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시 내친왕 (128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시 내친왕은 1287년에 태어나 1310년에 사망한 일본 가마쿠라 시대의 황족이다. 7세에 내친왕 선하를 받았고, 23세에 준삼궁이 되어 사쿠헤이몬인이라 불렸다. 와카에 능하여 《교쿠요와카슈》와 《후가와카슈》에 총 10수가 수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10년 사망 - 왕감
왕감은 고려 왕족이자 충선왕의 서장자로, 몽골 출신 의비 야속진의 아들이며 충숙왕의 형이었으나, 광릉군에 봉해진 후 세자로 책봉되었다가 아버지에 의해 살해되었다. - 1287년 출생 - 이제현
이제현은 고려 후기에 활동한 문신이자 유학자, 성리학자로, 원나라와 고려를 오가며 외교적 역할을 수행하고 개혁 정치를 펼쳤으며, 이색 등 제자를 길러 조선 성리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1287년 출생 - 왕면 (화가)
왕면은 원나라 시대의 화가이자 시인으로, 관직을 거부하고 매화 그림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그의 작품은 정신세계를 담아 높은 평가를 받고 정치적 불만을 표현하는 수단이 되기도 했다. - 14세기의 가인 - 아노 렌시
고다이고 천황의 후궁이자 고무라카미 천황의 생모인 아노 렌시는 가인으로서 『신엽화가집』에 작품이 실렸으며 남조의 국정에도 참여했으나, 대중문화에서는 '악녀' 이미지로 그려지기도 하는 일본 남북조 시대의 인물이다. - 14세기의 가인 - 쇼시 내친왕 (1286년)
쇼시 내친왕은 가마쿠라 시대 후기의 황족으로 고니조 천황의 이복 여동생이자 고다이고 천황의 동복 누이이며, 사이구로 선택되었으나 고니조 천황의 죽음으로 군행하지 못했고, 고다이고 천황 즉위 후 황후로 책봉되었다가 출가하여 진리각이라 칭하며 칙찬집에 많은 와카 작품을 남겼다.
| 주시 내친왕 (1287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쥬시 내친왕 |
| 휘 | 쥬시 (璹子) |
| 별호 | 사쿠헤이몬인 (朔平門院) |
| 신분 | 내친왕, 준삼궁 |
| 출생 | 고안 10년 (1287년) |
| 사망 | 엔쿄 3년 10월 8일 (1310년 10월 30일) |
| 향년 | 24세 |
| 아버지 | 후시미 천황 |
| 어머니 | 토인 스에코 |
| 속한 가문/작위 | 해당사항 없음 |
| 전체 이름 | 쥬시 (璹子) |
| 존칭 | 해당사항 없음 |
| 어표 | 해당사항 없음 |
2. 생애
주시 내친왕은 에이닌 원년(1293년)에 내친왕 선하를 받았고, 엔쿄 2년(1309년)에는 준삼궁이 되어 사쿠헤이몬인(朔平門院)이라는 원호를 받았다. 이듬해 2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우타에 뛰어나, 칙찬와카집에는 『교쿠요와카슈(玉葉和歌集)』와 『후가와카슈(風雅和歌集)』에 총 10수가 실려있다.
- 白みゆく空の光にかげきえて姿ばかりぞありあけの月 (하얗게 질려가는 하늘 빛에 그늘진 모습만 보이는 달, 『교쿠요와카슈(玉葉和歌集)』 719)
- うつるとき過ぐる月日をかぞへてもいつまでの身ぞさらにかなしき (비칠 때 지난 세월을 헤아려도 언제까지나 몸이 더더욱 슬프다, 『후가와카슈(風雅和歌集)』 2585)
2. 1. 초기 생애
에이닌 원년(1293년) 1월 24일, 7세의 나이로 내친왕 선하를 받았다.2. 2. 준삼궁 책봉과 원호
엔쿄 2년(1309년) 6월 27일, 23세의 나이로 준삼궁이 되었다. 같은 날 원호 선하를 받아 사쿠헤이몬인(朔平門院)이라 칭했다.2. 3. 사망
엔쿄 3년 (1310년) 10월 8일, 2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 작품 활동
주시 내친왕은 와카에 뛰어나 칙찬와카집인 『교쿠요와카슈(玉葉和歌集)』와 『후가와카슈(風雅和歌集)』에 총 10수가 실려있다.
3. 1. 와카
사쿠헤이몬인(朔平門院)은 와카에 뛰어났다. 칙찬와카집인 『교쿠요와카슈(玉葉和歌集)』와 『후가와카슈(風雅和歌集)』에 총 10수가 실려있다.> 하얗게 질려가는 하늘 빛에 그늘진 모습만 보이는 달
>
> 『교쿠요와카슈(玉葉和歌集)』 719
> 비칠 때 지난 세월을 헤아려도 언제까지나 몸이 더더욱 슬프다
>
> 『후가와카슈(風雅和歌集)』 2585
3. 2. 대표작
주시 내친왕은 우타에 뛰어났으며, 교쿠요와카슈(玉葉和歌集)와 후가와카슈(風雅和歌集)에 총 10수가 실려있다.- 교쿠요와카슈(玉葉和歌集) 719
> 하얗게 질려가는 하늘 빛에 그늘진 모습만 보이는 달
- 후가와카슈(風雅和歌集) 2585
> 비칠 때 지난 세월을 헤아려도 언제까지나 몸이 더더욱 슬프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