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부쿠시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부쿠시어군은 쿠시어파에 속하는 언어군으로,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지역에서 사용된다. 아웅기어, 쿤팔어, 빌렌어, 캄탕가어, 케만트어, 키만트어, 카일라어 등이 포함되며, 아웅기어가 가장 많은 화자를 가진다. 이 언어군은 음운적으로 특징을 가지며, 문헌 자료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시어파 - 소말리어
    소말리어는 소말리아를 비롯한 주변 국가에서 약 2,400만 명이 사용하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쿠시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1972년 소말리아의 공용어로 지정되었으며 라틴 문자 기반의 표준 소말리어가 채택되었고, 다양한 방언과 함께 여러 언어의 영향을 받은 어휘 및 주어-목적어-동사 어순과 풍부한 어형 변화, 명사의 성을 특징으로 한다.
  • 쿠시어파 - 오로모어
    오로모어는 동아프리카에서 사용되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쿠시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에티오피아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를 보유하고 아프리카 전체에서 네 번째로 많은 사용자를 가지며, 다양한 방언과 복잡한 음운 체계 및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1991년 라틴 문자 기반 쿠베 정서법이 채택되어 오로미아 주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중부쿠시어군
언어 정보
다른 이름중부쿠시어군
사용 지역에티오피아 및 중앙 에리트레아
사용자아게우
어족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어파쿠시어족
하위 언어아웅기
빌렌
키만트
함탕가
카일라
조어원시 아게우어
Glottologcent2193
Glottolog 명칭Agaw

2. 분류


  • 중남부쿠시어
  • * 아웅기어
  • * 쿤팔어
  • 중북부쿠시어
  • * 빌렌어
  • * 캄탕가어
  • 중서부쿠시어
  • * 케만트어
  • * 키만트어
  • 미분류
  • * 카일라어


아웅기어(남부 아가우)는 타나 호수 남서부에서 사용되며, 350,000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가장 큰 언어이다.[2] (쿤펠은 타나 호수 서쪽에서 사용되며 기록이 미흡하지만, 아웅기어의 방언일 가능성이 높다)[2]

북부 아가우에는 빌렌어와 캄탕가어가 속한다.[2] 빌렌어(북부)는 에리트레아 케렌수단 동부 카살라 주변에서 사용된다.[2] 캄탕가어(중부 아가우; 카미르, 함타라고도 불림)는 에티오피아 북부 암하라 지역에서 사용된다.[2]

키만트어(서부 아가우)는 거의 사멸되었으며, 세미엔 곤다르 존의 케만트족이 사용한다.[2] 방언으로는 콰라 방언(거의 사멸되었으며, 과거 콰라에 살았던 베타 이스라엘이 사용했고, 현재는 이스라엘에 거주한다)과 카일라 방언(사멸되었으며, 과거 일부 베타 이스라엘이 사용했고, 키만트어와 함탕가어의 과도기적 언어이다)이 있다.[2]

카일라어는 과거 베타 이스라엘이 사용하던 언어로, 현재는 미분류 상태이다.

2. 1. 남부 아가우어

아웅기어는 타나 호수 남서부에서 사용되며, 350,000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가장 큰 언어이다.[2] 쿤팔어는 타나 호수 서쪽에서 사용되며 기록이 미흡하지만, 아웅기어의 방언일 가능성이 높다.[2]

2. 2. 북부 아가우어

북부 아가우어에는 빌렌어와 함탕가어가 속한다.[2] 빌렌어는 에리트레아 케렌수단 카살라 주변에서 사용된다.[2] 함탕가어는 에티오피아 북부 암하라 지역에서 사용된다.[2]

2. 3. 서부 아가우어

키만트어(서부 아가우)는 거의 사멸되었으며, 세미엔 곤다르 존의 케만트족이 사용한다.[2] 방언으로는 콰라 방언(거의 사멸되었으며, 과거 콰라에 살았던 베타 이스라엘이 사용했고, 현재는 이스라엘에 거주한다)과 카일라 방언(사멸되었으며, 과거 일부 베타 이스라엘이 사용했고, 키만트어와 함탕가어의 과도기적 언어이다)이 있다.[2]

2. 4. 미분류

카일라어는 과거 베타 이스라엘이 사용하던 언어로, 현재는 미분류 상태이다.[2]

3. 음운

중부 쿠시어군은 , , 와 중설 모음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며, 방출음, 내파음, 인두음, 자음 중복, 모음 길이, 자음 이 부재하다는 특징을 보인다.[3]

4. 문헌

아가우어에는 문헌이 존재하지만 널리 분산되어 있다. 중세 텍스트에는 키만트어 구절이 포함되어 있다. 현대 빌렌어는 자체 신문이 존재한다. 함탕가어로 된 역사적 자료와 아웅기어의 민속 전통도 존재한다.


  • 애플리아드, 데이비드 L. (2006) ''아가우어 비교 사전''(쿠쉬어 언어 연구 – 쿠쉬어 언어 연구 24권). 쾰른: 뤼디거 쾨페 출판사.
  • 헤츠론, 로버트 (1976) 아가우어. ''아프로아시아 언어학'' 3,3. p. 31–37
  • 요스비그, 안드레아스 및 후세인 모하메드 (2011). [https://www.sil.org/system/files/reapdata/47/48/71/47487126751402247272257693921708804224/silesr2011_047.pdf 사회언어학 조사 보고서; 에티오피아 남부 아가우어 재방문]. SIL 인터내셔널. SIL 전자 조사 보고서 2011-047.

참조

[1] 서적 1976
[2] 서적 2011
[3] 간행물 Central Cushitic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