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야구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야구리그(CBL)는 2002년 4개 팀으로 출범하여 여러 차례 리그 중단과 재개를 거듭하며 운영되었다. 2019년에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과 중국야구협회의 협력으로 중국프로야구리그(CNBL)가 설립되었고,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중단되었다가 2023년 CBL로 재개되었다. 리그는 선수들의 체력 측정을 실시하고, 전국체육대회에 리그 팀이 참가하는 등 독특한 운영 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아시아 시리즈에도 참가했다. 2024년에는 베이징 타이거스, 톈진 라이언스 등 9개 팀이 참가하고, 2024년 장쑤 휴즈홀스가 우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구 리그 - 재팬 퓨처스 베이스볼 리그
재팬 퓨처스 베이스볼 리그는 2009년 창설되어 2010년 시즌을 개막했으나, 선수들의 도박 사건과 재정난으로 2011년 해산된 일본의 독립 야구 리그였다. - 2002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메이저 리그 게이밍
2002년 설립된 메이저 리그 게이밍(MLG)은 e스포츠 리그이자 스트리밍 서비스로, 2006년 미국 최초의 텔레비전 비디오 게임 콘솔 리그가 되었으며, 2015년 액티비전 블리자드에 인수되어 MLG.tv 스트리밍 플랫폼을 중심으로 다양한 종목의 프로 서킷을 운영해왔다. - 2002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스코틀랜드 여자 프리미어리그
스코틀랜드 여자 프리미어리그(SWPL)는 2002년 출범한 스코틀랜드 최상위 여자 축구 리그로, 리그 구조 개편, SPFL 합류 등의 변화를 거쳤으며, 글래스고 시티 FC가 2007년부터 2019년까지 13번 우승을 차지했고, 챔피언은 UEFA 여자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하며 현재 SWPL 1은 12개 팀, SWPL 2는 10개 팀으로 운영된다. - 2019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USL 리그 1
USL 리그 1은 미국 축구 리그 시스템의 3부 리그로, 2019년 USL 디비전 III로 출범하여 프로팀이 없는 중소 도시를 중심으로 리그를 확장하며 성장해왔다. - 2019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그리스 수페르리가 2
그리스 수페르리가 2는 2019년 출범한 그리스 축구 리그 시스템의 2부 리그로, 팀 수와 리그 운영 방식에 변화를 거쳐 2023-24 시즌부터 단일 그룹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2024-25 시즌부터는 단일 리그 테이블을 도입할 예정이다.
중국야구리그 | |
---|---|
기본 정보 | |
스포츠 | 야구 |
창립 | 2019년 |
참가 팀 수 | 4팀 |
국가 | 중국 |
대륙 | 아시아 |
최근 우승팀 | 베이징 타이거스 (1회 우승) |
최다 우승팀 | 베이징 타이거스 (1회 우승) |
리그 정보 | |
현재 시즌 | 2020년 중국 야구 리그 시즌 |
리그 레벨 | 1 |
관련 인물 | |
CEO | (정보 없음) |
공식 명칭 | |
한국어 | 중국 야구 리그 |
중국어 간체 | 中国棒球职业联赛 |
영어 | China National Baseball League (CNBL) |
이전 명칭 | |
영어 | China Baseball League (CBL)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정보 없음) |
2. 역사
2002년 중국야구리그(CBL)가 베이징, 톈진, 상하이, 광둥을 연고로 하는 4개 구단으로 시작되었다.[2] 2005년 쓰촨과 호프스타스가 신규 가입했고, 2006년 2개 지구로 리그를 운영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2] 2010년 허난이 참가하면서 리그가 확장되었다.[2]
2015년 갑을 리그로 재편되어 10개 팀이 참가했다.[2] 2019년 중국프로야구리그(CNBL)가 출범하여 베이징, 톈진, 장쑤, 광둥 4개 팀이 참가했다.[2] 2020년 코로나19 범유행으로 리그가 중단되었다가, 2023년 CBL(China Baseball League)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시작되었다.[2]
초기 리그는 재정 문제로 운영이 중단되기도 했다. 중국 야구 협회는 리그가 프로 야구 조건을 갖추지 못해 리그 명칭에 '프로'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2]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이후 스폰서십 감소,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과 일본프로야구의 협력 축소나 철수 등으로 리그 운영이 어려워졌다.[2]
2. 1. 초기 리그 (2002년 ~ 2018년)
2002년 베이징 타이거스, 톈진 라이온스, 상하이 골든이글스, 광둥 치타 4개 구단으로 리그가 출범했다.[2] 2005년에는 쓰촨 드래곤스와 호프스타스가 신규 가입팀 결정전을 통해 리그에 합류했다.[2] 2006년에는 2개 지구로 나누어 리그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2] 2010년에는 허난 엘리펀츠가 새로 참가하면서 리그가 확장되었다.[2]2015년에는 갑을 리그로 재편되어 10개 팀이 참가하게 되었다.[2] 초기 리그는 잦은 중단과 재개를 반복했다. 중국 야구 협회는 리그 명칭에 '프로'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았는데, 이는 당시 리그가 프로 야구의 조건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2]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이후 스폰서십 감소,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과 일본프로야구의 협력 축소 또는 철수 등으로 리그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2]
2. 2. CNBL 출범과 현재 (2019년 ~ 현재)
2019년, 중국 야구 협회(CBA)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과의 협력을 통해 중국프로야구리그(CNBL)를 출범시켰다.[2] 베이징 타이거스, 톈진 라이온스, 장쑤 주마, 광둥 치타의 4개 팀이 참가했다.[2] 2019년 8월 6일 베이징에서 열린 제8회 CNBL 드래프트 회의 및 리그 로고 공개 행사에서 리그 로고가 공개되었고, 드래프트를 통해 선발된 선수들이 4개 프로 구단을 대표하게 되었다.[2]새로운 시즌은 18라운드, 36경기, 5전 3선승제의 결승전 5경기, 그리고 8월 중순부터 10월 말까지 올스타 주간으로 구성되었다.[2] 개막전은 베이징 타이거스와 톈진 라이온스의 경기로, 톈진 퇀보 스포츠 센터 야구장에서 열렸다.[2] 모든 리그 경기는 온라인 생중계를 통해 팬들에게 제공되었다.[2]
CNBL은 중국 야구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었으나,[2] 2020년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리그가 중단되었다.
2023년, CBL(China Baseball League)이라는 이름으로 리그가 재개되었다. 리그 명칭, 참가 팀, 경기 방식 등에서 변화가 있었지만, 중국 야구 발전을 위한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2. 3. 경기 운영 방식의 변천사
- 2002년: 발족 첫해에는 총 25경기를 4월 26일부터 5월 25일까지 총 1개월 동안 변칙적인 홈&어웨이 방식으로 실시하여, 승률이 높은 두 팀이 결승전인 챔피언십 시리즈를 치렀다. 결승은 단판 승부로 결정지었다.[1]
- 2003년: 경기수를 72경기로 크게 늘렸다. 3월에서 6월까지 정규 시즌을 치렀고, 5월에는 올스타전도 개최하였다. 챔피언십 시리즈는 단판승부에서 5전 3선승제로 경기 수가 늘어났다.[1]
- 2005년: 당시 유행하던 사스로 인해 챔피언십 시리즈가 3전 2선승제로 줄어들었다.[1]
- 2006년: 리그를 2개로 나눈 '2지구제'가 도입되었다. 2지구제는 정규 시즌 동안에 각 팀은 같은 지구에 소속된 팀과 6경기, 다른 지구에 속한 팀과는 3경기를 치르는 방식이다. 이로써 한 팀은 한 시즌 동안 총 21경기를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각 지구의 1위 팀이 다른 지구 팀의 2위 팀과 경기를 벌이는 5전 3선승제의 플레이오프제가 도입되었다. 여기서 이긴 팀이 챔피언십 시리즈에 진출해 우승을 다투게 된다.[1]
- 2015년: 갑을리그로 재편하여 10개 팀이 참가하는데 갑리그는 상위 리그, 을리그는 하위 리그로 구분하였다. 갑리그는 허난 팀을 제외한 기존의 6팀이며 을 리그는 허난 팀과 산동(상업직업대학교팀), 인민 해방군팀, 사회인 선발팀으로 되어 있다. 갑 그룹 팀 중 챔피언을 가리고 갑 그룹 6위와 을 그룹 1위는 엑스트라 매치를 치러 승리하는 팀이 갑 그룹에 진입하게 되는 구조로 변했다.[1]
- 2019년: CNBL 출범으로 우선 참여 가능한 4개 팀이 팀당 18 경기씩 총 36 경기를 치러 상위 2팀이 챔피언 시리즈에 진출해 5전 3선승제로 우승을 다툰다.[1]
- 2023년: 우시, 청두, 톈진에서 각각 풀리그 1, 2, 3라운드로 진행하였다. 1라운드는 10개 팀이 경쟁하여 상위 8개 팀이 2, 3라운드에 진출해서 경쟁한다. 각 라운드 포인트 합산으로 상위 1, 2위 팀이 3전 2선승제로 결승 시리즈를 치른다.[1]
3. 2024 리그 참여팀
2024년 현재 중국야구리그에는 베이징 타이거스, 톈진 라이온스, 쓰촨 드래곤스, 상하이 골든이글스, 광둥 레오파스, 장쑤 휴즈홀스, 허난 울프워리어스, 산둥 블루웨일스, 푸젠 샤크스가 참가하고 있다.
3. 1. 현존하는 팀
팀 | 도시 | 성(省) | 경기장 | 수용 인원 | 참가 연도 |
---|---|---|---|---|---|
베이징 타이거스 | 베이징 | – | 루청 구장 | 5,000명 | 2019 |
광둥 레오파즈 | 중산 | 광둥성 | 중산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 12,000명 | 2019 |
장쑤 휴즈 호스스 | 우시 | 장쑤성 | 우시 야구장 | 3,000명 | 2019 |
톈진 라이온스 | 톈진 | – | 톈티 다저 스타디움 | 2,000명 | 2019 |
4. 중국 리그만의 특이한 점
중국야구리그는 다음과 같은 독특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1]
- 선수들을 상대로 불시에 체력 측정을 실시하여, 기준 미달 선수는 경기 출전을 제한하고 해당 구단에 10000CNY의 벌금을 부과한다.
- 리그 팀이 해당 도시 대표로 중국 전국체육대회에 참가할 수 있다.
- 야구 규칙을 잘 모르는 관객들을 위해 경기 중 발생한 상황을 장내 방송으로 설명해 준다.
5. 아시아 시리즈
2005년부터 2007년까지는 중국 리그 우승 팀이 아닌, 중국 리그 대표 선발팀인 '차이나 스타즈'가 아시아 시리즈에 출전했다. 2008년에는 중국 리그 우승 팀이 참가했지만, 2011년까지는 참가하지 않았다. 2012년부터 '차이나 스타즈'가 다시 출전할 예정이다.[1]
6. 역대 우승 팀
연도 | 우승 팀 | 경기 결과 | 승패표 | 상대팀 |
---|---|---|---|---|
2002 | 톈진 라이언스 | 1-0 | - | 베이징 타이거스 |
2003 | 베이징 타이거스 | 3-2 | 톈진 라이언스 | |
2004 | 베이징 타이거스 | 3-2 | ●●○○○ | 톈진 라이언스 |
2005 | 베이징 타이거스 | 2-0 | ○○ | 톈진 라이언스 |
2006 | 톈진 라이언스 | 3-0 | ○○○ | 광둥 레오파스 |
2007 | 톈진 라이언스 | 3-1 | ○●○○ | 광둥 레오파스 |
2008 | 톈진 라이언스 | 3-0 | ○○○ | 베이징 타이거스 |
2009 | 베이징 타이거스 | 1-0[5] | - | 광둥 레오파스 |
2010 | 광둥 레오파스 | 2-0 | ○○ | 베이징 타이거스 |
2011 | 톈진 라이언스 | 3-1 | ●○○○ | 광둥 레오파스 |
2012 | 리그 중단 | |||
2013 | ||||
2014 | 베이징 타이거스 | 2-1 | ○●○ | 톈진 라이언스 |
2015 | 장쑤 페가수스 | 2-0 | ○○ | 베이징 타이거스 |
2016 | 톈진 라이언스 | 2-0 | ○○ | 베이징 타이거스 |
2017 | 리그 중단 | |||
2018 | 광둥 레오파스 | 1-0[6] | - | 장쑤 페가수스 |
2019[7] | 베이징 타이거스 | 3-1 | ○●○○ | 장쑤 휴즈홀스 |
2020 | 리그 중단[8] | |||
2021 | ||||
2022 | ||||
2023 | 상하이 레드이글스 | 2-0 | ○○ | 장쑤 휴즈홀스 |
2024 | 장쑤 휴즈홀스 | 2-0 | ○○ | 베이징 타이거스 |
7. 한-중 야구 교류
중국야구리그와 한국야구리그(KBO)는 1990년대부터 교류를 시작했다. 특히 김대중 정부 시절, 양국 간 스포츠 교류가 활성화되면서 야구 분야에서도 협력이 강화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구체적인 선수 교류나 리그 간 경기는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中职棒联赛下月开赛 新赛季4家俱乐部获批准入
https://sports.sina.[...]
2019-07-12
[2]
웹사이트
中国棒球职业联赛选秀大会暨联赛LOGO发布仪式举行_赛事聚焦_体育频道
https://sports.redne[...]
2023-09-25
[3]
뉴스
中国プロ野球連盟が発足、MLBと戦略的提携
https://www.afpbb.co[...]
2019-08-16
[4]
뉴스
仕切りなおした中国プロ野球、第1回CNPBシリーズは強豪・北京タイガースが優勝
https://news.yahoo.c[...]
2019-10-23
[5]
문서
베이징, 광둥, 상하이, 톈진 등 4팀이 결승 리그를 치렀으며, 베이징이 2승, 광둥이 1승 1패로 각각 우승과 준우승을 차지함.
[6]
문서
단기 리그로 진행되었다.
[7]
문서
CNBL로 명칭 변경 후 첫 시즌
[8]
문서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한 리그 중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