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9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09년은 원나라 지대 2년, 쩐 왕조 흥롱 17년, 일본 엔쿄 2년에 해당하는 해이다. 교황의 아비뇽 유수가 시작되었고, 룩셈부르크의 헨리가 로마 왕으로 즉위했다. 포르투갈에서 코임브라 대학교 설립 칙령이 발표되었으며, 스페인에서는 아라곤 왕국과 그라나다 에미르국 간의 전쟁이 합의되었다. 아라곤의 하이메 2세가 알메리아 공방전을 시작했고, 카스티야 군대가 지브롤터를 정복했다. 주요 사건으로는 잉글랜드 템플 기사단 재판, 미인사잉 왕국 군주 티하투의 즉위, 델리 술탄국의 카카티야 왕조 침략 명령 등이 있었다. 1309년에는 성여완, 이달충, 정포, 홍언박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309년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기년 | 1309년 |
간지 | 기유년 (己酉年) |
세기 | 14세기 |
사건 | |
발생 | 교황청이 아비뇽으로 이전하여 아비뇽 유수 시대가 시작되다. 루터파 교도들이 박해를 받기 시작하다. 로마가 로베르토 디 나폴리에게 공격을 받다. 베네치아 공화국이 페라라를 정복하다. 나폴리 왕국이 시칠리아를 공격하다. 모로코의 마린 왕조가 알제리의 트렘센을 점령하다. 그라나다의 왕인 나스르가 그의 조카인 이스마일 1세에게 폐위되고 살해되다. 일본에서 간겐이라는 연호가 시작되다. 원나라에서 지대라는 연호가 시작되다. |
완료 | 아비뇽 유수 시대가 시작되다. 루터파 교도들이 박해를 받기 시작하다. 로베르토 디 나폴리가 로마를 공격하다. 베네치아 공화국이 페라라를 정복하다. 나폴리 왕국이 시칠리아를 공격하다. 모로코의 마린 왕조가 알제리의 트렘센을 점령하다. 그라나다의 왕인 나스르가 그의 조카인 이스마일 1세에게 폐위되고 살해되다. 일본에서 간겐이라는 연호가 시작되다. 원나라에서 지대라는 연호가 시작되다. |
문화 | |
시작 | 단테 알리기에리가 신곡을 쓰기 시작하다. 조토가 파도바의 스크로베니 예배당 프레스코화를 그리기 시작하다. |
완료 | 단테 알리기에리가 신곡을 쓰기 시작하다. 조토가 파도바의 스크로베니 예배당 프레스코화를 그리기 시작하다. |
과학 및 기술 | |
사건 | 헨리 드 몬드빌이 외과 수술에 대한 교과서를 쓰다. 이븐 알-바나가 천문학과 수학에 대한 교과서를 쓰다. |
완료 | 헨리 드 몬드빌이 외과 수술에 대한 교과서를 쓰다. 이븐 알-바나가 천문학과 수학에 대한 교과서를 쓰다. |
종교 | |
사건 | 교황 클레멘스 5세가 아비뇽으로 이전하여 아비뇽 유수 시대가 시작되다. 루터파 교도들이 박해를 받기 시작하다. |
완료 | 교황 클레멘스 5세가 아비뇽으로 이전하여 아비뇽 유수 시대가 시작되다. 루터파 교도들이 박해를 받기 시작하다. |
사망 | |
인물 | 나스르, 그라나다의 왕 고 사야, 일본의 승려 히사 왕녀, 일본의 공주 존 드 페레즈, 잉글랜드의 귀족 피에르 드 벨, 프랑스의 추기경 발데마르 4세, 슐레스비히 공작 |
탄생 | |
인물 | 앤드루 드 베일리, 스코틀랜드의 귀족 루이 드 사보이, 사보이 공작 필립 드 발루아, 프랑스의 왕 오데 드 오르빌, 프랑스의 귀족 다비드 2세, 스코틀랜드의 왕 |
연호 | |
국가 | 일본 원나라 |
연호 | 간겐 (乾元) 지대 (至大) |
2. 연호
3. 기년
4. 사건
- 2월 15일 - 포르투갈의 드니스 왕이 코임브라 대학교 설립 칙령인 '마그나 카르타 프리빌레지움'을 발표하다.
- 5월 5일 - 로베르토 1세가 아버지 샤를 2세의 죽음으로 나폴리 국왕이 되다.
- 6월 15일 - 카롤 1세의 두 번째 헝가리 국왕 즉위식이 세케슈페헤르바르에서 거행되다.
- 10월 18일 -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2세가 요크에서 회의를 소집했지만, 여러 귀족들이 피어스 개브스턴의 참석 때문에 참석을 거부하다.
- 12월 18일 - 스페인에서 알론소 페레스 데 구즈만이 사망한 지 석 달 만에 페르난도 폰세 데 레온이 페르난도 4세에 의해 마르체나 등의 새로운 통치자가 되다.
- 교황의 아비뇽 유수가 발생(-1377년)[3]
하위 섹션인 "국제 정세 및 관계", "고려", "기타 지역"과 중복되는 내용은 간략하게 요약하거나 생략했다.
4. 1. 국제 정세 및 관계
- 1월 6일 - 룩셈부르크의 헨리(헨리 7세)가 아헨(현재 독일)에서 로마 왕으로 즉위하다.[1] 그는 1312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가 된다.
- 2월 2일 - 아비뇽에서 클레멘스 5세가 1303년 사망한 고 보니파시오 8세에 대한 조사 및 사후 재판을 시작하다.[2]
- 2월 24일 - 스페인에서 페르난도 4세가 이웃 아라곤 왕국(하우메 2세)과 동맹을 맺고 이슬람 그라나다 에미르국에 대한 전쟁을 벌이기로 합의하다.
- 3월 9일 - 클레멘스 5세가 로마에서 프랑스의 아비뇽으로 교황청을 공식적으로 이전하며 아비뇽 유수를 시작하다.[3]
- 3월 14일 - (708년 샤왈 1일) 그라나다의 무함마드 3세가 궁정 쿠데타로 폐위되고 그의 이복형제인 나스르가 그라나다 에미르국의 통치자가 된다.
- 4월 24일 - 아라곤의 하메스 2세와 카스티야의 페르난도 4세가 클레멘스 5세를 설득하여, 이베리아 반도에서 이슬람 세력을 몰아내기 위한 십자군에 대한 교황의 승인을 얻는다.[4]
- 4월 29일 - 교황 클레멘스 5세는 카스티야에서 징수된 성직자 세금의 1/10을 그라나다에 대한 전쟁 자금으로 지원하기 위해 교황령 《Prioribus decanis》을 발표한다.[6]
- 4월 - 그라나다의 에미르 나스르는 즉위 후 모로코의 페스에 있는 무린 왕궁에 사절을 보낸다.[7]
- 5월 12일 - 무린 왕조의 술탄 아부 알라비 술레이만이 세우타를 공격한다. 그는 카스티야의 하메스 2세와 동맹을 맺는다.[8]
- 7월 3일 - 포르투갈 왕국이 지브롤터 공격에 나선 카스티야 왕국과 아라곤 왕국과 연합하다.
- 7월 18일 - 아라곤의 하이메 2세 국왕과 그의 함대가 발렌시아에서 출항하여 알메리아 공방전을 시작하다.
- 7월 21일 - 그라나다 에미르국이 지배하던 북아프리카 영토 세우타가 아라곤 왕국에 의해 정복되다.
- 7월 30일 - (이슬람력 709년 21 사파르) 알헤시라스 공방전: 페르난도 4세가 이끄는 카스티야 군대가 그라나다 에미르국의 수도 알헤시라스를 포위 공격하기 시작하다.[9]
- 8월 11일 - 알메리아 공방전: 하이메 2세가 이끄는 아라곤 군대가 알메리아 해안에 상륙하여 함대를 이용하여 도시를 봉쇄하다.
- 8월 15일 - 로도스 섬 정복: 로도스 도시의 비잔티움 수비대가 성 요한 기사단에게 항복하며 로도스 정복이 완료되다. 기사단은 섬에 본부를 설치하고 로도스 기사단으로 이름을 바꾼다.[12]
- 8월 23일 - 그라나다 에미르국의 구원군이 알메리아의 아라곤 왕국군을 몰아내려고 시도하지만 수천 명의 사상자를 내다.[13]
- 9월 12일 - 지브롤터 공방전: 카스티야 군대가 약 600년 동안 사라센인들이 점령하고 있던 지브롤터를 정복하다.
- 10월 1일 - 이탈리아에서 밀라노 대주교 카소네 델라 토레가 사촌인 귀도 델라 토레가 보낸 군대의 공격을 받아 감금된다.[15]
- 10월 18일 - 아비뇽에서 클레멘스 5세가 보니파시오 8세의 이단 혐의 사후 재판을 위해 파리 주교에게 명령서를 보낸다.[16]
- 10월 20일 - 현재 미얀마 중부 지역에서 미인사잉 왕국의 군주 티하투의 즉위식이 거행된다.
- 10월 22일 - 잉글랜드에서 체포된 잉글랜드 템플 기사단의 재판이 시작되다.
- 10월 29일 - 밀라노 대주교 카소네 델라 토레가 사촌 귀도에 의해 볼로냐로 추방되고, 귀도는 나중에 파문된다.
- 10월 31일 - 인도에서 델리 술탄국의 술탄 알라우딘 칼지가 몰릭 카푸르 장군에게 카카티야 왕조를 침략하도록 명령한다.[18]
- 10월 - 카스티야의 하메스 2세 국왕의 삼촌인 존 오브 카스티야가 이끄는 약 500명의 기사들이 알헤시라스 공성전 중 카스티야 진영을 이탈한다.
- 11월 4일 - 클레멘스 5세가 요한 기사단을 성지와 예루살렘으로 보내지 않고, 키프로스와 로도스를 포함한 지중해 방어에 한정할 것이라고 선언한다.
- 11월 19일 - 클레멘스 5세가 플랑드르의 영웅 빌럼 판 자프팅헤의 파문을 취소하고 사면하지만, 그에게 로도스 섬에서 요한 기사단의 십자군에 참여할 것을 요구한다.
- 간지 : 기유
- 일본
- * 연경 2년
- * 황기 1969년
- 중국
- * 원 : 지대 2년
- 조선
- * 고려 : 충선왕 1년
- * 단기 3642년
- 베트남
- * 진朝 : 흥롱 17년
- 불멸기원 : 1851년 - 1852년
- 이슬람력 : 708년 - 709년
- 유대력 : 5069년 - 5070년
4. 2. 고려
4. 3. 기타 지역
항목 | 내용 |
---|---|
간지 | 기유 |
일본 | 연경 2년, 황기 1969년 |
중국 | 원: 지대 2년 |
조선 | 고려: 충선왕 1년, 단기 3642년 |
베트남 | 진朝: 흥롱 17년 |
불멸기원 | 1851년 - 1852년 |
이슬람력 | 708년 - 709년 |
유대력 | 5069년 - 5070년 |
5. 탄생
- 월일 미상 - 고려 성여완 등이 있었다.
5. 1. 고려
5. 2. 그 외
- 3월 25일 - 로버트 드 페러스, 잉글랜드 귀족이자 기사 (d. 1350년)
- 6월 9일 - 루퍼트 1세, 독일 귀족이자 선제후 (d. 1390년)
- 12월 6일 - 험프리 드 보헌, 잉글랜드 귀족 (d. 1361년)[21]
- *추정* - 알도나 (또는 "안나"), 폴란드 왕비 (d. 1339년)
- 콘라트 폰 메겐베르크, 독일 학자이자 과학자 (d. 1374년)[22]
- 아소 유키스미(阿蘇惟澄),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의 무장, 아소씨 제10대 당주 (d. 1364년)
- 알도나 오나 게디미나이테(Aldona Ona Gediminaitė), 폴란드 왕 카지미에시 3세의 첫 번째 왕비 (d. 1339년)
- 다이쿠몬 후유노부(大炊御門冬信),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의 공경 (d. 1350년)
- 충혜왕, 제28대 고려 국왕 (d. 1344년)
- 일예(日叡),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의 니치렌종 승려 (d. 1369년)
- 피로즈 샤 투글루크(Firuz Shah Tughluq), 투글루크 왕조의 제3대 술탄 (d. 1388년)
6. 사망
- 음력 7월 1일 - 김흔
- 1월 4일 - 안젤라 오브 폴리뇨, 이탈리아 수녀, 신비주의자이자 작가 (출생: 1248년)[23]
- 1월 10일 - 쿠가 미치스케,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 (출생: 1240년)
- 2월 9일 - 난포 쇼묘, 일본 승려 (출생: 1235년)
- 3월 7일 - 로바토 로바티, 이탈리아 학자, 판사이자 작가 (출생: 1241년)[24]
- 4월 10일 (추정) - 엘리자베트 폰 라퍼스빌, 스위스 귀족 여성 (출생: 1251년)
- 5월 5일 - 샤를 2세, 나폴리 국왕, 샤를 1세의 아들 (출생: 1254년)
- 5월 19일 - 아고스티노 노벨로, 이탈리아 사제이자 수도원장 (출생: 1240년)[25]
- 7월 13일 - 요한 1세, 유트레흐트 주교 선출자, 네덜란드 귀족, 주교 (나소 가문)
- 7월 16일 - 제임스 스튜어트, 스코틀랜드 고위 관리이자 기사 (출생: 1260년)
- 8월 10일 - 조반니 보카마자, 이탈리아 추기경이자 대주교
- 9월 19일 - 알론소 페레스 데 구즈만, 스페인 귀족 (출생: 1256년)
- 10월 6일 - 프리드리히 7세, 촐레른 백작, 독일 귀족 (호엔촐레른 가문)
- 10월 18일 - 텟쓰 Gikai, 일본 승려이자 선사 (출생: 1219년)
- 12월 3일 - 헨리크 3세, 그워그후 공, 비엘코폴스카 지역 일부의 공 (출생: 1251년/1260년)
- 12월 15일 - 유키 사다히로,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결성씨의 5대 당주 (출생: 1289년)
참조
[1]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Vol. VI: c. 1300-c. 1415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Knights Templar
Barnes and Noble
[3]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Christian Thought
Oxford University Press
[4]
간행물
Fernando IV de Castilla: La Conquista de Gibraltar (1309)
[5]
서적
The Gibraltar Crusade: Castile and the Battle for the Strait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6]
간행물
III Concilio Provincial de Alcala de Henares, 8 Noviembre 1309
F. Maroto é Hijos
[7]
서적
Islamic Spain, 1250 to 1500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
서적
The Gibraltar Crusade: Castile and the Battle for the Strait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9]
서적
A History of Gibraltar and its Sieges
Provost
[10]
서적
Islamic Spain, 1250 to 1500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
서적
The Gibraltar Crusade: Castile and the Battle for the Strait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2]
간행물
L'occupation de Rhodes par les Hospitaliers
[13]
서적
The Gibraltar Crusade: Castile and the Battle for the Strait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4]
서적
The Rock of the Gibraltarians
Associated University Press
[15]
서적
Vescovi e arcivescovi di Milano
Massimo
[16]
서적
Gallia Christiana, in provincias ecclesiasticas distributa
Lutetiae Parisiorum
[17]
서적
The Constitutional History of England, in Its Origin and Development
Clarendon Press
[18]
서적
History of the Khaljis (1290-1320)
The Indian Press
[19]
서적
The Gibraltar Crusade: Castile and the Battle for the Strait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
서적
The Khaljis: Alauddin Khalji
People's Publishing House
[21]
서적
Connections: The Ancestors of John West of Virginia and The West De La Warre Family 2000 BC to 1635
https://books.google[...]
Dorrance Publishing
2023-10-13
[22]
웹사이트
Book of Nature
http://www.wdl.org/e[...]
2013-08-07
[23]
서적
Angela da Foligno mistica dell'Ognibene
https://books.google[...]
Paoline
[24]
서적
[25]
웹사이트
Blessed Clement of Osimo & Augustine of Tarano, priests, Order of St. Augustine
https://web.archive.[...]
2014-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