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칭다오 대한민국 총영사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칭다오 대한민국 총영사관은 중화인민공화국 산둥성 칭다오에 위치한 대한민국 외교 공관이다. 1946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화북구 한교선무단 칭다오 분단으로 시작되어, 1994년 9월 12일 정식 총영사관으로 개관했다. 역대 총영사 명단이 있으며, 여러 차례 청사 이전을 거쳐 현재 위치에 자리 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영사관 - 주로스앤젤레스 대한민국 총영사관
    주로스앤젤레스 대한민국 총영사관은 대한민국 외교부 산하 재외공관으로 캘리포니아주 남부, 애리조나주, 뉴멕시코주를 관할하며, 한국계 주민들의 영사 업무 지원과 더불어 로스앤젤레스 한국문화원, 로스앤젤레스 한국교육원을 통해 한국 문화와 교육을 홍보한다.
  • 대한민국의 영사관 - 주뉴욕 대한민국 총영사관
    주뉴욕 대한민국 총영사관은 1949년 4월 1일에 개관하여 뉴욕 등 5개 주를 관할하며, 월~금요일에 공관 업무를, 민원 업무는 온라인 예약제로 운영한다.
  •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 관계 - 대한민국의 사드 배치 논란
    대한민국의 사드 배치 논란은 북한 핵·미사일 위협,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정책, 중국 부상 등 복합적 요인으로 촉발되어 사드 1개 포대의 성주 배치로 이어진 정치·외교·안보적 갈등을 의미하며, 배치 완료 후에도 안보, 외교, 경제적 측면에서 다양한 논쟁과 과제를 남기고 있다.
  •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 관계 - 페스카마 15호 사건
    페스카마 15호 사건은 1996년 남태평양에서 발생한 참치잡이 원양어선 선상 살인 사건으로, 조선족 선원들이 선상 생활의 어려움과 귀국 요구 거절에 불만을 품고 한국인 선원 등을 살해한 후 대한민국으로 인도되어 재판을 받았으며, 당시 열악한 원양어선 선원들의 노동 환경과 외국인 선원 인권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주칭다오 대한민국 총영사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주칭다오 대한민국 총영사관
주칭다오 대한민국 총영사관
설립일1994년 9월 12일
전신화북구 한교선무단 칭다오 분단 (1946)
한국주화대표단 화북판사처 칭다오 사무소 (1947)
소재지산둥성 칭다오 청양 구 춘양로 88번지 ()
관할 구역산둥성
기관장박진웅 총영사
상급 기관대한민국 외교부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
웹사이트주칭다오 대한민국 총영사관

2. 공관 연혁


  • 1946년: 대한민국임시정부는 화북구 한교선무단 칭다오 분단(華北區韓僑宣撫團靑島分團)을 설치하고 조지영(趙志英)을 분단장으로 임명했다.[2]
  • 1947년: 한국주화대표단 화북판사처 칭다오 사무소(韓國駐華代表團華北辦事處靑島事務所)로 개편하고 조경연(趙敬淵)과 조지영을 각각 소장·부소장으로 임명했다.[2]
  • 1948년 1월 28일: 칭다오에 있던 한국 교민 철수와 함께 주 칭다오 한국사무소를 폐쇄했다.[2]
  • 1994년 9월 12일: 주 칭다오 총영사관이 개관하였다. 당시 주소는 왕조호텔(王朝大酒店|왕조대주점중국어)이었다.[1]
  • 2001년 5월 1일: 청사를 라오산 구 한중상무센터(韩中贸易中心|한중무역중심중국어)로 이전하였다.[1]
  • 2006년 4월 28일: 청사를 라오산 구 홍콩동로 101번지(香港东路101号|홍콩둥루 101호중국어)로 이전하였다.[1]
  • 2015년 11월 23일: 현 청사로 이전하였다.[1]

2. 1. 임시정부기

1946년 대한민국 임시정부화북구에 한교선무단 칭다오 분단(華北區韓僑宣撫團靑島分團)을 설치하고, 조지영(趙志英)을 분단장으로 임명했다.[2]

1947년에는 한국주화대표단 화북판사처 칭다오 사무소(韓國駐華代表團華北辦事處靑島事務所)로 개편되었으며, 조경연(趙敬淵)과 조지영이 각각 소장과 부소장으로 취임했다.[2]

1948년 1월 28일, 칭다오에서 한교가 철수하면서 주 칭다오 한국사무소는 폐쇄되었다.[2]

2. 2. 대한민국 수립 후

1994년 9월 12일 주칭다오 대한민국 총영사관이 개관하였다. 당시 주소는 왕조호텔(王朝大酒店|왕조대주점중국어)이었다.[1]

2001년 5월 1일 청사를 라오산 구 한중상무센터(韩中贸易中心|한중무역중심중국어)로 이전하였다.[1]

2006년 4월 28일 청사를 라오산 구 홍콩동로 101번지(香港东路101号|홍콩둥루 101호중국어)로 이전하였다.[1]

2015년 11월 23일 현 청사로 이전하였다.[1]

3. 역대 공관장

주칭다오 대한민국 총영사관의 역대 총영사 명단과 임기는 다음과 같다.[1][5]

대수성명임기
제1대김호태1994년 8월 16일 ~ 1996년 8월 10일
제2대한화길1996년 8월 29일 ~ 1998년 8월 27일
제3대전형수1998년 9월 23일 ~ 2000년 3월 6일
제4대금병목2000년 3월 10일 ~ 2002년 8월 19일
제5대박종선2002년 8월 22일 ~ 2004년 3월 10일
제6대신형근2004년 3월 15일 ~ 2006년 9월 18일
제7대김선흥2006년 9월 22일 ~ 2009년 2월 26일
제8대유재현2009년 4월 23일 ~ 2012년 2월 25일
제9대황승현2012년 2월 29일 ~ 2015년 3월 27일
제10대이수존2015년 4월 8일 ~ 2018년 1월 2일
제11대박진웅2018년 1월 10일 ~ 2020년 11월 27일
제12대김경한2020년 12월 4일 ~ 2024년 1월 26일
제13대류창수2024년 1월 27일 ~


3. 1. 역대 총영사 명단

대수성명[1][5]임기
제1대김호태1994년 8월 16일 ~ 1996년 8월 10일
제2대한화길1996년 8월 29일 ~ 1998년 8월 27일
제3대전형수1998년 9월 23일 ~ 2000년 3월 6일
제4대금병목2000년 3월 10일 ~ 2002년 8월 19일
제5대박종선2002년 8월 22일 ~ 2004년 3월 10일
제6대신형근2004년 3월 15일 ~ 2006년 9월 18일
제7대김선흥2006년 9월 22일 ~ 2009년 2월 26일
제8대유재현2009년 4월 23일 ~ 2012년 2월 25일
제9대황승현2012년 2월 29일 ~ 2015년 3월 27일
제10대이수존2015년 4월 8일 ~ 2018년 1월 2일
제11대박진웅2018년 1월 10일 ~ 2020년 11월 27일
제12대김경한2020년 12월 4일 ~ 2024년 1월 26일
제13대류창수2024년 1월 27일 ~


참조

[1] 웹인용 총영사관 역사 http://overseas.mofa[...] 주 칭다오 대한민국 총영사관 2018-09-16
[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qdfao.gov[...] 칭다오시 인민정부외사판공실 2015-04-08
[3] 웹인용 위치 및 연락처 http://overseas.mofa[...] 주 칭다오 대한민국 총영사관 2018-09-16
[4] 웹인용 중국내 우리 총영사관 http://overseas.mofa[...]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 2018-08-27
[5] 서적 한국 외교 60년 http://www.mofat.go.[...] 2015-0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