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크 (음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크는 1970년대 후반 프랑스 파리에서 탄생한 댄스 음악 장르이다. 카리브해 지역의 다양한 음악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스튜디오 작업과 단순한 구절의 반복이 특징이다. 1978년 피에르 에두아르 데시무스가 주크를 만들었고, 1979년 데시무스를 중심으로 결성된 카사브가 1984년 "Zouk la sé sèl médikaman nou ni"를 히트시키며 주크를 세계적으로 알렸다. 주크는 R&B나 레게의 영향을 받아 주크 러브로 발전했으며, 카사브, 프랑키 빈센트, 말라보와, 조슬린 라빌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주크 (음악)
장르 정보
음악 스타일 기원카덴스 람파
콤파
카덴스-리프소
벨레
비긴
그워 카
문화적 기원1980년대 초, 프랑스령 안틸레스 (과들루프, 마르티니크)
악기 구성그워 카
티부아
샤크 샤크
금관 악기
신디사이저
기타
베이스 기타
드럼 머신
파생 장르주크-러브
키좀바
지역적 특징프랑스령 서인도 제도
도미니카
아이티
중앙 아프리카
브라질
콜롬비아
프랑스

2. 특징

주크는 프로그래밍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스튜디오 작업이 돋보이며, 단순한 구절을 반복하는 워크송 풍의 음악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비긴과 같은 크리올어 전통 음악 요소를 도입하여 루츠(roots) 지향적인 특징을 보인다.

2. 1. 리듬

주크의 리듬은 빠른 카니발 스타일이 특징이며, 이는 밴드 카사브가 가장 잘 보여준다. 이러한 스타일은 "주크 베통"(Zouk béton|주크 베통fra), "주크 시레"(zouk chiré|주크 시레fra), 또는 "주크 하드"(zouk hard|주크 하드fra)로 알려지게 되었다.[5]
주크의 리듬
주크 베통은 20세기 프랑스령 안틸레스의 다양한 댄스 음악 스타일, 특히 카당스, 콩파, 그리고 비긴을 종합한 것으로 여겨진다.[6]

음악적으로는 프로그래밍을 많이 활용한 철저한 스튜디오 작업이 특징이며, 단순한 구절을 반복하는 워크송 스타일의 곡도 많다. 또한, 비긴과 같은 크리올어 전통 음악 요소를 과감하게 도입하여 루츠(roots) 지향적인 성격도 띤다.

3. 역사

쿠바 음악이 20세기에 들어서도 발전을 거듭한 반면, 1960년대까지 마르티니크소앤틸리스 제도의 음악은 상대적으로 정체된 상태로 여겨졌다[11].

그러나 1960년대 후반, 아이티에서 유행하던 음악 장르인 콩파 (Compas)에 비긴 (Biguine)을 접목한 카당스 (Kadans)라는 새로운 장르가 소앤틸리스 제도에서 등장했다. 1970년대에는 도미니카에서 카당스에 소울과 레게 요소를 도입한 립소가 나타나 프랑스령 카리브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크레올어로 노래하는 카리브 음악의 본격적인 등장을 예고하는 사건이었다.

1978년, 파리의 한 스튜디오에서 피에르 에두아르 데시무스는 당시 안틸레스 제도에서 유행하던 다양한 음악 스타일을 바탕으로 새로운 형태의 댄스 음악, 즉 주크를 만들어냈다. 이 시기의 레코딩 멤버들을 중심으로 1979년에 그룹 카사브 (Kassav')가 결성되었고, 1984년에는 "주크만이 우리의 약이다"(Zouk la sé sèl médikaman nou ni프랑스어)라는 곡을 크게 히트시키며 주크를 세계적으로 알리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후 주크는 R&B나 레게의 영향을 받아 느린 템포를 가지며 대중적인 감성을 더한 '주크 러브'(Zouk Love프랑스어) 형태로 발전하기도 했다. 주크의 독특한 사운드는 메렝게소카와 같은 다른 카리브해 음악 장르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1990년대 이후에도 프랑스령 카리브 음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일본 등 다른 지역에서도 카사브 (Kassav')나 말라보와 (Malavoi) 같은 아티스트들을 통해 주크 음악이 소개되었다[12].

4. 주크 베통 (Zouk Béton)

주크의 빠른 카니발 스타일은 밴드 카사브가 가장 잘 대표하며, "주크 베통"(Zouk bétonfra), "주크 시레"(zouk chiréfra), 또는 "주크 하드"(zouk hardeng)로 알려지게 되었다.[5] 주크 베통은 20세기의 다양한 프랑스령 안틸레스 댄스 음악 스타일, 특히 카당스, 콩파, 그리고 비긴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종합적인 형태로 여겨진다.[6]

5. 대표적인 아티스트


  • 카사브
  • 프랑키 빈센트
  • 마라보와
  • Jocelyne Labylle
  • 주크 머신
  • Joëlle Ursull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Latin American Popular Music https://books.google[...] ABC-CLIO 2013
[2] 서적 The Codification of Zouk https://books.google[...] BoD – Books on Demand 2019
[3] 서적 The Rough Guide to World Music https://books.google[...] Rough Guides 1999
[4] 서적 Popular Musics of the Non Western Worl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88
[5] 서적 Zouk: World Music in the West Ind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3
[6] 서적 Caribbean Currents: Caribbean Music from Rumba to Reggae https://books.google[...] Temple University Press 2012
[7] 서적 Garland Encyclopedia of World Music https://books.google[...] Garland Publishing 2001
[8] 서적 Zouk: world music in the West Ind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05-22
[9] 서적 Zouk: world music in the West Ind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05-22
[10] 서적 World Music: Latin and North America, Caribbean, India, Asia and Pacific https://books.google[...] Rough Guides 2010-05-22
[11] 기타 2006
[12] 기타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