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시 내친왕 (1318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시 내친왕은 1318년에 태어나 1358년에 사망한 일본의 황족이자 가인이다. 에이요몬인에게 길러졌으며, 고곤 천황의 후궁으로 입궁했으나 자녀는 없었다. 스토쿠 천황과 고코곤 천황의 준모였으며, 겐무 4년에 내친왕 선하를 받아 여원이 되었다. 엔분 원년에 출가했으며, 후기 쿄고쿠파의 가인으로서 『후가와카슈』에 작품이 수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18년 출생 - 교황 우르바노 6세
    교황 우르바노 6세는 1378년부터 1389년까지 재임한 제202대 교황으로, 성급한 개혁 추진과 고압적인 태도로 서방 교회 분열을 초래하고 나폴리 왕국과의 불화, 추기경 숙청 등 혼란스러운 상황을 겪으며 뚜렷한 업적을 남기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1318년 출생 - 전록생
    고려 후기 문신 전록생은 충혜왕 때 등과하여 공민왕 때 기거사인, 전라도안렴사 등을 지냈고 홍건적의 난 당시 공민왕을 호종한 공으로 2등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우왕 즉위 후 이인임 세력에 의해 유배 도중 사망한 인물이다.
  • 1358년 사망 - 이사벨 드 프랑스 왕녀
    프랑스 왕 필리프 4세와 나바라 여왕 잔 1세의 딸인 이사벨 드 프랑스 왕녀는 잉글랜드 왕비가 되어 남편의 총신들과 갈등하고 귀족들과 반목했으며, 로저 모티머와 연합하여 잉글랜드를 침공해 아들 에드워드 3세의 섭정으로 4년간 통치했다.
  • 1358년 사망 - 에티엔 마르셀
    에티엔 마르셀은 14세기 프랑스의 부르주아 출신으로 파리 상인 두령을 역임하며 백년 전쟁 시기 프랑스 정치 개혁을 추진했으나, 자크리의 난 실패 이후 암살당했다.
  • 무로마치·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가인 - 아노 렌시
    고다이고 천황의 후궁이자 고무라카미 천황의 생모인 아노 렌시는 가인으로서 『신엽화가집』에 작품이 실렸으며 남조의 국정에도 참여했으나, 대중문화에서는 '악녀' 이미지로 그려지기도 하는 일본 남북조 시대의 인물이다.
  • 무로마치·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가인 - 쇼시 내친왕 (1286년)
    쇼시 내친왕은 가마쿠라 시대 후기의 황족으로 고니조 천황의 이복 여동생이자 고다이고 천황의 동복 누이이며, 사이구로 선택되었으나 고니조 천황의 죽음으로 군행하지 못했고, 고다이고 천황 즉위 후 황후로 책봉되었다가 출가하여 진리각이라 칭하며 칙찬집에 많은 와카 작품을 남겼다.
주시 내친왕 (1318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쥬시 (寿子)
신분내친왕, 준삼궁
별호기안몬인 (徽安門院)
출생일분포 2년 (1318년)
사망일쇼헤이 13년/엔분 3년 4월 2일 (1358년 5월 10일)
향년41세
배우자고곤 천황
아버지하나조노 천황
어머니오기마치 지츠코
생애
족보하나조노 천황의 황녀
쥬시 (寿子)
연호기안몬인 (徽安門院)

2. 생애

에이요몬인에게 양육되어 유산을 상속받았으며, 이후 고곤 천황의 후궁이 되었다. 자녀는 없었으나 스토쿠 천황고코곤 천황의 준모가 되었다. 겐무 4년(1337년)에는 내친왕 선하를 받아 여원이 되었고, 엔분 원년(1356년)에 출가하였다. 엔분 3년(1358년)에 41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후기 교고쿠파의 가인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풍아화가집』(風雅和歌集)에 그녀의 와카(和歌)가 다수 수록되어 있다.

2. 1. 출생과 성장

에이요몬인에게 양육되었으며, 에이요몬인이 사망한 후 그 유산을 상속받았다. 이후 고곤 천황의 후궁으로 들어갔으나 자녀를 두지는 못했다. 스고 천황과 고코곤 천황의 준모(準母)가 되었다. 겐무 4년(1337년) 2월 3일, 내친왕 선하를 받고 여원(女院)이 되었다. 엔분 원년(1356년)에 출가하였으며, 엔분 3년(1358년)에 41세의 나이로 훙거했다.

후기 교고쿠파의 가인 중 한 명으로, 와카(和歌)에 능하여 『풍아화가집(風雅和歌集)』에도 그녀가 지은 노래가 다수 수록되어 있다.

2. 2. 황실과의 인연

에이요몬인에게 양육되었으며, 에이요몬인 사후 유산을 상속받았다. 고곤 천황의 후궁으로 들어갔으나 자녀는 없었고, 스토쿠 천황고코곤 천황의 준모가 되었다. 겐무 4년(1337년) 2월 3일 내친왕 선하를 받아 여원이 되었으며, 엔분 원년에 출가했다. 엔분 3년(1358년)에 4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3. 여원 및 출가

겐무 4년(1337년) 2월 3일, 내친왕 선하를 받아 여원이 되었다. 엔분 원년(1356년)에 출가하였다.

2. 4. 사망

엔분 3년(1358년)에 4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가인으로서의 활동

후기 교고쿠파의 가인 중 한 사람으로 활동했으며, 그녀가 지은 우타(歌) 다수가 『후가와카슈』(風雅和歌集)에 수록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