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타 이스라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타 이스라엘은 에티오피아에 거주했던 유대인 공동체로, '이스라엘의 집'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그들은 구약성경과 에티오피아 구전을 따르며, 자신들을 단 지파의 후손이라고 믿는다. 베타 이스라엘은 고유한 종교 의식, 달력, 명절을 가지고 있으며, 게에즈어를 전례 언어로 사용한다.

역사적으로 베타 이스라엘은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으며, 14~16세기에 독특한 민족 집단을 형성했다. 20세기 이후 다른 유대인 공동체와의 관계가 강화되었으며, 1980년대 이후 학계 및 공식 명칭으로 사용된다. 이스라엘로의 이주 과정에서 기독교로 개종한 팔라시 무라와의 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이스라엘 사회에서 차별과 통합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2. 용어

역사적으로 이 공동체는 여러 이름으로 불려왔다. 게에즈어로 '이스라엘의 집'을 뜻하는 '베타 이스라엘'은 4세기 악숨 왕국의 군주 에자나가 그리스도교를 받아들였을 때, 그리스도교로 개종하는 것을 거부한 데서 기원을 찾는다.[13] 이 이름은 게에즈어로 교회를 뜻하는 '베타 크리스티얀'(기독교의 집)과 대조된다.[14][15][16] 1980년대 이후, '베타 이스라엘'은 학계 및 과학 문헌에서 이 공동체를 지칭하는 공식적인 이름이 되었다.[17] '에스라엘라위'(이스라엘인)라는 용어도 공동체 구성원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17]

'유대인'을 뜻하는 '아유드'는 에티오피아 기독교인들이 경멸적인 용어로 사용했기 때문에 공동체 내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16] 그러나 다른 유대인 공동체와의 관계가 강화되면서 20세기에 이 용어의 사용이 증가했다.[17] '이 브라위'('히브리인')라는 용어는 '바르야'('노예')와 대조적으로, 공동체의 '차와'('자유인')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18] '오리타위'('토라를 따르는 자')라는 용어도 베타 이스라엘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팔라샤'는 "토지가 없는 자", "방랑자" 또는 "추방자"를 뜻하며, 15세기 예샤크 1세 황제에 의해 이 공동체에 붙여졌다. 에티오피아 제국에 정복된 이후, 현재 이 용어의 사용은 모욕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자궤"라는 용어도 베타 이스라엘에 사용되지만, 이 용어는 공동체를 전통 아프리카 종교를 믿는 자궤 왕조의 아가우족과 연관시키기 때문에 경멸적인 것으로 간주된다.[17]

3. 기원

베타 이스라엘의 기원에 대해서는 다양한 구전과 학설이 전해진다.

이스라엘 최고 랍비청의 예루살렘 대랍비가 에티오피아 유대인을 구제하기 위한 공개 호소 (1921년), 아브라함 아이작 쿡과 야곱 메이어 서명


베타 이스라엘의 종교 문헌은 Mäṣḥafä Kedusgez (직역: 거룩한 성서)라고 불리며, 게에즈어로 쓰여졌다. 이는 에티오피아 정교회의 전례 언어이기도 하다. 가장 신성한 책은 오리트라고 알려진 옥타테우크(Octateuch)로, 모세 오경에 여호수아서, 판관기, 룻기를 더한 것이다. 베타 이스라엘의 성서에는 애가예레미야서도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은 정교회 성경 정경에서도 발견된다.

베타 이스라엘 정경을 구성하는 외경에는 집회서, 유딧기, 제1 에스드라, 제2 에스드라, 메카비안 서, 희년서, 바룩서 (4 바룩 포함), 토비트기, 에녹서, 아브라함의 유언, 이삭의 유언, 야곱의 유언 등이 있다.

베타 이스라엘의 비성서적 저술로는 ''모타 아론''("아론의 죽음"), ''모타 무세''("모세의 죽음"), ''나가라 무세''("모세의 대화"), ''테에자자 삼바트''("안식일의 계명"), ''아르데에트''("제자"), ''고르고리오스''("고르고리오스의 묵시록"), ''에스라'' ("에스라의 묵시록"), ''바로크''("바룩의 묵시록"), ''마사파 사아트''("시간의 책"), ''파라스파''("철학자"), ''아바 엘리아스''("엘리야 아버지"), ''마사파 말라에크트''("천사의 책"), ''데르산 아브라함 와사라 바가브스''("이집트의 아브라함과 사라에 관한 강론"), ''가들라 소스나''("수산나 이야기"), ''바카다미 가브라 에그지아브헤르''("태초에 하나님이 창조하셨다") 등이 있다.

3. 1. 구전

구약성경 열왕기 상에는 시바의 여왕솔로몬 왕을 방문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에티오피아 구전에 따르면, 이들 사이에서 태어난 메넬리크 1세가 베타 이스라엘의 기원이라고 한다. 이는 성경에는 나오지 않는 구전이다.

초기 유전자 검사에서는 베타 이스라엘과 유대인 사이에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2012년 연구 결과에서는 베타 이스라엘이 에티오피아 원주민과 유사하지만 약간의 유대인 혈통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고대 에티오피아로 건너간 유대인들이 원주민을 유대교로 개종시키고 혼혈, 동화되어 베타 이스라엘이 형성되었음을 시사한다. 이 결과는 베타 이스라엘이 (이스라엘에 돌아와 현대 유대교를 받아들이기 전까지) 하누카를 쇠지 않았던 이유를 설명한다.[157]

3. 2. 학설

현대 학자들은 베타 이스라엘이 14세기에서 16세기에 걸쳐 역사적 압력 속에서 독특한 민족 집단을 형성했다고 본다.[29]

베타 이스라엘의 기원에 대한 여러 설에 따르면, 이들은 고대 단 지파의 일부가 에티오피아로 이주한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모세의 아들들이 이끌었고, 아마도 출애굽 시대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른 연대기에는 솔로몬 왕의 죽음 이후 북쪽 이스라엘 왕국이 남쪽 유다 왕국에서 분리된 사건이나, 바빌론 유수와 같은 유대 지방의 후기 위기가 포함된다.[30] 또 다른 베타 이스라엘은 메넬리크 1세가 에티오피아로 귀환했다는 기독교 기록을 근거로 삼는다.[31] 메넬리크는 초대 솔로몬 왕조 에티오피아 황제로 여겨지며, 고대 이스라엘의 솔로몬 왕과 고대 시바 여왕(현재 에티오피아)인 마케다의 아들로 전통적으로 여겨진다. 모든 이용 가능한 전승[32]은 최근의 해석과 일치하지만, 고대의 신념을 반영한다. 존 아빙크에 따르면, 공동체의 사제들이 기록한 전승 중에서 세 가지 다른 버전이 구별된다.[33] 어떤 설명에 따르면, 베타 이스라엘은 이스라엘 왕국에서 기원했으며, 솔로몬 왕과 메넬리크의 후손이 아닌 동시대 사람들이었다.[34]

9세기 유대인 여행가 엘다드 하-다니는 자신이 단 지파에서 나왔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그 당시 자신의 주변 또는 동아프리카에 다른 유대 왕국이 있었다고 보고했다. 그의 글은 아마도 랍비 문헌에서 베타 이스라엘에 대한 최초의 언급일 것이다. 일부 회의적인 비평가에도 불구하고, 그의 진정성은 현재의 학문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의 설명은 일관성이 있었고, 심지어 처음에는 의심스러워했던 당대의 랍비들조차 결국 설득되었다.[47] 구체적인 세부 사항은 불확실할 수 있다. 한 비평가는 엘다드가 에티오피아의 지리와 에티오피아 언어에 대한 자세한 언급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했지만, 그는 그 지역을 자신의 고향이라고 주장했다.[48]

엘다드의 증언은 이집트 남쪽 멀리 떨어진 곳에 유대인 공동체가 살고 있다는 중세 시대의 유일한 증언이 아니었기에, 그의 주장의 신빙성을 더했다. 오바디아 벤 아브라함 바르테누라는 1488년 예루살렘에서 보낸 편지에 "나는 이집트에서 그들 중 두 명을 직접 보았다. 그들은 피부가 어둡고… 그들이 카라이트의 가르침을 따르는지, 랍비의 가르침을 따르는지 알 수 없었다. 그들의 일부 관행은 카라이트의 가르침과 유사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것에서는 랍비의 지시를 따르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들은 자신이 단 지파와 관련이 있다고 말한다."라고 썼다.[49]

이와 유사하게 글을 쓴 이집트의 랍비 다비드 이븐 지므라 (1479–1573)는 에티오피아 유대인 공동체가 여러 면에서 카라이트와 유사하다고 주장하며 "…보라! 문제는 쿠시 왕국 사이에 끊임없는 전쟁이 있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쿠시 왕국은 세 개의 왕국을 가지고 있다. 그중 일부는 이쉬마엘인에 속하고, 일부는 기독교인에 속하며, 일부는 단 지파에서 온 이스라엘인에 속한다. 아마도 그들은 사두개인과 보에투시안의 종파에서 온 사람들일 것이다. 그들은 현재 카라이트 유대교라고 불리는데, 그들은 미츠바의 몇 가지 성경 계명만 알고 있을 뿐, 구전 율법은 알지 못하며, 안식일 촛불도 켜지 않는다. 그들 사이에서는 전쟁이 끊이지 않고, 매일 서로에게서 포로를 잡는다…"라고 썼다.[50]

같은 ''레즈폰숨''에서 그는 에티오피아 유대인들이 랍비 유대교로 돌아오기를 원한다면, 랍비 아브라함 벤 마이모니데스 시대에 라바니트의 가르침으로 돌아온 카라이트처럼 그들을 받아들여 환영할 것이라고 결론 내린다.

에티오피아 유대인들이 그들과 관계를 맺거나 알았던 유대인들이 지속적으로 주장한 내용을 반영하고, 그들의 주장과 그들 자신의 유대교적 행동을 적절히 조사한 후, 이전 세기와 현대 시대의 많은 유대교 법적 권위자들은 베타 이스라엘이 실제로 유대인이며, 십지파 중 하나인 단 지파의 후손이라는 ''할라카'' (유대 율법에 따라) 판결을 내렸다.[51] 그들은 이 사람들이 수백 년 동안 지속된 유대 왕국을 세웠다고 믿는다. 기독교와 나중에 이슬람의 부상으로 분열이 일어나고 세 개의 왕국이 경쟁했다. 결국, 기독교인무슬림 에티오피아 왕국은 유대 왕국을 작고 가난한 지역으로 축소했다. 이 방식으로 판결한 가장 초기의 권위자는 16세기 학자 다비드 이븐 지므라(라드바즈)였는데, 그는 베타 이스라엘 노예의 지위에 관해 "그러나 쿠시 땅에서 온 유대인들은 의심할 여지없이 단 지파에서 왔으며, 전통의 주인이었던 현자가 그들 가운데 없었기 때문에 성경의 단순한 의미에 집착했다. 그러나 그들이 가르침을 받았다면, 그들은 우리의 현자들의 말에 불경하게 대하지 않았을 것이므로, 그들의 지위는 비유대인에게 붙잡힌 유대인 어린이와 비슷하다… 그리고 당신이 그 문제가 의심스럽다고 말하더라도, 그들을 구속하는 것은 계명이다."라고 설명했다.[52]

1973년, 오바디아 요세프, 이스라엘 세파르디 수석 랍비는 다비드 벤 솔로몬 이븐 아비 지므라의 저술과 다른 설명을 바탕으로 베타 이스라엘이 유대인이며 이스라엘로 데려와야 한다고 판결했다. 2년 후 이 견해는 이스라엘 아슈케나지 수석 랍비 슐로모 고렌을 포함한 다른 여러 권위자들에 의해 확인되었다.[53] 1977년, 귀환법을 부여하는 법이 통과되었다.[54]

일부 저명한 포스킴 (종교 율법 권위자)는 비 시오니스트 아슈케나지 유대인 출신으로 베타 이스라엘의 유대 민족성에 대해 ''사페크'' (법적 의심)을 제기했다. 이러한 반대 의견에는 랍비 엘라자르 샤흐, 랍비 요세프 샬롬 엘리야시브, 랍비 슐로모 잘만 아우어바흐, 랍비 모세 파인스타인이 있다.[55][56] 비슷한 의문이 1990년대 소련 붕괴 이후 이스라엘로의 이민 동안 베네 이스라엘[57]과 러시아 이민자들에게도 제기되었다.

1970년대와 1980년대 초에 베타 이스라엘은 미크베 (정결 의식 목욕)에서 침례를 받고, 랍비 율법을 수용하는 선언을 하며, 남성의 경우 ''하타파트 담 브리트'' (상징적인 재할례)를 포함하는 수정된 개종 의식을 거쳐야 했다.[58] 아브라함 샤피라는 나중에 ''할라히적'' 의심이 심각할 때만 요구되는 ''하타파트 담 브리트'' 조항을 면제했다.[59] 최근에 슐로모 아마르는 기독교로 강제 개종된 에티오피아 유대인의 후손은 "모든 면에서 의심할 여지없이 유대인"이라고 판결했다.[60][61] 오바디아 요세프의 동의를 얻어 아마르는 이 공동체의 유대인 자격을 의심하는 것을 금지했는데, 그들은 개종했다는 의미에서 팔라쉬 무라라고 경멸적으로 불렸다.[62][63]

4. 종교

하야마노트(ሃይማኖት)는 게에즈어로 "신앙"을 뜻하며, 베타 이스라엘 공동체가 유대교를 믿는 신앙을 가리킬 때 사용하는 용어이다.[19] 에티오피아 정교회 신자들도 자신들의 종교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한다.

베타 이스라엘의 종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경전: '마사페 케두스'('거룩한 성서')라고 불리며, 게에즈어로 쓰여졌다.
  • 예배당: '마스기드'라고 불린다.
  • 식사법: 카슈루트 율법은 주로 레위기, 신명기, 희년서에 기초한다.
  • 달력과 명절: 음력으로 12개월이며, 각 달은 29일 또는 30일이다.

4. 1. 경전

베타 이스라엘의 종교 문헌은 '마사페 케두스'('거룩한 성서')라고 불리며, 게에즈어로 쓰여졌다. 가장 신성한 책은 '오리트'라고 알려진 옥타테우크(모세 오경+여호수아서, 판관기, 룻기)이다. 베타 이스라엘 성서에는 애가, 예레미야서도 포함되어 있으며, 외경으로는 집회서, 유딧기, 에스드라 1, 2서, 메카비안 서, 희년서, 바룩서, 토비트기, 에녹서, 아브라함/이삭/야곱의 유언 등이 있다. 비성서적 저술로는 '모타 아론', '모타 무세', '나가라 무세', '테에자자 삼바트', '아르데에트' 등이 있다.

4. 2. 예배당

베타 이스라엘의 예배당은 '마스기드'라고 불리며, '베트 마크다스' 또는 '사 로트 베트'(기도의 집)라고도 불린다.

4. 3. 식사법

베타 이스라엘의 카슈루트 율법은 주로 레위기, 신명기, 희년서에 기초하고 있다. 레위기 11:3–8과 신명기 14:4–8은 허용 및 금지된 육상 동물의 징표를 나열한다. 레위기 11:13–23과 신명기 14:12–20은 금지된 새를 나열한다. 레위기 11:9–12와 신명기 14:9–10은 허용된 물고기의 징표를 나열한다. 곤충과 유충은 레위기 11:41–42에서 금지된다. 기드 하나셰는 창세기 32:33에서 금지된다. 우유와 고기의 혼합은 준비하거나 먹지 않지만, 이로부터 이익을 얻는 것은 허용된다. 하이마노트는 출애굽기 23:19, 출애굽기 34:26, 신명기 14:21의 "어미의 젖으로 새끼 염소를 삶지 말라"는 구절을 카라이트 유대교와 유사하게 문자적으로 해석한다. 반면에 랍비 유대교에서는 유제품과 고기를 혼합하여 얻는 모든 이익을 금지한다.

에티오피아 유대인은 비유대인의 음식을 먹는 것이 금지되었다. 코헨은 자신이 직접 도축한 고기만을 먹으며, 다른 사람이 이를 조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사람도 코헨이 도축한 고기를 먹을 수 있다. 이러한 금기를 어기는 사람은 추방당하고, 마을에 들어가기 전에 단식, 코헨이 제공하는 날것의 병아리콩만 먹기, 정결 의식을 포함하는 정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다른 에티오피아인들과 달리, 베타 이스라엘은 키트포나 고레드 고레드와 같은 생고기 요리를 먹지 않는다.

4. 4. 달력과 명절

베타 이스라엘 달력은 12개월의 음력으로 구성되며, 각 달은 29일 또는 30일로 번갈아 가며 구성된다. 4년마다 한 달(30일)을 추가하는 윤년이 있다. 이 달력은 고대 알렉산드리아 유대교, 『희년서』, 『에녹서』, 아부 샤케르, 그리고 에티오피아 달력의 고대 달력을 조합한 것이다.[22][23] 연도는 쿠슈타의 연도 계산법에 따라 계산된다. "예수 그리스도 이후 1571년, 이집트인 이후 7071년, 히브리인 이후 6642년";[24] 이 계산법에 따르면, 랍비 히브리력의 5771년(ה'תשע"א|하타쉬아he)은 이 달력으로는 7082년에 해당한다.

베타 이스라엘의 명절에는 ba'āl lisan|바알 리산gez (니산의 새해), fāsikā|파시카gez (유월절), mã'rar|마라르gez (샤부오트, 문자 그대로 "수확"), 'āl Matqe|알 마트케gez (로쉬 하샤나, 문자 그대로 "나팔 부는 명절", zikhron teru'ah 참조), astasreyo|아스타스레요gez (욤 키푸르), ba'āla maṣallat|바알라 마찰라트gez (수콧, 문자 그대로 "초막절")이 있다. 베타 이스라엘 고유의 다른 명절로는 ṣomä mã'rar|초메 마라르gez (샤부오트 전의 단식, 문자 그대로 "수확 단식"), 다섯 번째 달의 네 번째 안식일, 키슬레브에 추가적인 ṣomä mã'rar|초메 마라르gez와 mã'rar|마라르gez가 있다. 베타 이스라엘의 고유한 명절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시그드 또는 měhlělla|므흘라gez (문자 그대로 "탄원")로, 헤쉬반의 29일에 기념하며, 2009년부터 이스라엘의 공식 공휴일로 지정되었다.[25] 헤쉬반 달에는 1일에 모세가 하나님의 얼굴을 본 날을 기념하는 명절, 10일에 이스라엘 백성이 모세를 영접한 명절, 12일에 단식이 있다. 엘룰 달에도 베타 이스라엘을 위한 추가 명절이 있다. 1일에 awd amet|아우드 아메트gez (문자 그대로 "연도 회전"), 1일에서 9일 사이에 ṣomä lul|초메 룰gez (문자 그대로 "엘룰 단식"), 10일에 anākel astar'i|아나켈 아스타리gez (문자 그대로 "우리의 속죄"), 28일에 asartu wasamantu|아사르투 와사만투gez (문자 그대로 "열여덟 번째")가 있다. 타무즈의 단식(ṣomä tomos|초메 토모스gez), 티샤 브 아브를 위한 단식(ṣomä ab|초메 아브gez), 테베트의 단식(ṣomä tibt|초메 티브트gez), 에스더의 금식(ṣomä astēr|초메 아스테르gez)은 여러 날에 걸친 금식인 반면, 랍비 유대교 전통에서는 단 하루만 금식한다.[26]

각 달의 첫째 날은 yačaraqā ba'āl|야차라카 바알gez (문자 그대로 "초승달 축제")로 기념하며(로쉬 호데쉬 참조), 각 달의 마지막 날은 ṣomä mälěya|초메 말레야gez (단식)로 기념한다(욤 키푸르 카탄 참조). 또한 주요 연례 명절을 기념하는 월별 축제가 있는데, 욤 키푸르를 기념하기 위해 열흘째 날의 ''asärt''(문자 그대로 "열"), 샤부오트를 기념하기 위한 asrã hulat|아스라 훌라트gez (문자 그대로 "열두"), 유월절과 수콧을 기념하기 위한 ''and'' asrã ammest|아스라 암메스트gez (문자 그대로 "열다섯")가 있다.[26]

안식일은 Sanbat|산바트gez이라고 부른다. 또한 월요일(ṣomä säňňo|초메 사뇨gez), 목요일(ṣomä amus|초메 아무스gez), 금요일(ṣomä 'arb|초메 아르브gez)의 주간 단식도 있다.

5. 문화

베타 이스라엘은 한때 콰라와 카일라를 사용했는데, 둘 다 아가우어에 속한다. 현재는 티그리냐어암하라어를 사용하며, 둘 다 셈어에 속한다. 그들의 전례어는 셈어에 속하는 게에즈어이다.[27][28] 1950년대부터 학교에서 히브리어를 가르쳐 왔다. 현재 이스라엘에 거주하는 베타 이스라엘은 현대 히브리어를 일상 언어로 사용한다.

6. 역사

19세기에 개신교 선교사들이 베타 이스라엘을 기독교로 개종시키기 위해 선교활동을 했다. 개신교로 개종한 베타 이스라엘은 팔라시 무라라고 한다.

이스라엘 건국 초기, 이스라엘 정부는 베타 이스라엘을 유대인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일부 베타 이스라엘 사람들은 관광 비자로 이스라엘에 입국한 뒤 불법체류자로 정착하기도 했다.

1974년 9월 12일, 마르크스주의를 표방하는 데르그가 하일레 셀라시에 1세 황제에 대항하여 일으킨 에티오피아 내전으로 데르그가 에티오피아를 장악하자, 많은 베타 이스라엘이 이스라엘로 입국하는 알리야가 있었다.

1975년, 이츠하크 라빈 정부는 베타 이스라엘이 유대인이므로 귀환법의 적용 대상이라고 선언했다. 메나헴 베긴 총리는 베타 이스라엘이 사라진 10지파의 후손이라고 선포했다.

1979년부터 1984년까지 모사드는 베타 이스라엘을 수단으로 입국시킨 뒤 유럽을 거쳐 이스라엘로 수송했다. 1983년 에티오피아 곤다르 주지사가 국외 이주 규제를 폐지하자 많은 베타 이스라엘이 수단을 향해 떠났다. 1985년 1월에 시행된 모세 작전과 몇 주 뒤에 시행된 여호수아 작전을 통해 수단에 머무르던 베타 이스라엘이 이스라엘로 입국하였다. 공산주의가 붕괴된 1990년부터 베타 이스라엘은 에티오피아에서 직접 이스라엘로 갈 수 있게 되었다. 1991년 에티오피아의 정정 불안이 심해지자 이스라엘은 솔로몬 작전을 실시하여 베타 이스라엘을 이스라엘로 구출했다.

에티오피아의 역사를 다룬 케브라 나가스트는 에티오피아인이 솔로몬 왕과 시바 여왕(혹은 전설 속의 마케다)의 아들로 추정되는 메넬리크 1세와 함께 에티오피아에 온 이스라엘 부족의 후손이라고 설명한다. 이 전설에 따르면, 메넬리크는 성인이 되어 예루살렘에 있는 아버지에게 돌아갔고, 나중에 언약의 궤를 가지고 에티오피아로 다시 정착했다.

성경에는 시바 여왕이 솔로몬 왕과 결혼하거나 성관계를 가졌다는 언급은 없다. 오히려 솔로몬의 부와 지혜에 감명을 받은 시바 여왕이 왕실의 선물을 주고받았고, 그 후 쿠시 왕국에서 백성을 다스리기 위해 돌아갔다고 기록한다.

''케브라 나가스트''는 베타 이스라엘이 기원전 10세기에 이스라엘 왕국 (통일 왕국)이 두 왕국으로 분열된 후 (르호보암 왕이 유다를 다스리던 시기) 아라비아 해안 땅을 따라 남쪽으로 도망간 유다 출신 남성 부대의 후손이라고 주장한다.

''케브라 나가스트''와 일부 전통적인 에티오피아 역사는 10세기의 찬탈 여왕인 구디트(또는 "유디트", 유디스, 또 다른 이름은 "에사토", 에스더)가 유대인이었다고 진술했지만, 일부 학자들은 이것이 사실일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 그들은 그녀가 이교도 남부 출신이거나 찬탈한 기독교 아크숨 여왕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녀는 분명히 유대인을 지지했는데, 그녀가 약 937년부터 1270년까지 통치한 자그웨 왕조를 세웠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베타 이스라엘은 ''케브라 나가스트''를 전설로 여기며, 자신들이 단 지파의 후손이라고 믿는다.

7. 이스라엘 이주

1974년 9월 12일 데르그가 하일레 셀라시에 1세 황제에 대항하여 일으킨 에티오피아 내전으로 데르그가 에티오피아를 장악하자, 많은 베타 이스라엘들이 이스라엘로 입국하는 알리야가 있었다.

1979년부터 1984년까지 모사드는 베타 이스라엘을 수단으로 입국시킨 뒤 유럽을 거쳐 이스라엘로 수송했다. 1983년 에티오피아 곤다르 주지사가 국외 이주 규제를 폐지하자 많은 베타 이스라엘들이 수단을 향해 떠났다. 1985년 1월에 시행된 모세 작전과 몇 주 뒤에 시행된 여호수아 작전을 통해 수단에 머무르던 베타 이스라엘들이 이스라엘로 입국하였다. 1990년부터 베타 이스라엘들이 에티오피아에서 직접 이스라엘로 갈 수 있게 되었다. 1991년 에티오피아의 정정 불안이 심해지자 이스라엘은 솔로몬 작전을 실시하여 베타 이스라엘들을 이스라엘로 구출했다.

7. 1. 팔라시 무라 논쟁

19세기에 개신교 선교사들이 베타 이스라엘을 기독교로 개종시키기 위해 선교활동을 했고, 개신교로 개종한 베타 이스라엘을 팔라시 무라라고 한다.[62][63]

이스라엘 건국 이후, 팔라시 무라귀환법의 적용 대상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슐로모 아마르는 기독교로 강제 개종된 에티오피아 유대인의 후손은 "모든 면에서 의심할 여지없이 유대인"이라고 판결했다.[60][61] 오바디아 요세프의 동의를 얻어 아마르는 이 공동체의 유대인 자격을 의심하는 것을 금지했는데, 그들은 개종했다는 의미에서 팔라시 무라라고 경멸적으로 불렸다.[62][63]

8. 이스라엘에서의 차별

1996년 이스라엘 혈액 당국에서 에티오피아계 유대인들이 헌혈한 혈액을 폐기했다는 사실이 드러나 차별 논란이 일었다.[158] 2013년에는 적수정에서 에티오피아에서 태어난 뒤 세 살 때부터 이스라엘에 거주한 에티오피아계 유대인 여성 국회의원의 헌혈을 거부하여 파장이 일었다.[159]

9. 저명한 베타 이스라엘인

2008년 유대인 디아스포라의 모계 유전적 조상에 관한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에티오피아 유대인 집단은 균질하지 않으며 유라시아와 아프리카 DNA 모두에서 다양성을 보인다. 일부 에티오피아 유대인은 유라시아 DNA 양이 많고 아프리카 DNA 양이 상대적으로 적은 반면, 일부는 아프리카 DNA 빈도가 더 높다.[65]

Cruciani et al. (2002)에 따르면, A형 하플로그룹은 에티오피아 유대인 사이에서 가장 흔한 부계 혈통이다. 이 클레이드는 베타 이스라엘 남성의 약 41%가 가지고 있으며, 주로 나일사하라어족 및 코이산어족을 사용하는 집단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에티오피아 유대인이 가지고 있는 A 분지는 주로 약 10,000년 전에 형성되었으며 에티오피아 고원과 아라비아 반도에 국한된 A-Y23865 계통이다.[67][68]

에티오피아 유대인의 약 18%는 E-P2 (xM35, xM2)를 가지고 있다. 에티오피아에서 이러한 혈통의 대부분은 E-M329에 속하며, 이는 4,500년 된 에티오피아 화석에서 분리된 고대 DNA에서 발견되었다.[70][71][72]

나머지 베타 이스라엘은 주로 E-M35 및 J-M267 하플로그룹과 관련된 단일체형에 속한다.[67]

2011년 미토콘드리아 DNA 연구는 41명의 베타 이스라엘을 표본 추출하여 모계 조상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그들이 일반적으로 아프리카에서 발견되는 51.2%의 L형 하플로그룹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다. 나머지 혈통은 유라시아 기원으로, 22% R0, 19.5% M1, 5% W, 2.5% U와 같았다.[77] 예멘 유대인과 에티오피아 유대인 집단 사이에는 동일한 단일체형이 공유되지 않아, 집단 간의 유전자 흐름이 거의 없으며 잠재적으로 서로 다른 모계 집단 역사를 시사한다.[77]

10. 관련 단체

Tishkoff et al. (2009)의 연구에서 베타 이스라엘은 에티오-셈어족 및 쿠시어족 사용 인구와 함께 그룹화되었다.[79] Behar et al. (2010)의 연구에서는 쿠시어족 사용 인구보다 에티오-셈어족 사용자인 암하라족과 티그라이족과 더 가깝게 군집을 이룬다는 결과가 나왔다.[81]

베타 이스라엘은 예멘 유대인을 포함한 다른 어떤 유대인 인구보다 아프리카의 뿔 지역의 다른 인구와 상염색체적으로 더 가깝다.[79][80] Ostrer et al. (2012)의 연구는 에티오피아 유대인 공동체가 약 2,000년 전에 다른 곳에서 온 비교적 소수의 유대인과 지역 주민이 합류하여 설립되었으며, 이로 인해 베타 이스라엘이 다른 유대인 집단과 유전적으로 멀어졌다는 결론을 내렸다.[82] Agranat-Tamir et al. (2020)의 연구에 따르면 에티오피아 유대인의 DNA는 대부분 동아프리카 기원이지만, 유전적 구성의 약 20%는 중동 셈족 기원이며 현대 유대인 및 아랍 인구와 청동기 시대의 가나안인과 유사성을 보인다.[83][84]

참조

[1] 간행물 The Ethiopian Community in Israel https://www.cbs.gov.[...] Israel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 웹사이트 Work goes on: Efforts to bring last of Ethiopian Jews to Israel https://www.jns.org/[...] 2021-05-24
[3] 웹사이트 Focus U.S.A.-Israel News – Haaretz Israeli News source http://www.haaretz.c[...] Haaretz.com 2010-12-25
[4] 웹사이트 The genome-wide structure of the Jewish people https://www.research[...]
[5] 서적 The Evolution of the Ethiopian Jews https://books.google[...] 2010
[6] 서적 Ethiopian Jews in the Limelight NCJW Research Institute for Innovation in Education, Hebrew University 1997
[7] 서적 Cultural, Social and Clinical Perspectives on Ethiopian Immigrants in Israel Ben-Gurion University Press 2012
[8] 서적 Jewish Communities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Ethiopia Ben-Zvi Institute 2008
[9] 서적 African Zion: Studies in Black Judaism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2
[10] 웹사이트 The Rescue of Ethiopian Jews 1978–1990 http://www.intellige[...]
[11] 웹사이트 Operation Solomon 20 Years On http://www.isn.ethz.[...] International Relations and Security Network (ISN) 2011
[12] 뉴스 http://www.haaretz.c[...] Ha'aretz
[13] 서적 Travels To Discover The Source Of The Nile in the Years 1768, 1769, 1770, 1771, 1772, and 1773 J. Ruthven for G. G. J. and J. Robinson 1790
[14] 웹사이트 Home http://www.himchurch[...] 2016-07-14
[15] 서적 The Hyena People – Ethiopian Jews in Christian Ethiopia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9
[16] 논문 Between Heretics and Jews: Inventing Jewish Identities in Ethiopia https://er.ceres.rub[...] 2018-04-17
[17] 문서 Quirun, The Evolution of the Ethiopian Jews, pp. 11–15; Aešcoly, Book of the Falashas, pp. 1–3; Hagar Salamon, Beta Israel and their Christian neighbors in Ethiopia: Analysis of key concepts at different levels of cultural embodiment, Hebrew University, 1993, pp. 69–77 (Hebrew); Shalva Weil, "Collective Names and Collective Identity of Ethiopian Jews" in Ethiopian Jews in the Limelight, Hebrew University, 1997, pp. 35–48
[18] 문서 Salamon, Beta Israel, p. 135, n. 20 (Hebrew)
[19] 서적 The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 of Ethiopian Jews in Israel NCJW Research Institute for Innovation in Education, Hebrew University 1989
[20] 논문 The Literature of the Beta Israel (Falasha): A Survey of a Biblical-Hebraic Tradition https://archive.org/[...] 1999
[21] 문서 Shelemay, Music, p. 42
[22] 문서 Quirun 1992, p. 71
[23] 서적 Culture – Differences in the World and in Israel: A Reader in Sociology for Junior High Schools University of Tel-Aviv: Institute of Social Research and Ministry of Education, PedagogicAdministration 1998
[24] 문서 Aešcoly, Book of the Falashas, p. 56
[25] 뉴스 Ethiopian Sigd Made Official State Holiday http://www.ynetNews.[...] Yedioth Ahronoth 2008-07-02
[26] 문서 Aešcoly, Book of the Falashas, pp. 62–70 (Hebrew); Shelemay, Music, Ritual, and Falasha History, pp. 44–57; Leslau, Falasha Anthology, pp. xxviii–xxxvi; Quirun, The Evolution of the Ethiopian Jews, pp. 146–150
[27] 서적 The Languages of the Jews: A Sociolinguistic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문서 An Elegy in Amharic on Dr. Faitlovitch' Pe’amim33: 125–127 1987
[29] 논문 'The Invention of Ethiopian Jews: Three Models' 1993
[30] 서적 Falasha Anthology, Translated from Ethiopic Sources Yale University Press 1951
[31] 서적 Queen of Sheba http://www.sacred-te[...]
[32] 서적 The Changing Religious Tradition of Ethiopian Jews in Israel: a Teachers’ Guide The Ministry of Education & Culture & NCJW Research Institute for Innovation in Education, Hebrew University 1991
[33] 논문 "The Enigma of Esra'el Ethnogenesis: An Anthro-Historical Study" 1990
[34] 문서 Jankowski, Königin von Saba, 65–71
[35] 서적 Queen of Sheba' http://www.sacred-te[...]
[36] 서적 Beta Israel: A House Divided Binghamt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89
[37]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the Bible
[38] 서적 Church and State in Ethiopia: 1270–1527 Oxford University Press 1972
[39] 간행물 "The Queen of Habasha in Ethiopian History, Tradition and Chronology" 2000
[40] 서적 Falasha Anthology, Translated from Ethiopic Sources Yale University Press 1951
[41] 서적 Letters of Jews Through the Ages East and West Library 1953
[42] 서적 Jewish Travellers in the Middle Ages: 19 Firsthand Accounts Dover 1987
[43] 서적 Jewish Travellers in the Middle Ages: 19 Firsthand Accounts Dover 1987
[44] 서적 Social and Religious History of the Jews Jewish Publication Society of America 1983
[45] 서적 Travels in Abyssinia 1773
[46] 웹사이트 http://www.nacoej.or[...] 2005-08-20
[47] 문서 See also the reference already cited from Hasdai ibn Shaprut, above.
[48] 서적 Encyclopaedia Aethiopica: D-Ha Harrassowitz Verlag 2005
[49] 서적 Igrot Eretz Yisrael Ramat Gan 1971
[50] 서적 The Responsa of the Radbaz 1882
[51] 서적 Beyond the Sambatyon: the Myth of the Ten Lost Tribes Beth Hatefutsoth, the Nahum Goldman Museum of the Jewish Diaspora 1991
[52] 문서 Responsum of the Radbaz on the Falasha Slave
[53] 뉴스 Iron Lions of Zion: The Origin of Beta Israel http://www.jewishoma[...] 2015-09-17
[54] 뉴스 Jewish community in Ethiopia celebrates 70 years in solidarity with Israel https://www.jpost.co[...] 2018-04-19
[55] 문서 Tzitz Eliezer https://www.hebrewbo[...]
[56] 서적 Ethiopian Jews and Israel Transaction Publishers 1987
[57] 문서 Tzitz Eliezer https://www.hebrewbo[...]
[58] 서적 Surviving Salvation: The Ethiopian Jewish Family in Transition NYU Press 1992
[59] 뉴스 Operation Moshe http://www.haaretz.c[...] Haaretz 2006-03-11
[60] 문서 דו"ח מעקב – סוגיית זכאותם לעלייה של בני הפלשמורה http://www.iaej.co.i[...]
[6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iaej.co.i[...] 2009-02-16
[62] 뉴스 הרב עמאר:הלוואי ויעלו מיליוני אתיופים לארץ http://www.ynet.co.i[...] ynet 2008-01-16
[63] 서적 Jews of Ethiopia: The Birth of an Elite Routledge 2005
[64] 간행물 Ethiopia: Between Sub-Saharan Africa and Western Eurasia 2005
[65] 간행물 Counting the Founders: The Matrilineal Genetic Ancestry of the Jewish Diaspora https://journals.plo[...] 2008
[66] 간행물 Blackness in Transition: Decoding Racial Constructs through Stories of Ethiopian Jews https://muse.jhu.edu[...] 2003
[67] 간행물 The peopling of the last Green Sahara revealed by high-coverage resequencing of trans-Saharan patrilineages 2018-02-12
[68] 웹사이트 A-Y23865 YTree https://www.yfull.co[...] 2018-12-23
[69] 웹사이트 A1b1 YTree https://yfull.com/tr[...]
[70] 간행물 A new topology of the human Y chromosome haplogroup E1b1 (E-P2) revealed through the use of newly characterized binary polymorphisms 2011-01-06
[71] 웹사이트 E-M329 YTree https://www.yfull.co[...]
[72] 논문 Ancient Ethiopian genome reveals extensive Eurasian admixture in Eastern Africa 2015-11-13
[73] 웹사이트 Plaster et al. Y-DNA E subclades predicted by Passa https://docs.google.[...]
[74] Doctoral Variation in Y chromosome, mitochondrial DNA and labels of identity on Ethiopia http://discovery.ucl[...] 2011-09-28
[75] 웹사이트 E-FGC14382 YTree https://yfull.com/tr[...] 2019-07-16
[76] 논문 A back migration from Asia to sub-Saharan Africa is supported by high-resolution analysis of human Y-chromosome haplotypes 2002-05
[77] 논문 Mitochondrial DNA reveals distinct evolutionary histories for Jewish populations in Yemen and Ethiopia 2010-12-09
[78] 논문 Ethiopian Mitochondrial DNA Heritage: Tracking Gene Flow Across and Around the Gate of Tears 2004-11
[79] 논문 The Genetic Structure and History of Africans and African Americans http://ihi.eprints.o[...] 2017-08-18
[80] 논문 The genome-wide structure of the Jewish people https://www.research[...] 2010-07
[81] 논문 The genome-wide structure of the Jewish people https://www.research[...] 2010-07
[82] 뉴스 Genetic study offers clues to history of North Africa's Jews https://www.reuters.[...] Reuters 2012-08-07
[83] 논문 The Genomic History of the Bronze Age Southern Levant 2020-05-28
[84] 뉴스 Jews and Arabs share genetic link to ancient Canaanites, study finds https://www.haaretz.[...] 2021-03-05
[85] 서적 Ethiopia and the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for the British Academy 1968
[86] 간행물 Notice sur l'époque de l'établissement des Juifs dans l'Abyssinie 1829
[87] 서적 A History of Ethiopia Oxford: Clarendon Press 1935
[88] 간행물 La Grèce et Saba après 32 ans de nouvelles recherches 1987
[89] 간행물 '''גולים ויורדים מארץ יהודה אל פתרוס וכוש – לאור המקרא ומדרשי חז"ל''' http://www.herzog.ac[...] 1992
[90] 웹사이트 "The Origins of the Beta Israel: Five Methodological Cautions" http://jic.tau.ac.il[...] 1987
[91] 간행물 The Falashas, or Judaic Ethiopians, in Their Christian Ethiopian Setting 1992-10
[92] 웹사이트 '''On the Changes in the Research of Ethiopian Jewry''' http://jic.tau.ac.il[...] 1994
[93] 웹사이트 Ethiopian Judaism nearly identical to that practiced during Second Temple Period https://www.ynetnews[...]
[94] 웹사이트 Israelis of color push back against race-based, anti-Israel narratives spread abroad https://www.timesofi[...] Times of Israel
[95] 서적 Betä Əsraʾel Harrassowitz Verlag 2003
[96] 웹사이트 '''Immigrants, by Period of Immigration, Country of Birth and Last Country of Residence''' http://cbs.gov.il/sh[...] Israeli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97] 웹사이트 Total Immigration, from Ethiopia (1948-Present) https://www.jewishvi[...]
[98] 웹사이트 Airlift Culminates 17 Years of Secret Israeli Links to Mengistu Government http://www.wrmea.org[...] 1991-07-12
[99] 웹사이트 Ethiopia Virtual Jewish Tour https://www.jewishvi[...]
[100] 서적 The Falashas In Ethiopia And Israel – The Problem of Ethnic Assimilation Nijmegen, Institute for Cultural and Social Anthropology 1984
[101] 뉴스 Jdl Stages Protests at Hias, Jewish Agency Offices, Claiming 'lack of Action' to Rescue Falashas http://www.jta.org/1[...] 1981-09-09
[102] 서적 From Tragedy to Triumph: The Politics Behind the Rescue of Ethiopian Jewry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2
[103] 서적 From Tragedy to Triumph
[104] 웹사이트 The Jewish Community of Ethiopia https://dbs.bh.org.i[...] 2019-07-23
[105] 뉴스 Israel vows to take in 1,000 Falasha Jews from Ethiopia https://www.aa.com.t[...] 2018-10-08
[106] 웹사이트 Rabbi of 8,000 stranded Ethiopian Jews fights to complete their exodus https://www.timesofi[...] 2019-04-05
[107] 뉴스 Forty-three Falashmura Arrive in Israel, Accompanied by Likud Lawmakers https://www.haaretz.[...] 2020-02-25
[108] 웹사이트 Hundreds in Israel protest for rescue of Ethiopia Jews https://english.alar[...] 2022-01-15
[109] 웹사이트 Israel Will Bring 3,000 Ethiopians Of Questionable Heritage To Israel https://www.theyeshi[...] 2022-01-15
[110] 뉴스 Jewish immigration to Israel up by 30% compared to last year https://www.ynetnews[...] 2021-12-22
[111] 뉴스 340 Ethiopian immigrants to arrive next week as part of renewed operation https://www.timesofi[...] The Times of Israel 2022-05-27
[112] 간행물 https://icejusa.org/[...] ICEJ
[113] 뉴스 bay area leaders join one of last flights of ethiopians to israel https://jweekly.com/[...] The jewish news of Northern California
[114] 뉴스 The Jerusalem Post 2023-05-23
[115] 간행물 https://www.jns.org/[...] JNS org
[116] 뉴스 israel rescues some 200 citizens and jews from ethiopia conflict region https://www.timesofi[...] The Times of Israel 2023-08-27
[117] 서적 Operation Solomon: the daring rescue of the Ethiopian Jews
[118] 뉴스 Israel to allow in 8,000 Falash Mura from Ethiopia https://www.bbc.co.u[...] 2015-09-12
[119] 웹사이트 8,000 more Falash Mura to come to Israel {{!}} JTA - Jewish & Israel News http://www.jta.org/n[...] 2020-10-13
[120] 뉴스 Reuters 2015-11-16
[121] 웹사이트 Coalition crisis averted: 9000 Ethiopian immigrants to be brought to Israel over 5 years - Israel News - Jerusalem Post https://www.jpost.co[...] 2016-04-07
[122] 웹사이트 The Population of Ethiopian Origin in Israel: Selected Data Published on the Occasion of the Sigd Festival 2021 https://www.cbs.gov.[...]
[123] 논문 Ethiopian Emerging Adult Immigrants in Israel 2011
[124] 서적 Saving the Lost Tribe: The Rescue andRedemption of the Ethiopian Jews by Asher Naim, reviewed in Studies inContemporary Jewry, An Annual, New York and Oxford: OxfordUniversity Press 20: 385–87 2004
[125] 간행물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Ethiopian Immigrantsand the Transfer to Israeli Society', in Gila Noam (ed.), Achievements andChallenges in the Absorption of Ethiopian Immigrants: the Contribution ofResearch to the Evaluation of the Process of Absorption (Lectures andDiscussions from a National Conference, 8–9 November 1993) Jerusalem. (Hebrew) 1994
[126] 간행물 'Collective Rights and PerceivedInequality: The Case of Ethiopian Jews in Israel', in Tim Allen and John Eade(eds) Divided Europeans: Understanding Ethnicities in Conflict, The Hague, London, and Boston: Kluwer Law International, pp. 127–44 1999
[127] 서적 One-Parent Families among EthiopianImmigrants in Israel, Jerusalem: NCJW Research Institute for Innovation inEducation, Hebrew University. (Hebrew) 1991
[128] 웹사이트 Achotenu program https://hadassahinte[...] 2024-12-17
[129] 뉴스 Ethiopian Jews struggle in Israel http://news.bbc.co.u[...] 2010-05-05
[130] 뉴스 Survey: 90% of Ethiopian Israelis Resist Interracial Marriage http://www.haaretz.c[...] 2015-09-12
[131] 뉴스 Study: Children of Soviet Immigrants Fully Assimilated Into Israeli Society http://www.haaretz.c[...] 2015-09-12
[132] 웹사이트 Black and Jewish: Young Ethiopian Israelis Fight for Equality https://chronicle.fa[...] 2015-05-19
[133] 뉴스 The Jews from Ethiopia who confound Israel's law of return https://www.economis[...]
[134] 웹사이트 Israel okays immigration of 2,000 Falash Mura from Ethiopia by end of 2020 | the Jewish Federations of North America https://www.jewishfe[...]
[135] 간행물 "Reflections of Ethiopian Cultural Patterns on the Beta Israel Absorption in Israel: The Barya case" in Steven Kaplan, Tudor Parfitt & Emnuela Trevisan Semi (Editors), '''Between Africa and Zion: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Congress of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Ethiopian Jewry''' Ben-Zvi Institute 1995
[136] 웹사이트 Five of the Most Celebrated French-Language African Films https://globalvoices[...] 2014-02-09
[137] 간행물 "Kalkidan Meshashe: An Ethiopian-Israeli Rapper", Culver City, California: Roberts and Tilton, in catalogue for Kehinde Wiley. The WorldStage: Israel exhibition, New York: Jewish Museum. 2012
[138] 웹사이트 'Uncut Gems' puts age-old Jewish stereotypes front and center https://www.jpost.co[...] 2020-04-05
[139] 웹사이트 Rotterdam 2020 Participants https://eurovision.t[...] 2021-03-06
[140] 뉴스 Museum on history of Ethiopian Jewry to be built in Rehovot http://www.haaretz.c[...] 2005-07-13
[141] 웹사이트 But First, (Strong Black) Coffee http://www.jewishexp[...] 2016-11-22
[142] 웹사이트 Bruins for Israel and Hillel partner with Jerusalem U for Israeli event http://dailybruin.co[...] 2016-11-08
[143] 웹사이트 New Campus Initiative Aims to Counteract Anti-Israel Movement's 'Trite, One-Sided' Rhetoric by Showing Jewish State's 'Human Face' https://www.algemein[...] 2016-11-08
[144] 뉴스 קפה שחור חזק הראפרים שלא מתביישים להיות מאושרים http://www.haaretz.c[...] 2014-01-22
[145] 서적 The Falashas in Ethiopia and Israel: the problem of ethnic assimilation https://books.google[...] Institute for Cultural and Social Anthropology
[146] 백과사전 The Falash Mura https://www.jewishvi[...] 2018-12-01
[147] 웹사이트 The Last Jews of Ethiopia https://forward.com/[...] 2024-04-02
[148] 간행물 The Enigma of Beta Esra'el Ethnogenesis. An Anthro-Historical Study. 1990
[149] 웹사이트 The Plight of Ethiopian Jews https://www.cultural[...] 2010-02-11
[150] 웹사이트 Falashmura aliyah - follow-up report http://www.iaej.co.i[...] Israeli Association for Ethiopian Jews
[151] 뉴스 Cabinet approves immigration of 1,000 Ethiopian Falashmura to Israel http://www.timesofis[...] 2018-12-01
[152] 서적 Eldad the Danite - His stories and laws in various editions according to ancient manuscripts and patterns with an introduction and notes along with an article on the Falashas and their customs Pressburg
[153] 웹사이트 Give football a chance to break the cycle of violence https://blogs.timeso[...]
[154] 뉴스 FILM: 'FALASHA' LIMNS ETHIOPIAN JEWS' PLIGHT http://www.nytimes.c[...] 2012-04-06
[155] 서적 THE WORLD SECRET POLICE Octpus Books
[156] 뉴스 イスラエル、「人種差別」取り締まり約束 エチオピア系市民のデモ暴徒化 https://www.afpbb.co[...] 2015-05-07
[157] 뉴스 Genetic study offers clues to history of North Africa's Jews http://in.reuters.co[...] 2015-12-01
[158] 뉴스 http://news.donga.co[...]
[159] 뉴스 “아프리카계 유대인 피는 줘도 안 써” 이스라엘 국제구호단체서 인종차별 http://news.khan.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