했다. 피사의 강력한 기벨린적 입장은 신성 로마 제국과 분쟁 중인 교황과 대립하게 만들었고, 교황은 피사의 북부 사르데냐 통치권을 박탈하려 했다.1238년 교황 그레고리오 9세는 제노바와 베네치아 사이에 반제국 동맹을 맺었고, 이는 피사에 대항하는 동맹이 되었다. 1년 후, 그는 프리드리히 2세를 파문하고 1241년 로마에서 반제국 의회를 소집했다. 1241년 5월 3일, 황제의 아들 엔초가 이끄는 피사와 시칠리아 연합 함대가 토스카나 앞 질리오 섬(질리오 해전)에서 제노바 호송대를 공격했다. 제노바는 25척의 배를 잃었고, 약 천 명의 선원, 두 명의 추기경, 한 명의 주교가 포로로 잡혔다. 이 승리 이후 로마 공의회는 실패했지만 피사는 파문당했다. 이 조치는 1257년에야 제거되었다. 피사는 유리한 상황을 이용하여 코르시카 도시 알레리아를 정복하고 1243년에는 제노바를 포위하려 했다.
그러나 리구리아의 제노바 공화국은 빠르게 회복하여 1256년에 피사가 정복했던 레리치를 되찾았다.
지중해의 확장과 상인 계급의 부상으로 도시 기관의 변화가 필요했다. 영사 제도는 폐지되었고, 1230년에 새로운 도시 통치자들은 "인민의 수장"인 카피타노 델 포폴로(Capitano del Popolo)를 민간 및 군사 지도자로 임명했다. 이러한 개혁에도 불구하고, 델라 게라르데스카 가문과 비스콘티 가문 사이의 경쟁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1237년 대주교와 황제 프리드리히 2세가 개입했지만 긴장은 계속되었다. 1254년 사람들은 반란을 일으키고 12명의 안치아니 델 포폴로(Anziani del Popolo|안치아니 델 포폴로it)를 코뮌의 정치적 대표자로 임명했다. 그들은 또한 귀족들로 구성된 입법 위원회를 주요 길드와 인민 회사의 수장들로 구성된 새로운 인민 위원회로 보충했다. 이들은 주요 총회와 상원의 법률을 비준하는 권한을 가졌다.
2. 6. 14세기 이후: 피렌체와 외세의 지배
피사의 쇠퇴는 1284년 8월 6일 멜로리아 해전에서 제노바 함대에 패배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패배로 피사의 해상력은 끝났고, 1290년 제노바는 피사의 항구인 포르토 피사노를 파괴하고 소금을 뿌렸다. 멜로리아 해전에서 수천 명의 선원을 잃은 피사는 회복하지 못했지만, 상품 교역은 계속되었다. 그러나 아르노 강의 흐름이 바뀌면서 갤리선이 도시 항구에 도달하는 것이 어려워졌고, 인근 지역에 말라리아가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다. 1324년 사르데냐를 아라곤에게 완전히 상실하면서 피사는 큰 타격을 입었다.14세기 피사는 세력을 키우려 노력했고, 몬테카티니 전투(1315)에서 피렌체를 물리치기도 했다. 그러나 오랜 포위 공격 끝에 1405년 피렌체에 점령당했다.[57] 피렌체의 '인민의 족장'인 조반니 감바코르타가 밤에 성문을 열어주었다. 1409년 피사는 피사 공의회의 소재지였다. 15세기에는 항구가 토사로 뒤덮여 바다와 단절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1494년 프랑스의 샤를 8세가 이탈리아를 침공했을 때,[57] 피사는 독립을 되찾았다.
그러나 15년간의 전투와 포위 공격 끝에 피렌체 군대에 다시 정복당했다. 비텔로초 비텔리와 그의 형제 파올로는 피사의 방어를 뚫었으나 도시에 들어가지 않았고, 파올로는 처형당했다. 피사의 자원은 고갈되었고, 결국 도시는 밀라노의 비스콘티 가문에 팔렸다가 다시 피렌체에 팔렸다. 리보르노가 토스카나의 주요 항구 역할을 맡게 되었고, 피사는 피사 대학교(1343년 설립)와 피사 고등사범학교(1810년), 산타나 고등연구원(1987년) 덕분에 주로 문화적 역할을 맡게 되었다.
피사는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탄생지이며, 여전히 대주교의 자리이다. 교육 기관 외에도 경공업 중심지이자 철도 허브가 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반복적으로 파괴되었다. 1950년대 초부터 미군은 캠프 다비를 유지하며 미군 병사들의 휴가 기지로 사용하고 있다.[58][59]
3. 지리
피사는 북부에 피사노 산이 있으며, 발달노 계곡과 접한다. 시는 리구리아 해에서 석호 지대를 형성하는 아르노 강과 세르키오 강의 합류 지점에 있다.
피사 서부를 포함한 비아레조와 리보르노 사이의 지중해 연안 지역은 2004년 유네스코의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다.[50]
3. 1. 기후
피사는 아열대 습윤 기후(쾨펜 기후 구분: ''Cfa'')와 지중해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Csa'')의 경계에 있는 도시이다. 이 도시는 서늘하거나 온화한 겨울과 더운 여름이 특징이다. 이러한 전이 기후 덕분에 피사는 강우량이 적당한 여름을 가지고 있다. 강우량은 가을에 최고조에 달하며, 눈은 드물다. 공식적으로 기록된 최고 기온은 2011년 8월 22일 39.5°C였고, 최저 기온은 1985년 1월 12일 -13.8°C였다.[11][12]다음은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피사 기후 데이터이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최고 기온 기록 (°C) | 17.6 | 21.0 | 24.0 | 27.9 | 30.9 | 35.0 | 37.8 | 39.5 | 36.2 | 30.2 | 24.0 | 20.4 |
평균 최고 기온 (°C) | 11.5 | 12.6 | 15.5 | 18.5 | 22.7 | 27.0 | 29.9 | 30.3 | 26.1 | 21.3 | 16.0 | 12.1 |
평균 기온 (°C) | 6.9 | 7.4 | 10.2 | 13.0 | 17.1 | 21.2 | 23.9 | 24.2 | 20.2 | 16.1 | 11.6 | 7.7 |
평균 최저 기온 (°C) | 2.8 | 2.8 | 5.2 | 7.8 | 11.5 | 15.3 | 17.8 | 18.5 | 14.9 | 11.7 | 7.8 | 3.9 |
최저 기온 기록 (°C) | -13.8 | -8.4 | -8.2 | -3.2 | 2.8 | 5.8 | 8.8 | 8.2 | 3.8 | 0.3 | -7.2 | -7.2 |
평균 강수량 (mm) | 68.0 | 63.1 | 60.0 | 64.9 | 61.7 | 41.1 | 31.9 | 40.6 | 100.3 | 128.7 | 131.1 | 87.7 |
평균 상대 습도 (%) | 75.2 | 71.9 | 70.9 | 72.5 | 72.0 | 70.6 | 68.4 | 68.9 | 70.3 | 75.0 | 77.9 | 76.8 |
평균 강수일 (≥ 1.0 mm) | 6.9 | 7.2 | 6.3 | 7.6 | 6.6 | 4.4 | 2.2 | 2.6 | 6.5 | 8.6 | 10.4 | 9.3 |
평균 일조 시간 | 113.2 | 128.4 | 166.3 | 180.8 | 240.9 | 264.9 | 314.5 | 286.8 | 216.1 | 158.1 | 115.0 | 100.7 |
출처 | 미국 해양대기청[60], 미국 국립환경정보센터 (일조시간: 1981년~2010년)[61] |
4. 문화
피사에서는 1200년대부터 1807년까지 "조코 델 폰테"(폰테 게임)라는 축제이자 게임이 개최되었다.[15][16] 1400년대 후반부터는 피사의 중앙 다리(폰테 디 메초, Ponte di Mezzo)에서 모의 전투 형태로 진행되었다. 참가자들은 누비 천 갑옷을 입고 '타르고네'(targone)라는 방패 모양의 판을 무기로 사용했다. 허리 아래 공격은 금지되었고, 양 팀은 다리 양 끝에서 시작해 상대를 다리에서 몰아내는 것이 목표였다. 전투는 45분으로 제한되었고, 승패는 매우 중요했지만 무승부로 끝나기도 했다.[15][16]
1677년, 네덜란드 화가 코르넬리스 더 브뤼인(Cornelis de Bruijn)은 이 전투를 목격하고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17]
> "리보르노(Livorno)에 머무는 동안 피사에 가서 다리 싸움을 목격했습니다. 전투원들은 완전한 갑옷을 착용하고 투구를 쓰고 각자의 깃발을 들고 도착했습니다. ... 전투는 ... 나무 도구를 사용하여 벌어졌습니다. ... 피투성이로 머리가 부서진 채로 실려가는 사람들을 여러 명 보았습니다. 승리는 다리를 점령하는 것이며, 베네치아(Venice)에서 카스텔라니(Castellani)와 니콜로티(Nicolotti) 사이의 주먹 싸움과 같은 방식입니다."
1927년 대학생들이 이 전통을 부활시켰고, 1935년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Vittorio Emanuele III)와 왕족이 현대판 게임을 처음으로 다시 열었다. 이후에도 피사 시민들에 의해 계속 이어져 왔다.
피사의 주요 축제는 다음과 같다.
- 피사의 새해 (민속, 3월 25일)
- 폰테 게임 (민속)
- 산 라니에리 축제 (민속, 6월 16일)
- 해상 공화국 레가타 (민속)
- 피사 전국 문학상
- 피사 도서 축제
- 메타락 (록 음악 축제)
- 인터넷 축제 산 라니에리 레가타 (민속)
- 턴 오프 페스티벌 (하우스 음악 축제)
- 네시아 (유대인 문화 축제, 11월)
피사 대학교는 물리학, 수학, 공학,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특히 유명하다. 이탈리아 최고의 학술 기관으로 Scuola Normale Superiore di Pisa와 Scuola Superiore Sant'Anna|산타나 고등 연구원it는 주로 연구와 대학원생 교육으로 유명하다.
4. 1. 주요 관광지
- 두오모 미술관: 니콜라 피사노, 조반니 피사노의 조각 작품 원본과 대성당의 보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 시노피에 미술관: 캄포산토에서 출토된, 프레스코화의 밑그림인 시노피아를 전시한다.
- 국립 산 마테오 미술관: 12세기부터 15세기까지의 조각과 회화를 전시하며, 조반니 피사노, 안드레아 피사노, 시모네 마르티니, 니노 피사노, 마사초 등의 걸작이 포함되어 있다.
- 국립 팔라초 레알레 미술관: 팔라초 레알레에 살았던 귀족들의 소장품인 그림, 조각상, 갑옷 등을 전시한다.
- 계산 도구 국립 박물관: 과학에 사용되었던 도구들을 소장하고 있으며, 피터르 판 뮈센브룩의 압축기와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소유했을 가능성이 있는 나침반 등이 있다.
- 피사 대학교 자연사 박물관: 도시 외곽의 칼치 체르토사에 위치해 있으며, 유럽에서 가장 큰 고래목 골격 컬렉션 중 하나를 보유하고 있다.
- 팔라초 블루 (Palazzo Blu): 룬가르노에 위치한 임시 전시 및 문화 활동 센터로, 파란색 건물이다.
- 피사의 고대 선박: 10,650평방미터 규모의 박물관으로, 고고학 발굴지, 실험실, 복원 센터를 포함하며, 안내 투어를 통해 방문할 수 있다.[18] 2019년 6월에 개관했으며,[19] 16세기 메디치 조선소 내부에 위치해 있다.[20] 기원전 8세기부터 기원전 2세기까지의 도자기와 항아리(amphoras) 컬렉션,[21] 기원전 2세기부터 기원전 7세기까지의 배 32척을 소장하고 있다.[22] 그중 4척은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으며,[23] 가장 좋은 것은 "알케도"이다.[24] 1998년 피사 산 로쏘레 기차역(Pisa San Rossore railway station) 근처에서 발견되었고, 고고학 발굴은 20년 후에 완료되었다.[25]


- 세례당: 니콜라 피사노가 1260년에 제작한 유명한 설교단이 있다.
- 산 프란체스코 교회
- 산 프레디아노 교회
- 산 조르조 아이 테데스키 교회(San Giorgio ai Tedeschi)
- 산 미켈레 인 보르고 교회(San Michele in Borgo)
- 산 니콜라 교회
- 산 파올로 아 리파 달르노 교회(San Paolo a Ripa d'Arno)
- 산 파올로 알로르토 교회(San Paolo all'Orto)
- 산 피에로 아 그라도 교회(San Piero a Grado)
- 산 피에트로 인 빈쿨리스 교회
- 산 시스토 교회
- 산 토마소 델레 콘베르티테 교회
- 산 제노 교회
- 산타 카테리나 교회
- 산타 크리스티나 교회
- 산타 마리아 델라 스피나 교회(Santa Maria della Spina)
- 산토 세폴크로 교회



- 푸테아노 대학 궁전(Palazzo del Collegio Puteano)
- 카라바나 궁전(Palazzo della Carovana)
- 과부들의 궁전(Palazzo delle Vedove)
- 구알란디 탑(Torre dei Gualandi)
- 콜리아노 빌라(Villa di Corliano)
- 피사의 사탑(Leaning Tower of Pisa)
- 피사 대성당 광장: 피사 대성당, 피사 세례당, 묘지(캄포산토), 피사의 사탑이 있다.
- 카발리에리 광장 (''Piazza dei Cavalieri''): 도시의 두 번째 광장. 과거 산테파노 기사단 본부가 있었던 곳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중세 피사의 정치 중심지였다.
- 산토 스테파노 데이 카발리에리 교회 (''Chiesa di Santo Stefano dei Cavalieri''): 조르조 바사리 설계. 원형은 본당 하나였지만, 17세기에 두 개가 더 추가되었다. 도나텔로 작의 흉상과 조르조 바사리, 알레산드로 페이, 야코포 리고치, 야코포 키멘티의 그림을 소장하고 있다.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기사단과 터키의 많은 해전에서 빼앗은 전리품도 포함되어 있다.
- 산 시스토 교회: 교황 시크스트 2세에게 봉헌되었다. 1133년 성화되었다. 이전에는 원로원 회의가 열리기도 했다. 도시에서 가장 보존 상태가 좋은 초기 로마네스크 양식 건축물 중 하나이다.
- 산 프란체스코 교회: 1276년 이후 건설. 조반니 디 시모네 설계. 1343년 새로운 예배당이 추가되었다. 하나의 본당과 유명한 종탑, 15세기 회랑으로 알려져 있다. 게랄데스카 예배당에는 우고리노 델라 게랄데스카와 그의 아들들이 묻혀 있다.
- 산 프레디아노 교회: 1061년 건설. 세 개의 측랑이 있는 바실리카의 내부, 12세기부터의 그리스도 십자가상이 있다. 16세기에 그려진 벤투라 살림베니, 도메니코 파시냐노, 아우렐리오 로미, 루틸리오 마네티의 그림이 수리 중에 추가되었다.
- 산 니콜라 교회: 1097년 건설. 1297년부터 1313년까지 아우구스티누스회에 의해 확장되었다. 조반니 피사노 설계로 여겨진다. 팔각형 종탑은 13세기 중반부터의 것이다.
- 산타 마리아 델라 스피나 교회: 1230년, 루포 디 프란체스코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는 고딕 건축이다.
- 산 파올로 아 리파 달르노 교회: 952년경 창립. 12세기 중반에 확장되었다. 피사 대성당과 비슷하다. 기묘한 피라미드형 첨탑이 있는 로마네스크 양식의 산타가타 예배당이 있다.
- 보르고 스트레토 (Borgo Stretto): 아르노 강변의 루냐르노 거리와 중세 아케이드 아래를 거닐 수 있는 근처. 고딕과 로마네스크 양식이 절충된 산 미켈레 인 보르고 교회(990년)를 포함한다. 거기에 적어도 두 개의 다른 웅장한 사탑이 있는데, 하나는 중앙 산타 마리아 거리 남쪽 끝에, 또 하나는 강변의 산책로 피아제를 통과하는 중간에 있다.
- 메디치 궁전: 과거 1392년부터 1398년까지 피사를 지배했던 아피아노 가문이 소유했다. 1400년 메디치 가문이 획득했고, 로렌초 데 메디치가 머물렀다.
- 피사 식물원: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 부속 식물원
- 팔라초 레알레 (Palazzo Reale): 과거 로마 귀족 카에타니 가문이 살았던 곳.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자신의 천체 망원경으로 발견한 행성을 토스카나 대공에게 여기서 보여주었다. 궁전은 코지모 1세 데 메디치를 위해 1559년 바치오 반디넬리가 지었다. 나중에 다른 궁전을 포함하여 확장되었다.
- 팔라초 갬바코르티 (Palazzo Gambacorti): 14세기 고딕 양식. 현재 시청이 들어서 있다. 내부에서는 피사의 해상 승리를 표현한 프레스코화를 볼 수 있다.
- 팔라초 아고스티니 (Palazzo Agostini): 팔라초 델루세로 (Palazzo dell’Ussero) 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진 고딕 양식의 건물. 15세기 파사드, 1155년 이전부터라는 고대 도시 성벽을 가지고 있다. 건물 이름은 1775년 9월 1일에 생긴 역사적인 모임 장소 카페 델루세로 (Caffè dell’Ussero)에서 유래한다.
- 투트몬도의 벽화: 키스 해링이 마지막으로 한 공공 장소 작품. 산탄토니오 교회 뒷벽에 1989년 6월에 그려졌다.
피사는 피사 대학교의 소재지이다. 물리학, 수학, 공학,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유명하다. 산탄나 대학원 대학교, 피사 고등사범학교는 이탈리아의 학문 연구 엘리트 양성 기관으로, 주로 대학원생의 교육과 연구를 수행한다. 그 외에도 이탈리아 학술회의 (CNR) 소속 유기금속화학연구소 (ICCOM) 기지가 있으며, 컴퓨터 과학, 정보 과학 등의 연구가 활발하다.
동쪽 지중해에 접한 고급 주택가 마리나 디 피사는 연금 생활자가 많이 거주하는 여름 휴양지이다.
4. 2. 축제
피사에서는 1200년대부터 1807년까지 "조코 델 폰테"(다리 게임)라는 축제이자 게임이 열렸다.[15][16] 1400년대 후반부터 이 게임은 피사의 중앙 다리(폰테 디 메초, Ponte di Mezzo)에서 벌어지는 모의 전투 형태를 띠었다. 참가자들은 누비 천 갑옷을 입고, '타르고네'(targone)라는 방패 모양의 튼튼한 판을 무기로 사용했다. 허리 아래를 공격하는 것은 금지되었고, 두 팀은 다리 양 끝에서 시작하여 상대 팀을 다리에서 몰아내는 것을 목표로 했다. 전투 시간은 45분으로 제한되었으며, 승패는 선수들과 지지자들에게 매우 중요했지만, 무승부로 끝나기도 했다.[15][16]1677년, 네덜란드 화가 코르넬리스 더 브뤼인(Cornelis de Bruijn)은 이 전투를 목격하고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 "리보르노(Livorno)에 머무는 동안 피사에 가서 다리 싸움을 목격했습니다. 전투원들은 완전한 갑옷을 착용하고 투구를 쓰고 각자의 깃발을 들고 도착했습니다. ... 전투는 ... 나무 도구를 사용하여 벌어졌습니다. ... 피투성이로 머리가 부서진 채로 실려가는 사람들을 여러 명 보았습니다. 승리는 다리를 점령하는 것이며, 베네치아(Venice)에서 카스텔라니(Castellani)와 니콜로티(Nicolotti) 사이의 주먹 싸움과 같은 방식입니다."[17]
1927년, 대학생들이 이 전통을 부활시켰다. 1935년에는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Vittorio Emanuele III)와 왕족이 현대판 게임의 첫 부활을 목격했으며, 이후에도 피사 시민들에 의해 계속 이어져 왔다.
피사의 축제는 다음과 같다.
- 피사의 새해 (민속, 3월 25일)
- 폰테 게임 (민속)
- 산 라니에리 축제 (민속, 6월 16일)
- 해상 공화국 레가타 (민속)
- 피사 전국 문학상
- 피사 도서 축제
- 메타락 (록 음악 축제)
- 인터넷 축제 산 라니에리 레가타 (민속)
- 턴 오프 페스티벌 (하우스 음악 축제)
- 네시아 (유대인 문화 축제, 11월)
4. 3. 교육
피사 대학교는 특히 물리학, 수학, 공학,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명성이 높다. 이탈리아 최고의 학술 기관으로 Scuola Normale Superiore di Pisa와 Scuola Superiore Sant'Anna|산타나 고등 연구원it는 주로 연구와 대학원생 교육으로 유명하다.- Scuola Normale Superiore di Pisa는 1810년 나폴레옹의 칙령에 따라 프랑스 파리의 École Normale Supérieure의 분교로 설립되었다. 1862년 이탈리아 통일 1년 후 "국립 대학교"로 인정받았으며, 그 당시에는 "이탈리아 왕국 사범학교"(Scuola Superiore Universitaria)로 불렸다.
- Sant'Anna School of Advanced Studies of Pisa (Scuola Superiore Sant'Anna|산타나 고등 연구원it)는 이탈리아 피사에 위치한 특별법상 공립 대학교로, ''피사 고등사범학교''에서 출발하여 응용 과학 분야에서 운영되고 있다(Scuola Superiore Universitaria).
- University of Pisa (Università di Pisa|피사 대학교it)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 중 하나이다. 11세기부터 피사에서 법학 강의가 있었지만, 공식적으로는 1343년 9월 3일 클레멘스 6세 교황의 칙령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 대학교에는 1544년에 설립된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학술 식물원인 Orto botanico di Pisa가 있다. 이 대학교 의과대학은 Azienda ospedaliero-universitaria pisana에 있다.
5. 교통
피사는 대중교통 시스템이 잘 갖추어져 있어 도시 내외를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 버스 - 2021년 11월 1일부터 토스카나 자동차 회사(Autolinee Toscane)가 지역 대중교통을 운영하고 있다. 이전에는 CPT에서 시내버스를 운영했으며, 버스 정류장은 산탄토니오 광장(Piazza Sant'Antonio)에 있었다.
시내 노선과 피사로부터의 교외 노선은 다음과 같다.
'''시내 노선:'''
노선 번호 | 노선 이름 | 주요 경유지 |
---|---|---|
2번 | 산 주스토 – 중앙역 – 포르타 아 루카 | |
4번 | 중앙역 – 이 파시 | |
5번 | 푸티냐노 – 중앙역 – C.E.P. | |
6번 | 중앙역 – C.E.P. – 바르바리치나 | |
8번 | 콜타노 – 빅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광장 | |
12번 | 비알레 그람시 – 오스페달레토 (엑스포) – CPT 버스 차고지 | |
13번 | 치사넬로 병원 – 피아제 – 중앙역 – 피사노바 | |
14번 | 치사넬로 병원 – 피사노바 – 중앙역 – 피아제 | |
16번 | 비알레 그람시 – 오스페달레토 – 공업 지대 (일부는 몬타카키엘로 지역까지) | |
21번 | 공항 – 중앙역 – C.E.P.–두오모 – 이 파시 (야간 운행) | |
22번 | 중앙역 – 피아제–피사노바–치사넬로–프라탈레 (야간 운행) | |
LAM Rossa | 치사넬로 병원 - 중앙역 – 두오모 – 피에트라산티나 주차장 | |
LAM Verde | 산 주스토 - 중앙역 - 프라탈레 | |
셔틀 E | 룽가르노 파치노티 – 브레네로 공원 – 라 폰티나 | |
야간 LAM | 치사넬로–룽가르니 (야간 운행) | |
야간 LAM | 피에트라산티나–룽가르니 (야간 운행) | |
토레 셔틀 | 피에트라산티나 공원 – 라르고 코코 그리피 (두오모) | |
치사넬로 병원 셔틀 | 보케테 공원 – 치사넬로 (병원) |
'''피사로부터의 교외 노선:'''
노선 번호 | 주요 경유지 |
---|---|
10번 | 피사–티레니아–리보르노 (라 베톨라 - 산 피에로 아 그라도 경유) |
50번 | 피사–콜레살베티–파울리아–크레스피나 |
51번 | 콜레살베티–로렌자나–오르치아노 |
70번 | 피사–젤로–폰타세르키오 |
71번 | 피사 – 산탄드레아 인 팔라치 – 폰타세르키오 – 산 마르티노 울미아노 |
80번 | 피사–밀리아리노–베키아노–필레토레 |
81번 | 피사–폰타세르키오–베키아노 |
110번 | 피사–아시아노–아냐노 |
120번 | 피사–칼치–몬테마뇨 |
140번 | 피사–비코피사노–폰테데라 |
150번 | 피사–무시글리아노–페토리 |
160번 | 피사–나바키오–칼치 – 트레 콜리 |
190번 | 피사–카시나–폰테데라 |
875번 | 피사 – 아레나 메타토 |
- 도로 - 피렌체에서 오는 A11 고속도로와 제노바-로시냐노를 잇는 A12 고속도로에 연결되어 있으며, 피사 노르드와 피사 센터 - 공항 출구가 있다. 그 외에 간선도로 스트라다 스타탈레 12를 이용한다.
5. 1. 공항
피사에는 산 지우스트 지역에 위치한 피사 국제공항(Pisa International Airport) 또는 일반적으로 갈릴레오 갈릴레이 공항(Galileo Galilei)으로 알려진 국제공항이 있다. 이 공항은 21개 항공사가 운항하며, 국내 11개 목적지와 국제 61개 목적지(계절별 운항 포함)를 연결한다.[1] 시내 중심에서 시내버스로 약 10분 거리에 갈릴레오 갈릴레이 국제공항(Galileo Galilei International Airport)이 있다.[2]5. 2. 철도
피사에는 승객을 위한 두 개의 기차역이 있다. 피사 중앙역과 피사 산 로쏘레 역이다.피사 중앙역은 주요 기차역이며 티레니아 철도 노선에 위치해 있다. 이 역은 피사를 로마(Rome), 피렌체(Florence), 제노바(Genoa), 토리노(Turin), 나폴리(Naples), 리보르노(Livorno), 그로세토(Grosseto) 등 이탈리아의 여러 주요 도시와 직접 연결한다.
피사 산 로쏘레 역은 피사에서 북동쪽으로 20분 거리에 있는 루카와 비아레지오(Viareggio)와 피사를 연결하며, 피사 중앙역에서도 접근 가능하다. 피사 사탑 인근에 위치한 작은 기차역이다.
피사 공항 인근에 피사 공항역이라는 역이 있었는데, 피사 중앙역과 피렌체(Florence)를 오가는 열차가 운행되었다. 이 역은 2013년 12월 15일에 인터시티 철도(people mover) 건설을 위해 폐쇄되었다.[27]
피사 공항은 피사 중앙역과 2km 길이의 피사무버(Pisamover)라 불리는 무인 운송 시스템(people mover)으로 연결되어 있다.[27] 2017년 3월에 개통되었다.[28] 이 시스템은 무인 수평 궤도열차(horizontal funicular)를 기반으로 하며, 5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산 지우스트/아우렐리아(San Giusto/Aurelia) 주차장에 중간 정차역이 있다. 5분 만에 목적지까지 이동한다.
5. 3. 기타
피사노 운송 컨소시엄(CPT)은 2005년부터 피사와 피사주 지역의 대중교통을 운영했던 유한책임 컨소시엄(Scarl)이었다. 2012년 토스카나 북부 교통회사(Compagnia Toscana Trasporti Nord)의 자회사가 되었으며,[29] 2018-2019년 기간 동안 토스카나주(Regione Toscana)와 체결한 대중교통 계약을 이행하기 위해 ONE Scarl 컨소시엄의 회사 중 하나였다.[30] 차량은 시내버스 70대, 교외버스 15대, 시외버스 260대로 구성되었다.2021년 11월 1일부터 지역 대중교통은 토스카나 자동차 회사(Autolinee Toscane)가 운영하고 있다.[31]
; 시내 노선:[32]
노선 번호 | 노선 이름 | 주요 경유지 |
---|---|---|
2번 | 산 주스토 – 중앙역 – 포르타 아 루카 | |
4번 | 중앙역 – 이 파시 | |
5번 | 푸티냐노 – 중앙역 – C.E.P. | |
6번 | 중앙역 – C.E.P. – 바르바리치나 | |
8번 | 콜타노 – 빅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광장 | |
12번 | 비알레 그람시 – 오스페달레토 (엑스포) – CPT 버스 차고지 | |
13번 | 치사넬로 병원 – 피아제 – 중앙역 – 피사노바 | |
14번 | 치사넬로 병원 – 피사노바 – 중앙역 – 피아제 | |
16번 | 비알레 그람시 – 오스페달레토 – 공업 지대 (일부는 몬타카키엘로 지역까지) | |
21번 | 공항 – 중앙역 – C.E.P.–두오모 – 이 파시 (야간 운행) | |
22번 | 중앙역 – 피아제–피사노바–치사넬로–프라탈레 (야간 운행) | |
LAM Rossa | 치사넬로 병원 - 중앙역 – 두오모 – 피에트라산티나 주차장 | |
LAM Verde | 산 주스토 - 중앙역 - 프라탈레 | |
셔틀 E | 룽가르노 파치노티 – 브레네로 공원 – 라 폰티나 | |
야간 LAM | 치사넬로–룽가르니 (야간 운행) | |
야간 LAM | 피에트라산티나–룽가르니 (야간 운행) | |
토레 셔틀 | 피에트라산티나 공원 – 라르고 코코 그리피 (두오모) | |
치사넬로 병원 셔틀 | 보케테 공원 – 치사넬로 (병원) |
노선 번호 | 주요 경유지 |
---|---|
10번 | 피사–티레니아–리보르노 (라 베톨라 - 산 피에로 아 그라도 경유) |
50번 | 피사–콜레살베티–파울리아–크레스피나 |
51번 | 콜레살베티–로렌자나–오르치아노 |
70번 | 피사–젤로–폰타세르키오 |
71번 | 피사 – 산탄드레아 인 팔라치 – 폰타세르키오 – 산 마르티노 울미아노 |
80번 | 피사–밀리아리노–베키아노–필레토레 |
81번 | 피사–폰타세르키오–베키아노 |
110번 | 피사–아시아노–아냐노 |
120번 | 피사–칼치–몬테마뇨 |
140번 | 피사–비코피사노–폰테데라 |
150번 | 피사–무시글리아노–페토리 |
160번 | 피사–나바키오–칼치 – 트레 콜리 |
190번 | 피사–카시나–폰테데라 |
875번 | 피사 – 아레나 메타토 |
피사는 피렌체에서 오는 A11 고속도로와 제노바-로시냐노를 잇는 A12 고속도로에 연결되어 있으며, 피사 노르드와 피사 센터 출구 – 공항이 있다.
- '''공항''' - 시내 중심에서 시내버스로 약 10분 거리에 갈릴레오 갈릴레이 국제공항(Galileo Galilei International Airport)이 있다.
- '''버스''' - 캄파니아 피사나 트란스포르티(Campania Pisana Trasporti)에서 시내버스를 운영한다. 버스 정류장은 산탄토니오 광장(Piazza Sant'Antonio)에 있다.
- '''철도''' - 시내에는 피사 중앙역(Pisa Centrale), 피사 공항역(Pisa Aeroporto)(갈릴레오 갈릴레이 국제공항 인접), 피사 산 로쏘레역(Pisa San Rossore)이 있다. 피사 중앙역에서는 로마, 제노바, 토리노, 리보르노, 피렌체 등으로 가는 피사-라 스페치아-제노바선, 레오폴다선, 피사-리보르노-로마선이 있다.
- '''도로''' - 고속도로 아우토스트라다 A11, 아우토스트라다 A12 외에 간선도로 스트라다 스타탈레 12를 이용한다.
6. 자매 도시
7. 저명한 출신
- 줄리아노 아마토 - 정치인[33]
- 안드레아 보첼리 - 테너이자 다중 악기 연주자[34]
- 조수에 카르두치 - 시인이자 1906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34]
- 카를로 아첼리오 참피 - 정치인, 전 이탈리아 공화국 대통령
- 루스티켈로 다 피사 - 작가
- 레오나르도 피보나치 - 수학자[37]
- 갈릴레오 갈릴레이 - 물리학자[38]
- 조반니 젠틸레 - 철학자이자 정치인
- 조반니 그론키 - 정치인, 전 이탈리아 공화국 대통령
- 자코모 레오파르디 - 시인이자 철학자[41]
- 엔리코 레타 - 정치인, 전 이탈리아 총리
- 질로 폰테코르보 - 영화 제작자
- 제이슨 아쿠나 - 스턴트 배우
- 세르조 베르토니 - 축구 선수
- 조르조 키엘리니 - 축구 선수
- 알레산드로 단코나 - 비평가이자 작가[33]
- 실바노 아리에티 - 정신과 의사
- 가에타노 바르디니 - 테너
- 마시모 카르마시 - 건축가
- 마리아 루이자 치치 - 시인
- 조반니 카를로 마리아 클라리 - 음악 작곡가이자 피스토이아의 ''마에스트로 디 카펠라''[35]
- 알레시오 코르티 - 수학자
- 조반니 바티스타 도나티 - 이탈리아 천문학자[36]
- 오라치오 젠틸레스키 - 화가[39]
- 우골리노 델라 게라르데스카 백작 - 귀족(단테 알리기에리 참조)[40]
- 마르코 말발디 - 추리 소설가
- 레오나르도 오르톨라니 - 만화 작가
- 안토니오 파치노티 - 물리학자, 다이나모 발명가
- 안드레아 피사노 - 조각가이자 건축가[42]
- 아프로 폴리 - 오페라 바리톤 가수
- 브루노 폰테코르보 - 핵물리학자
- 이폴리토 로셀리니 - 이집트학자[43]
- 파올로 사비 - 지질학자이자 조류학자[44]
- 안토니오 타부키 - 작가이자 학자
- 카밀라 조르지 - 테니스 선수
- 조반니 피사노 - 조각가, 건축가
- 루돌프 대공 - 작곡가, 종교인
- 필리포 보나로티 - 혁명가
- 티타 루포 - 바리톤 가수
- 다리오 마리아넬리 - 작곡가
- 조반니 갈리 - 축구 선수
- 미켈레 바르톨리 - 사이클 선수
- 알레산드로 비린델리 - 축구 선수
- 마르코 스트랄리 - 축구 선수
참조
[1]
웹사이트
Statistiche demografiche ISTAT
http://demo.istat.it[...]
2024-04-00
[2]
웹사이트
DiPI Online
http://www.dipionlin[...]
2020-12-26
[3]
웹사이트
Scuola Superiore Sant'Anna di Pisa
http://www.informati[...]
2016-01-01
[4]
웹사이트
STORIA DI PISA DALLA NASCITA AD OGGI
https://pisa.unicusa[...]
2018-05-11
[5]
서적
La necropoli villanoviana di Pisa, Porta a Lucca/via Marche, in Cavalieri etruschi dalle valli al Po. Tra Reno e Panaro, la valle del Samoggia nell'VIII e VII secolo a.C.
Edizioni Aspasia
[6]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1854), alpheius
https://www.perseus.[...]
[7]
서적
A History of Pisa: Eleventh and Twelfth Centu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The Prince and Selected Discourses
Bantam Books
[9]
웹사이트
A traveler's oasis in Italy
http://www.wiesbaden[...]
Wiesbaden.army.mil
2013-03-12
[10]
웹사이트
Darby Military Community, Camp Darby, Italy, Top Picks
http://www.usag.livo[...]
Usag.livorno.army.mil
1945-04-30
[11]
웹사이트
Temperature massime e minime mensili Pisa Scuola Sup. d'Agraria 1924-1996
http://www.acq.ispra[...]
Istituto Superiore per la Protezione e la Ricerca Ambientale (ISPRA)
2015-07-30
[12]
웹사이트
Temperature massime e minime giornaliere per Pisa - Facoltà di Agraria nel periodo 2001-2008
http://www.sir.tosca[...]
Servizio Idrologico Regionale (SIR) - Regione Toscana
2012-05-04
[13]
Excel
WMO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Pisa S. Giusto
https://www.nodc.noa[...]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2024-03-01
[14]
Excel
WMO Climate Normals for 1981-2010: Pisa S. Giusto-16158
https://www.ncei.noa[...]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2024-03-01
[15]
서적
Palio and Ponte: An Account of the Sports of Central Italy from the Age of Dante to the XXth Century
https://books.google[...]
Methuen & Co
[16]
간행물
The Pisan Game
https://babel.hathit[...]
Archæological Review
1888-09-00
[17]
서적
Reizen van Cornelis de Bruyn door de vermaardste deelen van Klein Asia [...]
https://www.dbnl.org[...]
1698
[18]
웹사이트
Navi Pisane - Le Antiche Navi Romane scoperte a Pisa
http://www.navipisa.[...]
[19]
웹사이트
Apre il Museo delle Navi Antiche di Pisa, ma non chiamatela Pompei del mare!
http://www.torinomed[...]
2019-06-19
[20]
웹사이트
Pisa, negli Arsenali medicei apre il museo delle navi antiche
https://www.professi[...]
2019-06-18
[21]
웹사이트
Le navi romane di Pisa
http://www.marenostr[...]
[22]
웹사이트
Un grande museo per le navi di Pisa
https://www.archeost[...]
2019-08-19
[23]
웹사이트
Viaggio vall'internodel Museo delle Navi Antiche di Pisa
https://www.classicu[...]
2019-06-17
[24]
웹사이트
Ricostruzione della barca C di Pisa S. Rossore
https://www.immersin[...]
[25]
웹사이트
A Pisa è "Alkedo" la star nel Museo delle Navi Antiche
https://www.ilcorrie[...]
2019-09-09
[26]
문서
As of 2019–20
[27]
웹사이트
Pisamover
http://pisa-mover.co[...]
2022-05-30
[28]
웹사이트
MM100 PisaMover
https://www.leitner-[...]
[29]
웹사이트
Elenco Soci
https://pisa.cttnord[...]
CTT Nord
[30]
웹사이트
Muoversi in Toscana
http://www.onescarl.[...]
ONE Scarl
[31]
웹사이트
Guida al primo giorno di servizio
https://www.at-bus.i[...]
[32]
웹사이트
Pisa Orari
https://pisa.cttnord[...]
CTT Nord
[33]
백과사전
Ancona, Alessandro
[34]
백과사전
Carducci, Giosuè
[35]
백과사전
Clari, Giovanni Carlo Maria
[36]
백과사전
Donati, Giovanni Battista
[37]
백과사전
Leonardo of Pisa
[38]
백과사전
Galileo Galilei
[39]
백과사전
Gentileschi, Artemisia and Orazio de'
[40]
백과사전
Della Gherardesca, Ugolino
[41]
백과사전
Leopardi, Giacomo, Count
[42]
백과사전
Pisano, Andrea
[43]
백과사전
Rosellini, Ippolito
[44]
백과사전
Savi, Paolo
[45]
웹사이트
Gemellaggi
https://web.archive.[...]
Pisa
2022-03-21
[46]
웹사이트
Tavola: Popolazione residente - Pisa (dettaglio loc. abitat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2013-11-11
[47]
웹사이트
Tavola: Superficie territoriale (Kmq) - Pisa (dettaglio comunale) - Censimento 2001.
http://dawinci.istat[...]
2013-11-11
[48]
웹사이트
Popolazione residente per sesso, età e stato civile al 1° gennaio 2024
https://demo.istat.i[...]
국립통계연구소 (이탈리아)
2024-05-04
[49]
웹사이트
Database di informazioni sui comuni italiani
http://www.comuni-it[...]
2024-05-04
[50]
웹사이트
Selve Costiere di Toscana Biosphere Reserve, Italy
https://en.unesco.or[...]
2019-04-02
[51]
웹사이트
Tabella dei gradi/giorno dei Comuni italiani raggruppati per Regione e Provincia
http://efficienzaene[...]
신기술에너지환경국(ENEA)
2011-03-01
[52]
웹사이트
classificazione sismica aggiornata al aprile 2023
https://rischi.prote[...]
이탈리아 시민보호국
2023-12-16
[53]
웹인용
STORIA DI PISA DALLA NASCITA AD OGGI
https://pisa.unicusa[...]
2018-05-11
[54]
서적
La necropoli villanoviana di Pisa, Porta a Lucca/via Marche, in Cavalieri etruschi dalle valli al Po. Tra Reno e Panaro, la valle del Samoggia nell'VIII e VII secolo a.C.
Edizioni Aspasia
[55]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1854), alpheius
https://www.perseus.[...]
[56]
서적
A History of Pisa: Eleventh and Twelfth Centurie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57]
서적
The Prince and Selected Discourses
Bantam Books
[58]
웹인용
A traveler's oasis in Italy
https://web.archive.[...]
Wiesbaden.army.mil
2013-03-12
[59]
웹인용
Darby Military Community, Camp Darby, Italy, Top Picks
https://web.archive.[...]
Usag.livorno.army.mil
1945-04-30
[60]
Excel
WMO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Pisa S. Giusto
https://www.nodc.noa[...]
미국 국립환경정보센터
2024-03-01
[61]
Excel
WMO Climate Normals for 1981-2010: Pisa S. Giusto-16158
https://www.ncei.noa[...]
미국 국립환경정보센터
2024-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